醫方集成
실비산(實脾散)《濟生方》거습제(祛濕劑) - 십진탕(十珍湯)《攝生衆妙方》
실비산(實脾散)《濟生方》거습제(祛濕劑)
조성 ≒ 운령(云苓), 백출(白朮), 목과(木瓜), 후박(厚朴), 목향(木香), 대복피(大腹皮), 초과
인(草果仁), 사역탕(四逆湯, 감초(甘草), 건강(乾姜), 부자(附子).
주치 : 음수(陰水).- 전신부종(全身浮腫) 복창납매(腹脹納呆) 익소변당(溺少便溏) 설담태
백니(舌淡苔白膩) 맥침지(脈沉遲).
실비음(實脾飮)《濟生方》
조성 ≒ 부자(附子), 포강(炮姜), 백출(白朮), 후박(厚朴), 목향(木香), 목과(木瓜), 초과인
(草果仁), 대복자(大腹子), 복령(茯苓),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치법 : 온양건비(溫陽健脾), 화습이수(化濕利水), 온통비양(溫通脾陽), 행기이수(行氣利
水).
주치 : 1) 고창(臌脹) - 한습곤비형(寒濕困脾型), 복대창만(腹大脹滿), 심하면 배가 마치
물 봇 다리와 같고(腹大如囊裹水), 소변이 단소(小便短少)하고, 하
지가 미종(下肢微腫)하며, 지체가 침중(肢體沉重)허고 완복이 비창(脘腹痞脹)
하며 따뜻하면 약간 풀리고(得熱稍舒), 정신이 괴롭고 게으르며(精神困倦) 추
위가 두렵고 움직이기 싫다(怯寒懶動)., 대변이 묵고(大便溏) 설태는 희고 미끈
거리며(苔白膩) 맥은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4번 뛰고 느리다(脈緩).
【加减】 ① 수습과중(水濕過重) : 加 계지(桂枝), 택사(澤瀉), 저령(豬苓).
② 변당심(便溏甚) : 加 초의이인(炒薏苡仁), 초편두(炒扁豆).
③ 기허기단(氣虛氣短) : 加 황기(黃芪), 당삼(黨參).
2) 수종(水腫).
⑴ 비양허증(脾陽虛證), ⑵ 한습곤비증(寒濕困脾證), ⑶ 비위양허증(脾胃陽虛
證).
실소산(失笑散)《和劑局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오령지(五靈脂), 포황(蒲黃). 각등분(各等分), 초(醋).
효용 : 활혈(活血) 행어(行瘀) 지통(止痛)
주치 : 혈어심통(血瘀心痛).- 산후오로불행(産后惡露不行), 심복(心腹) 협늑창민(脇肋脹
悶) 작통(作痛).
심평탕(審平湯(심평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遠志(원지), 紫檀香(자단향) 各一兩半(각일량반), 天門冬(천문동), 山茱萸(산수유)
各一錢二分半(각일전이분반), 白朮(백출), 白芍葯(백작약), 甘草(감초) 各一錢(각
일전)을 剉(좌)하여 生姜(생강) 五片(오편)을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六十歲運氣(육십세운기)의 主客(주객)과 民病(민병) 編(편) - 卯酉(묘유)의 歲(세)
의 경우 참초
심향백보환(沈香百補丸) ⇒ 침향백보환(沈香百補丸).
십미온담탕(十味溫膽湯)《證治准繩》거담제(祛痰劑)
조성 ≒ 반하(半夏), 진피(陣皮), 복령(茯苓), 지실(枳實), 산조인(酸棗仁), 원지(遠志), 오미
자(五味子), 숙지황(熟地黃), 인삼(人蔘), 감초(甘草).
주치 : 담한간열(膽寒肝熱) 한담상요(寒痰上擾).- 심계불면(心悸不眠) 이명목현(耳鳴目
眩) 단기오심(短氣惡心) 심허번민(心虛煩悶) 설태백니(舌苔白膩) 맥현활(脈弦滑).
십미향유음(十味香薷飮)《增補万病回春》거서제(祛暑劑) ☞ 향유음(香薷飮)
십보환(十補丸)《濟生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포부자(炮附子)60, 오미자(五味子)60, 산수유(山茱萸), 초산약(炒山葯), 모단피
(牡丹皮), 녹용(鹿茸,酒蒸), 숙지황(熟地黃,酒蒸), 육계(肉桂), 택사(澤瀉), 복령(茯
苓) 각30. - 염주탕(塩酒湯)으로 복용(服用)
효용 : 온보신양(溫補腎陽)
주치 : 신기부족(腎氣不足)으로 인한 면색암흑(面色黯黑) 족냉(足冷) 족종(足腫) 이명이
농(耳鳴耳聾) 지체수약(肢體瘦弱) 족슬연약(足膝軟弱) 소변불리(小便不利) 요척
동통(腰脊疼痛) 등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和劑局方》☞ 사군자탕(四君子湯)《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3, 백출(白朮)10, 복령(茯苓)8, 자감초(炙甘草)5, 천궁(川芎)5, 당귀(當
歸)10, 백작(白芍)8, 숙지(熟地)15, 황기(黃芪)15, 육계(肉桂)8, 부자(附子), 반하
(半夏), 맥동(麥冬), 육종용(肉蓗蓉).
주치 : 발반(發斑).- 음증(陰證)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得効(득효)》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加 炮附子(포부자), 肉蓗蓉(육종용), 半夏(반하), 麥門冬
(맥문동) 各等分(각등분).
주치 : 虛勞(허로)의 氣血不足(기혈부족)을 다스린다.
십신탕(十神湯)《和劑局方》해표제(解表劑)
조성 ≒ 진피(陣皮), 감초(甘草), 갈근(葛根), 승마(升麻), 적작약(赤芍葯), 천궁(川芎), 백지
(白芷), 향부미(香附米), 마황(麻黃), 소엽(蘇葉).
주치 : 외감풍한(外感風寒).- 오한발열(惡寒發熱) 두신동통(頭身疼痛) 무한(无汗) 해수
(咳嗽) 흉민(胸悶) 비색(鼻塞) 맥부긴(脈浮緊) 등.
십자기방(十子奇方)《惠直堂經驗方》
조성 ≒ 鳳仙花子(봉선화자, 井水浸一宿, 新瓦焙乾), 金櫻子(금앵자, 春碎熬膏), 五味子
(오미자, 酒浸, 蒸, 晒乾), 石蓮子(석연자, 硏碎, 用 茯苓 麥冬 各30, 煎汁拌蒸, 晒
乾), 菟絲子(토사자, 酒浸三宿, 煮 1 晝夜, 吐絲爲度), 女貞子(여정자, 酒浸, 九蒸九
晒) 各90, 枸杞子(구기자, 一半乳拌蒸, 一半酒浸微炒)120, 小茴香(소회향, 微炒,
爲末, 白菊花60, 煎汁拌, 晒乾)30, 桑椹子(상심자, 取汁, 以瓷盆盛之, 晒成膏)120,
大附子(대부자, 重 30 克, 蜜煮 1日, 換水煮半日, 人蔘60, 煮汁拌附子(晒乾, 切片)
1个, 金櫻子(금앵자), 菟絲子(토사자), 桑椹子(상심자) 三味爲膏, 入諸葯末, 用淮
山葯(산약) 120 克 煮糊爲丸, 如梧桐子大, 每日早晨 空腹時服 4.5 克, 臨臥時服 6
克.
효용 : 건비장근(健脾壯筋), 청담리기(淸痰理氣).
주치 : 남자불육(男子不育) 및 유정(遺精).
십자탕(十子湯) 《湖北中醫雜志》男子不育 陰陽兩虛
조성 ≒ 枸杞子(구기자)20, 桑椹子(상심자), 覆盆子(복분자), 菟絲子(토사자), 女貞子(여
정자) 各15, 五味子(오미자), 韭菜子(구채자), 蛇床子(사상자), 補骨脂(보골지), 白
萹豆(백편두) 各10.
每日 一劑 水煎服, 15 天 1 療程, 每療程 間隔 7~10 天.
효용 : 보신기(補腎氣), 전신정(塡腎精) - 남자불잉증(男子不孕症)
【臨床】 用本方治療 80 例, 年齡 25~36 歲, 其中 腎精虧損者 22 例, 陰虛火旺者14 例, 濕
熱下注者 26 例, 肝鬱氣滯者 18 例, 各型均 辨證 加减用葯. 治療效果 治愈 32 例,
有效 33 例, 无效 15 例. 有效率 爲 81.25%
십전고한구보탕(十全苦寒救補湯)《廣溫熱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大承氣湯(대황(大黃), 망초(芒硝), 후박(厚朴), 지실(枳實)) 合 백호탕(白虎 湯)석
고(石膏), 지모(知母), 갱미(粳米), 감초(甘草)) 减 감초(甘草), 加 서각(犀角), 황백
(川黃柏), 황금(黃芩), 황련(黃連).
주치 : 열독(熱毒)이 장부에 만연되고(蔓延臟腑), 실열이 이미 극에 이르다(實熱已極).-
대열(大熱), 대갈(大渴) 혹 장이 꼬여 끊어질 듯이 아프거나(絞腸痛 絶), 혹 죽고
싶을 정도로 두통이 일고(頭痛欲死), 혹은 입을 다물고 말을 못하며(口噤不語), 온
몸에서 취한 냄새가 나고(渾身發臭), 설건흑(舌乾黑) 무태(无苔) 혹 흑태가 꽃잎
처럼 일어나다(黑苔起瓣).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3, 백출(白朮)10, 복령(茯苓)8, 감초(炙甘草)5, 당귀(當歸)10, 지황(地
黃)15, 백작(白芍)8, 천궁(川芎)5, 황기(黃芪)15, 육계(肉桂)8.
효용 : 기혈온보(氣血溫補)
주치 : 1) 기혈부족(氣血不足), 허로해수(虛勞咳嗽) 식소유정(食少遺精) 각슬무력(脚膝
无力) 창양(瘡瘍)이 아물지 않고, 부녀붕루(婦女崩漏) 등
2) 붕루(崩漏) - 비양허증(脾陽虛證), 비불통혈(脾不統血).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醫學發明》☞ 사군자탕(四君子湯)《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3, 백출(白朮)10, 복령(茯苓)8, 감초(炙甘草)5, 당귀(當歸)10, 지황(地
黃)15, 백작(白芍)8, 천궁(川芎)5, 황기(黃芪)15, 육계(肉桂)8.
주치 : 허로해수(虛勞咳嗽), 유정실혈(遺精失血), 부녀붕루(婦女崩漏), 경후불조(經候不
調).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海藏(해장)》-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人蔘(인삼), 白朮(백출), 白茯苓(백복령), 甘草(감초), 熟地黃(숙지황), 白芍葯(백
작약), 川芎(천궁), 當歸(당귀), 黃芪(황기), 肉桂(육계) 各一錢(각일전)을 剉作
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어 水煎
服(수전복)한다.
一名(일명) 十補湯(십보탕) 또는 十全散(십전산)이라 하는데 黃芪建中湯(황기건
중탕)과 八物湯(팔물탕)을 합해서 一方(일방)을 만든 것으로서 氣血(기혈)이 다
쇠약(俱衰)한 것과 陰陽(음양)이 함께 아울러 약한(並弱) 것을 다스리니 天地(천
지)의 成數(성수)를 法(법)한 방이다.
주치 : 治法(치법)은 八物湯(팔물탕)과 같으며 또 虛勞(허로)의 自汗(자한)을 다스린다.-
東醫寶鑑(동의보감).
십전류기음(十全流氣飮)《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청피(靑皮), 진피(陣皮), 오약(烏葯), 적복령(赤茯苓),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
(大棗), 목향(木香), 향부(香附), 천궁(川芎), 당귀(當歸), 백작(白芍). - 水煎服
효용 : 소간해울(疏肝解鬱), 건비리기(健脾理氣).
주치 : ① 기류(氣瘤).- 류체생장완만(瘤體生長緩慢) 대소불일(大小不一) 안지유연(按之
柔軟) 무통감(无痛感).
② 血瘤(혈류).- 肝鬱痰凝(간울담응) : 瘤体小(류체소), 常爲多發性(상위다발성), 質
地稍硬(질지초경), 輕度觸痛(경도촉통). 常伴精神抑鬱(상반정신억
울), 心煩易怒(심번이노), 胸悶(흉민), 善太息(선태식). 舌紅(설홍),
苔薄黃(태박황), 脈弦(맥현).
治宜 : 疏肝行氣(소간행기), 解鬱(해울).
십전보음탕(十全補陰湯)《中醫婦科治療學》
조성 ≒ 天冬(천동), 麥冬(맥동), 女貞子(여정자), 旱蓮草(한련초), 白芍葯(백작약) 各9, 甘
草(감초)6, 茅根(모근), 藕節(우절), 丹參(단삼) 各12, 香附(향부)6.
- 水煎服(수전복)
효용 : 養陰凉血(양음량혈)
주치 : 月經周期不定(월경주기부정), 經期或經后(경기혹경후) 吐血或衄血(토혈혹뉵혈),
頭暈耳鳴(두운이명), 時有潮熱或咳嗽(시유조열혹해수), 脣紅口燥(순홍구조), 舌
苔黃(설태황), 脈細數(맥세삭).
십전산(十全散)《傳信適用方》
조성 ≒ 人蔘(인삼, 去蘆), 白朮(백출), 白芍(백작), 白茯苓(백복령), 黃耆(황기), 川芎(천
궁), 熟地黃(숙지황), 當歸(당귀), 肉桂(육계), 炒甘草(초감초) 各等分(각등분).
上爲粗末 每服 10, 加 生姜3片, 大棗2个, 水 300 毫升, 煎至 200 毫升, 去滓溫服
不拘時候.
효용 : 보기익혈(補氣益血), 영양삼초(營養三焦) 자음온양(滋陰溫陽), 조보장부(調補臟
腑)
주치 : 여자 음도건삽(女子 陰道乾澁), 성교곤난(性交困難), 증속기혈양허자(證屬氣血兩
虛者), 부녀 각종(婦女 各種) 기혈양허성질병(氣血兩虛性 疾病), 증견(症見) 허로
조열 (虛勞潮熱), 면색황백(面色晄白), 기단심계(氣短心悸), 두운목현(頭暈目眩),
자한도한등.
십조탕(十棗湯)《傷寒論》공축제(攻逐劑) = 사하축수제(瀉下逐水劑)
조성 ≒ 대극(大戟), 원화(芫花), 감수(甘遂) 각등분(各等分), 대조(大棗)10매(枚).
효용 : 공축수음(攻逐水飮)
주치 : 1) 현음(懸飮) - 수한사폐증(水寒射肺證) 사음(四飮)의 하나로 벽음(癖飮)이라고도
한다. 음사(飮邪)가 흉협(胸脇)에 정류(停留)되는 병(病)을 말한다.
사음(四飮)이란 담음(痰飮) 현음(懸飮) 일음(溢飮) 지음(支飮) 4종이다. 해수(咳
嗽) 흉협인통(胸脇引痛) 심하비경(心下痞硬) 건구(乾嘔) 단기(短氣) 두통(頭痛)
목현(目眩) 태활(苔滑) 맥침현(脈沉弦).
2) 수종복창(水腫腹脹) 실증(實證)에도 역시 사용(使用) 할 수 있다.
십진탕(十珍湯)《攝生衆妙方》
조성 ≒ 人蔘(인삼), 白朮(백출), 當歸(당귀, 酒浸), 黃芪(황기, 蜜炙), 肉蓗蓉(육종용, 酒洗)
各3, 白茯苓(백복령), 白芍葯(백작약), 熟地黃(숙지황), 麥門冬(맥문동, 去心) 各
2.4, 陣皮(진피), 半夏(반하, 姜汁浸, 水洗 7 次), 肉桂(육계, 去粗皮), 五味子(오미
자), 砂仁(사인), 川芎(천궁) 各2.1, 木香(목향), 炙甘草(자감초), 煅龍骨(단용골),
煅牡蠣 (단모려) 各1.5.
上爲粗末. 用水 400 毫升, 加 生姜 3 片, 大棗 2 个, 煎至 320 毫升, 早晨服 ; 滓再
煎 至晩服.
효용 : 익기건비(益氣健脾), 온신보정(溫腎補精).
주치 : 불육증(不育症)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