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醫鑑(의감)》
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 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四妙散)
《和劑局方》옹양제(癰瘍劑)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醫鑑(의감)》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酒炒黃柏(주초황백) 四兩(사량), 酒蒸山葯(주증산약), 酒洗牛膝(주세우슬) 各三
兩(각삼량), 人蔘(인삼), 杜仲(두중), 巴戟(파극), 五味子(오미자), 白茯苓(백복령),
酒洗枸杞子(주세구기자), 鹽水炒茴香(염수초회향), 酒洗肉蓗蓉(주세육종용), 酒
蒸山茱萸(주증산수유), 遠志(원지), 水浸去骨甘草(수침거골감초), 石菖蒲(석창
포), 酒炒知母(주초지모), 酒炒生乾地黃(주초생건지황), 熟地黃(숙지황), 麥門冬
(맥문동), 酒製兎絲子(주제토사자), 酒洗甘菊(주세감국), 炒梔子(초치자) 各二兩
(각이량), 去白陳皮(거백진피) 一兩(일량)을 作末(작말)하고 棗肉(조육)을 쪄서 蜜
(밀)을 넣은 것으로 和丸(화환)을 梧子大(오자대)로 하여 空心(공심)에 鹽湯(염탕)
이나 溫酒(온주)로 70~90환을 呑下(탄하) 한다.
一方(일방)에는 天門冬(천문동), 酒洗當歸(주세당귀) 各二兩(각이량)을 넣고 甘
菊(감국), 梔子(치자), 陳皮(진피)의 三味(삼미)가 없다.
주치 : 諸虛(제허), 百損(백손), 五勞(오로), 七傷(칠상)을 다스리고, 腎水(신수)를 붇게하
고, 心火(심화)를 내리고, 脾土(비토)를 補(보)하고, 精(정)을 더하고, 髓(수)를 補
(보)하며, 氣(기)를 益(익)하고, 血(혈)을 和(화)하게 하며, 筋骨(근골)을 壯(장)하게
하며, 肌膚(기부)를 潤(윤)하며, 귀가 밝고 눈이 밝으며, 心(심)을 열고, 智(지)를 定
(정)하며, 陰(음)을 강하게 하고, 陽(양)을 健壯(건장)하게 하며, 延年益壽(연년익
수)하고, 性味(성미)가 溫(온)하면서 熱(열)하지 않고, 淸(청)하면서 寒(한)하지 않
으며, 오래 먹으면 坎離(감리, 혜지고 떨어진)것들이 相濟(상제, 구제 된다)하고,
陰陽(음양)이 和治(화치)하며, 火(화)가 炎上(염상)하지 않고, 神(신)이 스스로 맑
으며 水(수)가 滲泄(삼설, 스며나가다)하지 않고, 精(정)이 스스로 굳세니 平補(평
보)하는 聖葯(성약)이다.
신선불노환(神仙不老丸)《養老(양노)》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人蔘(인삼), 酒浸去心巴戟(주침거심파극), 酒浸當歸(주침당귀), 酒製兎絲子(주제
토사자) 各三兩(각삼량), 熟地黃(숙지황), 酒焙生乾地黃(주배생건지황) 各 二兩
(각이량), 酒浸牛膝(주침우슬), 麩炒杜仲(부초두중) 各一兩半(각일량반), 去皮細
末柏子仁(거피세말백자인),泔浸石菖浦(감침석창포), 酒浸枸杞子(주침구기자),
地骨皮(지골피) 各一兩(각일량)을 썰어서 日乾(일건)하지 말고 慢火 (만화)에 焙
(배)해서 細末(세말)하여 蜜(밀)에 和(화)하고 千杵(천저)로 찧어서 梧子大(오자
대)와 같이 作丸(작환)하여 매번 70~90환을 溫酒(온주)나 鹽湯(염탕)으로 一日
三次(일일삼차) 呑下(탄하)하고, 三白(삼백)과 모든 血類(혈류)를 忌食(기식)한다.
주치 : 늙지 않은 山葯(산약)의 功効(공효)가 凡常(범상)과 다르니 얼굴빛을 변하지 않아
서 童子(동자)와 같은지라 구태어 다른 功力(공력)을 허비 할 것 없잖은가? (지황)
을 生, 熟(생,숙)으로 兩用(양용)하며, 兎 絲(토사), 柏子(백자), 石菖蒲(석창포)에
枸杞(구기)는 열매에 껍질까지 겸했구나. 고운가루 좋은 꿀을 한데다 반죽하여
오동열매알과 같이 환을 지어 아침, 한낮, 入寢(입침)할 때 세 차래를 鹽湯(염탕)
으로 먹는다. 三白(삼백)과 모든 血(혈)을 멀리하고 수염과 리가 검어지길 기다려
라 하였다.
신선해독만병환(神仙解毒万病丸) ⇒ 옥추단(玉樞丹)《百一選方》
신선해어단(神仙解語丹)《醫學心悟》치풍제(治風劑)
조성 ≒ 백부자(白附子), 전갈(全蝎), 감초(甘草), 석창포(石菖蒲), 원지(遠志), 호장(虎掌,
天南星), 목향(木香), 천마(天麻), 강활(羌活).
주치 : 중풍불어(中風不語).- 설강어건(舌强語蹇), 지체마목(肢體麻木), 맥현활(脈弦滑).
신선활명음(神仙活命飮)《白喉治法抉微》
조성 ≒ 龍膽草(용담초), 玄參(현삼), 黃柏(황백), 板藍根(판람근), 瓜蔞皮(과루피), 石膏
(석고), 馬兜鈴(마두령), 白芍(백작), 甘草(감초), 梔子(치자), 生地(생지).
신성산(神聖散)《河間․東醫寶鑑》
조성 ≒ 麻黃(마황), 細辛(세신), 葛根(갈근) 半生半炒(반생반초), 藿香葉(곽향엽) 各等分
(각등분). - 作末(작말)하여 每二錢(매이전)을 荊芥薄荷酒(형개박하주)에 調下(조
하)하 한다.
주치 : 뇌풍(腦風)을 다스린다.
신오옥고(新五玉膏)《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祛濕散(거습산), 硫黃(유황), 五倍子(오배자), 鉛粉(연분), 玉黃膏(옥황고).
신육호고치주사액(新六號枯痔注射液)《經驗方》
조성 ≒ 氯化鈣(녹화개)12, 氯化銨(녹화안)3, 加(가) 注射用水(주사용수) 至 100ml.- 上配
方調勻(상배방조균)→ 溶解(용해)→ 過濾(과려)(3 号細菌漏斗過濾)→ 分裝(可分
裝爲 5ml, 10ml, 100ml 等不同規格)→ 消毒(普通蒸氣消毒 1 小時 或煮沸消毒
0,5 小時) 備用.
痔核內(치핵내) 注射(주사)
주치 : 內痔(내치) 壞死脫落(괴사탈락).
신응소풍산(神應消風散)《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전갈(全蝎), 백지(白芷), 인삼(人蔘).- 세말(細末) 매복(每服)육극(六克), 물식만반
(勿食晩飯) 차일(次日) 공복온주조복(空腹溫酒調服) 각신미조위효(覺身微躁爲
效).
효용 : 부정산풍(扶正散風).
주치 : 마풍경증(麻風輕證).- 기부마목(肌膚麻木) 불인(不仁), 피부출현(皮膚出現) 홍반
(紅斑), 건조(乾燥) 기백설(起白屑).
신응양진단(神應養眞丹)《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白芍), 숙지황(熟地黃), 천마(天麻), 강활(羌活), 목과
(木瓜), 토사자(菟絲子).- 등분위말(等分爲末) 입지황고(入地黃膏) 가밀위환(加蜜
爲丸) 온주송하(溫酒送下). 혹 수전복(水煎服)
효용 : 양혈거풍(養血祛風)
주치 : 유풍(油風).- 두발(頭髮) 돌연탈락(突然脫落), 두피선홍광량(頭皮鮮紅光亮).
☆☆ 역치(亦治) 궐음경위(厥陰經爲) 사기소습(四氣所襲), 각슬무력(脚膝无力) 좌
탄우탄(左癱右瘓) 반신불수(半身不遂) 수족완마(手足頑麻) 언어건삽(言語蹇
澁) 편신동통(遍身疼痛).
신이산(辛荑散)《濟生方》이비제(耳鼻劑)
조성 ≒ 신이(辛荑), 백지(白芷), 방풍(防風), 감초(甘草), 차엽(茶葉), 목통(木通), 천궁(川
芎), 고본(藁本), 세신(細辛), 승마(升麻).
주치 : 풍한습열(風寒濕熱) 소치(所致) 비색혹비식(鼻塞或鼻息).- 비내옹색(鼻內壅塞) 체
출불이(涕出不已) 혹(或) 기식불통(氣息不通) 불문향취(不聞香臭).
신이청폐음(辛荑淸肺飮)《醫宗金鑑》
조성 ≒ 신이(辛荑), 지모(知母), 석고(石膏), 치자(梔子), 황금(黃芩), 비파엽(枇杷葉), 승
마(升麻), 백합(百合), 맥문동(麥門冬), 감초(甘草).
신이청폐음(辛荑淸肺飮)《外科正宗》이비제(耳鼻劑)
조성 ≒ 신이(辛荑), 백호탕(白虎湯, 석고(石膏), 지모(知母), 감초(甘草)) 산치(山梔) 승마
(升麻), 맥동(麥冬), 백합(百合), 황금(黃芩), 비파엽(枇杷葉).
- 水煎服(수전복)
효용 : 疏風淸肺(소풍청폐)
주치 : 1) 폐열비생식육(肺熱鼻生息肉).- 초여류(初如瘤) 일후점대(日后漸大) 폐색공규
(閉塞孔竅) 기불선통(氣不宣通).
2) 역치(亦治) : 열창(熱瘡)
신정오수유탕(新定吳茱萸湯)《金匱翼》
조성 ≒ 인삼(人蔘), 오수유(吳茱萸), 황련(黃連), 황금(黃芩), 반하(半夏), 목과(木瓜), 생강
(生姜).
효용 : 서간조기(舒肝調氣).
주치 : 복통(腹痛) - 소장기체증(小腸氣滯證) 合 작약감초탕(芍葯甘草湯)《傷寒論》가감
(加减)
신제귤피죽여탕(新制橘皮竹茹湯)《溫病條辨》리기제(理氣劑)
조성 ≒ 귤피(橘皮), 죽여(竹茹), 시체(柿蒂), 강즙(姜汁).
주치 : 위열구역(胃熱嘔逆) 위기불허(胃氣不虛).- 애성홍량(呃聲洪亮), 번갈희냉(煩渴喜
冷) 병정단(病程短) 신체장실(身體壯實).
신제시연탕(新制柴連湯)《眼科纂要》치목제(治目劑)
조성 ≒ 시호(柴胡), 천황련(川黃連), 만형자(蔓荊子), 형개(荊芥), 방풍(防風), 치자(梔子),
황금(黃芩), 용담초(龍膽草), 적작(赤芍), 감초(甘草), 목통(木通).
주치 : 1) 풍열옹성(風熱壅盛)지 응지예(凝脂翳).- 흑정기예(黑睛起翳) 여성(如星), 변연
불청(邊緣不淸) 표면오탁(表面汚濁) 여복박지(如覆薄脂) 포륜홍적(抱輪紅赤)
수명유루(羞明流泪) 목통두통(目痛頭痛) 시력하강(視力下降) 설홍태박황(舌紅
苔薄黃) 맥부삭(脈浮數).
2) 동신긴소(瞳神緊小) 동신건결(瞳神乾缺).
신착탕(腎着湯)《金匱要略》거습제(祛濕劑)
조성 ≒ 자감초(炙甘草), 운령(云苓), 백출(白朮), 건강(乾姜).
주치 : 신착(腎着).- 신중(身重) 요급요이하(腰及腰以下) 냉통(冷痛), 구불갈(口不渴) 소변
자리(小便自利).
신출산(神朮散)《醫方集解》거습제(祛濕劑)
조성 ≒ 평위산(平胃散, 창출(蒼朮), 진피(陣皮), 후박(厚朴), 감초(甘草))
가(加) 곽향(藿香), 창포(菖蒲).
주치 : 시행부정지기(時行不正之氣).- 발열오한(發熱惡寒) 주신중동(周身重疼) 설태백니
(舌苔白膩).
신출산(神朮散)《醫學心悟》거습제(祛濕劑)
조성 ≒ 평위산(平胃散, 창출(蒼朮), 진피(陣皮), 후박(厚朴), 감초(甘草)) 가(加) 곽향(藿
香), 창포(菖蒲), 사인(砂仁).
주치 : 시행부정지기(時行不正之氣).- 발열오한(發熱惡寒) 주신중동(周身重疼) 설태백니
(舌苔白膩)
신통축어탕(身痛逐瘀湯)《醫林改錯》리혈제(理血劑)
조성 ≒ 우슬(牛膝), 지용(地龍), 강활(羌活), 진교(秦艽), 향부(香附), 감초(甘草), 당귀 (當
歸), 천궁(川芎), 황기(黃芪), 창출(蒼朮), 황백(黃柏), 오령지(五靈脂), 도인(桃仁),
홍화(紅花), 몰약(沒葯).
주치 : 비증(痹證) 유어혈자(有瘀血者).- 어통극열(瘀痛劇烈) 통유정처(痛有定處) 기부청
자(肌膚靑紫) 설유어점(舌有瘀点) 맥삽(脈澁).
신효괄루산(神效栝樓散)《壽世保元》옹양제(癰瘍劑)
조성 ≒ 괄루(栝樓), 유향(乳香), 몰약(沒葯), 감초(甘草), 당귀(當歸).
- 위말(爲末) 순주전복(醇酒煎服) 혹수전복(或水煎服)
효용 : 활혈화어(活血化瘀), 리기지통(理氣止痛).
주치 : 1) 유로(乳癆) 유옹(乳癰).- 유중종괴(乳中腫塊) 미궤파(未潰破).
2) 옹저종통(癰疽腫痛).
신효달생산(神效達生散)《達生篇》
조성 ≒ 蘇梗(소경), 當歸(당귀), 白芍(백작), 甘草(감초), 川芎(천궁), 枳殼(지각), 白朮(백
출), 陣皮(진피), 貝母(패모), 大腹皮(대복피), 冬葵子(동규자), 葱白(총백).
신효최생단(神效催生丹)《衛生家寶産科備要》
조성 ≒ 臘月免腦髓(랍월면뇌수), 冰片(빙편), 麝香(사향), 乳香(유향), 母丁香(모정향).
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四妙散)《和劑局方》옹양제(癰瘍劑)
조성 ≒ 당귀(當歸), 자감초(炙甘草), 금은화(金銀花), 자황기(炙黃芪).- 주전(酒煎)
주치 : 창양(瘡瘍).- 창양종통(瘡瘍腫痛) 배농불창(排膿不暢).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