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시제쌍보환(是齊雙補丸)
《丹心(단심)》-東醫寶鑑(동의보감) - 시호함흉탕(柴胡陷胸湯)
《通俗傷寒論》거담제(祛痰劑)
시제쌍보환(是齊雙補丸)《丹心(단심)》-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熟地黃(숙지황, 보혈), 菟絲子(토사자, 보기) 各八兩(각팔량)을 作末(작말)하고,
酒糊(주호)에 梧子大(오자대)로 和丸(화환)하여 70환을 酒下(주하)한다.
주치 : 氣, 血(기,혈)을 平補(평보)하여 燥(조)하지도 않고 熱(열)하지도 않게 한다.
시지반하탕(柴枳半夏湯)《醫學入門》거담제(祛痰劑)
조성 ≒ 시호(柴胡), 지각(枳殼), 반하(半夏), 괄루인(栝樓仁), 행인(杏仁), 길경(桔梗), 황금
(黃芩), 감초(甘草), 청피(靑皮).
주치 : 현음(懸飮) 사범흉폐(邪犯胸肺).- 한열왕래(寒熱往來) 신열기복(身熱起伏) 한소
(汗少) 혹 발열불오한(發熱不惡寒) 유한이열불해(有汗而熱不解) 해수(咳嗽) 소담
(少痰) 기급(氣急) 흉협자통(胸脇刺痛), 호흡(呼吸) 전측시(轉側時) 동통가중(疼痛
加重), 심하비경(心下痞硬) 건구(乾嘔) 구고인건(口苦咽乾) 설태박황(舌苔薄黃)
맥현삭(脈弦數).
시진해탁탕(柴陳解托湯)《不居集》화해제(和解劑)
조성 ≒ 시호(柴胡), 진피(陣皮), 갈근(葛根), 곽향(藿香), 택사(澤瀉), 감초(甘草), 진교(秦
艽), 천후박(川厚朴), 반하(半夏), 산사(山楂).
주치 : 허로증(虛勞證).- 내상(內傷)이 경(輕)하고, 외상(外傷)이 중(重)한 증후(證候).
시체탕(柿滯湯)《濟生方》리기제(理氣劑)
조성 ≒ 丁香柿滯湯(정향(丁香), 시체(柿蒂), 인삼(人蔘), 생강(生姜)) 去 인삼(人蔘).
주치 : 흉만(胸滿) 애역불지(呃逆不止), 속한애(屬寒呃) 위기불허(胃氣不虛) 자(者).
시평탕(柴平湯)《增補內經拾遺方論》거습제(祛濕劑)
조성 ≒ 평위산(平胃散) 合 소시호탕(小柴胡湯).= 창출(蒼朮), 진피(陣皮), 천후박(川厚
朴), 감초(甘草), 시호(柴胡), 황금(黃芩), 인삼(人蔘), 반하(半夏), 자감초(炙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습학(濕瘧).- 완복창만(脘腹脹滿) 수족침중(手足沉重) 일신진통(一身盡痛) 한다열
소(寒多熱少) 태백니(苔白膩) 맥유(脈濡).
시호가망초탕(柴胡加芒硝湯)《傷寒論》화해제(和解劑)
조성 ≒ 시호(柴胡), 황금(黃芩), 인삼(人蔘), 반하(半夏),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
棗), 망초(芒硝). (소시호탕(小柴胡湯) 加 망초(芒硝))
주치 : 소양겸리실자(少陽兼裏實者).- 소시호탕증(小柴胡湯證) 겸견(兼見) 대변조결(大\
便燥結) 조열(潮熱)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시호가용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湯)《傷寒論》화해제(和解劑)
조성 ≒ 시호(柴胡), 황금(黃芩), 반하(半夏), 용골(龍骨), 모려(牡蠣), 생강(生姜), 인삼(人
蔘), 연단(鉛丹), 계지(桂枝), 복령(茯苓), 대황(大黃), 대조(大棗).
주치 : 상한병(傷寒病)을 하법(下法)으로 잘목 다스려(傷寒誤下), 사기(邪氣)가 소양경
(少陽經)에 들어가(邪入少陽)서, 요동심신(擾動心神)하며, 사기가 가득차게 되다
(邪氣弥漫).- 상한병(傷寒病)은 팔구일(八九日)이 지나면 낫 는데(傷寒八九日下
之), 오치(誤治)로 인하여, 흉만번경(胸滿煩驚) 소변불리(小便不利) 섬어(譫語) 주
신곤중(周身困重) 난이전측(難以轉側) 설태황니(舌苔黃膩) 맥현삭(脈弦數) 등 증
상(證狀)이 나타남을 다스린다.
시호거반하가괄루근탕(柴胡去半夏加栝樓根湯)《外台秘要․引張仲景方》화해제(和解劑)
조성 ≒ 소시호탕(小柴胡湯) 거(去) 반하(半夏), 가(加) 괄루근(栝樓根,(天花粉))
주치 : 학질(虐疾) 열성상진(熱盛傷津).- 학질, 한열왕래(寒熱往來) 구갈(口渴).
시호계지건강탕(柴胡桂枝乾姜湯)《傷寒論》
조성 ≒ 시호(柴胡), 계지(桂枝), 건강(乾姜), 괄루인(栝樓根), 황금(黃芩), 모려(牡蠣), 감초
(甘草).
시호계지건강탕(柴胡桂枝乾姜湯)《金匱要略》화해제(和解劑)
조성 ≒ 시호(柴胡), 계지(桂枝), 건강(乾姜), 황금(黃芩), 감초(甘草), 모려(牡礪), 괄루(栝
樓).
주치 : 한학(寒虐).- 한다열소(寒多熱少) 혹 단한불열(但寒不熱) 태백(苔白) 맥현(脈弦).
☞ 또한 소시호탕증(小柴胡湯證) 겸(兼) 진휴담결(津虧痰結) 者도 치료.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傷寒論》화해제(和解劑)
조성 ≒ 계지(桂枝), 작약(芍葯), 시호(柴胡), 황금(黃芩), 반하(半夏), 인삼(人蔘), 감초(甘
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소시호탕(小柴胡湯) 합(合) 계지탕(桂枝湯))
주치 : 상한소양병(傷寒少陽病) 겸표증자(兼表證者).- 발열오한(發熱惡寒) 두통(頭痛)혹
현운(眩暈), 사지관절동통(四肢關節疼痛), 미구(微嘔) 심하지결(心下支結) 맥부현
(脈浮弦)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시호달원음(柴胡達原飮)《通俗傷寒論》화해제(和解劑)
조성 ≒ 초과(草果), 황금(黃芩), 백작(白芍), 감초(甘草), 지모(知母), 낭편(榔片), 천박 (川
朴), 시호(柴胡), 지각(枳殼), 청피(靑皮), 하경(荷梗), 길경(桔梗).
주치 : 담습조우막원(痰濕阻于膜原).- 흉격비만(胸膈痞滿), 간일발학(間日發虐), 설태 (舌
苔) 조여적분(粗如積粉), 문지조삽(捫之糙澁).
시호삼출탕(柴胡參朮湯)《審視瑤函》
조성 ≒ 인삼(人蔘), 백출(白朮), 시호(柴胡), 숙지황(熟地黃), 백작(白芍), 천궁(川芎), 당귀
(當歸), 청피(靑皮), 감초(甘草).
시호서간산(柴胡舒肝散)《中國傳統性醫學》
조성 ≒ 柴胡(시호)10, 白芍(백작)15, 橘葉(귤엽)6, 瓜蔞(과루)15, 香附(향부)6, 炒枳殼초
지각)12, 川楝子(천련자)6, 小茴香(소회향)3, 阿膠(아교)10, 石斛(석곡)12, 天花粉
(천화분)12, 生甘草(생감초)3. - 水煎服
효용 : 소간행기(疏肝行氣), 양음음조(養陰潤燥).
주치 : 간음부족(肝陰不足) 기기실조(氣機失調) 음진조체(陰津阻滯) 음규실유(陰竅失
濡).
시호세신탕(柴胡細辛湯)《中醫傷科學講義》골상제(骨傷劑)
조성 ≒ 시호(柴胡), 세신(細辛), 당귀미(當歸尾), 천궁(川芎), 단삼(丹參), 택란(澤蘭), 박하
(薄荷), 지별충(地鱉虫), 반하(半夏), 황연(黃連). 십미약(十味葯)
주치 : 어조우상(瘀阻于上)의 구토(嘔吐),.- 두부손상(頭部損傷) 두운두통(頭暈頭痛) 분
사성구토(噴射性嘔吐) 위변증의거(爲辨證依据)
시호소간산(柴胡疏肝散)《景岳全書》卷五十六
조성 ≒ 醋炒陳皮(초초진피), 柴胡(시호) 各6, 枳殼(지각,麩炒), 작약(芍葯) 各4.5, 炙甘草
(자감초)1.5, 香附(향부), 川芎(천궁) 各4.5. 上爲粗末. 加水 220 毫升, 煎至 180
毫升, 空腹時服.
효용 : 疏肝行氣(소간행기), 解鬱泄熱(해울설열)., 소간리기건비(疏肝理氣健脾), 제습산
만(除濕散滿). 화위지통(和胃止痛).
주치 : 1) 간기울결증(肝氣鬱結證).- 흉협동통(胸脇疼痛) 한열왕래(寒熱往來) 흉민불서
(胸悶不舒), 정신억울(精神抑鬱).
2) 간비불조증(肝脾不調證)
⑴ 협통(脇痛) : 작가(酌加) 건비약물(健脾葯物) - 복령(茯苓), 백출(白朮).
⑵ 고창(臌脹) : 合 위령탕(胃苓湯)《단계심법(丹溪心法)》
⑶ 복통(腹痛)
3) 애기(噯氣) 드림 -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
4) 애역(呃逆) 딸꾹질 - 간위불화증(肝胃不和證) 合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金匱
要略》화재(化裁)
5) 위완통(胃脘痛) - 간비불화증(肝脾不和證)
6) 갱년기종합징(更年期綜合徵), 증견(症見) 한열왕래(寒熱往來), 협늑만민(脇肋
滿悶), 복통주찬(腹痛走竄) 등.
7) 急慢性(급만성) 前列腺炎(전열선염) 屬(속) 肝氣鬱結(간기울결) 者.
8) 暴盲(폭맹)
시호소간음(柴胡疏肝飮)《景岳全書》
조성 ≒ 柴胡(시호), 枳殼(지각), 芍葯(작약), 香附(향부), 烏葯(오약), 川芎(천궁), 甘草(감
초).
시호연교탕(柴胡連翹湯)《醫宗金鑑》
조성 ≒ 柴胡(시호), 連翹(연교), 知母(지모), 生地(생지), 甘草(감초), 瞿麥(구맥), 牛蒡子
(우방자), 當歸(당귀), 肉桂(육계).
시호절학음(柴胡截虐飮)《醫宗金鑑》화해제(和解劑)
조성 ≒ 당삼(黨參), 반하(半夏), 황금(黃芩), 생강(生姜), 시호(柴胡), 빈낭(檳榔), 상산(常
山), 도인(桃仁), 오매(烏梅), 감초(甘草), 대조(大棗).
발병(發病) 3 시간전에 온복(溫服)한다. 만약 메시꺼운(惡心) 자(者)는 당반오매
육(糖拌烏梅肉)을 가복(加服)한다.
주치 : 정학(正虐).- 한전장열(寒戰壯熱)이 쉬었다가 발작하고 하는데, 이에 앞서 기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런 증상이 계속되면 추워서 아래턱을 떨고, 추워함이 끝나면 몸
의 안팎으로 모두 열(熱)이나고, 두통(頭痛)과 얼굴이 붉고, 목이말라 불을 마시
며, 이런 증상이 끝나면 땀이 나는데 몸의 한쪽에 치우친다, 예를 들어 상체(上體)
또는 하체(下體)만 땀이 나거나, 혹은 좌우(左右) 한쪽만 땀이난다. 그런가 하면
열(熱)이 물러나면 몸이 차다, 혀는 붉은색이고 태(苔)는 박백(薄白)하거나 혹은
황니(黃膩)하고 맥(脈)은 현(弦)하다.
시호지길탕(柴胡枳桔湯)《通俗傷寒論》화해제(和解劑)
조성 ≒ 시호(柴胡), 지각(枳殼), 길경(桔梗), 진피(陣皮), 반하(半夏), 황금(黃芩), 생강(生
姜), 녹차엽(綠茶葉).
주치 : 소양편표편상자(少陽偏表偏上者).- 왕래한열(往來寒熱) 양두각통(兩頭角痛) 이농
(耳聾) 목현(目眩) 흉협만통(胸脇滿痛) 맥현활(脈弦滑).
시호청간음(柴胡淸肝飮)《審視瑤函》
조성 ≒ 시호(柴胡), 황금(黃芩), 인삼(人蔘), 천궁(川芎), 치자인(梔子仁), 연교(連翹), 감초
(甘草), 길경(桔梗).
시호청간음(柴胡淸肝飮)《症因脈治》
조성 ≒ 柴胡(시호), 靑皮(청피), 枳殼(지각), 山梔(산치), 木通(목통), 鉤藤(구등), 蘇梗(소
경), 黃芩(황금), 知母(지모), 甘草(감초).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시호(柴胡), 사물탕(四物湯, 당귀(當歸), 백작(白芍), 생지(生地), 천궁(川芎)) 치자
(梔子), 천화분(天花粉), 초우방자(炒牛蒡子), 연교(連翹), 황금(黃芩), 감초절(甘
草節), 방풍(防風).- 수전복(水煎服)
효용 : 청간해울(淸肝解鬱), 소종화독(消腫火毒).
주치 : 1) 액옹유간화(腋癰由肝火) 이성(易成).- 옹생액와(癰生腋窩) 초열동통(炒熱疼痛)
오한발열(惡寒發熱) 태황(苔黃) 맥현삭(脈弦數).
2) 옹저창양(癰疽瘡瘍) 간화이성(肝火而成)者.
시호청골산(柴胡淸骨散)《醫宗金鑑》청열제(淸熱劑)
조성 ≒ 시호(柴胡), 별갑(鱉甲), 지골피(地骨皮), 진교(秦艽), 해백(薤白), 동변(童便), 저척
수(猪脊髓), 저담즙(猪膽汁), 지모(知母), 호황련(胡黃連), 감초(甘草), 청호(靑蒿).
주치 : 폐로(肺勞).- 골증(骨蒸) 조열(潮熱) 도한(盜汗) 건해(乾咳) 형체소수(形體消瘦) 양
권홍적(兩顴紅赤), 맥세삭(脈細數).
시호청조탕(柴胡淸燥湯)《瘟疫論》치조제(治燥劑)
조성 ≒ 시호(柴胡), 진피(陣皮), 감초(甘草), 천화분(天花粉), 지모(知母), 황금(黃芩)., 강
조(姜棗). 위인(爲引).
주치 : 온열병(溫熱病) 혹 전한지후(或戰汗之后) 여열미청(余熱未淸) 진액이상자(津液已
傷者).
- 신불심열(身不甚熱) 인조순열(咽燥脣裂) 설건홍소진(舌乾紅少津) 맥부세무력
(脈浮細无力).
시호함흉탕(柴胡陷胸湯)《通俗傷寒論》거담제(祛痰劑)
조성 ≒ 시호(柴胡), 길경(桔梗), 반하(姜半夏), 황련(川黃連), 황금(黃芩), 지실(枳實), 괄루
인(栝樓仁)., (생강즙(生姜汁)).
주치 : 결흉(結胸) 편우소양(偏于少陽).- 한열왕래(寒熱往來) 흉협만민(胸脇滿悶) 불서
(不舒), 안지칙통(按之則痛) 구고(口苦) 태황(苔黃) 맥현활(脈弦滑).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