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세간산(洗肝散)《銀海精微》
치목제(治目劑) - 소력탕(消瀝湯)《貴陽中醫學院學報》
세간산(洗肝散)《銀海精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강활(羌活), 방풍(防風), 박하(薄荷), 대황(大黃), 치자(梔子), 당귀(當歸), 천궁(川
芎), 감초(甘草).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간경적열(肝經積熱)의 풍륜적두(風輪赤豆).- 적두돌기(赤豆突起) 적맥전포(赤脈
纏布) 삽통수명(澁痛羞明) 열루여탕(熱泪如湯) 설홍태황(舌紅苔黃) 맥현삭(脈弦
數).
세면약(洗面葯)《經驗方》
조성 ≒ 冬瓜仁(동과인)30, 天門冬(천문동)15, 蜂蜜(봉밀)適量.
硏細末, 煉蜜搓丸 如鴒蛋大, 備用.- 先用溫水洗淨 臉部皮膚 然后用葯丸輕涂之,
保留 3~5 鍾后, 再用溫水洗滌.
효용 : 悅色除斑(열색제반), 攎膚養膚(로부양부).
주치 : 黃褐斑(황갈반), 雀斑(작반) 等.
세선방(洗癬方)《外科大成》
조성 ≒ 苦參(고삼), 黎蘆(여로), 草烏(초오), 皮硝(피초), 槐枝(괴지).
세양매창방(洗楊梅瘡方)《醫學入門》옹양제(癰瘍劑)
조성 ≒ 地骨皮(지골피), 荊芥(형개), 苦蔘(고삼), 細辛(세신) 各15.
水煎, 先薰后洗 遍身汗出爲好.
효용 : 淸熱燥濕(청열조습), 祛風解毒(거풍해독)
주치 : 梅毒(매독) - 楊梅瘡(양매창)
소간보신탕(疏肝補腎湯)《陜西中醫》1990 ; 12 ; 538 ☆☆☆
조성 ≒ 當歸(당귀), 川芎(천궁), 小茴香(소회향), 黨參(당삼), 牛膝(우슬) 各10, 炒白芍(초
백작), 茯苓(복령) 各15, 柴胡(시호), 香附(향부) 各12, 附子(부자)6, 菟絲子(토사
자), 紫石英(자석영), 川斷(천단) 各30.
水煎服. 每日 1 劑, 于月經乾凈后 第三天 開始服葯 連服 三天, 休息二天, 再服至
下次 月經來潮爲 1 療程.
효용 : 소간해울(疏肝解鬱), 온신조양(溫腎助陽).
주치 : 신허간울지 불잉증(腎虛肝鬱之 不孕症)
加减 - ① 경전유창(經前乳脹), 흉협창통(胸脇脹痛) 심자(甚者) :
加 울금(鬱金), 청피(靑皮) 各10, 생맥아(生麥芽)15.
② 월경불조(月經不調), 경래복통(經來腹痛), 협어괴자(挾瘀塊者) :
加 택란(澤蘭)10, 익모초(益母草)15, 도인(桃仁)6.
③ 양허심자(陽虛甚者) :
加 육계(肉桂)10, 천초(川椒)5, 선령비(仙靈脾)20.
④ 반신음허자(伴腎陰虛者) :
加 숙지(熟地)30, 구기자(枸杞子)15, 하수오(何首烏)20.
【臨證擧例】本方共治療 50 例. 年齡 21~33 歲, 病程 2~6 年, 其中 原發性不孕 35 例,
續發性 不孕 15 例. 痊愈 42 例, 有效 8 例.
其中 原發不孕者 : 痊愈 29 例, 有效 6 例.
續發不孕者 : 痊愈 13 例, 有效 2 例.
소간조잉탕(疏肝助孕湯)《新中醫》1989 ; 8 : 35 ☆☆☆
조성 ≒ 柴胡(시호), 鬱芩(울금), 靑皮(청피), 赤芍(적작), 白芍(백작), 懷牛膝(회우슬), 各9,
制香附(제향부), 延胡索(연호색, 制), 王不留行(왕불유행), 路路通(로로통), 當歸
(당귀), 炮穿山甲(포천산갑), 鹿角霜(녹각상) 各12.
每日 1 劑, 于月經乾凈后 第三天 開始服葯 連服 7 劑. 下月再如此服.
효용 : 소간ㅁ해울(疏肝解鬱), 활혈통락(活血通絡).
주치 : 간울불잉(肝鬱不孕)
加减 - ① 경전흉협유방창통교심자(經前 胸脇 乳房 脹痛較甚者) :
加 생맥아(生麥芽), 포공영(蒲公英) 各30.
② 경행시(經行時) 소복창통교심자(小腹脹痛 較甚者) :
加 택란(澤蘭)15, 단삼(丹參)20.
【臨證擧例】 本方治療 65例, 年齡 23~37 歲, 病程 2~18 年, 其中原發性不孕 40例, 繼發
性不孕 25例.
前者 痊愈 27 例(67.5%), 有效 12 例(30%), 无效 1 例(2.5%).
后者 痊愈 18 例(72%), 有效 5 例(20%), 无效 2 例(8%).
소갈방(消渴方)《丹溪心法》치조제(治燥劑)
조성 ≒ 황련(黃連),천화분(天花粉),생지즙(生地汁),우즙(藕汁),인유(人乳),생강즙(生姜
汁),봉밀(蜂蜜).
주치 : 1) 위열소갈(胃熱消渴).- 구갈다음(口渴多飮) 다식이기(多食易飢) 맥홍대무력(脈
洪大无力).
2) 소갈(消渴) - 중초(中焦) : 위열증(胃熱證)
소감금섬환(消疳金蟾丸)《中醫方劑學》영아제(嬰兒劑)
조성 ≒ 섬여(蟾蜍)10只, 사인(砂仁), 전만기복(塡滿其腹), 음건자위말(陰乾炙爲末),
加 광피(廣皮), 지실(枳實), 뢰환(蕾芄), 당삼(黨參), 백출(白朮), 산사(山楂), 사군
육(使君肉), 빈낭(檳榔), 맥아(麥芽), 호황연(胡黃連).
- 십이미조성(十二味組成) 분감초(粉甘草) 위의(爲衣).
주치 : 소아감질(小兒疳疾), 면황형수(面黃形瘦) 두복창대(肚腹脹大) 신피납소(神疲納
少) 변증의거(辨證依据).
소감리비탕(消疳理脾湯)《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무이(蕪荑), 삼능(三棱), 아출(莪朮), 청피(靑皮), 진피(陣皮), 로회(蘆薈), 빈낭(檳
榔), 사군자(使君子), 감초(甘草), 천황련(川黃連), 호황련(胡黃連), 맥아(麥芽), 신
곡(神曲). 십삼미조성(十三味組成). 등심(燈芯) 위인(爲引).
주치 : 감적울열(疳積鬱熱).- 면색황암무화(面色黃暗无華) 수약(瘦弱) 모발고고(毛髮枯
槁) 곤권무신(困倦无神) 완복창실거안(脘腹脹實拒按) 납매
혹구토(納呆或嘔吐) 오후미열(午后微熱) 혹(或) 오심번열(五心煩熱), 이노이고(易
怒易苦) 번조구갈(煩躁口渴) 야와불영(夜臥不寧).
소건중탕(小建中湯)《傷寒論》同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千金翼方》온리제(溫里劑)
조성 ≒ 당귀(當歸), 계지(桂枝), 작약(芍葯),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이당(飴
糖).
주치 : 허로리급(虛勞里急).- 때때로 배가 아프고(腹中時痛), 배를 따듯하게 해주는 것을
좋아 하며(喜得溫按), 손으로 감싸 안으면 아픈 것이 감소되고(按之痛减), 혹 허로
에 의한 심장박동이 자각적으로 뛰며 불안하며(虛勞心悸), 혹 허로(虛勞)에 의해
양이 허(虛)하고 음(陰)이 성(盛)한 것이 극(極)에 이르러 음양전화(陰陽傳化)에 의
해 일어나는 발열(陽虛發熱), 이때는 병세가 위급(危急)하다.
☞ 허로(虛勞) : 허손노상(虛損勞傷), 노겁(勞怯) 이라고도 한다. 무릇 선천성부족
(先天性不足), 후천성실조(后天性失調), 구병실양(久病失養), 정기
손상(正氣損傷), 구허불복(久虛不復)에 의하여 각종 허약의 증후가 나타나는데
이는 모두 허로범위에 속한다. 이 병변은 대부분 점차적(漸次的)으로 진행되는데
병이 오래되면 체질이 약해저서 허(虛)가 되고 허한 체질이 오랜동안 회복(恢復)
되지 못하면 손(損)이 되어 허손(虛損)이 되는데 이 또한 오래되면 로(勞)가 되어
허로증(虛勞證)이 발생 하게 되는 것이다. 허로증(虛勞證)의 범위는 아주 넓다. 이
방면의 분류는 오로(五勞) 육극(六極) 칠상(七傷) 등으로 나누는데 그 병리적 변화
에서는 음허(陰虛) 양허(陽虛) 음양양허(陰陽兩虛) 등의 병명을 벗어나지 못한다.
2)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千金翼方》
조성 ≒ 소건중탕(小建中湯) 가(加) 당귀(當歸)
주치 : 산후(産后) 혈허복통(血虛腹痛), 허한성복통(虛寒性腹痛).
3)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金匱要略》
조성 ≒ 소건중탕(小建中湯) 가(加) 황기(黃芪)
주치 : 기(氣)가 허(虛)하여 땀이 절로 나고(氣虛自汗), 원기가 허하여 숨쉬기가 힘이
들어 끊어 졌다 이어지며 몹시 피곤해 하는(短氣困倦) 증상
소건중탕(小建中湯)《仲景(중경)》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白芍葯(백작약) 五錢(오전), 桂枝(계지, 없으면 薄桂(박계)) 三錢(삼전), 炙甘草(자
감초) 一錢(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고, 生薑(생강) 5片(편). 大棗(대조) 4枚
(매)를 넣고 水煎(수전)해서 반쯤 달여지거든 去滓(거재, 찌꺼기를 버리고), 膠飴
(교이, 조청 黑糖) 半盞(반잔, 즉 一兩)을 넣어 다시 달여서 熔化(용화)해 먹는다.
芍葯(작약)은 맛이 土中(토중)에서 가장 酸(산)하므로 木(목)을 瀉(사)하는 고로
君(군)을 삼고, 飴糖(이당)과 甘草(감초)의 溫(온)한 것은 脾(비)를 補(보)하고 胃
(위)를 기르니 臣(신)을 삼으며, 水(수)가 木(목)의 勢(세)를 꺼서 또한 土(토)를 侮
(모)하는 고로 脈(맥)이 弦(현)하고 배가 아프며, 肉桂(육계)는 크게 辛熱(신열)하
니 芍葯(작약)을 도와서 寒水(한수)를 물리친다. 薑棗(생강, 대조)는 甘(감)하고
溫(온)하며 辛(신)하니 陽氣(양기)를 발산하여 經絡(경락)과 皮毛(피모)에 運行
(운행)하게 하니 使(사)를 삼는 고로 健中(건중)의 이름이 여기에서 시작된 것이
다.
① 虛勞(허로)와 氣虛(기허)와 自汗(자한)을 다스릴 때는 본방에다 蜜炙黃芪(밀자
황기) 一錢(일전)을 가하여 黃芪建中湯(황기건중탕)이 되고
② 虛勞(허로)의 血虛(혈허), 自汗(자한)을 다스리는 것은 본방에다 當歸(당귀) 一
錢(일전)을 가하여 當歸建中湯(당귀건중탕)이라 하는 것이다.
주치 : 虛勞(허로)에 속이 急(급)하고, 배가 疼痛(동통)이 나고, 夢寐(몽매) 중에 精(정)을
잃고, 四肢(사지)가 저리며 아프며, 手足(수족)이 煩熱(번열)하고, 咽喉(인후)가 마
르고 입이 燥(조)한 症(증)을 다스린다.
소계음자(小薊飮子)《濟生方》리혈제(理血劑)
조성 ≒ 소계(小薊), 포황(蒲黃), 우절(藕節), 활석(滑石), 목통(木通), 생지(生地), 당귀(當
歸), 치자(梔子), 감초(甘草), 죽엽(竹葉).
효용 : 청심사화(淸心瀉火)
주치 : 혈림(血淋) - ① 소변적삽열통(小便赤澁熱痛), 설홍(舌紅) 맥삭(脈數).
② 심화항성증(心火亢盛證)
③ 방광습열증(膀胱濕熱證).
소금단(小金丹)《外科全生集》옹양제(癰瘍劑)
조성 ≒ 사향(麝香), 당귀(當歸), 초오(草烏), 지용(地龍), 유향(乳香), 몰약(沒葯), 묵탄(墨
炭), 백교향(白膠香), 오령지(五靈脂), 마전자(馬錢子).- 십미조성(十味組成).
주치 : 류담(流痰) 라력(瘰癧) 영(癭) 결핵(結核) 류(瘤).- 환처(患處) 무홍열(无紅熱), 혹유
(或有) 결핵(結核), 동통극열(疼痛劇烈) 무양증(无陽證).
소금단(小金丹)《外科證治全生集》옹양제(癰瘍劑)
조성 ≒ 백교향(白膠香), 초오(草烏), 오령지(五靈脂), 지용(地龍), 목별자(木鱉子) 各45,
몰약(沒葯), 귀신(歸身), 유향(乳香) 各22.5, 사향(麝香)9, 묵탄(墨炭)3.6.
各硏細末, 用糯米粉和 糊打千捶 待融和后 爲丸, 如芡實大, 每料約 250 粒 左右.
每次 1 粒, 每天 2 次, 陳酒送下. 孕婦忌服.
효용 : 활혈지통(活血止痛), 소결산종(消結散腫). 파어통락(破瘀通絡), 거담화습(祛痰化
濕), 소종지통(消腫止痛).
주치 : 1) 유암(乳癌), 매독(梅毒) - 황현초기(黃痃初起)
2) 류담(流痰) 라력(瘰癧) 영(癭) 부고결핵(附睾結核) 종류(腫瘤).
소금편(小金片)《中醫外科學》옹양제(癰瘍劑)
조성 ≒ 지용(地龍), 마전자(馬錢子), 부자(附子), 전충(全虫), 강반하(姜半夏), 유향(乳香),
몰약(沒葯), 오령지(五靈脂).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류담(流痰) 라력(瘰癧) 영(癭) 결핵(結核) 류(瘤).- 환처(患處) 무홍열(无紅熱), 혹유
(或有) 결핵(結核), 동통극열(疼痛劇烈) 무양증(无陽證)
소금편(小金片)《經驗方》
조성 ≒ 馬前子(마전자, 制)216, 地龍(지용)234, 全蝎(전갈)117, 制附子(제부자)234, 姜半
夏(강반하)225, 五靈脂(오령지)225, 制沒葯(제몰약)117, 制乳香(제유향)126.
共硏細末和勻 加 輔料(粘合劑) 軋制成片 每片 含生葯量 0.3g.
成人 每天 2 次, 每次 4 片, 溫開水 送下.; 兒童減半. § 孕婦忌服
효용 : 파어통락(破瘀通絡), 거담화습(祛痰化濕), 소종지통(消腫止痛).
주치 : 류담(流痰), 라력(瘰癧), 영(癭), 부고결핵(附睾結核), 종류(腫瘤) 등
소기탕(蘇氣湯)《傷科滙纂》골상제(骨傷劑)
조성 ≒ 단피(丹皮), 산양혈(山羊血), 유향(乳香), 몰약(沒葯), 당귀(當歸), 백작(白芍), 자소
엽(紫蘇葉), 대황(大黃), 도인(桃仁), 양척촉(羊躑躅), 형개(荊芥).
-십일미약(十一味葯)
§ 양척촉(羊躑躅) 유대독(有大毒) 약량(葯量) 1.5~3g 불가다용(不可多用)
주치 : 기폐혼궐(氣閉昏厥).- 상후혼미(傷后昏迷) 소성후두(蘇醒后頭) 운두통(暈頭痛) 오
심구토(惡心嘔吐) 단무재차(但无再次) 혼궐(昏厥) 위변증의거(爲辨證依据).
소독음(消毒飮)《證治准繩․瘍醫》옹양제(癰瘍劑)
조성 ≒ 목별자(木鱉子)3, 대황(大黃)6, 과루(瓜蔞)15, 도인(桃仁)10, 용담초(龍膽草)3. 粗
末 濃煎 露一宿 淸晨 空腹時服.
효용 : 청열해독(淸熱解毒), 화담소견(化痰消堅).
주치 : 매독(梅毒) - 변독초발(便毒初發).
소라환(消瘰丸)《醫學衷中參西彔》
조성 ≒ 모려(牡蠣), 황기(黃芪), 삼능(三棱), 아출(莪朮), 혈갈(血竭), 유향(乳香), 몰약(沒
葯), 용담초(龍膽草), 현삼(玄參), 절패모(浙貝母).
효용 : 소간해울(疏肝解鬱), 연견화담(軟堅化痰).
주치 : 담기호결증(痰氣互結證)의 라력(瘰癧)을 치료한다.
소려가통방(小廬嫁痛方) 《備急千金要方》卷三
조성 ≒ 甘草(감초)10, 白芍(백작)12, 生姜(생강)8, 桂心(계심) 6. - 用水(용수), 黃酒(황주)
各半(각반) - 煎服(전복)
효용 : 溫陽柔肝(온양유간), 緩急止痛(완급지통).
주치 : 婦人房事后(부인방사후) 陰中抽痛(음중추통).
소력탕(消瀝湯)《貴陽中醫學院學報》1986 ; 4 : 40
조성 ≒ 柴胡(시호), 白芍(백작), 靑皮(청피), 陣皮(진피), 半夏(반하), 茯苓(복령), 白芥子
(백개자), 香附(향부), 莪朮(아출) 各9, 牡蠣(모려)15, 瓜蔞(과루)12.- 水煎服
치법 : 소간리기(疏肝理氣), 화담연견(化痰軟堅).
주치 : 전열선증생(前列腺增生), 속간울담결(屬肝鬱痰結), 증견(症見) 소변점적하진(小
便点滴下盡), 혹뇨급(或尿急) 혹 뇨통(尿痛); 음부창통(陰部脹痛). 설질담홍(舌質
淡紅) 태박(苔薄) 혹니(或膩), 맥현(脈弦).
【臨證擧例】 用本方 制成丸劑及 針劑, 用于 前列腺增生所致之 癃閉 32 例, 治愈 27 例,
好轉 5 例.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