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생정환(生精丸)《江西中醫葯》 - 서근환(舒筋丸)《劉壽山正骨經驗》
골상제(骨傷劑)
생정환(生精丸)《江西中醫葯》1990. 2 : 13 ☆☆☆
조성 ≒ 仙靈脾(선령비)15, 仙茅(선모)10, 巴戟天(파극천)15, 陽起石(양기석)20, 肉蓗蓉
(육종용) 沙苑子(사원자) 菟絲子(토사자) 各15, 枸杞子(구기자)20, 山茱肉(산수
육) 黃精(황정) 當歸(당귀) 制首烏(제수오) 路路通(로로통) 各15, 川斷(천단) 黃耆
(황기) 熟地(숙지) 懷山葯(회산약) 各20, 黨參(당삼)30, 柴胡(시호) 白朮(백출) 各
10, 甘草(감초)5. -
上爲細末 制成膠囊. 每服 5 丸, 早飯前 晩飯后 用以下葯 煎湯送服.
① 腎陽偏虛者 : 用 附子, 肉桂, 補骨脂,
② 腎陰偏虛者 : 用 龜板膠, 女貞子, 旱蓮草, 生地,
③ 陰陽兩虛者 : 用 附子, 肉桂, 鹿角膠, 龜板膠 ,紫河車, 女貞子, 旱蓮草, 韭菜子,
효용 : 보신익정(補腎益精), 익기조양(益氣助陽).
주치 : 남성불육증(男性不育症)
【臨證擧例】 治療 405 例.
結果 - 精子 成活率低者 150 例, 治愈 113 例(75.33 %), 有效 32 例(21.33 %)
无效 5 例(3.34%), 女方懷孕 61例(40.66%), 總有效律爲 145例
(96.66%).
- 精子 活動力弱者 110 例, 治愈 84 例(76.36 %), 有效 24 例(21.82 %),
无效 2 例(1.82 %) 懷孕 47 例(42.72 %), 總有效律 108 例(98.18 %).
- 精子數量少 55 例, 治愈 44 例(80 %), 有效 9 例(16.36 %), 无效 2 例
(3.64 %) 懷孕 23 例(41.82 %), 總有效律 53 例(96.36 %).
- 无精子者 90 例, 治愈 31 例(34.45 %), 有效 55 例(61.1. %), 无效 4 例
(4.45 %), 懷孕 18 例(20 %), 總有效律 86 例(95.55 %).
생철락음(生鐵落飮)《醫學心悟》거담제(祛痰劑)
조성 ≒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패모(貝母), 담성(膽星), 귤홍(橘紅), 원지(遠志),
석창포(石菖蒲), 연교(連翹), 복령(茯苓), 복신(茯神), 현삼(玄參), 구등(鉤藤), 단삼
(丹參), 주사(朱砂), 생철락(生鐵絡).
치법 : 청심척담(淸心滌痰), 진심사간(鎭心瀉肝).
주치 : 담옹내폐(痰壅內閉)지 전광(癲狂).- 경전발광(驚癲發狂) 희노무상(喜怒无常) 혹정
신억울(精神抑鬱) 표정담막(表情淡漠) 신지치매(神志痴呆) 어무논차(語无論次)
불사음식(不思飮食) 설태후니(舌苔厚膩) 맥현활(脈弦滑).
역치(亦治) 후풍(喉風) 유아(乳蛾).
생포황탕(生蒲黃湯)《中醫眼科六經法要》치목제(治目劑)
조성 ≒ 생포황(生蒲黃), 한련초(旱蓮草), 생지황(生地黃), 형개탄(荊芥炭), 단피(丹皮), 단
삼(丹參), 천궁(川芎), 울금(鬱芩).
주치 : 허화상락(虛火傷絡)지 운무이정(云霧移睛).- 자각안전흑화비무(自覺眼前黑花飛
舞) 시력하강(視力下降) 유리체(琉璃體) 가견점상(可見点狀), 혹(或) 서상(絮狀),
단괴상혼탁(團塊狀混濁) 안저유출혈(眼底有出血) 두운이명(頭暈耳鳴) 심번소매
(心煩少寐) 구조인건(口燥咽乾) 설홍소태(舌紅少苔) 맥현세(脈弦細).
생혈보수탕(生血補髓湯)《傷科補要》골상제(骨傷劑)
조성 ≒ 사물탕(四物湯,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白芍), 생지황(生地黃)) 가(加) 홍화
(紅花), 황기(黃芪), 두중(杜仲), 속단(續斷), 오가피(五加皮), 회우슬(懷牛膝).
주치 : 골절후기(骨折后期) 기허혈소(氣虛血少)자
생혈윤부탕(生血潤膚湯)《醫學正傳》
조성 ≒ 당귀(當歸), 숙지(熟地), 생지(生地), 황기(黃芪), 천동(天冬), 맥동(麥冬), 오미자
(五味子), 승마(升麻), 황금(黃芩), 도인(桃仁), 홍화(紅花), 과루인(瓜蔞仁).
효용 : 양혈윤조(養血潤燥)
주치 : 백비(白疕) ; 머리에 발생한 부스럼.
생화가삼탕(生化加參湯)《傳靑主女科》
조성 ≒ 人參(인삼), 當歸(당귀), 川芎(천궁), 白朮(백출), 香附(향부).
생화탕(生化湯)《景岳全書》
조성≒ 포강(炮姜), 당귀(當歸), 천궁(川芎), 도인(桃仁), 감초(炙甘草), 동변(童便) 주(酒).
생화탕(生化湯)《傳靑主女科》경산제(經産劑)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감초(甘草), 포강(炮姜), 도인(桃仁).
주치 : 산후오로불행(産后惡露不行).- 혹(或) 하지심소(下之甚少), 색자암(色紫黯) 소복
냉통거안(小腹冷痛拒按) 통처유괴(痛處有塊) 설자암(舌紫黯) 맥삽(脈澁).
서각산(犀角散)《證治准繩》
조성 ≒ 水牛角(수우각), 天麻(천마), 羌活(강활), 枳殼(지각), 防風(방풍), 黃芪(황기) 白疾
藜(백질려), 黃芩(황금), 白鮮皮(백선피), 檳榔(빈낭), 甘草(감초), 烏蛇(오사).
서각산(犀角散)《備急千金要方》청열제(淸熱劑)
조성 ≒ 서각(犀角), 흑치(黑梔), 황련(黃連), 승마(升麻), 인진(茵陣).
주치 : 급황(急黃).- 황달(黃疸) 급속가심(急速加深), 몸과 눈의 색이 심황색(身目呈深黃
色) 고열구갈(高熱口渴) 소변심황(小便深黃), 배가 뺑뺑히 부르고 옆
구리가 아프며(복창협통(腹脹脇痛), 마음이 번거롭고 조급하면 불안하고(煩躁不
安), 혹 정신을 잃고 횡설수설(神昏譫語)하며, 혹은 토혈(吐血) 변혈(便血) 코피(衄
血)를 흘리거나 몸에 반진(斑疹)이 돗는다.
☞ 역치(亦治) 풍습열비(風濕熱痺) 화화상진(化火傷津).- 관절홍종(關節紅腫), 동통
극열(疼痛劇烈), 입야우심(入夜尤甚), 장열번갈(壯熱煩渴), 설홍소진(舌紅少津),
맥현삭(脈弦數).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서각(犀角), 형개(荊芥), 방풍(防風), 금은화(金銀花), 생감초(生甘草), 우방자(牛
蒡子). 육미조성(六味組成)
주치 : 제창(臍瘡).- 제부홍종열통(臍部紅腫熱痛) 심칙(甚則) 미란유농수(糜爛流膿水) 오
한장열(惡寒壯熱) 제곡번조(啼哭煩躁) 구건진홍(口乾唇紅) 설홍(舌紅) 중자(重者)
신혼추축(神昏抽畜).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千金方》청열제(淸熱劑)
조성 ≒ 서각(犀角, 水牛角), 생지황(生地黃), 모단피(牡丹皮), 작약(赤芍葯).- 水煎服
효용 : 양혈(凉血),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 : 1) 혈에 열이 있으므로 인한 출혈(血熱妄行),- 토혈(吐血) 뇨혈(尿血) 변혈(便血),
혈색선홍(血色鮮紅), 반색자흑(斑色紫黑), 실증고열(實證高熱)에 마음이 번거
롭고 조급하며, 혀가 붉고 혓바늘이 돋았고, 맥삭유력(脈數有力).
또는
온병열독심입혈분(溫病熱毒深入血分)으로 다견(多見) 하는 것은 반진자흑(斑
疹紫黑), 토혈(吐血), 뉵혈(衄血), 변혈(便血) 혹은 한혈(汗血)하며, 신체작열(身
体灼熱)하여, 조요불안(躁擾不安)해하고, 설질자강(舌質紫絳)하다, 이것은(此
爲) 열독지사(熱毒之邪)가, 박혈망행(迫血妄行)하여, 작상혈락(灼傷血絡)하고,
혈일맥외(血溢脈外) 즉 출혈한다.
2) 춘온(春溫) - 열입혈분증(熱入血分證)
3) 서온(暑溫) - 열입혈분증(熱入血分證) ⑴ 合 은교산(銀翹散)《溫病條辨)》
⑵ 合 신서단(神犀丹)《溫熱經緯》
4) 습온(濕溫) - 열입혈분증(熱入血分證)
加 연교(連翹), 자초(紫草), 천근(茜根), 은화(銀花) 등
청열양혈지혈(淸熱凉血止血)하고 하혈불지(下血不止)와 정기
외탈(正氣外脫)을 방지한다.
5) 창양(瘡瘍), 약진(葯疹), 홍반성낭창(紅斑性狼瘡), 소상(燒傷), 농독패혈증(膿毒
敗血症), 급복증(急腹症) 等, 열입영혈(熱入營血), 열독치성(熱毒熾盛).
6) 口瘡(구창) - 心胃火盛證(심위화성증)
7) 化學性眼外傷(화학성안외상)
8) 습열화조(濕熱化燥)하여 하주대장(下走大腸)하면 두 가지(兩種)의 정황(情况)
이 나타나는데 하나는 조사(燥邪)가 음락(陰絡)을 손상하면 열박혈행(熱迫血
行)하므로 변혈(便血)이 있고, 대부분 번조(煩躁), 작열(灼熱)하고 땀을 흘리지
만 열이 사라지지 않으며(有汗不退), 목이 말라 자주 성급하게 물을 마시고(煩
躁渴飮), 색이 진한 소변을 적게 보는(小溲短赤) 등 특징이 있다. 유독 열(熱)이
성한(偏盛) 사람은 혈색(血色)이 대체로 깨끗하고(鮮), 유독 습(濕)이 중한(偏重)
사람은 혈색(血色)이 대체로 어둡다(暗). 이것은 습열화조(濕熱化燥)가 깊이 영
혈에 들어간(深入營血) 열독치성(熱毒熾盛)에 속하는 것으로 음락(陰絡)을 손
상한 때문이다. 이는 청열양혈(淸熱凉血)을 위주로 치료함이 마땅하다.
엽천사(葉天士)는 “入血就恐耗血動血(입혈취공모혈동혈), 直須凉血散血(직수
량혈산혈).”라 하였다.
열성자(熱盛者) : 加 현삼(玄參), 자초(紫草). 등류(等類)
습성자(濕盛者) : 加 곽향엽(藿香葉), 선창포(鮮菖蒲). 등품(等品)
만약 재발하여 : 하혈(下血), 설질(舌質)이 벗겨진 것 같이 반질반질한 것이 마
치 감(柿)과 같은 사람이 먼저 하혈(下血)의 조짐(先兆)이 있으
면 역시 미리 준비하여 졸라매어 두는 것이(未雨綢繆) 마땅하
다.
서각해독음(犀角解毒飮)《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서각(犀角), 우방자(牛蒡子), 형개수(荊芥穗), 방풍(防風), 은화(銀花), 연교(連翹),
천황련(川黃連), 생감초(生甘草), 적작(赤芍), 생지(生地). 등심(燈芯) 위 인(爲引).
주치 : 적유단(赤游丹).-국부피부홍종(局部皮膚紅腫) 형여운편(形如云片) 흔열종통(焮熱
腫痛) 유주부정(游走不定) 발열오한(發熱惡寒) 번조다제(煩躁多啼) 설홍태황(舌
紅苔黃).
서간궤견탕(舒肝潰堅湯)《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하고초(夏枯草), 진피(陣皮), 시호(柴胡), 당귀(當歸), 천궁(川芎), 향부(香附), 백작
(白芍), 정심(灯心), 홍화(紅花), 강잠(姜蚕), 강황(姜黃), 천산갑(穿山甲), 석결명
(石決明), 감초(甘草).
주치 : 라력(瘰癧).- 종괴견경(腫塊堅硬) 추지불이(推之不移) 불홍불열(不紅不熱) 정지불
창(情志不暢) 번조울민(煩躁鬱悶).
서간활혈산(舒肝活血散)《遼寧中醫雜志》1988 ; 4 : 32
조성 ≒ 當歸尾(당귀미), 赤芍(적작), 丹參(단삼), 紅花(홍화), 枳實(지실), 柴胡(시호), 陣皮
(진피), 香附(향부), 靑皮(청피), 穿山甲(천산갑), 橘核(귤핵), 全蝎(전갈), 土鱉虫
(토별충), 姜蚕(강잠), 白花蛇(백화사) 各等分.
上爲細末. 裝入膠囊. 每次 5 克, 1 日 2 次. 1 月爲 1 療程, 每療程間隔 10 天
효용 : 소간활혈(疏肝活血), 거어통락(祛瘀通絡).
주치 : 음경경결(陰莖硬結), 증속간울기체(症屬肝鬱氣滯), 혈어조락자(血瘀阻絡者). 증
견음경경결(症見陰莖硬結), 음부추창(陰部墜脹) 혹자통(或刺痛), 소변시(小便時)
미각창통(微覺脹痛), 협창(脇脹), 혹 양강(陽强), 설유어점(舌有瘀点), 맥현혹삽(脈
弦或澁).
서과상(西瓜霜)《瘍醫大全》
조성 ≒ 西瓜(서과), 皮硝(피초).
서근탕(舒筋湯)《婦人良方》치풍제(治風劑)
조성 ≒ 강활(羌活), 해동피(海桐皮), 강황(姜黃), 백출(白朮), 감초(甘草), 당귀(當歸), 적작
(赤芍).
주치 : 비증(痺證).- 외감풍한(外感風寒), 견비작통(肩臂作痛), 설담태백(舌淡苔白), 맥부
긴(脈浮緊).
서근탕(舒筋湯) 골상제(骨傷劑)
(一)《中醫傷科學》
조성 ≒ 강활(羌活), 목과(木瓜), 상기생(桑寄生), 골쇄보(骨碎補), 오가피(五加皮),
당귀(當歸), 진피(陣皮), 신근초(伸筋草). 팔미약(八味葯)
주치 : 골절급관절(骨折及關節) 탈위후기(脫位后期) 혹(或) 연조직병변(軟組織病
變) 이치적(而致的) 근락구련동통(筋絡拘攣疼痛).
(二)《外傷科學》
조성 ≒ 당귀(當歸), 백작(白芍), 관근등(寬筋藤), 송절(松節), 강활(羌活), 방풍(防
風), 해동피(海桐皮), 강황(姜黃), 감초(甘草), 천속단(川續斷).
- 십미약(十味葯)
주치 : 골절급관절(骨折及關節) 탈위후기(脫位后期) 혹(或) 연조직병변(軟組織病
變) 이치적(而致的) 근락구련동통(筋絡拘攣疼痛).
서근탕(舒筋湯)《驗方》영아제(嬰兒劑)
조성 ≒ 天麻(천마), 何首烏(하수오), 木瓜(목과), 鉤藤(구등), 桂枝(계지), 海螵蛸(해표소),
伸筋草(신근초), 麥芽(맥아).
서근환(舒筋丸)《劉壽山正骨經驗》골상제(骨傷劑)
조성 ≒ 유향(乳香), 몰약(沒葯), 생감초(生甘草), 마황(麻黃), 계지(桂枝), 제마전자(制馬
前子), 홍화(紅花), 혈갈(血竭), 초쉬자연동(醋淬自然銅), 방풍(防風), 찬지풍(鑽地
風), 강활(羌活), 독활(獨活), 회우슬(懷牛膝), 두중(杜仲), 목과(木瓜), 천패모(川貝
母). 십칠미약(十七味葯)
주치 : 각종근상(各腫筋傷) 환냉비통(患冷痹痛)
Opmerki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