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49 三灰散 - 生姜甘草湯

Aktualisiert: 28. Aug. 2019


醫方集成

삼회산(三灰散)《類證治裁》경산제(經産劑) - 생강감초탕(生姜甘草湯)

《千金方》보익제(補益劑)


삼회산(三灰散)《類證治裁》경산제(經産劑)

조성 ≒ 혈여탄(血余炭), 종려탄(棕櫚炭), 백사견탄(白絲絹炭). 삼미조성(三味組成)

주치 : 붕루(崩漏).- 하혈불지(下血不止) 면색창백(面色蒼白) 사지무력(四肢无力) 설담태

백(舌淡苔白) 맥약(脈弱).

삽화단(澁化丹)《眼科六經法要》치목제(治目劑)

조성 ≒ 赤石脂(적석지)300, 甘石(감석)180, 以上二味 共硏極細末, 然后用 薄荷(박하)30,

姜蚕(강잠)30, 麻黃(마황)30, 北細辛(북세신)15, 蔓荊子(만형자)30, 紫草(자

초)21, 龍膽草(용담초)12, 黃連(황연)3, 蘆薈(로회)3, 草烏(초오)12, 水煎去渣 鹽

浸 石脂(석지) 甘石(감석) 綿紙封器口 日晒夜露 乾時再加空 靑石(청석)30, 珊瑚

(산호)9, 琥珀(호박)6, 上血竭(상혈갈)6, 珍珠(진주)1.5. 共硏極細膩. 每晩取少許

点乾障上. 翳膜厚者(예막후자) : 可加 𥓲砂(뇌사) 少許(소허, 不可多加). 珍珠(진

주) 需用未經穿孔者 塞入白豆腐內 加水煮 2h, 方能取出硏末合葯.

주치 : 赤膜下垂(적막하수) 血翳包睛(혈예포정).

상국음(桑菊飮)《溫病條辨》해표제(解表劑)

조성 ≒ 상엽(桑葉)7.5, 국화(菊花)3, 행인(杏仁)6, 길경(桔梗)6, 박하(薄荷)2.5, 감초(甘

草)2.5 로근(蘆根)6, 연교(連翹)5.

효용 : 소풍청열(疏風淸熱), 선폐지해(宣肺止咳), 신양해표(辛凉解表)

주치 : 1) 풍온초기(風溫初起)

⑴ 사재위분(邪在衛分).- 해수(咳嗽) 미갈(微渴) 신불심열(身不甚熱).

⑵ 풍온병(風溫病) 초기(初起) - 온사침습폐위증(溫邪侵襲肺衛證)

2) 해수(咳嗽) -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3) 풍열형(風熱型) 은진(癮疹).

【文獻摘錄】 이 방에 관하여 오당(吳瑭)은 온병조변(溫病條辨)에서 이렇게 논(論)하였다.

「이는 신감화풍(辛甘化風)과 신량미고(辛凉微苦)의 방(方)리다. 폐(肺)는 청

허(淸虛)의 장(臟)이기 때문에 미고(微苦)하면 즉 하강(下降)하고, 신량(辛

凉)하면 즉 정상(正常)으로 된다. 이 방(方)은 신온(辛溫)을 피(避)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모두가 다 행소산(杏蘇散)을 사용하여 네 계절의 해수(咳

嗽)를 통치(通治)하고 있다. 행소산(杏蘇散)은 신온(辛溫)하여 풍한(風寒)에

만 적합하고, 풍온(風溫)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모른다면, 표리(表里)를

구분할 줄 모른다는 폐단이 생기게 된다. . . . . 풍온해수(風溫咳嗽)가 비록

소병(小病)에 속하지만, 신온중제(辛溫重劑)를 오용(誤用)함으로써 폐액(肺

液)이 손상되어 구해(久咳)로 인해서 환자(患者)가 된 사람이 하나가 아니

라는 것을 항상 볼 수 있다.」라하였다.

상마환(桑麻丸)(扶桑丸)《醫方集解》치조제(治燥劑)

조성 ≒ 상엽(桑葉), 흑지마(黑芝麻), 백밀(白蜜).

주치 : 음허혈조(陰虛血燥).- 두운목화(頭暈目花) 구해불유(久咳不愈) 진고변비(津枯便

秘) 풍습마비(風濕痲痺) 기부건조(肌膚乾燥).

상백피방(桑白皮方)《經驗方》

조성 ≒ 桑白皮(상백피)30, 五倍子(오배자)15, 靑葙子(청상자)60. 水煎取汁.- 外洗, 保留

24 小時后, 再用淸水冲洗.

효용 : 祛脂(거지) 散風(산풍) 攎發(로발) 止痒(지양).

주치 : 髮蛀脫髮(발주탈발) 白屑風(백설풍) 等.

상백피산(桑白皮散)《審視瑤函》

조성 ≒ 선복화(旋復花), 지각(枳殼), 행인(杏仁), 상백피(桑白皮), 천화분(天花粉), 현삼

(玄參), 감초(甘草), 첨정력자(甛葶藶子), 국화(菊花), 방풍(防風), 황금(黃芩), 생강

(生姜).

상백피탕(桑白皮湯)《景岳全書》引 醫林方 거담제(祛痰劑)

조성 ≒ 상백피(桑白皮), 반하(半夏), 소자(蘇子), 행인(杏仁), 패모(貝母), 황금(黃芩), 황련

(黃連), 치자(梔子), (생강(生姜)).

효용 : 청열화담(淸熱化痰) 선폐평천(宣肺平喘).

주치 : 열담(熱痰).- 해담황조(咳痰黃稠) 천급면홍(喘急面紅) 번열구건(煩熱口乾) 태황니

(苔黃膩) 맥활삭(脈滑數).

상백피탕(桑白皮湯)《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상백피(桑白皮), 황금(黃芩), 감초(甘草), 지골피(地骨皮), 복령(茯苓), 택사(澤瀉),

현삼(玄參), 국화(菊花), 선복화(旋復花), 길경(桔梗), 맥문동(麥門冬).

주치 : 사열유연(邪熱留戀)之 백삽증(白澁症).- 폭풍객열(暴風客熱) 혹(或) 천행적안(天

行赤眼) 치지불철(治之不徹) 백안유유(白眼遺留) 소허적사세맥(少許赤絲細脈) 지

지불퇴(遲遲不退) 검내경도홍적(瞼內輕度紅赤) 외광유루(畏光流泪) 건삽불상(乾

澁不爽) 설홍태박황(舌紅苔薄黃) 맥세삽(脈細澁).

상백피탕(桑白皮湯)《醫心方》 本方原方名 据《證治准繩․女科》卷三補.

조성 ≒ 桑白皮(상백피)15, 乾姜(건강)10, 桂心(계심)6, 大棗(대조)20枚. 酒 1000 毫升, 煮

三四沸 去滓 分溫服. 衣適厚薄 毋令汗出.

효용 : 온중강역(溫中降逆)

주치 : 부인성교과도(婦人性交過度), 외음종통(外陰腫痛). 급부인(及婦人), 상간장부(傷

于丈夫), 고간두통(苦于頭痛), 욕구번민(欲嘔煩悶).

쌍백산(双柏散)《中醫外科學》옹양제(癰瘍劑)

조성 ≒ 천군(川軍, 大黃)60, 박하(薄荷)30, 택란엽(澤蘭葉)30, 측백엽(側柏葉)60, 황백(黃

柏)30.- 공연세말(共硏細末) 수(水) 밀조(蜜調) 위호상(爲糊狀), 용시외부환처(用

時外敷患處). - 수(水) 밀조제외부(蜜調制外敷).

치법 : 활혈거어(活血祛瘀) 소종지통(消腫止痛)

주치 : 창양초기(瘡瘍初起).- 홍종열통(紅腫熱痛) 혹 복강염증(腹腔炎症) 포괴(包塊), 혹

하지국부(下肢局部) 피부정조(皮膚呈條) 색상홍종(索狀紅腫) 유압통(有壓痛).

쌍백산(双柏散)《中醫婦科學》《外科學》경산제(經産劑)

조성 ≒ 측백엽(側柏葉), 황백(黃柏), 대황(大黃), 택란(澤蘭), 박하(薄荷).

주치 : 수난관(輸卵管) 임신파손(姙娠破損) 시간교장(時間較長) 복강내(腹腔內) 혈액이

형성포괴자(血液已形成包塊者).

상산음(常山飮)《和劑局方》화해제(和解劑)

조성 ≒ 상산(常山), 감초(甘草), 초과(草果), 량강(良姜), 지모(知母), 오매(烏梅).

주치 : 학정(虐政).- 한전장열(寒戰壯熱)이 멎었다가 발작하며, 가슴이 답답하고(胸悶),

구토할 것 같이 위가 메스꺼우며(嘔惡), 태백니(苔白膩) 맥현활(脈弦

滑)을 다스린다.

상시화홍법(桑柴火烘法)《醫宗金鑑》

조성 ≒ 신상수근(新桑樹根) 수근(數根). 취(取) 상수근(桑樹根) 벽조(劈條) 長 30cm, 대

여지조(大如指粗), 將柴條一頭 연후취멸(燃后吹滅) 用火向患處 烘片時, 화진의

재환(火盡宜再換). 매차(每次) 3, 4 條, 每天烘 2, 3次

효용 : 조양(助陽) 소종산견(消腫散堅) 화부생기지통(化腐生肌止痛)

주치 : 옹저(癰疽) 궤이불부(潰而不腐) 신육불생(新肉不生) 동통불지(疼痛不止) 者.

상중하통용통풍방(上中下通用痛風方)《丹溪治法心要》치풍제(治風劑)

조성 ≒ 창출(蒼朮), 황백(黃柏), 도인(桃仁), 홍화(紅花), 계지(桂枝), 천남성(天南星), 방기

(防己), 용담초(龍膽草), 위령선(威靈仙), 강활(羌活), 백지(白芷), 천궁(川芎), 신곡

(神曲).

주치 : 통풍증(痛風證).- 주신골절동통(周身骨節疼痛).

상지손상세방(上肢損傷洗方)《中醫傷科學講義》골상제(骨傷劑)

조성 ≒ 투골초(透骨草), 형개(荊芥), 방풍(防風), 신근초(伸筋草), 계지(桂枝), 천궁(川芎),

홍화(紅花), 유기노(劉寄奴), 위령선(威靈仙), 천년건(千年健), 적소목(赤蘇木). 십

일미약(十一味葯). 전수훈세(煎水熏洗) 환지(患肢)

주치 : 상지골절탈위(上肢骨折脫位) 뉴좌상후(扭挫傷后) 근락련급동통(筋絡攣急疼痛).

상청백부자환(上淸白附子丸)《得効․東醫寶鑑》

조성 ≒ 炮白附子(포백부자), 製半夏(제반하), 川芎(천궁), 甘菊(감국), 炮南星(포남성), 炒

白殭蠶(초백강잠), 去白陳皮(거백진피), 旋覆花(선복화), 天麻(천마) 各一兩, 炒全

蝎(초전갈)半兩을 作末(작말)하고 薑汁浸蒸餠(강즙침증병)에 和丸(화환) 梧子大

(오자대)하여 30환을 薑湯(강탕)에 呑下(탄하)한다.

주치 : 풍담(風痰)이 성(盛)하여 두통(頭痛), 목현(目眩)하고 어지러워 넘어지려하며, 구

토(嘔吐)하며 트림(噯氣)하고 惡心(오심)하며 정신이 昏冒(혼모)한데 此劑(차제)

를 常服(상복)하면 除風(제풍), 化痰(화담)하고 頭目(두목)을 淸和(청화)시킨다.

상청산(上淸散)《丹心․東醫寶鑑》

조성 ≒ 川芎(천궁), 鬱金(울금), 芍葯(작약), 荊芥(형개), 薄荷(박하), 芒硝(망초) 各二錢半,

乳香(유향), 沒葯(몰약) 各五分, 龍腦(용뇌)二分半. 作末(작말)하여 每一字(매일

자)를 鼻內(비내)에 넣는다.

주치 : 風頭痛(풍두통)과 眉骨(미골), 眼眶(안광)이 모두 作痛(작통)하는 症(증)을 다스린

다.

상표소산(桑螵蛸散)《本草衍義》고삽제(固澁劑)

조성 ≒ 상표소(桑螵蛸), 구판(龜板), 용골(龍骨), 인삼(人蔘), 복신(茯神), 창포(菖蒲), 원지

(遠志), 당귀(當歸).

효용 : 온신고삽(溫腎固澁), 조보심신(調補心腎), 고삽지유(固澁止遺).

주치 : 1) 심신불교(心腎不交).- 소변빈삭(小便頻數) 심신황홀건망(心神恍惚健忘) 혹 유

뇨활정(遺尿滑精) 등

2) 유뇨(遺尿) ⑴ 신기불고증(腎氣不固證) 合 고포탕(固脬湯)《雜病源流犀燭》

⑵ 방광허한증(膀胱虛寒證).

상표소산(桑螵蛸散)《千金要方》영아제(嬰兒劑)

조성 ≒ 상표소(桑螵蛸), 적석지(赤石脂), 후박(厚朴), 단모려(煅牡蠣), 인삼(人蔘), 황기

(黃芪), 녹용(鹿茸). 칠미조성(七味組成)

주치 : 하원허냉(下元虛冷)의 유뇨(遺尿).- 수중유뇨(睡中遺尿) 면색황백(面色晄白) 지력

지둔(智力遲鈍) 요퇴산연(腰腿痠軟) 소변청장(小便淸長) 맥침지무력(脈沈遲无

力).

상행탕(桑杏湯)《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조성 ≒ 상엽(桑葉), 행인(杏仁), 사삼(沙蔘), 상패모(象貝母), 두시(豆豉), 치자피(梔子皮),

이피(梨皮).

효용 : 청열윤폐(淸熱潤肺), 영해지해(寧咳止咳).

주치 : 1) 외감온조(外感溫燥).- 두통신열(頭痛身熱) 건해무담(乾咳无痰) 혹담소이점(或

痰少而粘) 구갈심번(口渴心煩) 설홍태박백(舌紅苔薄白) 맥부삭(脈浮數).

2) 해혈(咳血) -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3) 해수(咳嗽) -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에서 풍열(風熱)의 사기가 체표에 침입함

을 겸하고 있을 때 - 소풍윤폐(疏風潤肺) 한다.

쌍해통성산(双解通聖散)《醫宗金鑑》구치제(口齒劑)

조성 ≒ 길경(桔梗), 박하(薄荷), 감초(甘草), 방풍(防風), 형개(荊芥), 당귀(當歸), 주백 작

(酒白芍), 연교(連翹), 석고(石膏), 활석(滑石), 마황(麻黃), 황금(黃芩),초백출(炒

白朮),치자(梔子),천궁(川芎).

주치 : 풍화상박(風火相搏) 습열교증(濕熱交蒸)지 순풍(脣風).- 순부발양(唇部發痒) 색홍

종창(色紅腫脹) 일구파열류수(日久破裂流水) 통여화료(痛如火燎) 유여무피지상

(猶如无皮之狀) 혹겸(或兼) 구갈희음(口渴喜飮) 구취(口臭) 대변건조(大便乾燥)

혹(或) 구진(口唇) 불시순동(不時瞤動), 맥활삭(脈滑數).

쌍화탕(雙和湯)

조성 ≒ 백작(白芍)3, 숙지(熟地), 황기(黃芪), 당귀(當歸), 천궁(川芎), 육계(肉桂), 감초(甘

草) 각5, 생강(生姜)3 片, 대조(大棗)2~5 枚.

쌍화탕(雙和湯)《諸方(제방)》- 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白芍(백작) 二錢半(이전반), 熟地黃(숙지황), 黃芪(황기), 當歸(당귀), 川芎(천궁)

各一錢(각일전), 桂皮(계피), 甘草(감초) 各七分半(각칠분반)을 剉作一貼(좌작일

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

다. 一名(일명) 雙和散(쌍화산)인데 즉 建中湯(건중탕), 四物湯(사물탕)을 합해서

한 處方(처방)을 만든 것이다.

주치 : 心力(심력)이 함께 勞苦(노고)하고, 氣血(기혈)이 다 傷(상)하며 혹은 房事(방사)한

뒤에 勞役(노역)하고, 勞役(노역)한 뒤에 房事(방사)한 症(증) 등이거나 또는 大病

(대병)을 앓고 난 뒤에 虛勞(허로)하고, 氣乏(기핍)하고, 自汗(자한)하는 症(증) 등

을 다스린다.


陰(음)과 陽(양)이 모두 虛(허)하다는 것은 氣血(기혈)이 모두 不足(부족)하다는 것

이다. 특히 이 처방은 氣血(기혈), 陰陽(음양)이 쌍으로 虛弱(허약)해 져서 調和(조

화)를 常失(상실)한 것을 調和(조화)시킨다고 하여 雙和湯(쌍화탕)이라고 했다.

精神(정신)과 氣運(기운)이 다 疲困(피곤)하고 氣血(기혈)이 다 傷(상)한 것 性生活

(성생활)을 한 뒤에 몹시 힘든 일을 하거나 힘든 일을 한 후에 性生活(성생활)을

하는 것 重病(중병)을 앓은 뒤에 虛勞(허로)로 氣(기)가 不足(부족)해서 自汗(자한)

이 나는 것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 또 手足心熱(수족심열), 便乾(변건), 尿頻(뇨빈),

皮膚乾燥(피부건조), 多汗(다한), 口乾(구건), 易飢(이기), 貧血(빈혈), 疲勞(피로),

倦怠(권태) 등을 다스린다.

생강감초탕(生姜甘草湯)《千金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생강(生姜), 감초(甘草), 인삼(人蔘), 대조(大棗).

주치 : 허한성(虛寒性) 폐위(肺痿).- 기침이 없이 목으로부터 거품이 있는 침을 뱉는데(咯

吐涎沫), 그 량이 많고 잘나온다(其質淸稀量多), 목은 마르지 않고(口不渴), 호흡

이 촉박하여 끊어질 듯이 이어지며(短氣不足以息), 눈이 아찔하고 머리가 빙빙

돌아가고(眩暈), 정신이 피로하고 힘이 없으며(神疲乏力), 식소무미(食少无味)하

고, 추워 보이며(形寒), 소변이 빨리 나오고(小便數), 혹은 밤에 오줌을 싸며(遺尿),

설질담(舌質淡), 맥은 연하고 가늘며 꾹 눌러야 짚이거나(弱脈) 혹은 3부맥(寸,

關,尺)이 모두 무력한 허맥(虛脈) 등을 다스린다.

15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