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48 參赭鎭氣湯 - 三黃丸

Aktualisiert: 16. Juli 2021


醫方集成

삼자진기탕(參赭鎭氣湯)《衷中參西彔》

리기제(理氣劑) - 삼황환(三黃丸)《和劑局方》

옹양제(癰瘍劑)



삼자진기탕(參赭鎭氣湯)《衷中參西彔》리기제(理氣劑)

조성 ≒ 태삼(台參), 자석(赭石), 용골(龍骨), 모려(牡礪), 백작(白芍), 소자(蘇子), 산수유

(山茱萸), 회서여(懷薯蕷), 검실(芡實).

주치 : 음양양허(陰陽兩虛).- 기천욕탈(氣喘欲脫) 맥허대무력(脈虛大无力).

삼재봉수단(三才封髓丹)《衛生寶鑑》

조성 ≒ 천문동(天門冬), 생지황(生地黃), 인삼(人蔘), 황백(黃柏), 사인(砂仁), 감초(甘草),

육종용(肉蓗蓉).

삼재봉수단(三才封髓丹)《衛生寶鑑》

조성 ≒ 麥冬(맥동), 熟地(숙지), 人參(인삼).

삼재봉수단(三才封髓丹)《衛生寶鑑》

조성 ≒ 봉수단(封髓丹) 가(加) 삼재환(三才丸) 사인(砂仁), 감초(甘草), 황백(黃柏), 천동

(天冬), 생지(生地), 인삼(人蔘).

주치 : 1) 허화상염(虛火上炎) 권홍조열(顴紅潮熱) 건망실면(健忘失眠) 몽유실정(夢遺失

精).

2) 유정(遺精) - 심신불교증(心腎不交證).

삼재환(三才丸)《六科准繩》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지황(地黃), 맥동(麥冬).

주치 : 기혈구허(氣血俱虛).- 허로에 의하여 숨이차서 헐떡거리며 기침하고(虛勞喘嗽),

정신이 똑똑치 못한(精神不固) 등 증상을 다스린다.

삼재환(三才丸)《綱目(강목)》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天門冬(천문동), 熟地黃(숙지황), 人蔘(인삼) 各等分(각등분)을 作末(작말)하고,

梧子大(오자대)크기로 蜜丸(밀환)을 지어 100환씩 酒下(주하)한다.

주치 : 血虛(혈허)를 補(보)한다.

삼제산(滲臍散)《醫宗金鑑》

조성 ≒ 枯礬(고반), 龍骨(용골), 麝香(사향).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沈氏尊生書》

조성 ≒ 인삼(人蔘), 백출(白朮), 진피(陣皮), 복령(茯苓), 당귀(當歸), 백작(白芍), 자감초

(炙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삼출탕(參朮湯)《證治准繩》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진피(陣皮), 감초(甘草).

효능 : 익기건비(益氣健脾).

주치 : 설사(泄瀉) - 비기허증(脾氣虛證)

삼층회향환(三層茴香丸)《景岳全書》, 原名 삼증회향환(三增茴香丸)《奇效良方》리기제(理氣劑)

주치 : 한산복통(寒疝腹痛).- 온신거한(溫腎祛寒)

제 1 처방 ≒ 박상회향(舶上茴香, 염반량(塩半兩)과 함께 볶아서 소금과 함께 쓴다)30, 사

삼(沙蔘), 천련자(川楝子), 목향(木香) 각 30.

- 온주(溫酒) 혹 염탕(鹽湯)으로 하루에 3 번 송하(送下)한다. 그러나 병이

낫지 않으면 제 2 처방을 끄는 것이 좋다.

제 2 처방 ≒ 제 1 처방, 가(加) 필발(蓽撥)30, 빈낭(檳榔)15. 만약 병이 낫지 않으면 제 3

처방을 복용한다.

제 3 처방 ≒ 제 2 처방, 가(加) 백복령(白茯苓)120, 포부자(炮附子)15~30.

효용 : 온신거한(溫腎祛寒) 행기소간(行氣疏肝).

소산지통(消疝止痛)삼품일조창(三品一條槍)《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명반(明礬)이량(二兩), 백비(白砒)일량오전(一兩五錢), 웅황(雄黃)이전사분(二錢

四分), 유향(乳香)일전이분(一錢二分).- 선장(先將) 명반(明礬), 백비(白砒), 공위

극세말(共爲極細末) 방입소관내(放入小罐內) 치탄화상(置炭火上) 단지홍청연이

진(煅至紅靑烟已盡) 선기(旋起) 백연편시(白烟片時) 약상하홍철주화(約上下紅徹

住火) 취관방지상일숙(取罐放地上一宿) 장관내(將罐內) 비반정분(砒礬凈粉) 일

량취출(一兩取出) 재가입(再加入) 웅황(雄黃), 유향(乳香), 공연극세분(共硏極細

粉). 후호조조(厚糊調稠) 차성선조상음건(搓成線條狀陰乾) 용시(用時) 삽입창공

(揷入瘡孔) 무공자(无孔者) 선용(先用) 침자방공(針刺放孔), 조만삽약(早晩挿葯)

이전(二錢), 삼일후(三日后) 창공증대(瘡孔增大) 매차(每次) 가삽입(可揷入) 10

여조(余條), 삽지칠일(揷至七日) 이후 창공사변자연열개대봉(瘡孔四邊自然裂開

大縫) 일반(一般) 십사천(十四天) 좌우(左右), 창관탈락(瘡管脫落) 수용(隨用) 탕

세찰(湯洗擦) 외상(外上) 옥홍고(玉紅膏), 허자(虛者) 겸복(兼服) 건비지약(健脾之

葯).

주치 : 정핵(疔核), 부식(腐蝕) 용우(用于) 라력(瘰癧), 치루제관(痔漏諸管) 항루(肛漏).-

창양내핵(瘡瘍內核) 내막(內膜) 부육루관(腐肉漏管) 구불소산(久不消散) 신육불

생(新肉不生).

삼합산(蔘蛤散)《中醫方劑臨床手冊》보익제(補益劑). ☞ 參蚧散《中醫內科學講義》《濟生方》

조성 ≒ 인삼(人蔘), 합개(蛤蚧).

효능 : 보익신기(補益腎氣)

주치 : 신불납기증(腎不納氣證) - 천증(喘證) 合 칠미도기환(七味都氣丸)《醫宗己任編》

삼합유(三合油)《中醫外科學》

조성 ≒ 蛋黃油(단황유), 大風子油(대풍자유), 甘草油(감초유).

삼향고(三香膏)《壽世保元》

조성 ≒ 乳香(유향), 松香(송향), 香油(향유).

삼향산(蔘香散)《得効》

조성 ≒ 人蔘(인삼), 白朮(백출), 黃芪(황기), 山葯(산약), 白茯苓(백복령), 蓮肉(연육) 各一

錢(각일전), 甘草(감초) 七分半(칠분반), 烏葯(오약), 縮砂(축사), 橘紅(귤홍), 乾姜

(건강) 各五分(각오분), 丁香(정향), 木香(목향), 白丹香(백단향) 各二分半(각이분

반), 沉香(침향) 二分(이분). 剉作一貼(좌작일첩)하고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

(대조) 二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虛勞(허로)에 여위고 氣(기)가 적고, 勞瘵(노채)가 되려는 症(증)을 다스린다.

- 東醫寶鑑

삼호지혈분(三号止血粉)《驗方》

조성 ≒ 菊葉三七(국엽삼칠), 죽절삼칠(竹節三七), 地楡(지유), 小薊(소계), 茜草(천초).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宣明․東醫寶鑑》

조성 ≒ 黑丑頭末(흑축두말)二兩, 大黃(대황)一兩, 芫花(원화), 甘遂(감수), 大戟(대극) 各

五錢, 輕粉(경분)一錢. 作末(작말)하여 水丸(수환)으로 小豆大(소두대)하여 처음

에 五丸(오환)을 먹고 每服(매복) 五丸(오환)씩 加(가)해서 溫水(온수)에 呑下(탄

하)한다.

주치 : 一切(일절) 水濕(수습)의 腫(종)과 脹滿(창만)을 다스린다.

삼황보랍환(三黃寶蠟丸)《醫宗金鑑》골상제(骨傷劑)

조성 ≒ 황랍(黃蠟), 웅황(雄黃), 천죽황(天竹黃), 홍아대극(紅芽大戟), 기린갈(麒麟竭), 유

기노(劉寄奴), 해아차(孩兒茶), 당귀미(當歸尾), 주사(朱砂), 유향(乳香), 호박(琥

珀), 사향(麝香), 경분(輕粉), 수은(水銀). 십사미약(十四味葯) 조성(組成)

주치 : 질타손상(跌打損傷) 어혈충심(瘀血冲心) 담미심규(痰迷心竅).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金匱要略》 ⇒ 사심탕(瀉心湯)《金匱要略》

삼황산(三黃散)《備急千金要方》 本方原无方名, 据《普濟方》卷 三二六補.

조성 ≒ 大黃(대황), 黃芩(황금), 黃芪(황기) 各15, 芍葯(작약)7.5, 玄參(현삼), 丹參(단삼)

各10, 吳茱萸(오수유)18. - 上爲細末 每服 4.5, 1 日 3 次

효용 : 청열양혈(淸熱凉血), 조습지양(燥濕止痒).

주치 : 부인(婦人) 음중양(陰中痒) 입골내(入骨內), 교접가득(交接可得) 초해(稍解).

삼황산(三黃散)《瘍醫大全》외용약(外用葯)

조성 ≒ 生地黃(생지황), 蒲黃(포황), 牛黃(우황), 冰片(빙편).

삼황세제(三黃洗劑)《中醫外科學》옹양제(癰瘍劑)

조성 ≒ 고삼(苦蔘), 황금(黃芩), 황백(黃柏), 대황(大黃).- 매용(每用) 10~15극(克) 약분

(葯粉), 가(加) 증류수(蒸餾水) 100호승(毫升), 의용(醫用) 석탄산(石炭酸) 일호승

(一毫升) 요균(搖勻) 이면화잠약즙찰환처(以面化蘸葯汁擦患處) 일일(一日) 4~5

차(次). - 면화(棉花) 잠약즙(蘸葯汁) 차환처(搽患處), 每天 4~5 次.

치법 : 청열(淸熱) 지양(止痒) 수삽(收澁)

주치 : 급성피부병(急性皮膚病) 절종(癤腫).- 피부흔적소양(皮膚焮赤瘙痒) 혹 기포(起疱)

황수침음(黃水浸淫). 卽 절병(癤病) 등 홍종(有紅腫) 흔양삼액(焮痒滲液).

삼황양격산(三黃凉膈散)《喉症全科紫珍集》인후제(咽喉劑)

조성 ≒ 치자(梔子), 황백(黃柏), 당귀(當歸), 천궁(川芎), 감초(甘草), 황연(黃連), 황금(黃

芩), 현삼(玄參), 박하(薄荷), 은화(銀花), 화분(花粉), 사간(射干), 적작(赤芍), 청피

(靑皮), 진피(陣皮). 등심(燈芯) 죽엽(竹葉) 위인(爲引).

주치 : 골경손상(骨鯁損傷) 감염사독(感染邪毒).- 인후홍종동통(咽喉紅腫疼痛) 심칙(甚

則) 부란화농(腐爛化膿) 발열오한(發熱惡寒) 설홍(舌紅) 맥삭(脈數).

삼황연고(三黃軟膏)《中醫外科學》

조성 ≒ 黃連(황연), 黃柏(황백), 生大黃(생대황).

삼황원(三黃元)《宣明 ․ 東醫寶鑑》

조성 ≒ 大黃畏(대황외), 黃芩(황금), 黃連(황연) 各等分. 作末(작말)하고 蜜丸(밀환) 梧子

大(오자대)하여 空心(공심)에 熱水(열수)로 30-50 환을 呑下(탄하)한다.

주치 : 三焦(삼초)의 積熱(적열)을 다스린다.

삼황이향산(三黃二香散)《溫病條辨》청열제(淸熱劑)

조성 ≒ 대황(大黃), 연교(連翹), 황백(黃柏), 유향(乳香), 몰약(沒葯).

- 곱게 가루 내어(細末), 첫 번은 찻물로(茶汁) 조리해서 환처에 바른다. 이것이

마르면 이 마른 것을 마유(麻油)에 다시 개어서 환처에 바른다.

주치 : 1) 대두온(大頭瘟).- 초기(初起)에는 열(熱)이 나며, 추운 것을 싫어하고, 머리와 얼

굴이 붉게 부어오르고(頭面紅腫), 혹 수반(隨伴)하여 인후가

아프며(或伴咽喉疼痛), 점차 오한이 사라지면서 열이 증가한다(繼則惡寒漸罷

而熱勢益增), 입이 마르며 마음이 번거롭고 초조하다(口渴煩躁), 두면흔종(頭

面焮腫), 목구멍이 몹시 아프고(咽痛加劇) 설적태황(舌赤苔黃) 맥삭실(脈數實)

2) 자시(痄腮, 유행성 이하선염) -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

삼황탕(三黃湯)《千金方》인장중경방(引張仲景方) 치풍제(治風劑)

조성 ≒ 독활(獨活), 세신(細辛), 마황(麻黃), 황금(黃芩), 황기(黃芪).

주치 : 중풍(中風) 사재경락(邪在經絡).- 수족구급(手足拘急), 백절동통(百節疼痛), 오한

(惡寒), 불욕음식(不欲飮食), 번열심란(煩熱心亂).

삼황환(三黃丸)《銀海精微》

조성 ≒ 황련(黃連), 황금(黃芩), 대황(大黃).

삼황환(三黃丸)《和劑局方》옹양제(癰瘍劑)

조성 ≒ 황금(黃芩), 황련(黃連), 대황(大黃).

주치 : 일절(一切) 양증창양(陽證瘡瘍).

2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entários


Os comentários foram desativad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