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삼부모려탕(參附牡蠣湯)《驗方》 -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韓氏醫通》
삼부모려탕(參附牡蠣湯)《驗方》
조성 ≒ 인삼(人參), 부자(附子), 모려(牡蠣).
삼부용모구역탕(參附龍牡救逆湯)《中醫兒科學》《驗方》영아제(嬰兒劑), 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부자(附子), 용골(龍骨), 모려(牡礪), 백작(白芍), 자감초(炙甘草).
주치 : 심양허쇠(心陽虛衰).- 돌연(突然) 면색창백(面色蒼白) 이청(而靑), 입술이 검붉은
자주색(口唇紫紺)이고, 호흡이 얕고 짧으며(呼吸淺促), 이마에 식은땀을 흘리고
(額汗不溫), 사지궐냉(四肢厥冷), 허망히 번거롭고 불안하며(虛煩不安),맥미약질
삭(脈微弱疾數).
삼부용모구역탕(參附龍牡救逆湯)《世醫得效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人參(인삼), 附子(부자), 龍骨(용골), 牡蠣(모려).
삼부용모탕(參附龍牡湯)《中醫症狀鑒別診斷學》《方劑學》《驗方》온리제(溫里劑)
조성 ≒ 인삼(人蔘), 포부자(附子), 용골(龍骨), 모려(牡蠣).
효용 : 회양구역(回陽救逆).
주치 : ① 양기폭탈(陽氣暴脫).- 혼미(昏迷) 지궐(肢厥) 대한출(大汗出) 면색부홍(面色浮
紅), 혹 하리천촉(下利喘促), 맥허삭(脈虛數) 혹 부대무근
(浮大无根), 혹 미약욕절(微弱欲絶)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② 흉비(胸痹) 중에 - 심양폭탈증(心陽暴脫證).
삼부탕(蔘附湯)《校注婦人良方》온리제(溫里劑)
조성 ≒ 포부자(附子), 인삼(人蔘). 姜棗(생강,대조)
주치 : 원기대휴(元氣大虧) 양기폭탈(陽氣暴脫).- 수족궐냉(手足厥冷) 한출(汗出), 호흡
미약(呼吸微弱), 맥미(脈微).
삼부탕(參附湯)《世醫得效方》
조성 ≒ 黨參(당삼, 人參), 熟附子(숙부자).- 水煎服(수전복)
효용 : 回陽救逆(회양구역)
주치 : 休克(휴극) 陽氣將脫(양기장탈) 四肢厥冷(사지궐냉) 氣短呃逆(기단애역) 喘滿汗
出(천만한출) 脈微細(맥미세).
삼부탕(參附湯)《부인량방(婦人良方)》
조성 ≒ 인삼(人參), 포부자(炮附子), 생강(生姜), 대조(大棗).
효용 : 익기회양(益氣回陽).
주치 : 중풍(中風) - 심양폭탈증(心陽暴脫證).
삼비탕(三痹湯)《婦人良方》治風劑(치풍제)
조성 ≒ 독활(獨活), 진구(秦艽), 방풍(防風), 세신(細辛), 당귀(當歸), 백작(白芍), 천궁(川
芎), 생지(生地), 두중(杜仲), 우슬(牛膝), 인삼(人蔘), 복령(茯苓), 감초(甘草), 계심
(桂心), 황기(黃芪), 속단(續斷).
효용 : 익기구탈(益氣救脫)
주치 :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략동(略同).
삼생음(三生飮)《和劑局方》치풍제(治風劑)
조성 ≒ 생천오(生川烏), 생부자(生附子), 생남성(生南星), 목향(木香).
주치 : 풍담소치(風痰所致) 졸중(卒中).- 혼미(昏迷) 담연옹성(痰涎壅盛) 혹 언어건삽(言
語蹇澁) 구안왜사(口眼歪斜) 맥활이유력(脈滑而有力).
삼생환(三生丸)《得効․東醫寶鑑》
조성 ≒ 半夏(반하), 白附子(백부자), 天南星(천남성) 各等分. 作末(작말)하고, 薑汁浸蒸餠
(강즙침증병)에 和丸(화환) 綠豆大(녹두대)하여 食后(식후) 薑湯(강탕)에 40~50
환을 呑下(탄하)한다.
주치 : 痰厥頭痛(담궐두통)을 다스린다.
삼석산(三石散)《中醫外科學》옹양제(癰瘍劑)
조성 ≒ 숙석고(熟石膏), 적석지(赤石脂), 제로감석(制爐甘石), 각등분(各等分).- 공연세말
(共硏細末)용시(用時) 마유(麻油) 혹범(或凡) 사림(士林) 조차(調搽) 환처(患處).
주치 : 습열형(濕熱型) 피부병(皮膚病).- 피부병(皮膚病) 자수침음(滋水浸淫) 양통난인
(痒痛難忍).
삼석산(三石散)《經驗方》외용약(外用葯)
조성 ≒ 制爐甘石(제로감석), 熟石膏(숙석고), 赤石脂(적석지) 各90.
共硏細末, 麻油 或凡士林調搽 患處.
효용 : 收澁生肌(수삽생기)
주치 : 皮膚病(피부병) 滋水浸淫(자수침음).
삼석수(三石水)《朱仁康臨床經驗集》외용약(外用葯)
조성 ≒ 爐甘石(로감석), 滑石(활석), 赤石脂(적석지), 冰片(빙편), 甘油(감유).
삼석탕(三石湯)《溫病條辨》거습제(祛濕劑)
조성 ≒ 활석(滑石), 석고(石膏), 한수석(寒水石), 행인(杏仁), 죽엽(竹葉), 은화(銀花), 금즙
(金汁), 통초(通草).
효용 : 청선상중하(淸宣上中下) 삼초서습지사(三焦暑濕之邪).
주치 : 서습(暑濕) 미만삼초(弥漫三焦).- 신열이농(身熱耳聾) 흉민해담(胸悶咳痰) 하리익
단(下利溺短) 설홍적(舌紅赤) 태황활(苔黃滑).
삼선단(三仙丹)《瘍醫大全》외용약(外用葯)
조성 ≒ 水銀(수은), 白礬(백반), 火硝(화초).
삼선단(三仙丹) 일명 장수환(長壽丸)《入門》
조성 ≒ 蒼朮(창출) 二兩(이량)과 葱白(총백) 一握(일악)을 炒(초)하는데 黃色(황색)이 되
면 葱(총)은 버리고, 川烏(천오) 一兩(일량)을 鹽(염) 五錢(오전)과 같이 炒(초)해
서 벌어지는 것을 度(도)로 하고 炒茴香(초회향) 三兩(삼량)을 作末(작말)하고, 酒
糊(주호)로 和丸(화환)하는데 梧子大(오자대)로 하여 溫酒(온주)에 50~70환 呑
下(탄하)하고 모든 血類(혈류) 음식을 忌(기)한다.
주치 : 虛勞症(허로증)에 腎(신)과 膀胱(방광)이 虛冷(허냉)하고 귀가 먹고 눈이 어두운
症(증)을 다스린다. - 東醫寶鑑(동의보감).
삼성산(三聖散)《儒門事新》용토제(湧吐劑)
조성 ≒ 여로(黎蘆), 방풍(防風), 과체(瓜蒂). - 제즙전복(齏汁煎服).
주치 : 풍담(風痰).- 중풍폐증(中風閉證) 실음민난(失音悶亂) 구안왜사(口眼歪斜) 혹 불
성인사(不省人事) 아관긴폐(牙關緊閉) 맥활실(脈滑實), 급(及) 전간
(癲癎) 담탁옹색(痰濁壅塞) 흉중(胸中).
삼소음(蔘蘇飮)《和劑局方》
조성 ≒ 인삼(人蔘), 자소엽(紫蘇葉), 갈근(葛根), 전호(前胡), 길경(桔梗), 지각(枳殼), 반하
(半夏), 진피(陣皮), 복령(茯苓), 목향(木香),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효용 : 익기해표(益氣解表), 선폐화담(宣肺化痰).
주치 : 1) 외감풍한(外感風寒) 내유담습(內有痰濕).- 오한발열(惡寒發熱) 두통(頭痛) 비색
(鼻塞) 해수담다(咳嗽痰多) 흉격만민(胸膈滿悶) 태백(苔白) 맥약(脈弱) 등
2) 감모(感冒) -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으로 만약 담음(痰飮)을 겸하여 해수담백
(咳嗽痰白)한 경우.
삼심도적산(三心導赤散)《經驗方》
조성 ≒ 連翹心(연교심)6, 山梔芯(산치심)3, 蓮子心(연자심)3~6, 生地(생지) 玄參(현삼)
車前子(차전자) 各10, 甘草梢(감초초)4.5.
삼양탕(三陽湯)《海藏․東醫寶鑑》
조성 ≒ 羌活(강활), 防風(방풍), 石膏(석고), 柴胡(시호), 白芷(백지), 川芎(천궁) 各一錢,
荊芥(형개), 升麻(승마), 葛根(갈근), 芍葯(작약), 細辛(세신) 各五分에 蓮根(연근),
葱白(총백) 三莖을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삼양(三陽)이 합(合)하여 두통(頭痛)하는 증(症)을 다스린다.
삼오진교탕(參五秦艽湯)《김명욱․臨床經驗方集》
조성 ≒ 當歸(당귀)15, 五加皮(오가피), 黃連(황련,姜炒), 黃芪(황기), 人參(인삼), 狗脊(구
척) 各10, 羌活(강활)7.5, 秦艽(진구)7, 黃芩(황금,酒炒), 牛膝(우슬) 各7.5, 蒼朮(창
출), 萆薢(비해), 生地(생지,酒洗), 黃柏(황백,酒炒), 獨活(독활) 各5, 紅花(홍화,酒
炒), 川芎(천궁), 赤芍(적작) 各3.5, 杜仲(두중,鹽炒)10, 甘草(감초)1, 桑枝(상
지)1.5, 燈心(등심)2.5
원본에 의하면 水煎后(수전후) 童便(동변)과 酒(주)를 各 1盞을 加(가)하여 空腹
(공복)에 溫服(온복)한다 하였다.
加味 雨天時(우천시)
① 痛甚(통심) : 加 防風(방풍), 天麻(천마), 升麻(승마).
② 午后, 夜中痛甚(오후, 야중통심) : 加 牡丹皮(모단피)5, 升麻(승마)2.5
③ 午前痛甚(오전통심): 加 連翹(연교) 沉香(침향) 竹瀝(죽력) 乳汁(유즙).
④ 經常的痛症(경상적통증): 倍加 羌活(강활), 紅花(홍화), 黃芩(황금,酒洗).
주치 : 痛風(통풍) - 白虎歷節風(백호역절풍), 痛風性神經痛(통풍성신경통) - 腰背(요배)
手足關節痛(수족관절통), 游走風(유주풍), 鶴膝風(학슬풍), 各種神經
痛(각종신경통).
삼오칠산(三五七散)《局方․東醫寶鑑》
조성 ≒ 防風(방풍)二兩, 山茱萸(산수유), 炮乾姜(포건강), 赤茯苓(적복령) 各一兩半, 炮附
子(포부자), 細辛(세신) 各七錢半. 作末(작말)하여 每二錢(매이전)을 溫酒(온주)로
調下(조하)하고, 혹은 七錢(칠전)을 썰어서 薑三(강삼), 棗二(조이)를 넣어 水煎服
(수전복)한다.
주치 : 풍한두통(風寒頭痛) - 풍한(風寒)이 뇌(腦)에 들어가서 두통(頭痛), 목현(目眩)하는
데 쓴다.
삼요탕(三拗湯)《和劑局方》거담제(祛痰劑)
조성 ≒ 마황탕(麻黃湯) 감(减) 계지(桂枝) = 마황(麻黃), 행인(杏仁), 감초(甘草).
東醫寶鑑(동의보감)에는 麻黃(마황, 根과 節을 버리지 말고), 杏仁(행인, 皮와 尖
을 버리지 말고), 甘草(감초, 灸 하지 말고 皮도 버리지 말고) 各一錢半을 剉作一
貼 하여 薑五片(강오편)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 局方(화제국방)
주치 : ⑴ 감모풍한(感冒風寒) 사지구권(四肢拘倦) 해수다담(咳嗽多痰) 흉만기단(胸滿
氣短).
⑵ 東醫寶鑑(동의보감) - 風寒(풍한)을 느껴서 기침하며 코가 메며 聲重(성중)하
고 失音(실음)한 症(증)을 다스린다.
삼인탕(三仁湯)《溫病條辨》거습제(祛濕劑)
조성 ≒ 행인(杏仁), 백두구(白豆寇), 의이인(薏苡仁), 후박(厚朴), 반하(半夏), 통초(通草),
활석(滑石), 죽엽(竹葉).
주치 : 1) 온병초기(溫病初起).- 두통오한(頭痛惡寒) 오후신열(午后身熱) 신중흉민(身重
胸悶), 태백불갈(苔白不渴) 맥유(脈濡).
2) 백삽증(白澁症) 취성장(聚星障) 시첨혼묘(視瞻昏渺) 운무이정(云霧移睛).
3) 습온병(濕溫病) - 대장습열증(大腸濕熱證)
加 황금(黃芩), 은화(銀花), 연교(連翹).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方廣(방광)》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熟地黃(숙지황), 生乾地黃(생건지황), 山葯(산약), 山茱萸(산수유) 各四兩(각사
량), 牡丹皮(모단피), 白茯苓(백복령), 澤瀉(택사), 鎖陽(쇄양), 龜板(구판) 各三 兩
(각삼량), 牛膝(우슬), 枸杞子(구기자), 人蔘(인삼), 麥門冬(맥문동), 天門冬(천문
동) 各二兩(각이량), 知母(지모) 黃柏(황백) 竝鹽炒(병염초), 五味子(오미자), 肉桂
(육계) 各一兩(각일량)을 作末(작말)하고, 梧子大(오자대) 크기로 蜜丸(밀환)을 지
어 溫酒(온주) 혹은 鹽湯(염탕)으로 70~90환을 呑下(탄하, 삼키다) 한다.
이 약이 補(보)도 하고 瀉(사)도 하는데 대체로 五臟(오장)은 精血(정혈)을 간직한
곳이다. 그러나 精血(정혈)이 한번 虛(허)해지면 水(수)의 邪(사)가 便乘(편승)하
여 濕(습)과 熱(열)이 됨으로 여기서 補(보)하는 법은 그 精血(정혈)을 補(보)하는
것이요, 瀉(사)하는 법은 그 濕熱(습열)을 瀉(사)하는 것이다. 이 방에 이미 知母
(지모), 黃柏(황백)이 있어서 火(화)를 瀉(사)하고 茯苓(복령), 澤瀉(택사)가 濕(습)
을 滲泄(삼설)하는데 더욱 그 功(공)이 크다.
古方(고방)의 腎氣丸(신기환), 固本丸(고본환), 補陰丸(보음환) 같은 것이 모두 滋
陰補血(자음보혈)하는 약이지만 固本丸(고본환)은 가슴이 차고 痰(담)이 있으면
忌(기)하고, 補陰丸(보음환)은 脾(비)가 虛(허)하고 濕(습)이 있는 사람은 忌(기)해
야 하는데 오직 腎氣丸(신기환)은 온전히 陰(음)을 붇게 하며 腎(신)을 補(보)하고
겸하여 痰(담), 濕(습)을 다스리는데 가장 적절하다. 그러나 品味(품미)가 다만 몇
가지되지 않은지라 變化(변화)를 다하지 못하므로 이에 三方(삼방)을 합해서 一
方(일방)을 만들고 이름을 三一腎氣丸(삼일신기환)이라고 하였는데 補(보)와 瀉
(사)를 兼施(겸시)하는 데 거의 缺陷(결함)이 없으리라고 생각된다.《方廣(방광)》
주치 : 虛勞(허로)를 다스리고 心(심)과 腎(신)의 모든 臟(장)의 精血(정혈)을 補(보)하고
心(심)과 腎(신) 및 모둔 臟(장)의 火(화)와 濕(습)을 瀉(사) 한다.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韓氏醫通》거담제(祛痰劑)
조성 ≒ 자소자(紫蘇子), 백개자(白芥子), 래복자(萊菔子).
효용 : 조습거담(燥濕祛痰), 강기평천(降氣平喘).
주치 : 1) 기역담천(氣逆痰喘).- 해수천역(咳嗽喘逆) 담다흉비(痰多胸痞) 식소난소(食少
難消) 설태백니(舌苔白膩) 맥활(脈滑).
2) 효천(哮喘) :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 合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和劑局方》
Opmerki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