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46 散聚湯 - 三搏丸

Aktualisiert: 28. Aug. 2019



醫方集成

산취탕(散聚湯)《婦科秘訣大全》 - 삼박환(三搏丸)《普濟方》倦一八0

引《鄭氏家傳渴濁方》


산취탕(散聚湯)《婦科秘訣大全》

조성 ≒ 半夏(반하), 橘皮(귤피), 茯苓(복령), 當歸(당귀), 杏仁(행인), 桂心(계심), 檳榔(빈

낭), 甘草(감초).

산치정(山梔酊)(25%)《經驗方》

조성 ≒ 生山梔(생산치)30, 甘油(감유)少許, 75% 酒精(주정)100毫升. 將山梔浸入酒精溶

液, 5~7 日后 濾汁去渣, 再兌入甘油, 備用. 外涂, 日 1~3 次.

효용 : 淸熱(청열) 增色(증색) 染膚(염부)

주치 : 白癜風(백전풍).

산통음(散痛飮)《丹台玉案》卷五

조성 ≒ 烏葯(오약), 玄胡索(현호색), 杜仲(두중), 桃仁(도인) 各4.5, 靑皮(청피), 柴胡(시

호), 穿山甲(천산갑), 牛膝(우슬), 紅花(홍화) 各3, 甘草(감초)1, 生姜(생강)3片.

- 水煎服

효용 : 소간통락(疏肝通絡), 활혈지통(活血止痛).

주치 : 어혈조체(瘀血阻滯) 동방후(同房后) 고환작통(睾丸作痛).

산풍제습활혈탕(散風除濕活血湯)《中醫眼科臨床實踐》치목제(治目劑)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적작(赤芍), 감초(甘草), 독활(獨活), 강활(羌活), 지각(枳

殼), 백출(白朮), 인동등(忍冬藤), 홍화(紅花), 방풍(防風), 전호(前胡), 계혈등(鷄血

騰), 모창출(茅蒼朮).

주치 : 풍습열사(風濕熱邪)의 화감(火疳).- 백정결절(白睛結節) 색선홍(色鮮紅) 주위유

(周圍有) 적사견반(赤絲牽絆), 안구민창(眼球悶脹) 이통(而痛), 병유(幷有) 압통감

(壓痛感), 자각(自覺) 수명유루(羞明流泪) 시물불청(視物不淸) 골절산통(骨節酸

痛) 지절종창(肢節腫脹) 흉민납감(胸悶納减) 설태백후(舌苔白厚) 혹니(或膩), 맥

활혹유(脈滑或濡).

삼가감정기산(三加减正氣散)《溫病條辨》

조성 ≒ 곽향(藿香), 복령피(茯苓皮), 후박(厚朴), 진피(陣皮), 행인(杏仁), 활석(滑石).

효용 : 고신한법(苦辛寒法)으로 선폐리기(宣肺理氣), 설열삼습(泄熱滲濕).

주치 : 1) 완민(脘悶) - 습열미만삼초증(濕熱彌漫三焦證) 삼초(三焦)에 습울(濕鬱)로 설황

(舌黃)하고 완민(脘悶)의 증상(症狀)을 보인것은 중상초(中上焦)의

기기(氣機)가 불선(不宣)함으로서 더러운 습이(穢濕), 점차 열로 화한(漸從熱

化) 때문이다.

삼갑복맥탕(三甲復脈湯)《溫病條辨》치풍제(治風劑)

조성 ≒ 감초(甘草), 건지황(乾地黃), 백작(白芍), 맥문동(麥門冬), 아교(阿膠), 모려(牡蠣),

별갑(鱉甲), 구판(龜板), 마황(麻黃).

효용 : 자음잠양(滋陰潛陽), 진간식풍(鎭肝熄風).

주치 : 1) 춘온후기(春溫后期) 허풍내동(虛風內動).- 수족연동(手足蠕動) 혹 계종(瘈瘲),

심중담담(心中憺憺) 대동(大動), 심칙(甚則) 시시욕탈(時時欲脫), 형소신권(形

消神倦) 치흑순열(齒黑唇裂), 설건강(舌乾絳) 혹 광강무태(光絳无苔) 맥허(脈

虛).

2) 궐증(厥證) - 간풍내동(肝風內動)

3) 만약 사기가 양명에 오래 머무르고(邪在陽明久羈), 맥이 침실(沉實) 하던 것이

허대(虛大)하게 되며, 장열(壯熱)하던 발열이 머물고(發熱稽留), 수족심열(手足

心熱) 심우수족배(甚于手足背), 번갈(煩渴)하던 것이 구간태조(口干苔燥)하나

도리어 목은 심하게 마르지 않는(反不甚渴) 것은 사열(邪熱)이 심입하초(深入

下焦)하여 모상진음(耗傷眞陰)한 것이므로 모두 복맥탕(復脈湯)을 가감(加减)

하는 것이 마땅하다. 만약 마음이 슬프고(心中怛怛) 맥세촉(脈細促)한 사람은

신수가 고 음이 부족하며(陰虛水虧) 허풍이 안을 어지럽힌다(虛風內擾).

4) 서온(暑溫) - 음허풍동증(陰虛風動證).

삼갑산가감(三甲散加减)《溫熱病篇》리혈제(理血劑)

조성 ≒ 천산갑(穿山甲), 별갑(鱉甲), 자충(蟅虫), 시호(柴胡), 도인(桃仁), 강잠(姜蚕).

주치 : 서습여사미정(暑濕余邪未凈), 담어체락(痰瘀滯絡).- 저열불퇴(低熱不退) 심계번

조(心悸煩躁) 수족전동(手足顫動) 신정매둔(腎精呆鈍) 묵묵불어(黙黙不語), 심칙

(甚則) 치매(痴呆), 실어(失語) 실명(失明) 실청(失聽) 혹 수족구련(手足拘攣) 지체

강경(肢體强硬).

삼개산(參蚧散)《中醫內科學講義》보익제(補益劑) ☞ 蔘蛤散《中醫方劑臨床手冊》《濟生方》

조성 ≒ 인삼(人蔘), 합개(蛤蚧).

주치 : 신허효천(腎虛哮喘).- 오랜동안 숨이차서 헐떡거림이 매우 촉박한 증상(喘促日

久), 움직이면 더욱심하고(動則喘甚), 내쉬는 숨이 많고 들이쉬는 숨이 적으며(呼

多吸少), 호흡을 계속할 수 없고(氣不得續), 허리와 무릎이 시큼시큼하고 힘이 빠

지는 듯이 약해 지며(腰膝痠軟), 땀이 절로 나며 팡다리가 차고(自汗肢冷), 말소리

가 낮고 약하며(語音低微), 맥은 꾹눌러야 짚이며 가늘고 똑똑한 침세맥(沉細脈)

등 증을 다스린다.

삼건탕(三建湯)《瘴虐指南》

조성 ≒ 천오(川烏), 부자(附子), 천웅(天雄).

삼기건중탕(參芪健中湯)《集略》

조성 ≒ 當歸身(당귀신) 一錢半(일전반), 人參(인삼), 黃芪(황기), 白朮(백출), 陳皮(진피),

白茯苓(백복령), 白芍葯(백작약), 酒炒生乾地黃(주초생건지황) 各一錢(각일전),

甘草(감초) 五分(오분), 五味子(오미자) 三分(삼분), 剉作一貼(좌작일첩)하고 生姜

(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二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虛損(허손)하고, 少氣(소기)하고, 四肢(사지)가 倦怠(권태)하고, 飮食(음식)이 减量

(감량)한 症(증)을 다스린다.

삼기지모탕(參芪知母湯)《經驗方》

조성 ≒ 天冬(천동), 麥冬(맥동), 山葯(산약), 黃芪(황기), 黨參(당삼), 靑蒿(청호), 白蘞(백

렴) 各12, 蒼朮(창출), 白朮(백출), 生地(생지), 熟地(숙지), 赤芍(적작), 白芍(백작)

各9, 茯苓皮(복령피), 知母(지모) 各15, 生薏仁(생의인)30.

삼기탕(三奇湯)《仁術便覽》癰瘍劑(옹양제)

조성 ≒ 金銀花(금은화)6, 赤芍(적작), 甘草節(감초절), 穿山甲(蛤粉炒)(천산갑(합분초) 各

3, 白疾藜(炒去刺)(백질려)6, 炒姜蚕(초강잠), 連翹(연교), 當歸尾(당귀미) 各4.5,

蜈蚣 (去頭尾足, 焙)(오공)1條, 皂角刺3, 大黃9.

用水 酒各 600毫升, 煎至 300毫升, 空腹時 熱服. 其毒化爲膿水 從大便瀉出.

효용 : 攻結潰堅(공결궤견), 化瘀消痰(화어소담).

주치 : 楊梅瘡(양매창) 未破(미파), 便毒(변독) 四肢腫毒(사지종독).

삼능전(三棱煎)《婦人大全良方》

조성 ≒ 三棱(삼능), 莪朮(아출), 靑橘皮(청귤피), 半夏(반하), 麥芽(맥아).

삼능화상탕(三棱和傷湯)《中醫傷科學講義》골상제(骨傷劑)

조성 ≒ 삼능(三棱), 청피(靑皮), 진피(陣皮), 유향(乳香), 몰약(沒葯), 아출(莪朮), 백출(白朮), 지각(枳殼), 인삼(人蔘), 감초(甘草), 당귀(當歸), 백작(白芍).

주치 : 흉협진상(胸脇陳傷) 기체혈어(氣滯血瘀) 은은작통(隱隱作痛).

삼령내탁산(參苓內托散)《瘍醫大全》

조성 ≒ 人參(인삼), 茯苓(복령), 川芎(천궁), 當歸(당귀), 熟地(숙지), 黃芪(황기), 山葯(산

약), 白朮(백출), 陣皮(진피), 肉桂(육계), 甘草(감초), 熟附子(숙부자), 生姜(생강),

大棗(대조).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복령(茯苓), 백출(白朮), 산약(山葯), 초감초(炒甘草), 각1kg, 백편두

(白萹豆)750, 길경(桔梗), 연자육(蓮子肉), 사인(砂仁), 의이인(薏苡仁) 각500, 대

조탕(大棗湯). - 조복(調服)

효용 : 온운중양(溫運中陽), 익기건비(益氣健脾), 삼습지사(滲濕止瀉).

주치 : 1) 비위허약(脾胃虛弱) 식소변당(食少便溏), 혹 사(瀉), 혹 토(吐)하며, 사지무력(四

肢无力)하고, 몸는 빠지고(形體消瘦), 흉부와 위완부가 팽창하고 답답하며(胸

脘悶脹), 면색위황(面色萎黃), 설태백(舌苔白) 설질담홍(舌質淡紅), 맥은 가늘

고 똑똑하나 한 번 호흡하는 사이(一息)에 4번 뛰고 느린(脈細緩) 맥이가나 혹

은 3부맥(寸關尺)이 모두 무력하며 한 번호흡 하는사이(一息)에 맥이 4 번 뛰며

느린맥((脈虛緩) 이다.

2) 설사(泄瀉) - 소장허한증(小腸虛寒證)

3) 脾虛型(비허형) 濕疹(습진), 膿疱瘡(농포창) 等.

4) 胞虛如球(포허여구) 胎患內障(태환내장) 疳積上目(감적상목)

5) 피비(皮痹) 경피병(硬皮病) - 폐비양허증(肺脾兩虛證).

삼로산(三蘆散)《醫方集解》용토제(湧吐劑)

저성 ≒ 인삼로(人參蘆).

주치 : 허인(虛人) 담식정우흉격(痰食停于胸膈).- 허약인(虛弱人) 담연옹성(痰涎壅盛) 흉

격만민(胸膈滿悶) 온온욕토(溫溫欲吐).

삼묘고(三妙膏)《仙拈集》卷三, 외용방(外用方)

조성 ≒ 󰜋麻仁(피마인)19 粒, 巴豆(파두) 8 粒, 麝香(사향) 0.15.

上三味, 共搗如泥. 攤貼臍下 丹田穴, 取效后 立卽洗去.

효용 : 개관통규(開關通竅).

주치 : 전열선염(前列腺炎) 所致之 륭폐(癃閉).

삼묘산(三妙散)《丹溪心法》

조성 ≒ 蒼朮(창출), 黃柏(황백), 牛膝(우슬).

삼묘산(三妙散)《醫宗金鑑》외용약(外用葯)

조성 ≒ 檳榔(빈낭), 蒼朮(창출), 黃柏(황백).

삼묘환(三妙丸)《醫學正傳》거습제(祛濕劑)

조성 ≒ 이묘산(二妙散, 창출(蒼朮)180, 황백(酒炒黃柏)120) 가(加) 우슬(牛膝)60.

共硏細末, 面糊爲丸. 每次 9 克, 淡塩湯 送下.

효용 : 淸熱化濕(청열화습)

주치 : 습열내성(濕熱內盛) 습열하주(濕熱下注).- 습창(濕瘡) 렴창(臁瘡) (脚膝關節疼痛).

삼물백산(三物白散)《傷寒論》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길경(桔梗), 패모(貝母), 파두(巴豆). - 백미탕(白米湯) 화복(和服).

주치 : 한실결흉(寒實結胸).- 한담냉음(寒痰冷飮)이 흉격에 몰려서(結于胸膈) 흉협(胸脇)

또는 심하(心下)가 뜬뜬한 것이 통증으로 만질 수 없고, 호흡불리(呼吸不利) 대 변

불통(大便不通) 설태백활(舌苔白滑) 맥침현(脈沉弦) 혹 침지유력(沉遲有力) 등.

☞ 《外台秘要》用本方 : 치료(治療) - 폐옹실증(肺癰實症).

삼물비급환(三物備急丸)《金匱要略》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파두(巴豆), 건강(乾姜), 대황(大黃).

주치 : 한실냉적(寒實冷積)의 급증(急證).- 졸연심복창통(卒然心腹脹痛) 통증이 마치바

늘이나 송곳으로 찌르는 듯하고(痛如錐刺), 입을 꽉 다물고 졸도하다(口噤暴厥)

등을 다스린다.

삼물향유음(三物香薷飮)《和劑局方》거서제(祛暑劑) ☞ 향유음(香薷飮).

삼물황금탕(三物黃芩湯)《千金要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황금(黃芩), 고삼(苦蔘), 지황(地黃).

주치 : 산후중풍(産后中風), 사입혈분(邪入血分).- 사지번열(四肢煩熱) 두불통(頭不痛)

설강(舌絳) 맥삭(脈數).

삼미안신환(三味安腎丸)《入門(입문)》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破故紙(파고지) 茴香(회향) 竝炒(병초), 乳香(유향) 各等分(각등분)을 作末(작말)

하여 梧子大(오자대) 트기로 蜜丸(밀환)을 지어 鹽湯(염탕)으로 30~50환을 呑

下(탄하, 삼키다) 한다.

주치 : 밑이(下焦) 虛(허)하여 腎氣(신기)가 眞元(진원)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變(변)해서

모든 병을 이루는 症(증)을 다스린다. 이 方文(방문)은 腎(신)을 補(보)하여 氣(기)

를 들이도록 한다.

삼박환(三搏丸)《普濟方》倦一八0 引《鄭氏家傳渴濁方》

조성 ≒ 人參(인삼), 五味子(오미자), 蜜炙黃耆(밀자황기) 各30, 白礬(백반), 龍骨(용골),

五倍子(오배자), 罌粟殼(앵속각), 炒川楝子(초천련자), 小茴香(소회향), 煅牡蠣(단

모려), 熟地黃(숙지황), 澤瀉(택사), 牡丹皮(모단피), 木鱉子(목별자) 各15.

上爲末 煉蜜爲丸 每服 30 丸, 鹽湯 或酒送下.

효용 : 補肝益腎(보간익신), 澁精止遺(삽정지유).

주치 : 男子(남자) 臨房早泄(임방조설).

1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