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사지손상세방(四肢損傷洗方)
《中醫傷科學講義》골상제(骨傷劑) -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옹양제(癰瘍劑)
사지손상세방(四肢損傷洗方)《中醫傷科學講義》골상제(骨傷劑)
조성 ≒ 파고지(破故紙), 강활(羌活), 독활(獨活), 락득타(落得打), 홍화(紅花), 유향(乳香),
몰약(沒葯), 신근초(伸筋草), 투골초(透骨草), 상지(桑枝), 계지(桂枝), 목과(木瓜),
비해(萆薢), 우슬(牛膝), 음양곽(淫羊藿). 십오미약(十五味葯) 전수훈세(煎水熏
洗), 환처(患處).
주치 : 사지골절(四肢骨折) 탈위(脫位) 뉴상후(扭傷后) 근락련축산통(筋絡攣縮酸痛).
사청환(瀉靑丸)《症因脈治》
조성 ≒ 당귀(當歸), 용담초(龍膽草), 천궁(川芎), 산치(山梔), 대황(大黃), 강활(羌活), 방풍
(防風).
사청환(瀉靑丸)《小兒葯證直訣》청열제(淸熱劑)
조성 ≒ 당귀(當歸), 빙편(冰片), 천궁(川芎), 치자(梔子), 대황(大黃), 강활(羌活), 방풍(防
風).
효용 : 청간사화(淸肝瀉火), 영신정지(寧神定志).
주치 : 1) 간화울결(肝火鬱結).- 목적종통(目赤腫痛), 뇨적변비(尿赤便秘), 번조이노(煩躁
易怒), 맥홍실유력(脈洪實有力).
2) 간화상염증(肝火上炎證) - 불매(不寐)
3) 해정증(蟹睛症).
사칠탕(四七湯)《和劑局方》리기제(理氣劑)
조성 ≒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가(加) 대조(大棗).
반하(半夏), 복령(茯苓), 후박(厚朴), 자소엽(紫蘇葉), 생강(生姜), 대조(大棗).
효용 : 행기화담(行氣化痰) 또는 리기소담(理氣消痰)
주치 : 1) 매핵기(梅核氣) - 정서가 어지럽게 막히고 맺혀서(七情鬱結) 가래와 침이 모이
고엉겨서(痰涎凝聚).- 목구멍이 마치 어떤 물체로 막혀 있는
것같아(咽中如有物阻), 뱉어도 나오지 않고(咯吐不出) 삼켜도 내려가지 않으며
(呑咽不下) 혹 기침을 하고 혹은 헛구역질(或咳或嘔)을 한다.
2) 구토(嘔吐) - 간위불화증(肝胃不和證).
사태고(蛇蛻膏)《醫宗金鑑》
조성 ≒ 蛇蛻(사태), 蜂房(봉방), 蜈蚣(오공), 麻油(마유).
사폐음(瀉肺飮)《眼科纂要》치목제(治目劑)
조성 ≒ 황금(黃芩), 적작(赤芍), 상백피(桑白皮), 감초(甘草), 목통(木通), 형개(荊芥), 방풍
(防風), 치자(梔子), 석고(石膏), 지각(枳殼), 연교(連翹), 강활(羌活), 백지(白芷).
주치 : 1) 폭풍객열(暴風客熱) 열중우풍(熱重于風).- 백정부종(白睛浮腫) 적통교심(赤痛
較甚) 포검홍종(胞瞼紅腫) 치다교결(眵多膠結) 열루여탕(熱泪如湯) 파열외광
(怕熱畏光) 구갈익황(口渴溺黃) 태황(苔黃) 맥삭(脈數).
2) 역치(亦治) : 천행적안(天行赤眼), 천행적안폭예(天行赤眼暴翳) 속폐열(屬肺熱)
자
사폐탕(瀉肺湯)《眼科纂要》
조성 ≒ 석고(石膏), 작약(芍葯), 황금(黃芩), 상백피(桑白皮), 지각(枳殼), 목통(木通), 연교
(連翹), 형개(荊芥), 방풍(防風), 치자(梔子), 백지(白芷), 강활(羌活), 감초(甘草).
사폐탕(瀉肺湯)《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상백피(桑白皮), 황금(黃芩), 지골피(地骨皮), 길경(桔梗), 맥문동(麥門冬), 지모
(知母).
주치 : 1) 폐경조열(肺經燥熱)의 금감(金疳).- 자각삽통외광(自覺澁痛畏光) 루열치결(泪
熱哆結) 백정(白睛) 상유소포(上有小泡) 양(樣) 과립융기(顆粒隆起) 기주위(其
周圍) 사맥홍적노장(絲脈紅赤怒張) 구갈비건(口渴鼻乾) 변비수적(便秘溲赤)
설홍태황(舌紅苔黃) 맥삭이유력(脈數而有力)
2) 백막침정(白膜侵睛).
사해서울환(四海舒鬱丸)《瘍醫大全》옹양제(癰瘍劑)
조성 ≒ 합분(蛤粉), 해조(海藻), 해대(海帶), 곤포(昆布), 천목향(川木香), 진피(陣皮), 오
적골(烏賊骨).- 매천(每天) 일이차(一二次), 매차(每次) 9g, 수주송하(水酒送下)
균가(均可)
효용 : 리기해울(理氣解鬱) 연견소종(軟堅消腫)
주치 : 기영(氣癭).- 후간에 기가 몰린 것이 마치 포대기를 덮은 것 같은데(喉間氣結如胞)
이것이 희노의 정서에 따라 그 증세가 경감하며(隨喜怒消長), 호흡이
곤란(呼吸困難)하고, 말 소리가 나오지 않어 말하기 곤란하다(音啞).
사해서울환가감(四海舒鬱丸加減)
조성 ≒ 柴胡(시호)12, 香附(향부), 枳殼(지각), 陣皮(진피), 半夏(반하), 茯苓(복령), 黃葯子
(황약자), 浙貝母(절패모) 各10, 海藻(해조), 海蛤殼(해합각) 各15, 生牡蠣(생모려)
25.
효용 : 疏肝解鬱(소간해울), 理氣化痰(리기화담).
주치 : 甲狀腺機能亢進(갑상선기능항진) - 담기교조(痰氣交阻), 졍조(頸粗), 반유 정신억
울(伴有精神抑鬱), 혹이노(或易怒), 번조(煩躁), 흉민불서(胸悶不舒), 양협미창(兩
脇微脹), 부녀(婦女) 월경불조(月經不調), 납식소미(納食少味), 설담홍(舌淡紅) 태
박백(苔薄白), 맥현(脈弦) 혹활혹세(或滑或細).
사향환(麝香丸)《本事方》
조성 ≒ 사향(麝香), 전갈(全蝎), 흑두(黑豆), 지용(地龍), 천오(川烏).
사화화담방 (瀉火化痰方) 《中醫疾病學》
조성 ≒ 膽南星(담남성), 遠志(원지), 柏子仁(백자인) 各10g, 龍膽草(용담초), 玄參(현삼),
麥冬(맥동) 各15g, 知母(지모), 鹽炒黃柏(염초황백), 玄明粉(현명분) 各 10g, 地骨
皮(지골피), 生甘草(생감초) 各15g. 水煎(수전), 玄明粉(현명분) 冲服(충복)
효용 : 瀉火化痰(사화화담), 養陰軟堅(양음연견).
주치 : 陽强不倒(양강불도), 證屬(증속) 痰火內鬱(담화내울) 患者(환자). 症見(증견) - 心
煩口苦(심번구고), 舌膩(설니), 少腹拘急(소복구급), 大便秘結(대변비결) 혹은 粘
滯不爽(점체불상), 小便短赤(소변단적), 舌質紅(설질홍), 脈弦滑(맥현활).
사황고(四黃膏)《外科學》
조성 ≒ 黃連(황연), 黃柏(황백), 黃芩(황금), 大黃(대황), 乳香(유향), 沒葯(몰약).
사황산(瀉黃散)《小兒葯證直訣》청열제(淸熱劑)
조성 ≒ 방풍(防風), 석고(石膏), 산치(山梔), 곽향(藿香), 감초(甘草).
주치 : 1) 비위복화(脾胃伏火).- 열재기육(熱在肌肉), 입과 입술이 건조하고(口燥唇乾),
입이 헐고 냅새가 나며(口瘡口臭), 위(胃)의 열(熱)로 번거롭고, 쉬 배가 고프고
(煩熱易飢), 혹 비장(脾臟)의 열(熱)로 혀를 돌리며 작난을 하다(脾熱弄舌).
2) 침안(針眼).
사황산(四黃散)(膏)《中醫外科學》《經驗方》옹양제(癰瘍劑)
조성 ≒ 유향(乳香), 몰약(沒葯), 황연(黃連), 황백(黃柏), 황금(黃芩), 천금문(川錦紋, 大
黃).- 연극세말(硏極細末).- 약위산제(若爲散劑) 용수(用水) 혹 은화로(銀花露) 조
부환처(調敷患處), 약위고(若爲膏) 장약분(將葯粉) 가(加)범사림(凡士林) 조위고
(調爲膏), 탄사포상(攤紗布上) 부우환처(敷于患處). 산제(散劑) : 水 或銀花露 調
敷患處 고제(膏劑) : 將油膏 攤紗布 上敷患處.
효용 : 청열해독(淸熱解毒) 활혈소종(活血消腫)
주치 : 일절양증(一切陽證) 창양(瘡瘍).
사황산(蛇黃散)《新醫葯學雜志》
조성 ≒ 蛇床子(사상자), 密陀僧(밀타승), 土大黃(토대황), 雄黃(웅황), 硫黃(유황), 苦參
(고삼), 輕粉(경분), 黃醋(황초).
산기탕(疝氣湯)《丹溪治法心要》리기제(理氣劑)
조성 ≒ 오수유(吳茱萸), 려지핵(荔枝核), 지실(枳實), 산사(山楂), 치자(梔子).
주치 : 한습산기(寒濕疝氣).- 소복창통(少腹脹痛) 공인고환(控引睾丸), 맥현긴(脈弦緊).
산내정(山柰酊)(10%)《經驗方》
조성 ≒ 山柰(산내)15, 川椒(천초)10, 甘油(감유)少許, 75% 酒精(주정)100 毫升.
將山柰 川椒 同浸泡在酒精中, 5~7 日后 濾汁去渣, 再兌入甘油少許, 備用.
外涂, 日 1~2 次.
효용 : 疏風通絡(소풍통락) 刺激毛竅(자격모규)
주치 : 斑禿(반독).
산두근세방(山豆根洗方)《經驗方》
조성 ≒ 山豆根(산두근)30, 桑白皮(상백피) 蔓荊子(만형자) 五倍子(오배자) 各15, 厚朴(후
박)12.- 加水 1500 毫升, 濃煎取汁 濾過備用. 浸泡患處, 3~5日 1 次,每次15~30
分鍾, 12 小時后 再用濕熱水冲洗之.
효용 : 淸熱散風(청열산풍) 祛濕止痒(거습지양)
주치 : 脂溢性脫髮(지일성탈발), 石棉狀(석면상) 糠疹(강진) 等.
산두근유제(山豆根油劑)《經驗方》
조성 ≒ 山豆根(산두근)15, 樟腦油(장뇌유)5毫升, 橄欖油(감람유, 或菜油)100毫升. 將山
豆根 放入油中, 小火熬 至葯枯后 濾過去渣, 再兌入樟腦油, 混勻備用. 外涂, 日
1~2 次.
효용 : 潤膚滌痂(윤부척가) 解毒止痒(해독지양)
주치 : 石棉狀(석면상) 糠疹(강진) 等.
산어화상탕(散瘀和傷湯)《醫宗金鑑》골상제(骨傷劑)
조성 ≒ 마전자(馬前子), 골쇄보(骨碎補), 대총수(大葱須), 홍화(紅花), 반하(半夏), 감초
(甘草), 초(醋). 칠미약(七味葯).
- 수전(水煎) 비후(沸后) 입초재전(入醋再煎) 5~10分 훈세환처(熏洗患處) 매일
(每日) 삼사차(三四次), 매차(每次) 훈세후(熏洗后) 장약전비가재용(將葯煎沸
可再用).
주치 : 연조직손상(軟組織損傷) 어종동통(瘀腫疼痛) 급(及) 골절관절탈위후(骨折關節脫
位后) 근락구련동통(筋絡拘攣疼痛).
산류장방(酸榴漿方)《普濟方》
조성 ≒ 酸石榴(산석류).
산정수자환(山精壽子丸)《胎産心法》
조성 ≒ 山葯(산약)72, 黃精(황정, 杵膏待用)156, 黑棗(흑조, 杵膏待用)225, 懷牛膝(회우
슬, 或用石斛, 但用倍)45, 何首烏(하수오, 黑豆湯浸軟, 木棒打碎 置瓦器中 加入黑
豆湯 蒸 1 小時 晒乾; 又拌蒸 如此 9 次)75, 炒杜仲(초두중)60, 川斷(천단, 酒
潤)60, 熟地(숙지)120, 覆盆子(복분자, 酒拌焙乾)105, 炒沙苑蒺藜(초사원질
려)75, 巴戟天(파극천, 酒浸 晒乾) 肉蓗蓉(육종용, 酒洗)60, 遠志肉(원지육, 甘草
湯浸 拌 炒) 菟絲子(토사자, 蒸 杵爛爲餠 晒乾) 茯苓(복령)60, 山茱肉(산수육, 酒
浸 杵爛 晒乾)60, 五味子(오미자)60, 枸杞子(구기자)150.
上葯除 黃精 黑棗二膏 余爲細末 徐徐入于膏內 杵和極勻 煉蜜爲丸 如小豆大.
每服 9~12, 空腹時 用淡塩湯 煮沸后 送下, 久服愈好.
【宜忌】孕婦忌用 牛膝, 以石斛 90克 代之.
효용 : 보신전정(補腎塡精)
주치 : 진양부족(眞陽不足) 장년지남(壯年之男) 종옥무성(種玉无成); 유년지부(幼年之
婦) 종불수잉(從不受孕); 혹수태이중회타락(或受胎而中懷墮落) 혹득정산(或得正
産) 이우생여비남(而又生女非男) 혹생이불육(或生而不育) 혹육이상(或育而殤)
즉구연성명(卽苟延性命) 난면다질병자(難免多疾病者).
加减 - 비허이설사자(脾虛易泄瀉者) : 多用 산약(山葯).
음허자(陰虛者) : 可用 숙지(熟地) 180克
양위(陽萎) : 多用 복분자(覆盆子).
간허활정(肝虛滑精) : 多用 사원질려(沙苑蒺藜).
상화부족자(相火不足者) : 多用 파극천(巴戟天).
간기울결자(肝氣鬱結者) : 少用 파극천(巴戟天).
간기울결(肝氣鬱結) 폐유열자(肺有熱者) : 少用 오미자(五味子).
산정탕(散精湯)《惠怡堂經驗方》卷二
조성 ≒ 劉寄奴(유기노)30, 車前子(차전자)15, 黃柏(황백)15, 白朮(백출)30.- 水煎服
효용 : 청열이수(淸熱利水), 산어통규(散瘀通竅).
주치 : 행방시(行方時) 인정불설(忍精不泄), 어조수도(瘀阻水道) 치성백탁(致成白濁) 배
뇨불창(排尿不暢) 뇨도자통(尿道刺痛) 혹대변리급후중(或大便里急后重).
산조인탕(酸棗仁湯)《金匱要略》안신제(安神劑)
조성 ≒ 초조인(炒棗仁), 지모(知母), 천궁(川芎), 복령(茯苓), 감초(甘草).
효능 : 보혈양간(補血養肝), 영심안신(寧心安神).
주치 : 1) 허로실면(虛勞失眠).- 마음이 공허하면서 번조하고 잠을 이루지 못하며(虛煩不
得眠), 자각적으로 심장의 박동을 두근두근 느끼며 불안
하고 밤마다 잠이 들면 땀을 흘리고(心悸盜汗), 머리가 빙빙돌고 눈이 캄캄하
고 앗찔하며(頭目眩暈), 입과 목구멍이 건조하며(咽乾口燥), 맥은 길며 가야금
줄을 누르는 것같은 현맥(弦脈)이거나 혹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 번 호
흡하는 사이에 5 번이강 뛰는 세삭맥(細數脈) 등 증상을 다스린다.
2) 불매(不寐). - ⑴ 심간혈허증(心肝血虛證).
⑵ 담기허증(膽氣虛證).
⑶ 심담불영증(心膽不寧證)
유열담자(有熱痰者) 合用 : 온담탕(溫膽湯)《千金要方》加减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1) 《蘭室秘藏》옹양제(癰瘍劑)
조성 ≒ 당귀미(當歸尾), 백작약(白芍葯), 승마(升麻), 시호(柴胡), 황금(黃芩), 자감초
(炙甘草), 황연(黃連), 갈근(葛根), 연교(連翹), 길경(桔梗), 곤포(昆布), 천화분
(天花粉), 용담초(龍膽草), 지모(知母), 황백(黃柏), 삼능(三棱), 광무(廣茂), 봉
아출(蓬莪朮).
주치 : 마도창(馬刀瘡), 라력(瘰癧).- 종괴(腫塊) 결경여석(結硬如石) 종이하(從耳下) 연
급결분(延及缺盆), 혹 저견하(抵肩下) 혹 연협하(連脇下) 혹 궤파류농수(潰破
流膿水).
2) 《薜氏醫案》옹양제(癰瘍劑)
조성 ≒ 역유상방(亦有上方) 无 광무(廣茂), 有 목향(木香).- 수전복(水煎服)
치법 : 청간경습열(淸肝經濕熱) 활혈연견(活血軟堅)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