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43 瀉腦湯 - 沙參湯

Aktualisiert: 1. Sept. 2020


醫方集成

사뇌탕(瀉腦湯)《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 사삼탕(沙參湯)《辨證彔》卷九



사뇌탕(瀉腦湯)《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현삼(玄參), 대황(大黃), 원명분(元明粉), 방풍(防風), 충위자(茺尉子), 복령(茯苓),

황금(黃芩), 차전자(車前子), 목통(木通), 길경(桔梗).

주치 : 진정파손(眞睛破損) 열치부실(熱熾腑實) 간담화성(肝膽火盛).- 진정파손(眞睛破

損) 창구부종(瘡口浮腫) 백정홍적(白睛紅赤) 안구종창(眼球腫脹) 혹(或) 황액상충

(黃液上冲) 시력급강(視力急降) 대변비결(大便秘結) 번조이노(煩躁易怒) 설홍태

황(舌紅苔黃) 맥현삭유력(脈弦數有力).

사령산(四苓散)《丹溪心法》《明醫指掌》거습제(祛濕劑)

조성 ≒ 오령산(五苓散) 감(减) 계지(桂枝).= 복령(茯苓), 택사(澤瀉), 저령(猪苓), 백출(白

朮).

효용 : 이수삼습(利水滲濕)

주치 : 1) 내상음식(內傷飮食) 소변적소(小便赤少) 대변당사(大便溏瀉).

2) 창양(瘡瘍) 습사내온(濕邪內蘊), 소변불이(小便不利).

사림환(砂淋丸)《衷中參西彔》거습제(祛濕劑)

조성 ≒ 황기(黃芪), 백작(白芍), 내금(內金), 지모(知母), 봉사(蓬砂), 박초(朴硝), 초석(硝

石).

주치 : 사림(砂淋) 석림(石淋).- 소변삽통(小便澁痛) 시협사석(時挾砂石) 맥현삭(脈弦數).

사마음(四磨飮)《濟生方》리기제(理氣劑)

조성 ≒ 침향(沉香), 빈낭(檳榔), 인삼(人蔘), 오약(烏葯).

주치 : 칠정기역(七情氣逆).- 상기천급(上氣喘急) 흉격불쾌(胸膈不快) 번민불식(煩悶不

食).

사묘용안탕(四妙勇安湯)《驗方新編》옹양제(癰瘍劑)

조성 ≒ 현삼(玄參), 감초(甘草), 당귀(當歸), 은화(銀花).

효용 : 화영지통(和營止痛)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 : 1) 열독내온(熱毒內蘊)적 탈저(脫疽).- 환부암홍(患部黯紅) 미열미종(微熱微腫) 통

심(痛甚) 설홍(舌紅) 맥삭(脈數).

2) 열독형(熱毒型) 혈전성폐색성맥관염(血栓性閉塞性脈管炎).

사묘탕(四妙湯)(散)《外科精要》

조성 ≒ 黃芪(황기), 當歸(당귀), 銀花(은화), 甘草(감초).

사묘환(四妙丸)《成方便讀》거습제(祛濕劑)

조성 ≒ 이묘환(二妙丸, 창출(蒼朮), 황백(黃柏), 우슬(牛膝)) 가(加) 이미(苡米).

주치 : 습열하주(濕熱下注) 양족마목(兩足麻木) 하지위연(下肢痿軟) 근골동통(筋骨疼

痛).

사묘환(四妙丸)《丹台玉案》卷五

조성 ≒ 炒韭菜子(초구채자), 菟絲子(토사자) 各120, 煅牡蠣(단모려, 人乳淬), 煅龍骨(단

용골) 各60.- 上爲末 荷葉煎湯爲丸, 每服 9 克, 空腹時鹽湯送下.

효용 : 固澁腎氣(고삽신기)

주치 : 精關不固(정관불고) 陰精失控(음정실공) 才交卽泄(재교즉설).

사물마계탕(四物麻桂湯)《中醫外科心得》

조성 ≒ 生麻黃(생마황), 桂枝(계지), 當歸(당귀), 白芍(백작), 大生地(대생지), 北沙蔘(북

사삼).

사물마인환(四物麻仁丸)《症因脈治》

조성 ≒ 생지황(生地黃), 당귀(當歸), 백작(白芍), 천궁(川芎), 마인(麻仁), 하수오(何首 烏).

효능 : 양혈생진윤장(養血生津潤腸).

주치 : 산후변비(産后便秘) - 대장진휴증(大腸津虧證)

사물소풍산(四物消風散)《廣州方》

조성 ≒ 當歸(당귀), 川芎(천궁), 防風(방풍), 荊芥(형개), 赤芍(적작), 生地(생지), 白鮮皮

(백선피), 生薏仁(생의인).

사물소풍음(四物消風飮)《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생지황(生地黃), 당귀(當歸), 적작(赤芍), 천궁(川芎), 형개(荊芥), 방풍(防風), 백선

피(白鮮皮), 선퇴(蟬退), 독활(獨活), 시호(柴胡), 대조(大棗).

효용 : 양혈거풍(養血祛風)

주치 : 1) 은진(癮疹) 혈허풍조(血虛風燥).- 피부(皮膚) 돌연출현(突然出現) 풍단(風團),

소여지마(小如芝麻) 대여두판(大如豆瓣) 색선홍(色鮮紅) 기양(奇痒) 자각초열

(自覺炒熱) 반복발작(反復發作) 노루후(勞累后) 발작가극(發作加劇), 신피핍력

(神疲乏力) 면백(面白) 맥세(脈細).

2) 은진(癮疹) 우피선(牛皮癬) 等 혈허풍조자(血虛風燥者).

사물소풍음(四物消風飮)《外科證治》구치제(口齒劑)

조성 ≒ 사물탕(四物湯, 생지(生地), 당귀신(當歸身), 적작(赤芍), 천궁(川芎)) 가(加) 형개

(荊芥), 박하(薄荷), 선태(蟬蛻), 시호(柴胡), 황금(黃芩), 감초(甘草).

주치 : 비경혈조(脾經血燥)지 순풍(唇風).- 순부발양(唇部發痒) 색홍종창(色紅腫脹) 일구

파열류수(日久破裂流水) 통여화료(痛如火燎) 유여무피지상(猶如无皮之狀) 구강

각열(口腔覺熱) 구첨점탁(口甛粘濁) 설건무진(舌乾无津) 소변황적단삽(小便黃赤

短澁) 맥삭이실(脈數而實).

사물오자환(四物五子丸)《審視瑤函》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白芍), 숙지황(熟地黃), 구기자(枸杞子), 복분자(覆

盆子), 지부자(地膚子), 토사자(菟絲子), 차전자(車前子).

사물윤부탕(四物潤膚湯)《經驗方》

조성 ≒ 當歸(당귀), 胡麻(호마), 秦艽(진구) 各9, 白芍(백작), 生地(생지), 何首烏(하수오),

石斛(석곡), 鉤藤(구등), 玉竹(옥죽), 山葯(산약) 各12, 沙蔘(사삼)30, 刺蒺藜(자질

려)18.

사물지통탕(四物止痛湯)《中醫傷科學》골상제(骨傷劑)

조성 ≒ 사물탕(四物湯, 숙지(熟地),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白芍)) 가(加) 유향(乳

香), 몰약(沒葯). 육미약(六味葯)

주치 : 어혈동통(瘀血疼痛).- 통유정처(痛有定處) 자통거안(刺痛拒按) 국부(局部)어혈종

괴(瘀血腫塊) 설질자암(舌質紫暗) 맥세삽(脈細澁) 위변증의거(爲辨證依据).

사물탕(四物湯)《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당귀(當歸)10, 백작(白芍)12, 천궁(川芎)8, 숙지황(熟地黃)12.

효용 : 보혈조혈(補血調血)

주치 : 1) 일절(一切) 영혈허체(營血虛滯).- 순갑무화(唇甲无華), 설담(舌淡), 맥은 가늘고

똑똑한 세맥(細脈)을 다스린다.

2) 충임허손(冲任虛損).- 월경량소(月經量少), 혹은 폐경(閉經), 배와 배꼽이 아프

고(臍腹作痛) 설질담(舌質淡), 맥은 가늘고 똑똑하며 마치 가야금줄을 누르는

듯이 팽팽하며 낮은 현세맥(弦細脈)을 다스린다.

3) 유루증(流泪症) 해정(蟹睛) 숙예(宿翳) 목양(目痒)

☞ ① 성유탕(聖愈湯)《蘭室秘藏》,

② 옥촉산(玉燭散)《醫宗金鑑》

4) 경계(驚悸) - 심간혈허증(心肝血虛證)

合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世醫得效方》

5) 경계정충(驚悸怔忡) - 심비양허증(心脾兩虛證) 合 天王補心丹《世醫得效方》

6) 東醫寶鑑(동의보감) - 血病(혈병)의 通治藥(통치약)이다.

綱目(강목) -

一方(일방)에 봄에는 川芎(천궁)을, 여름에는 芍藥(작약)을, 가을에는 地黃(지황)

을, 겨울에는 當歸(당귀)를 각각 倍用(배용)한다. 또 봄에는 防風(방풍)을, 여름에

는 黃芩(황금)을 가을에는 天門冬(천문동)을, 겨울에는 桂枝(계지)를 각각 加(가)

한다.

丹心(단심) - 當歸(당귀)는 血(혈)을 和(화)하게 하여 經脈(경맥)에 돌아가고, 芍葯

(작약)은 凉血(량혈), 補腎(보신)하고, 生地黃(생지황)은 生血(생혈), 寧心(영심)하

고, 熟地黃(숙지황)은 補血(보혈), 强腎(강신)하고, 川芎(천궁)은 行血(행혈), 通肝

(통간)한다.

劉宗厚(유종후) - 血葯(혈약)은 四物(사물)을 祖宗(조종)으로 삼지 않을 수 없는 法

(법)이다. 川芎(천궁)은 血葯中(혈약중)의 氣藥(기약)이니 肝經

(간경)을 通(통)하며 性味(성미)가 辛散(신산)하여 피가 氣(기)에 滯(체)한 것을 運

行(운행)하고 地黃(지황)은 血葯中(혈약중)에 血葯(혈약)이니 腎經(신경)을 通(통)

하며 性味(성미)가 甘寒(감한)하여 眞陰(진음)의 虛(허)한 症(증)을 生(생)하게 하

고 當歸(당귀)를 三治(삼치)로 分(분)하는 것은 血葯中(혈약중)에 主葯(주약)이니

肝經(간경)을 通(통)하며 性味(성미)가 辛溫(신온)하여 血(혈)을 生化(생화)해서 각

각 그 經(경)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芍藥(작약)은 陰分(음분)의 治葯

(치약)이니 脾經(비경)을 通(통)하며 性味(성미)가 酸寒(산한)하여 凉血(량혈)을 시

키고 또 血虛腹痛(혈허복통)을 다스리니 그러므로 陰葯(음약)을 쓰려면 반드시

四物(사물)에 법칙을 두어야 한다. 라고 하였다.

사물합이진탕(四物合二陳湯)《陳素庵婦科補解》

조성 ≒ 當歸(당귀), 赤芍(적작), 川芎(천궁), 生地(생지), 陣皮(진피), 半夏(반하), 茯苓(복

령), 海藻(해조), 紅花(홍화), 香附(향부), 丹皮(단피), 甘草(감초).

사미향유음(四味香薷飮)《醫方集解》거서제(祛暑劑) ☞ 향유음(香薷飮).

사미회양음(四味回陽飮)《景岳全書》온리제(溫里劑)

조성 ≒ 사역탕(四逆湯) 가(加) 인삼(人蔘) : 인삼(人蔘) 부자(附子) 포강(炮姜) 감초(甘草).

효용 : 익기고탈(益氣固脫).

주치 : 궐역(厥逆)

1) 눈이 캄캄하고 정신을 잃고 누우며(眩暈昏臥), 면색창백(面色蒼白)하고, 호흡

(呼吸)이 미약(微弱)하며, 땀을 흘리고 사지가차며(汗出肢冷), 맥침미(脈沈微)

한 자(者)를 다스린다.

2) 심폐기허증(心肺氣虛證).

사백산(瀉白散)《小兒葯證直訣》청열제(淸熱劑)

조성 ≒ 상백피(桑白皮), 지골피(地骨皮), 갱미(粳米), 감초(甘草).

효용 : 청설폐열(淸泄肺熱), 양혈지혈(凉血止血).

주치 : 1) 폐열해수(肺熱咳嗽).- 열(熱)이 해질무렵(申時, 오후 3~5시)에 심하고(發熱日

晡尤甚), 혀는 붉고 태는 누렇고(舌紅苔黃), 맥은 가늘고 빠르다(脈細數).

2) 비뉵혈(鼻衄血) - 풍열습폐증(風熱襲肺證).

3) 각혈(咯血). -

⑴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

⑵ 간화범폐증(肝火犯肺證)

4) 화감(火疳).

사비제열음(瀉脾除熱飮)《銀海精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망초(芒硝), 대황(大黃), 황금(黃芩), 황연(黃連), 황기(黃芪), 방풍(防風), 충위자

(茺尉子), 길경(桔梗), 차전자(車前子). 구미약조성(九味葯組成)

효용 : 사열통부(瀉熱通腑)

주치 : 비위실열(脾胃實熱)의 노육반정(胬肉攀睛).

노육두첨고기(胬肉頭尖高起) 체후이대(體厚而大) 적어여육(赤瘀如肉) 생장신속

(生長迅速) 치다점결(眵多粘結) 구갈욕음(口渴欲飮) 변비뇨적(便秘尿赤) 설홍태

황(舌紅苔黃) 맥홍삭(脈洪數).

군살(胬肉)의 머리가 뾰족하게 높이 일어나는데(頭尖高起), 몸은 두텁고 크며(體

厚而大) 빨간 어혈이 마치 살과 같고(赤瘀如肉) 생장이 신속하며(生長迅速), 가렵

고 껄끄러우며 불편하다(痒澁不舒), 끈끈하게 뭉쳐진 눈곱이 많고(眵多粘結), 목

이 말라 물을 마시려하며(口渴欲飮), 오줌색은 붉고 변비가 있으며(便秘尿赤), 혀

는 붉고 태는 누렇다(舌紅苔黃) 맥은 파도처럼 큰데 오는 맥에 비해 가는 맥이 작

으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洪數).

사비탕(瀉脾湯)《眼科纂要》

조성 ≒ 황백(黃柏), 대황(大黃), 창출(蒼朮), 망초(芒硝), 지모(知母), 지골피(地骨皮), 상백

피(桑白皮), 길경(桔梗), 감초(甘草).

사삼맥동탕(沙蔘麥冬湯)《溫病條辨》치조제(治燥劑)

조성 ≒ 사삼(沙蔘), 맥동(麥冬), 옥죽(玉竹), 천화분(天花粉), 백편두(白萹豆), 상엽(桑葉),

감초(甘草).

효용 : 익기양음(益氣養陰), 생진렴액(生津斂液),

청열생진(淸熱生津), 양혈지혈(凉血止血).

생진익위(生津益胃), 청투사열(淸透邪熱).

주치 : 1) 肺胃陰分證(폐위음분증)

⑴ 조상폐위음분(燥傷肺胃陰分) - 인건구갈(咽乾口渴) 혹발열(發熱), 혹건해소

담(乾咳少痰).

⑵ 풍온사류음분증(風溫邪留陰分證)

輕者 : 溫熱(온열)의 邪氣(사기)가 肺(폐)를 엄습한(溫邪襲肺), 余邪(여사)가

肺胃(폐위)의 陰(음)을 耗傷(모상)하다.

症見 : 몸에 열이 아직 깨끗이 물러나지 못하고(身熱未凈), 마른기침을하며

간혹 끈끈한 가래가 있고(干咳或稍有粘痰), 입과 혀가 건조하며 갈증

이 있다(口舌干燥而渴).

2) 위통(胃痛), 위완통(胃脘痛) - 위음허증(胃陰虛證)

3) 비혈(鼻血) -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

사삼청폐탕(沙蔘淸肺湯)《中醫內科學》옹양제(癰瘍劑)

조성 ≒ 북사삼(北沙蔘), 길경(桔梗), 생황기(生黃芪), 생감초(生甘草), 태자삼(太子參), 이

미(苡米), 동과자(冬瓜子), 백급(白芨), 합환피(合歡皮).- 구미조성(九味組成)

주치 : 회복기(恢復期) 폐옹(肺癰).- 신열점퇴(身熱漸退) 해수감경(咳嗽减輕) 각토농혈점

소(咯吐膿血漸消) 성취미역감(腥臭味亦减) 담액청희(痰液淸稀) 정신점진(精神漸

振) 식납호전(食納好轉) 도한(盜汗) 오후조열(午后潮熱) 심번(心煩) 구조인건(口

燥咽乾) 설홍이건(舌紅而乾) 맥세삭무력(脈細數无力).

사삼탕(沙參湯)《辨證彔》卷九

조성 ≒ 茯苓(복령), 白朮(백출), 沙蔘(사삼) 各30, 甘草(감초)3, 丹皮(단피)15, 肉桂(육

계)0.6.- 수전복(水煎服)

효옹 : 청열이습(淸熱利濕)

주치 : 감수습열(感受濕熱) 열기입우신경(熱氣入于腎經), 고환작통(睾丸作痛), 우동방즉

발(遇同房卽發, 熱痛 不可甚.

6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