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비해음(萆薢飮)《醫學心悟》 - 사군자탕(四君子湯)《和劑局方》
보익제(補益劑)
비해음(萆薢飮)《醫學心悟》
조성 ≒ 비해(萆薢), 문합(文蛤), 석위(石葦), 차전자(車前子), 복령(茯苓), 등심(燈芯), 연자
심(蓮子心), 석창포(石菖蒲), 황백(黃柏).
효능 : 청리습열(淸利濕熱), 분청필탁(分淸泌濁).
주치 : 고림(膏淋) - 방광습열증(膀胱濕熱證).
비해화독탕(萆薢化毒湯)《瘍科心得集》옹양제(癰瘍劑)
조성 ≒ 비해(萆薢), 이인(苡仁), 진교(秦艽), 우슬(牛膝), 방기(防己), 번목과(番木瓜), 당귀
미(當歸尾), 모단피(牡丹皮).- 水煎服
효용 : 청열이습(淸熱利濕)
주치 : 습열소치(濕熱所致)의 창양(瘡瘍).- 신체하부(身体下部) 창양(瘡瘍), 홍종산통(紅
腫酸痛) 궤후칙농수임리(潰后則膿水淋漓) 겸견(兼見) 흉민구오(胸悶嘔惡) 신중핍
력(身重乏力) 납식불가(納食不佳) 설태후니(舌苔厚膩).
비화탕(備化湯)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木瓜(목과), 茯神(복신) 各一錢半(각일전반), 牛膝(우슬), 炮附子(포부자) 各一錢
二分半(각일전이분반), 熟地黃(숙지황), 覆盆子(복분자) 各一錢(각일전), 甘草(감
초) 七分(칠분)을 剉(좌)하여 生薑(생강) 五片(오편)을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六十歲運氣(육십세운기)의 主客(주객)과 民病(민병) 編(편) - 丑未(축미)의 歲(세)
경우 참조.
빙붕산(冰硼酸)《外科正宗》인후제(咽喉劑)
조성 ≒ 현명분(玄明粉), 붕사(硼砂, 月石), 빙편(冰片), 주사(朱砂).
주치 : 풍열유아(風熱乳蛾) 후옹(喉癰) 음허후선(陰虛喉癬) 급후풍(急喉風) 아통(牙痛)
아선(牙宣) 비양후(飛揚喉) 구미(口糜) 골조풍(骨槽風).
빙붕산(冰硼酸)《驗方》
조성 ≒ 煅硼砂(단붕사), 冰片(빙편).
빙사산(冰麝散)《中醫耳鼻喉科學》인후제(咽喉劑)
조성 ≒ 빙편(冰片), 사향(麝香), 황연(黃連), 황백(黃柏), 현명분(玄明粉), 붕사(硼砂), 녹각
상(鹿角霜), 명반(明礬), 감초(甘草). 선장(先將), 황연(黃連), 황백(黃柏), 감초(甘
草), 삼미(三味) 연세(硏細), 재가입(再加入) 기여각약(其余各葯) 공연극세말(共
硏極細末) 취우환처(吹于患處).
주치 : 후옹(喉癰).
빙사산(冰獅散)《醫宗金鑑》《瘍醫大全》
조성 ≒ 硇砂(뇨사)0.6, 大田螺(대전라, 去殼, 線穿晒乾)5枚, 冰片(빙편)0.3, 白砒(백비, 麵
裹煨熟, 去麵用砒)3.6. 將螺肉切片(라육절편) 用白砒硏末(백비연말) 再加(재가)
硇砂(뇨사) 共硏細(공연세) 以稠米湯(조미탕) 糊搓成捻子(호차성념자) 瓷甁收貯
(자병수저). - 用時 將葯捻揷入針孔 其核自落.
효옹 : 腐蝕解毒(부식해독).
빙석산(冰石散)《經驗方》
조성 ≒ 煅石膏(단석고)30, 梅片(매편)0.6. 分別乳細 越細越好, 兌入溻勻 甁貯, 勿泄氣. -
直接摻在瘡口上, 外盖相應軟膏, 1~2 日換 1 次. 효용 : 收水生肌(수수생기)
주치 : 淺表潰瘍(천표궤양) 而未收口(이미수구).
빙옥산(冰玉散)《景岳全書》
조성 ≒ 生石膏(생석고), 月石(월석), 冰片(빙편), 僵蚕(강잠).
빙유산(冰硫散)《外科正宗》
조성 ≒ 硫黃(유황), 樟腦(장뇌), 川椒(천초), 生礬(생반).
빙황산(冰黃散)《咽喉經驗秘傳》
조성 ≒ 冰片(빙편), 黃柏(황백), 蒲黃(포황), 人中白(인중백), 甘草(감초), 靑黛(청대), 朴硝
(박초), 硼砂(붕사), 黃連(황연), 薄荷(박하), 枯礬(고반).
ㅅ
사간마황탕(射干麻黃湯)《金匱要略) : 해표제(解表劑)
조성 ≒ 사간(射干), 마황(麻黃), 생강(生姜), 세신(細辛), 자원(紫菀), 관동화(款冬花), 오미
자(五味子), 반하(半夏), 대조(大棗).
효용 : 온폐산한(溫肺散寒), 활담이규(豁痰利竅).
주치 : 1) 수한사폐(水寒射肺)적인 해천(咳喘), 담음천이상기(痰飮喘而上氣) 후중담명
(喉中痰鳴)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2) 효증(哮證) -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
3) 효천(哮喘) - 발작기(發作期) 先用 : 폐비신양허증(肺脾腎陽虛證).
사간산(瀉肝散)《銀海精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현삼(玄參), 대황(大黃), 황금(黃芩), 지모(知母), 길경(桔梗), 차전자(車前子), 강활
(羌活), 용담초(龍膽草), 당귀(當歸), 망초(芒硝). 십미약(十味葯)
주치 : 열치부실(熱熾腑實)지 화예백함(花翳白陷).- 흑정사주(黑睛四周) 백예만생(白翳
蔓生) 신속(迅速) 확전관련(擴展串聯) 만엄동신(漫掩瞳神) 혹(或) 예후색황(翳厚
色黃) 중간저함(中間低陷) 동신긴소(瞳神緊小) 황액상충(黃液上冲) 백정혼적(白
睛混赤) 포검홍종(胞瞼紅腫) 루열치다(泪熱眵多) 두목극통(頭目劇痛) 발열구갈
(發熱口渴) 수황변비(溲黃便秘) 설홍태황후(舌紅苔黃厚) 맥삭이유력(脈數而有
力).
사간염수(射干鹽水)《中醫外科學》
조성 ≒ 射干(사간), 水(수).
사간탕(瀉肝湯)《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지모(知母), 망초(芒硝, 玄明粉), 대황(大黃), 흑원삼(黑元參), 충위자(茺尉子), 차
전자(車前子), 지골피(地骨皮).
주치 : 해정(蟹睛) 간담화치(肝膽火熾).- 풍륜철기흑주(風輪凸起黑珠) 상여해정(狀如蟹
睛) 긴장여구(緊張如球) 적통유루(赤痛流泪) 수명난정(羞明難睜) 구고인건(口苦
咽乾) 설태황(舌苔黃) 맥현삭(脈弦數).
사곡육군자탕(楂曲六君子湯)《醫碥》
조성 ≒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진피(陣皮), 반하(半夏), 산사(山
楂), 신곡(神曲), 맥아(麥芽).
사군자산(使君子散)《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사군자(使君子), 고련자(苦楝子), 백충이(白茺荑), 감초(甘草, 담즙침포(膽汁浸泡)
일숙(一宿)). 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회충(蛔虫).- 식욕부진(食欲不振) 일견소수(日見消瘦) 시유(時有) 요제복통(繞臍
腹痛), 대변불조(大便不調) 중자(重者) 면색위황(面色萎黃) 형체수약
(形體瘦弱) 복통시작시지(腹痛時作時止) 시토청연(時吐淸涎) 혹(或) 오심구토(惡
心嘔吐) 혹(或) 토회충(吐蛔虫), 수면불안(睡眠不安) 희식이물(喜食異物).
사군자탕(四君子湯)《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10, 백출(白朮)9, 복령(茯苓)9, 감초(炙甘草)6.
효용 : 익기건비(益氣健脾)
주치 : 1) 비위기허(脾胃氣虛), 소화력 부족(運化乏力).- 얼굴색이 허였케 떠있고(面色萎
白), 식사량이 감소되고(飮食減少), 사지무력(四肢无力)하며, 설담태백(舌淡苔
白)하고, 맥은 촌관척(寸關尺) 3 부맥이 모두 무력하고 연하다(脈虛軟无力)
2) 설사(泄瀉) - 비기허증(脾氣虛證)
3) 허로(虛勞) - 위기허증(胃氣虛證)
4) 침안(針眼) 태환내장(胎患內障)
5) 眞氣(진기)의 虛弱(허약)과 氣短(기단), 氣少(기소)를 다스린다.
《東醫寶鑑》- 人蔘(인삼)은 脾(비)와 肺(폐)를 돕고, 白朮(백출)은 脾(비)를 건장케 하
고 燥(조)를 다스리며, 茯苓(복령)은 氣(기)를 내리고, 濕(습)을 다스리
며, 甘草(감초)는 胃(위)를 補(보)하여 溫和(온화)하게 하니 比喩(비유)하면 寬厚(관
후)하고 和平(화평)한 君子(군자)가 奸險(간험)하고 亂暴(난폭)한 행동을 하지 않
는 것과 같다.(方氏(방씨)
人蔘(인삼)은 元氣(원기)를 補(보)하고, 白朮(백출)은 脾胃(비위)를 健壯(건장)하게
하며 茯苓(복령)은 濕(습)을 다스리고 人蔘(인삼)을 끌어서 下焦(하초)의 元氣(원
기)를 보한다. (入門(입문)
① 이공산(異功散)《小兒葯證直訣》
조성 ≒ 사군자탕(四君子湯) 가(加) 진피(陣皮)9.
효용 : 건비(健脾) 익기(益氣) 화위(和胃)
주치 : 비위허약(脾胃虛弱)으로 식욕부진(食欲不振) 혹은 흉완비민(胸脘痞
悶)에 편안하지 않거나 구토설사(嘔吐泄瀉) 등을 다스린다.
☞ 포민증(飽悶症) : 배가 부르고 답답한 증을 다스린다.
② 육군자탕(六君子湯)《醫學正傳》
조성 ≒ 이공산(異功散) 가(加) 반하(半夏)12.
효용 : 건비지구(健脾止嘔)
주치 : 비위기허(脾胃氣虛)에 담습(痰濕)이 겸유(兼有)됨으로써 음식(飮食)
생각이 없고 오심구토(惡心嘔吐) 흉완비민(胸脘痞悶) 대변불실(大便
不實) 또는 해수담다(咳嗽痰多) 질희백(質稀白) 증 증을 다스린다.
③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張氏醫通》《醫方集解》
조성 ≒ 육군자탕(六君子湯) 가(加) 사인(砂仁)6, 향부자(香附子, 或木香)6.
효용 : 건비화위(健脾和胃) 리기지통(理氣止痛)
주치 : 비위기허(脾胃氣虛)와 한습(寒濕)이 중초(中焦)에 정체(停滯)됨으로
나타나는 납매(納呆), 애기(噯氣 트림), 완복창만(脘腹脹滿), 혹은 동
통(疼痛) 구토설사(嘔吐泄瀉) 등 을 다스린다.
☞ 납매(納呆) : 위(胃)의 수납기능(受納機能)의 정체(停滯), 즉 소화불량
(消化不良) 식욕부진(食欲不振)을 말하며 위매(胃呆)라
고도 한다.
④ 사수음(四獸飮)《三因方》
조성 ≒ 육군자탕(六君子湯) 가(加) 오매(烏梅) 초과(草果)
주치 : 비허구학(脾虛久虐)
⑤ 칠미백출산(七味白朮散)《六科准繩》
조성 ≒ 사군자탕(四君子湯) 가(加) 갈근(葛根), 곽향(藿香), 목향(木香). 인삼
(人蔘)7, 복령(茯苓)15, 백출(白朮)15, 갈근(葛根)15~30, 감초(甘草)
3, 곽향엽(藿香葉)15, 목향(木香)6.
효용 : 건비지사(健脾止瀉)
주치 : 비위구허(脾胃久虛), 구토설사(嘔吐泄瀉)가 자주 일어나며 멈추지 않
는것 등을 다스린다.
⑥ 육신산(六神散) 또는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奇效良方》
조성 ≒ 사군자탕(四君子湯) 가(加) 황기(黃芪), 편두(扁豆).
주치 : 비위허약(脾胃虛弱) 진기부족(津氣不足) 음식감소(飮食減少) 허핍신
열(虛乏身熱).
⑦ 팔진탕(八珍湯)《正體類要》
조성 ≒ 사군자탕(四君子湯) 합(合) 사물탕(四物湯) 인삼(人蔘)3, 백출(白朮)
10, 복령(茯苓)8, 감초(炙甘草)5, 당귀(當歸)10, 천궁(川芎)5, 백작(白
芍)8, 숙지황(熟地黃)15.
효용 : 보익기혈(補益氣血)
주치 : 기혈양허(氣血兩虛)로 인한 면색창백(面色蒼白) 혹은 위황(萎黃) 두
운안화(頭暈眼花) 사지권태(四肢倦怠) 기단나언(氣短懶言) 심계정충
(心悸怔冲) 식욕감퇴(食欲減退) 설질담(舌質淡) 태박백(苔薄白) 맥세
허(脈細虛) 역치(亦治) 실혈과다(失血過多)
⑧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醫學發明》
조성 ≒ 팔진탕(八珍湯) 가(加) 황기(黃芪)15, 육계(肉桂)8.
효용 : 기혈온보(氣血溫補)
주치 : 기혈부족(氣血不足) 허로해수(虛勞咳嗽) 식소유정(食少遺精) 각슬무
력(脚膝无力), 창양(瘡瘍)이 아물지 않고, 부녀붕루(婦女崩漏) 등을 다
스린다.
⑨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和劑局方》
조성 ≒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가(加) 부자(附子), 반하(半夏), 맥동(麥冬),
육종용(肉蓗蓉).
주치 : 음증발반(陰證發斑)
⑩ 인삼양영탕(人蔘養營湯)《和劑局方》
조성 ≒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감거(減去) 천궁(川芎) 가(加) 오미자(五味
子), 원지(遠志), 진피(陣皮).
백작(白芍)90, 당귀(當歸), 진피(陣皮), 황기(黃芪), 계심(桂心), 인삼
(人蔘), 백출(白朮), 자감초(炙甘草) 각30, 숙지황(熟地黃), 오미자(五
味子), 복령(茯苓) 각20, 원지(遠志)15.
효용 : 익기보혈(益氣補血) 양심안신(養心安神)
주치 : 노적허손(勞積虛損) 호흡소기(呼吸少氣) 행동천식(行動喘息) 심허경
계(心虛驚悸) 인건순조(咽乾唇燥) 등을 다스린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