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41 扶血丸 - 萆薢滲濕湯

Aktualisiert: 28. Aug. 2019


醫方集成

부혈환(扶血丸)《普濟方》 - 비해삼습탕(萆薢滲濕湯)《瘍科心得集》

거습제(祛濕劑)


부혈환(扶血丸)《普濟方》

조성 ≒ 紫石英(자석영), 海螵蛸(해표소) 各20, 熟艾(숙애, 醋炙)40, 卷柏(권백)40, 覆盆子

(복분자)160, 炒阿膠(초아교), 包金土(포금토) 各40, 柏子仁(백자인)88, 陽起石

(양기석)20, 熟地黃(숙지황)60, 煅牡蠣(단모려)80, 煅磁石(단자석)80.

上爲細末, 以糯米粥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30~40 丸, 食前以酒呑下.

효용 : 자음안신(滋陰安神), 익신고정(益腎固精).

주치 : 부녀불잉(婦女不孕).

부화탕(敷和湯)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半夏(반하), 五味子(오미자), 枳實(지실), 白茯苓(백복령), 訶子(가자), 炮姜(포강),

陳皮(진피), 炙甘草(자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大棗(대

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六十歲運氣(육십세운기)의 主客(주객)과 民病(민병) 編(편) - 己亥(기해)의 歲(세)

의 경우 참조.

북정단(北庭丹)《淸溪秘傳》

조성 ≒ 𥓲砂(뇌사), 人中白(인중백), 瓦上靑苔(와상청태), 瓦松(와송), 溏鷄矢(당계시).

분경산(分經散)《類編朱氏集驗方》

조성 ≒ 紅花(홍화), 蘇木(소목), 乳香(유향), 沒葯(몰약), 乾姜(건강), 姜黃(강황), 當歸 (당

귀), 芍葯(작약), 川芎(천궁), 木通(목통), 甘草(감초), 莪朮(아출, 煨), 生地黃(생지

황), 玄胡索(현호색), 牡丹皮(모단피), 凌霄花(능소화) 各等分.

上爲細末 每服 6 克, 空腹時 溫酒調下, 1 日 3 次

효용 : 活血行氣(활혈행기)

주치 : 婦人(부인) 經期(경기) 遍身手足疼痛(편신수족동통).

【加减】加 血竭(혈갈), 玳瑁(대모)., 尤佳(우가).

분기탕(奔氣湯)《千金方》리기제(理氣劑)

조성 ≒ 생강(生姜), 계심(桂心), 인삼(人蔘), 반하(半夏), 오수유(吳茱萸), 감초(甘草).

주치 : 분돈증(奔豚證) 속허한자(屬虛寒者).- 환자가 자각하기로는 기가 소복으로부터

치밀어 올라와 인후에 이르고(以自覺有氣從少腹上冲咽喉), 몸은 춥고 사지는 차

며(形寒肢冷), 설담(舌淡), 태백(苔白), 맥현긴(脈弦緊).

분돈탕(奔豚湯)《金匱要略》리기제(理氣劑)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작약(芍葯), 감초(甘草), 갈근(葛根), 감이근백피(甘李根

白皮), 반하(半夏), 황금(黃芩), 생강(生姜).

주치 : 분돈증(奔豚證).- 환자가 자각하기로는 기(氣)가 치미는데 소복(少腹)으로 부터 인

후(咽喉)에 이르고, 한 번 발작하면 죽고 싶을 정도로 아프다(發作欲死). 심장이

놀래어 뛰고 불안하고 정신이 맑지 못하며(驚悸不寧), 사람의 소리를 싫어하고

(惡聞人聲), 수시로 발작하고, 기가 돌면 멈춘다(氣還則止, 發作无時),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것 같으며 한 번 호흡하는 사이에 5번 이상 뛰는 현삭맥(弦數

脈)이다.

분돈탕(奔豚湯)《千金方》

조성 ≒ 반하(半夏), 오수유(吳茱萸), 생강(生姜), 계심(桂心), 인삼(人蔘), 감초(甘草).

분돈환(奔豚丸)《醫學心悟》리기제(理氣劑)

조성 ≒ 천련자(川楝子), 복령(茯苓), 귤핵(橘核), 육계(肉桂), 부자(附子), 오수유(吳茱萸),

려지핵(荔枝核), 소회향(小茴香), 목향(木香), 사당(砂糖).

주치 : 하초허한(下焦虛寒), 간기협한(肝氣挾寒) 상역소치(上逆所致)적 분돈기(奔豚氣).-

환자의 자각으로는 기(氣)가 흉부(胸部)와 인부(咽部)에 이르고, 몸은 춥고 사지는

차며, 태백(苔白), 맥은 길며 가야금 줄을 누르는 것 같고, 꼬인 줄을 누르는 것 같

이 팽팽히 긴장하고 유력한 현긴맥(弦緊脈)이다.

분소설탁환(分消泄濁丸)《靑囊秘傳》

조성 ≒ 大黃(대황, 晒)30, 琥珀(호박)3. - 鷄子淸爲丸. 勻作 3 日服, 火酒送下.

효용 : 淸熱通竅(청열통규)

주치 : 莖痛(경통).

분청음(分淸飮)《仁齋直指方論》

조성 ≒ 益智仁(익지인, 醋浸), 萆薢(비해), 石菖蒲(석창포), 天台烏葯(천태오약), 白茯苓

(백복령) 各30, 甘草(감초)12. - 上爲末 每服 6, 加 鹽少許, 同煎 食前服

효용 : 淸心利水(첨심이수)

주치 : 性欲過度(성욕과도), 淸濁相干(청탁상간), 小便白濁(소변백탁).

불수산(佛手散)《普濟本事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양미조성(兩味組成)

주치 : 붕중(崩中), 상태(傷胎), 산후(産后), 금창(金瘡) 등(等) 실혈과다(失血過多) 이치적

(而致的) 혼운욕도(昏暈欲倒), 병치(幷治) 임신상태복통(姙娠傷胎腹痛) 난산(難

産) 포의불하(胞衣不下) 통경(痛經) 역대(歷代).

불와산(不臥散)《丹心․東醫寶鑑》

조성 ≒ 玄胡索(현호색)七枚, 靑黛(청대)二錢, 猪牙皂角(저아조각)二兩. 作末(작말)하여

풀에 반죽해서 小餠子(소병자)를 杏仁大(행인대)로 만들어 환자로 하여금 仰臥

(앙와)시키고 葯(약)을 水化(수화)하여 竹管(죽관으로써 男左(남좌), 女右(여우)로

鼻中(비중)에 灌入(관입)해서 葯味(약미)가 喉中(후중)에 이르러 酸味(산미)를 느

끼거든 起坐(기좌)하여 銅錢(동전) 1箇(개)를 물고 있으면 침이 나와서 盆(분)에

차고 곧 낫는다. (丹心)

일명 靑黛散(청대산)이라고 하는데 皂角(조각)을 二片(이편) 넣는다.

주치 : 두통(頭痛)으로 견디지 못하는데 쓴다.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和劑局方》거습제(祛濕劑)

조성 ≒ 평위산(平胃散, 진피(陣皮), 후박(厚朴), 창출(蒼朮), 감초(甘草)) 가(加) 곽향(藿

香), 반하(半夏).

주치 : 1) 사시상한(四時傷寒) 복창(腹脹).

2) 곽란(癨亂) - 습곤비양증(濕困脾陽證).

붕산세제(硼酸洗劑)

조성 ≒ 硼酸(붕산)3~4, 水加至(수가지)100ml. 冷濕敷(냉습부) 或熱濕敷(열습부).

효용 : 消炎(소염) 滲濕(삼습) 止痒(지양)

주치 : 皮炎(피염) 急性濕疹(급성습진) 及化膿性皮膚病(화농성피부병) 糜爛(미란), 滲出

較多(삼출교다) 者.

비급환(備急丸)《金匱要略》

조성 ≒ 대황(大黃), 건강(乾姜), 파두(巴豆).

비방지해탕 ≒ 청피(靑皮), 상백피(桑白皮), 행인(杏仁),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천궁(川芎),

복령(茯苓), 제반하(制半夏), 진피(陳皮), 패모(貝母), 당귀(當歸) 各10.

- 수전취탕(水煎取湯) 加 빙당(氷糖)10. 21시간 복용후(服用后) 한출(汗出).

주치 : 기관지염(氣管支炎).

비아팔진고(肥兒八珍糕)《驗方》

조성 ≒ 黨參(당삼), 芡實(검실), 茯苓(복령), 白萹豆(백편두), 山葯(산약), 米仁(미인), 蓮肉

(연육), 炙鷄內金(자계내금), 五谷虫(오곡충), 白砂糖(백사당), 粳米(갱미) 糯米(나

미).

비아환(肥兒丸)《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황련(黃連), 호황련(胡黃連), 사군자인(使君

子仁), 신곡(神曲), 맥아(麥芽), 산사(山楂), 감초(甘草), 로회(蘆薈).

주치 : 1) 비위허열(脾胃虛熱)지 비적(脾積).- 면황기수(面黃肌瘦) 신열(身熱) 곤권기와

(困倦嗜臥) 심하비경(心下痞硬) 희식이물(喜食異物) 두복견경동통(肚腹堅硬疼

痛)두 대경세(頭大頸細).

2) 目剳(목답) 疳積上目(감적상목).

비아환(肥兒丸)《和劑局方》구충제(驅虫劑)

조성 ≒ 빈낭(檳榔), 사군자(使君子), 육두구(肉豆寇), 황연(黃連), 광목향(廣木香), 신곡

(神曲), 맥아(麥芽).

주치 : 충적복통(虫積腹痛).- 면황체수(面黃体瘦) 두복창만(肚腹脹滿) 발열구취(發熱口

臭) 복통시작(腹痛時作).

비약마인환(脾約麻仁丸)《傷寒論》

조성 ≒ 大黃(대황), 厚朴(후박), 杏仁(행인), 白芍(백작), 麻仁(마인), 枳實(지실). 水煎服

(수전복), 亦可制成(역가제성) 丸劑(환제).

효용 : 潤腸通便(윤장통변), 淸熱化濕(청열화습).

주치 : 濕熱燥結(습열조결) 所致(소치) 肛裂(항열) 等.

비약환(脾約丸) ⇒ 마자인환(麻子仁丸).

비정환(秘精丸)《濟生方》고삽제(固澁劑)

조성 ≒ 상표소(桑螵蛸), 용골(龍骨), 모려(牡礪), 백석지(白石脂), 오미자(五味子), 운령

(云苓), 토사자(菟絲子), 구자(韭子).

주치 : 신허불장(腎虛不藏).- 유정(遺精) 활정(滑精) 소변백탁(小便白濁) 요중소력(腰重

少力) 면백지냉(面白肢冷) 설담(舌淡) 맥침세무력(脈沉細无力).

비조산(砒棗散)《走馬疳散, 驗方》

조성 ≒ 紅信石(홍신석)三方, 紅棗(홍조) 一兩. 制法和用法 : 將紅棗去核 入信石, 火煅存

性 去火氣 硏細末入 冰片(빙편)一錢, 再硏和勻 外敷用.

비지안신환(秘旨安神丸)《幼幼集成》

조성 ≒ 인삼(人蔘), 조인(棗仁), 복신(茯神), 반하(半夏), 당귀(當歸), 백작(白芍), 귤홍(橘

紅),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효용 : 수렴신기(收斂神氣), 안정심신(安定心神).

주치 : 소아경공(小兒驚恐) - 심담불영증(心膽不寧證).

비진단(秘眞丹)《醫學正傳》

조성 ≒ 菟絲子(토사자, 酒浸, 炒), 炒韭子(구자), 柏子仁(백자인) 各30, 煅龍骨(단용골),

煅牡蠣(단모려, 醋淬), 山茱肉(산수육), 煅赤石脂(단적석지) 各15, 炒補骨脂(초보

골지)30, 遠志(원지,去心), 巴戟(파극, 去心), 覆盆子(복분자), 枸杞子(구기자), 黃

柏(황백, 塩酒炒黑色), 山葯(산약) 各23, 芡實(검실, 去殼), 杜仲(두중, 姜汁炒絲斷)

各30, 金櫻子(금앵자, 半靑黃者, 去刺, 核, 烤乾)60, 乾姜(건강,炒黑色)30, 鹿角膠

(녹각교, 炒成珠)45. - 上爲細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100丸, 空腹姜鹽湯

送下

효용 : 交通心腎(교통심신)

주치 : 婦人好色(부인호색), 腎虛(신허), 白淫白濁(백음백탁) 等症.

비창고(肥瘡膏)《醫宗金鑑》

조성 ≒ 番木鱉(번목별), 當歸(당귀), 黎蘆(여로), 黃柏(황백), 苦參(고삼), 杏仁(행인), 狼毒

(낭독), 白附子(백부자), 鯉魚膽(리어담), 香油(향유).

비파청폐음(枇杷淸肺飮)《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황연(黃連), 황백(黃柏), 인삼(人蔘), 감초(甘草), 상백피(桑白皮), 비파엽(枇杷葉).

- 水煎服(수전복)

효용 : 소풍청폐(疏風淸肺)

주치 : 1) 분자(粉刺).- 안면조홍(顔面潮紅) 분자(粉刺) 흔열동통(焮熱疼痛) 혹유농포(或

有膿疱) 설홍(舌紅) 태박황(苔薄黃) 맥세삭(脈細數).

2) 주사비(酒皻鼻).

비해분청음(萆薢分淸飮)《丹溪心法》거습제(祛濕劑)

조성 ≒ 비해(萆薢), 오약(烏葯), 익지인(益智仁), 석창포(石菖蒲), 복령(茯苓), 감초초(甘

草梢).

효용 : 익기고섭(益氣固攝), 리기화습(理氣化濕).

주치 : 1) 신양허약(腎陽虛弱) 습탁내온(濕濁內蘊)적 고림(膏淋) 백탁(白濁).- 뇨빈단삭

(尿頻短數) 혼탁불청(混濁不淸).

2) 뇨탁(尿濁) - 방광습열증(膀胱濕熱證).

비해분청음(萆薢分淸飮)《醫學心悟》卷四, 거습제(祛濕劑)

조성 ≒ 비해(川萆薢)6, 복령(茯苓)3, 석창포(石菖蒲)1.5, 차전자(車前子)4.5, 연자심(蓮子

心)2.1, 황백(黃柏)1.5, 백출(白朮)3, 단삼(丹參)4.5.- 수전복(水煎服)

효용 : 청열화습(淸熱化濕, 淸熱利濕) 分淸(분청) 瀉濁(사탁)

주치 : 1) 습열하주(濕熱下注)적 고림(膏淋) 백탁(白濁).- 뇨빈단삭(尿頻短數) 열통(熱痛),

소변혼탁(小便混濁) 태황(苔黃) 맥삭(脈數).

2) 急性(급성) 前列腺炎(전열선염), 尿急尿頻(뇨급뇨빈) 排尿灼熱(배뇨작열) 或血

尿(혈뇨), 伴見(반견) 發熱惡寒(발열오한) 會陰墜脹(회음추창).

비해분청음(萆薢分淸飮)《정씨(程氏)》

조성 ≒ 川萆薢(천비해), 炒黃柏(초황백), 蓮子心(연자심) 各6, 茯苓(복령), 白朮(백출), 生

地(생지), 車前子(차전자) 各10, 丹參(단삼)12, 石菖蒲(석창포), 木通(목통), 甘草

(감초) 各4.5.

효용 : 淸熱利濕(청열이습)

주치 : 脾胃濕熱型(비위습열형) 溺濁(익탁, 尿濁) : 非淋菌性尿道炎(비임균성뇨도염)

證狀 : 오줌이 탁하고 묽은 것이(尿濁稀薄) 마치 쌀뜨물과 같고(如米泔狀), 소변을

볼 때 음경에 깔끔거리는 통증은 없는데(尿時莖中无澁痛), 좀 가렵고 찌르

는 뜻한 감이 있으며(僅有刺痒感), 가슴과 위완부가 그득하고 답답함이 있음을

수반하고(伴有胸脘滿悶), 입이 건조하며 구갈이 나고(口乾口渴), 맥은 순조롭고

원활하며 빠르고(脈滑數), 설질은 붉고(舌質紅), 태는 누렇고 좀 미끈미끈 하다(苔

黃微膩).

비해삼습탕(萆薢滲濕湯)《瘍科心得集》거습제(祛濕劑)

조성 ≒ 비해(萆薢), 의이인(薏苡仁), 황백(黃柏), 적복령(赤茯苓), 모단피(牡丹皮), 택사

(澤瀉), 활석(滑石), 통초(通草).

효능 : 청열이습해독(淸熱利濕解毒)

주치 : 1) 습진(濕疹) 렴창(臁瘡).- 환부(患部) 삼출농수(滲出膿水) 교다(較多), 소변단적

(小便短赤) 설태황니(舌苔黃膩)

2) 하지에 발생하며(發于下肢), 발열 등 전신 증상은 없으나(除發熱等症狀外), 국

부 즉 하지가 발갛게 붇고(局部以紅赤腫脹) 아프며 뜨거운열을 위주로 하며(炒

熱疼痛爲主) 역시 수포, 자반이 발생할 수 있고(亦可發生水疱紫斑) 심화하면 독

이 뭉쳐 곪거나(甚至結毒化膿) 혹은 피부가 괴사 된다或皮膚壞死), 설태는 누렇

고 미끈거리며(苔黃膩) 맥은 파도와 같이 큰데 오는 맥이 가는 맥보다 크고 빠

르다(脈洪數).반복해서 발작하며 각풍(脚膝風)을 형성할 수 있다(反復發作可形

成大脚風)(象皮腿) 合 五神湯(오신탕)《洞天奧旨》옹양제(癰瘍劑)

10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