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38 保赤散 - 補天丸

Aktualisiert: 28. Aug. 2019


醫方集成

보적산(保赤散)

《全國中葯成葯處方集》영아제(嬰兒劑) - 보천환 (補天丸)《醫學入門》

《丹溪,入門》 (東醫寶鑑)


보적산(保赤散)《全國中葯成葯處方集》영아제(嬰兒劑)

조성 ≒ 파두상(巴豆霜), 주사(朱砂), 담성(膽星), 육신곡(六神曲). 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담식적체(痰食積滯).- 완복창만(脘腹脹滿) 대변폐결(大便閉結) 혹(或) 혼미경궐

(昏迷痙厥) 후간담명(喉間痰鳴).

보정고(補精膏)《醫林(의림)》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山葯(산약) 八兩(팔량)을 細末(세말)하고, 胡桃肉(호도육) 四兩(사량)을 細硏(세

연)하여 진흙처럼 만들고, 炒行仁(초행인) 四兩(사량)을 細末(세말), 雄牛前脚髓

(웅우전각수) 四兩(사량), 白蜜(백밀) 一斤(일근)을 髓(수)와 蜜(밀)을 함께 끓인

후 去滓(거재)한 液(액)에 三末(삼말)을 넣어 반죽해서 항아리에 넣고 固封(고봉)

한 뒤에 重湯(중탕)에 半日間(반일간) 달여서 取出(취출)하여 매번 一匙(일시, 한

숟가락씩)를 溫酒(온주)에 調服(조복)한다.

주치 : 虛勞(허로)를 다스리고, 眞氣(진기)를 더하고, 胃(위)를 도우며, 肺(폐)를 潤(윤)하

게한다.

보제소독음(普濟消毒飮)《東垣十書》《東垣試效方》청열제(淸熱劑)

조성 ≒ 연교(連翹, 酒炒), 우방자(牛蒡子), 박하(薄荷), 강잠(姜蚕), 승마(升麻), 시호(柴

胡), 마발(馬勃), 판람근(板藍根), 현삼(玄參), 길경(桔梗), 황련(黃連), 감초(甘草),

황금(黃芩, 酒炒), 귤홍(橘紅).- 수전복(水煎服)

효용 :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 : 1) 대두온(大頭瘟).-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 오한발열(惡寒發熱), 두면(頭面) 홍

종동통(紅腫疼痛), 인후불리(咽喉不利), 맥부삭유력(脈浮數有力).

2) 창양양증(瘡瘍陽證) 及 안면단독(顔面丹毒) 발이(發頤) 等.

3) 자시(痄腮) -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

보제소독음(普濟消毒飮)《醫方集解》치목제(治目劑)

조성 ≒ 黃芩(황금, 酒炒), 黃連(황연, 酒炒), 陣皮(진피), 玄參(현삼), 連翹(연교), 板藍根

(판람근), 馬勃(마발), 牛蒡子(우방자), 薄荷(박하), 桔梗(길경), 姜蚕(강잠), 升麻

(승마), 甘草(감초), 柴胡(시호).

주치 : 風赤瘡痍(풍적창이).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脾胃論》보익제(補益劑)

조성 ≒ 황기(黃芪)15~20, 인삼(人蔘)10, 백출(白朮)10, 당귀신(當歸身)10, 승마(升

麻)3, 시호(柴胡)3, 진피(陣皮)6, 자감초(炙甘草)10.

【宜忌】陰虛內熱者 忌服 효용 : 보중익기(補中益氣) 승양거함(升陽擧陷)

주치 : 1) 비위기허(脾胃氣虛) 중기하함(中氣下陷).- 발열(發熱) 자한출(自汗出) 목이마

르나 따뜻한 물을 좋아하고(渴喜溫飮), 말소리가 약하고 느리며(少氣懶言), 몸

이 피로하고 사지는 핍력(體倦肢軟), 얼굴색이 누렇게 떳고(面色萎黃), 음식무

미(飮食无味), 소화불량(飮食不化), 대변은 잘나오나 묽으며(大便稀溏), 태박백

(苔薄白) 맥허연무력(脈虛軟无力)

2) 기허하함(氣虛下陷)으로 인한 탈항(脫肛), 자궁이 밑으로 쳐저 내리고(子宮下

垂), 오랜 설사(久瀉), 오랜 이질(久痢), 오랜 학질(久虐) 등과 청양하함(淸陽下

陷)의 모든 증상(諸證)이다.

3) 평소에 기가 약하여(素體氣虛) 감기에 잘 걸리거나(易患感冒) 혹은 기(氣)가 허

(虛)하여 외감풍사(外感風邪)에 의한 발열이 해제되지 않으며(氣虛外感發熱不

退) 몸이 피로하며 땀이 많이 나는(身倦多汗) 등 증상을 다스린다.

4) 비위가 기허(脾胃氣虛)하고, 말할 의욕이 없고 숨이 차며(少氣懶言), 팔다리가

무력하고(四肢无力), 음식소화가 잘 안되고 먹은 음식이 잘 내려가지도 않으

며(困倦消食), 음식맛이 없고(飮食乏味), 활동하면 숨이 차서 불내노루일을 계

속 견지할 수 없다(不耐勞累, 動則氣短) ; 혹은 기허발열(氣虛發熱)하고 숨을내

쭘으며 호흡을 하고(氣高而喘) 답답하고 번거롭게 몸에 열이 나며(身熱而煩),

갈증으로 더운 물을 마시길 좋아 하며(渴喜熱飮), 맥은 파도와 같이 크고오는

맥이 가는 맥에 비해 큰데(脈洪大) 누르면 무력하다(按之无力). 부인의하혈(凡

婦人崩漏) 자궁탈수(子宮脫垂) 부과종류(婦科腫瘤); 남자(男子) 정자의 활동력

저하(精子活動力低下)로 불육증(不育症).

5) 중기하함(中氣下陷)으로, 음도의 벽이 부풀려져 밖으로 나오고(陰道壁膨出),

정신이 피로 하고 숨이 차며(氣短神疲), 얼굴색이 희고 정신이 시들어 맑지 못

한 사람(面白神痿者). 陰挺(음정) 陰脫(음탈) 陰㿗(음퇴) 陰菌(음균) 陰庤(음치)

陰茄(음가) 茄子疾(가자질) 子腸不收(자장불수)등 그 명칭이 많은데 지금은 총

칭하여 子宮脫垂(자궁탈수)라 한다.

6) 비기하함증(脾氣下陷證) :

㉮ 비기부족(脾氣不足) : 비기부족은 건전한 운화기능을 잃고(健運失職), 중초

화원부족(中焦化源不足)이 된다고 했다. 이는 중초가

화생을 주관하는 기능이 약화됨으로 비위가 소화기능을 통해 화생하는 영

혈(營血)이 준다는 말이다. 그럼으로 식소(食少), 몸이 여위고(消瘦), 호흡이

짧고 숨이 차며(氣短), 개을러지고(倦怠), 목소리가 낮으며(聲低), 얼굴색이

희고(面白), 머리가 어지러운(頭暈) 등의 증후가 나타난다.

㉯ 중기하함(中氣下陷) : 중기가 아래로 함몰하고 다시 일어나지 못하는 증상

(症狀)을 보게 되는데 위와 배가 아래로 늘어져서 부

르고(脘腹墜脹), 혹 구설(久泄), 구리(久痢), 붕루(崩漏), 탈항(脫肛), 자궁탈

수(子宮脫垂) 등 내장하수(內臟下垂) 등이 나타난다.

7) 瘡瘍(창양) : 元氣虧損(원기휴손) 肢體倦怠(지체권태) 飮食少思(음식소사)

8) 上胞下垂(상포하수) 圓翳內障(원예내장) 靑盲(청맹) 高風內障(고풍내장)

9) 감모(感冒) -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으로 기허심자(氣虛甚者)

10) 복통(腹痛) 구사불지(久瀉不止), 중기하함(中氣下陷)- 소장허한증(小腸虛寒證)

合 부자리중환(附子理中丸)《화제국방(和劑局方)》가감(加减)

11) 기산(氣疝) - 허증(虛證) 소장기증(小腸氣證)

【加减】 ① 病甚勞役 熱甚者 : 倍加 黃耆

② 咳嗽者(해수자) : 去 人參(인삼)

③ 腹痛(복통) : 加 白芍(백작), 炙甘草(자감초).

④ 약오열희한(若惡熱喜寒) 이복통자(而腹痛者) : 加 黃芩(황금).

⑤ 惡寒冷痛(오한냉통) : 加 桂心(계심)

⑥ 頭痛(두통) : 加 蔓荊子(만형자) - 痛甚者(통심자) : 加 川芎(천궁).

⑦ 巓頂痛(전정통) 腦痛(뇌통) : 加 藁本(고본).

【臨證擧例】《陜西中醫》1) 1986 ; 8 : 366

用本方 加大劑量, 酌情加减 : 黃耆30~50, 紅蔘10~15, 白朮15~20, 當歸

阿膠 龜板膠 鹿角膠 各15, 熟地 白芍 各20, 棕櫚炭30, 升麻7.5, 陣皮10.

治療 : 崩漏 26 例, 其中 崩中者 8 例, 服葯 3~10 劑后皆痊愈; 漏下者18 例,

服葯 3~20 劑后 痊愈 14 例, 有效 3 例, 无效 1 例.

《陜西中醫》2) 1989.8 : 340

本方 加减 : 黨參, 黃芪 各60, 炒升麻, 益母草 各30, 柴胡9, 獨活6, 桔梗, 血

余炭 各10.

治療 : 崩漏 50 例, 其中 功能性子宮出血 13 例, 子宮肌瘤 3 例, 月經紊亂 所

致者 20 例, 人工流産手術后 出血 9 例, 産后 惡露不盡 5 例.

① 兼 陽虛者 : 加 肉桂, 巴戟天, 仙鶴草.

② 兼 陰虛者 : 加 阿膠, 玄參, 龜版.

③ 兼 肝鬱者 : 加 夏枯草, 香附, 側柏炭.

④ 反復痛者 : 加 白頭翁炭, 當歸.

結果 : 痊愈 23 例, 顯效 13 例, 有效 9例, 无效 5例, 總有效律 90%.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東垣十書》

조성 ≒ 黃芪(황기), 甘草(감초), 人參(인삼), 白朮(백출), 當歸(당귀), 陣皮(진피), 升麻(승

마), 柴胡(시호).

보진탕(保眞湯)《十葯神書》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지황(地黃, 生地熟地兩種)), 백작

(白芍), 당귀(當歸), 천동(天冬), 맥동(麥冬), 연심(連心), 지모(知母), 황백(黃柏),

지골피(地骨皮), 진피(陣皮), 시호(柴胡), 천박(川朴), 황기(黃芪), 오미자(五味子),

대조(大棗).

주치 : 肺癆(폐로), 음양양허(陰陽兩虛).- 기침하다가 사례가 들리고 각혈하며(咳嗆咯

血), 음허조열(陰虛潮熱)의 열기가 속으로 부터 나오며(骨蒸勞熱), 밤마다 땀을

흘리며(盜汗), 유정(遺精)하고, 몸이 야위여 약해지고(形體羸弱), 바람을 싫어하

며 추위를 두려워하고(畏寒惡風), 땀을 흘리며 숨이 차서 헐떡거리고(自汗氣喘),

식욕이 부진하고 변이 묽으며(納呆便溏), 설홍소진(舌紅少津), 맥상은 몸시 가늘

고 연하며 누르면 끊어질 듯이 잘 알리지 않는 미세맥(微細脈) 등 증상을 다스린

다.

보진탕(保眞湯)《新書(신서)》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當歸(당귀), 生乾地黃(생건지황), 白朮(백출), 人蔘(인삼), 蜜炒黃芪(밀초황기) 各

一錢(각일전), 赤芍(적작), 炙甘草(자감초) 各八分半(각팔분반),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陳皮(진피), 白芍(백작), 炒知母(초지모), 炒黃柏(초황백), 五味

子(오미자), 柴胡(시호), 地骨皮(지골피), 熟地黃(숙지황) 各三分半(각삼분반), 蓮

心(연심), 赤茯苓(적복령), 白茯苓(백복령) 各六分(각육분)을 剉作一貼(좌작일

첩)하여 生薑(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

다.

加减 -① 驚悸(경계) : 加 茯神(복신), 遠志(원지), 酸棗仁(산조인) 하고

② 尿濁(뇨탁) : 加 猪苓(저령), 澤瀉(택사), 萆薢(비해) 하고

③ 潮熱(조열) : 加 滑石(활석), 石膏(석고), 靑蒿(청호), 鱉甲(별갑) 하고

④ 盜汗(도한) : 加 浮麥(부맥), 牡蠣(모려), 麻黃根(마황근) 한다.

주치 : 虛勞(허로)의 骨蒸(골증), 潮熱(조열), 盜汗(도한)을 다스린다.

보천단(補天丹)《全國中葯成葯處方集》

조성 ≒ 로腎(로신)60, 制黃耆(제황기)150, 柏子仁(백자인)45, 杜仲(두중)90, 白朮(백

출)150, 川附子(천부자)45, 山茱肉(산수육)60, 五味子(오미자)45, 白參(백삼) 白

芍(백작) 各90, 茯苓(복령)75, 龍骨(용골)60, 破故紙(파고지) 菟絲子(토사자) 各

90, 枸杞子(구기자)120, 當歸(당귀)90, 覆盆子(복분자)45, 鹿角膠(녹각교)90.

上爲細末. 煉蜜爲丸, 每丸 6 克重. 每次服 1 丸, 早晩食前 各服 1 次, 用白開水

或淡塩湯送下. § 火盛者勿服.

효용 : 益精壯陽(익정장양) 補氣生血(보기생혈)

주치 : 生殖器(생식기) 發育不良(발육불양) ; 及腎虛滑精(신허활정) 陽痿不擧(양위불거)

見色早泄(견색조설) 精液淸冷(정액청냉) 及氣血衰弱(기혈쇠약) 瘦弱難支(수약난

지) 食少便溏(식소변당) 氣息微弱(기식미약) 動則作喘(동칙작천) 腰痠腿軟(요산

퇴연) 健忘怔忡(건망정충) 自汗暈眩(자한운현) 寐而不實(매이불실).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中醫症狀鑒別診斷學》

조성 ≒ 자하차(紫河車), 녹용(鹿茸), 호골(虎骨), 구판(龜板), 보골지(補骨脂), 생지황(生

地黃), 산약(山葯), 산수유(山茱萸), 구기자(枸杞子), 당귀(當歸), 복령(茯苓), 택사

(澤瀉), 단피(丹皮),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오미자(五味子), 토사자(菟

絲子), 우슬(牛膝), 두중(杜仲), 육종용(肉蓗蓉).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醫學心悟》보익제(補益劑)

조성 ≒ 자하차(紫河車), 녹각교(鹿角膠), 인삼(人蔘), 황기(黃芪), 복령(茯苓), 백출(白朮),

당귀(當歸), 백작(白芍), 대숙지(大熟地), 구기자(枸杞子), 산조인(酸棗仁), 산약

(山葯), 원지(遠志)

주치 : 음양양허(陰陽兩虛)적 폐로(肺癆).- 기침하고 기(氣)가 역행하여 호흡이 급척하

고 숨이차서 헐떡거리며(咳逆喘息少氣), 담을 뱉는데 혹 담중에 피가 섞여 있을

수 있고(痰中或見來血), 신시(申時 15~17시)에 몸에 미열(微熱)이 나며(潮熱),

몸은 춤고 팔다리는 차며(肢冷形寒), 땀이 절로 나고(自汗), 밤잠을 잘 때땀이 나

는데 깨어나면 땀이 멎는다(盜汗), 목이 쉬어 말을 못하고(聲嘶失音), 얼굴과 팔

다리에 부종(面浮肢腫)이 일고, 입술은 자색(唇紫)이고, 심장박동을 자각적으로

느끼며(心悸), 해뜰무렵(黎明)에 배가 아프며 설사를 하고(五更腹瀉), 기육(肌肉)

이 모두 말라(脫落) 버리고(大肉盡脫), 남자는 활정양위(滑精陽痿), 여자는 경소

(經少) 혹 폐경(閉經), 설광(舌光) 질홍(質紅) 소진(少津) 혹설담(舌淡) 체반(體伴),

설변(舌邊)에는 잇발 자리(齒痕)가 있고, 맥은 몹시 가늘고 연하여 누르면 끊어질

듯이 잘 알리지 않고, 한 번 호흡하는 사이에 5 번이상 뛰는 미세이삭맥(微細而

數脈) 이거나 혹은 맥은 크지만 3부맥이 모구무력한 허대무력맥(虛大无力脈) 등

을 다스린다.

보천대조환 (補天大造丸)《回春》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大造丸(대조환)과 동일하게 紫河車(자하차) 一具(일구)를 뜨물에 담가서 깨끗이

씻고 竹器(죽기)에 담아 長流水(장류수)에 1~2시간 쯤 담가서 生氣(생기)를 돌

리고 작은 瓦盆(와분)에 넣어 큰 시루에다 爛熟(난숙)하도록 쪄서풀과 같이 되거

든 퍼내어 먼저 自然汁(자연즙)을 따라서 두고 건더기는 石臼(석구)에다 爛搗(난

도)하여 前汁(전즙)과 함께 和勻(화균)하고, 地黃(지황), 酒洗當歸(주세당귀), 酒

炒茴香(주초회향), 酒炒黃柏(주초황백), 炒白朮(초백출) 各二兩(각이량), 酒炒生

乾地黃(주초생건지황),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酒洗牛膝(주세우슬), 炒

杜仲(초두중) 各一兩半(각일량반), 枸杞子(구기자), 五味子(오미자) 各七錢(각칠

전), 陳皮(진피), 乾姜(건강) 各二錢(각이전), 側柏葉(측백엽, 東(동)으로 향한 것

을 焙(배)해서 作末(작말)하고) 紫河車(자하차)를 넣어 搗爛(도란)하고 손으로 梧

子大(오자대)만하게 丸(환)을 지어 米飮(미음) 혹은 溫酒(온주)로 一日二回(일일

이회) 100환씩 呑下(탄하)한다.

주치 : 양기(陽氣)를 장(壯)하게 하고 신수(腎水)를 붇게 하니 천지교태(天地交泰)의 뜻

이 있는 법(法)이다. 만약 허로(虛勞)한 사람이 방사(房事)를 지나치게 하여 오심

(五心)이 번열(煩熱)한데 이 방약(方葯)을 먹으면 특효(特效)하고 오래 먹으면 연

년익수(延年益壽)한다. - 東醫寶鑑(동의보감).

보천오자종옥단(補天五子種玉丹)《産科心法》

조성 ≒ 원생지(原生地)(水煎 1 晝夜 再蒸, 晒 9 次, 焙乾)240, 산수육(山茱肉)(酒拌炒),

당귀신(當歸身)(酒炒), 구기자(枸杞子)(酒拌蒸, 炒)各120, 단피(丹皮)(酒炒), 복령

(茯苓)(乳拌蒸, 晒乾), 택사(澤瀉)(鹽水炒), 여정자(女貞子)(鹽水蒸, 炒), 복분자

(覆盆子, 鹽水洗, 晒, 炒) 各90, 준산약(准山葯)(乳拌蒸, 晒)120, 초회우슬(炒懷牛

膝), 염수초두중(鹽水炒杜仲)염수초두중, 염수초천단(鹽水炒川斷), 초오미자(炒

五味子), 초차전자(炒車前子) 各60, 자하차(紫河車, 甘草煎水 浸洗凈, 挑去血筋

煮爛打 或焙乾爲末)1具. - 上爲末 煉蜜爲丸 每服 12~15克, 早晨用 淡塩湯送下.

加减 -① 氣不足 不射精者 : 加 蜜炙黃芪300 熬膏, 人蔘. 更妙.

② 精薄 或精少 : 加 魚鰾(蛤粉炒)120, 鹿角膠(蛤粉炒)60~90, 猪脊髓(拌

入茯苓內蒸, 晒)10條.

③ 早泄者 : 加 鹿角霜(硏爲末)90, 炒石斛90, 人蔘(焙)30, 炒麥冬60.

④ 發熱 : 加 地骨皮 蓮須 牡蠣粉 各60, 金櫻子 熬膏代蜜.

⑤ 精冷 体寒者 : 加 肉桂末30, 炒巴戟肉60, 蛤粉炒鹿角膠 鹽水炒破故紙

各120, 或加 制鹿茸 1 對.

⑥ 勞心之人 心血耗散之陽痿 : 加 桂圓肉(蒸), 炒棗仁, 硝茯神 各120, 或加

人蔘, 當歸, 柏子仁, 益智仁 - 補心之葯

효용 : 생정익신(生精益腎), 종자(種子).

주치 : 男女 生殖器官(생식기관) 發育不良(발육불량) 不能生育者(불능생육자)

보천환 (補天丸)《醫學入門》《丹溪, 入門》

조성 ≒ 紫河車(자하차) 一具(일구)를 뜨물에 담가서 깨끗이 씻고 竹器(죽기)에 담아 長

流水(장류수)에 1~2시간 쯤 담가서 生氣(생기)를 돌리고 작은 瓦盆(와분)에 넣

어 큰 시루에다 爛熟(난숙)하도록 쪄서 풀과 같이 되거든 퍼내어 먼저 自然汁

(자연즙)을 따라서 두고 건더기는 石臼(석구)에다 爛搗(난도)하여 前汁(전즙)과

함께 和勻(화균)하고, 黃柏(황백), 龜板(구판) 各二兩(각이량), 知母(지모), 杜仲

(두중), 牛膝(우슬) 各一兩(각일량), 五味子(오미자) 七錢(칠전), 陳皮(진피), 乾姜

(건강) 各五錢(각오전)을 作末(작말)하고 酒糊(주호)를 넣어 梧子大(오자대)로 和

丸(화환)하여 溫酒(온주) 혹은 白湯(백탕)으로 70환을 呑下(탄하)한다.

主治 : 陰虛(음허)를 補(보)하는데 사용한다. - 東醫寶鑑(동의보감)

1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