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보신익비산(補腎益脾散)《驗方》 - 보익지황환(補益地黃丸)《太平聖惠方》
보익제(補益劑)
보신익비산(補腎益脾散)《驗方》
조성 ≒ 珍珠母(진주모), 太子參(태자삼), 蒼朮(창출), 熟地(숙지), 五味子(오미자), 女貞子
(여정자).
보신익정탕(補腎益精湯)《廣西中醫葯》
조성 ≒ 熟地黃(숙지황)30, 枸杞子(구기자), 山葯(산약), 茯苓(복령), 巴戟天(파극천), 黨參(당삼), 補骨脂(보골지), 仙茅(선모), 淫羊藿(음양곽), 山茱肉(산수육) 各15, 露蜂房(로봉방), 蛇床子(사상자) 各10. - 水煎服
효용 : 보신전정(補腎塡精)
주치 : 남성소정지 불육증(男性少精之 不育症)
【臨證擧例】用本方 治療 30 例, 其中 腎陰虛者 15 例, 腎陽虛者 5 例, 腎陰陽俱虛者 5 例, 氣血虛者 5 例; 精液量 1 毫升以下 10 例, 1~2 毫升 15 例, 2~4 毫升 5 例; 精子數 50~500万/毫升 4 例, 510~1000万/毫升 6 例, 1100~2000万/ 毫升 8 例, 2100~3000万/毫升 10 例, 无精者 2 例; 畸精 15~20% 10 例, 21~30% 10 例, 31~50% 10 例; 死精 20~30% 例, 31~40% 8 例, 41~50% 5 例, 50~75% 7 例. 療效 痊愈 15例, 有效 5例, 好轉 6例, 无效 4例.
보신장근탕(補腎壯筋湯)《傷科補要》골상제(骨傷劑)
조성 ≒ 당귀(當歸), 숙지황(熟地黃), 복령(茯苓), 백작(白芍), 산수육(山茱肉), 우슬(牛膝),
청피(靑皮), 오가피(五加皮), 천속단(川續斷), 두중(杜仲). 십미약(十味葯)
주치 : 신기허손(腎氣虛損) 습관성(習慣性) 관절탈위(關節脫位).
보신장양탕(補腎壯陽湯)《中醫傷科學》골상제(骨傷劑)
조성 ≒ 육계(肉桂), 포강(炮姜), 백개자(白芥子), 숙지황(熟地黃), 마황(麻黃), 두중(杜仲),
토사자(菟絲子), 금모구척(金毛狗脊), 우슬(牛膝), 천속단(川續斷), 사과락(絲瓜
絡). 십일미약(十一味葯)
주치 : 요부손상(腰部損傷)의 중후기(中后期) 신양허약(腎陽虛弱) 요산냉무력자(腰酸冷
无力者).
보신종자방(補腎種子方)《婦産科學》
조성 ≒ 枸杞子(구기자), 菟絲子(토사자), 五味子(오미자), 覆盆子(복분자), 車前子(차전
자), 益智仁(익지인), 烏葯(오약), 炙龜板(자구판) 各12. - 水煎服.
효용 : 보익신기(補益腎氣)
주치 : 불잉증(不孕症) - 증속(證屬) 신음신양부족(腎陰腎陽不足), 겸유(兼有) 소변빈삭
자(小便頻數者).
보신지황탕(補腎地黃湯)《陳素庵婦科補解》
조성 ≒ 熟地(숙지), 麥冬(맥동), 知母(지모), 黃柏(황백), 澤瀉(택사), 山葯(산약), 遠志(원
지), 茯神(복신), 丹皮(단피), 棗仁(조인), 玄參(현삼), 桑螵蛸(상표소), 竹葉(죽엽),
龜版(구판), 山茱萸(산수유).
보신지황환(補腎地黃丸)《證治准繩》
조성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모단피(牡丹皮), 택사(澤瀉), 복령
(茯苓), 우슬(牛膝), 녹용(鹿茸).
효용 : 보신익수(補腎益髓), 익기양혈(益氣養血).
주치 : 해로(解顱) -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
보신지황환(補腎地黃丸)《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숙지(熟地),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모단피(牡丹
皮), 복령(茯苓), 택사(澤瀉)) 가(加) 우슬(牛膝), 녹용(鹿茸).
- 팔미약조성(八味葯組成).
주치 : 오연편우신허(五軟偏于腎虛)의.- 두항연약(頭項軟弱) 경사(傾斜), 구연순이(口軟
脣弛) 저작핍력(咀嚼乏力) 류연(流涎) 수연하수(手軟下垂) 불능악권(不能握拳) 족
연이완(足軟弛緩) 불능참입(不能站立) 기육송이(肌肉松弛) 활동무력(活動无力).
보신환(補腎丸)《銀海精微》
조성 ≒ 자석(磁石), 육종용(肉蓗蓉), 숙지황(熟地黃), 구기자(枸杞子), 복분자(覆盆子), 토
사자(菟絲子), 저실자(楮實子), 차전자(車前子), 석곡(石斛), 침향(沉香), 지모(知
母), 황백(黃柏), 청염(靑鹽), 오미자(五味子).
보신활혈탕(補腎活血湯)《傷科大成》골상제(骨傷劑)
조성 ≒ 독활(獨活), 토사자(菟絲子), 당귀미(當歸尾), 숙지황(熟地黃), 명몰약(明沒葯, 或
加 乳香)) 산수육(山茱肉), 두중(杜仲), 장홍화(藏紅花), 구기자(枸杞子), 육종용(肉
蓗蓉), 파고지(破故紙).
십일미약(十一味葯)
주치 : 상환후기(傷患后期) 간신허약(肝腎虛弱) 근골무력(筋骨无力).
보신활혈태잉탕(補腎活血胎孕湯)《湖北中醫雜志》1988 ; 5 ; 16 ☆☆☆
조성 ≒ 當歸(당귀)18, 肉蓗蓉(육종용), 蛇床子(사상자), 益母草(익모초), 山茱肉(산수육),
補骨脂(보골지), 桑寄生(상기생), 澤瀉(택사), 覆盆子(복분자) 各15, 菟絲子(토사
자)25, 赤芍(적작) 澤蘭(택란) 各12, 川芎(천궁) 紅花(홍화) 丹參(단삼) 各(각)10. -
- 水煎服. 每日 1 劑, 1 个月爲 1 療程.
효용 : 보신기(補腎氣), 조경혈(調經血)
주치 : 신기부족(腎氣不足), 경락어체지 블잉증(經絡瘀滯之 不孕症).
【臨證擧例】 用本方 加减治療 不孕證 642 例, 均爲婚后 2 年以上未曾孕育的 婦女, 年齡
22~44 歲, 平均 33.3 歲. 其中幼稚子宮 98 例, 子宮內膜炎 134例, 輸卵管不
通 84 例, 卵巢囊腫 52 例, 附件炎 193 例, 宮頸糜爛 63 例, 未發現明顯 器質
性病變者 18 例.
結果 : 治愈 316 例, 治愈率(卽受孕率)爲 49.2 %. 其中 第一療程 治療 274 例,
占治愈人數的 86.7 %.
보심탕(補心湯)《眼科纂要》치목제(治目劑)
조성 ≒ 지모(知母), 당귀(當歸), 길경(桔梗), 인삼(人蔘), 연교(連翹), 원지(遠志), 황기(黃
芪), 감초(甘草), 생지황(生地黃), 맥문동(麥門冬).
주치 : 심경허화(心經虛火)지 적맥전정(赤脈傳睛).- 양자(兩眦) 적맥담홍(赤脈淡紅), 세
소희소(細小稀疏) 미양불서(微痒不舒) 심번불매(心煩不寐)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삭(脈細數). 변증의거(辨證依据)
보안만령단(保安万靈丹)《外科正宗》
조성 ≒ 창출(蒼朮), 전갈(全蝎), 석곡(石斛), 천마(天麻), 당귀(當歸), 감초(甘草), 천궁(川
芎), 강활(羌活), 형개(荊芥), 방풍(防風), 마황(麻黃), 세신(細辛), 천오(川烏), 초오
(草烏), 하수오(何首烏), 웅황(雄黃), 주사(朱砂).
보양탕(補陽湯)《蘭室秘藏》
조성 ≒ 인삼(人蔘), 황기(黃芪), 백출(白朮), 복령(茯苓),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백작(白芍), 당귀신(當歸身), 육계(肉桂), 감초(甘草), 강활(羌活), 독활(獨活), 시호
(柴胡), 방풍(防風), 지모(知母), 택사(澤瀉), 진피(陣皮).
보양환오탕(補陽還伍湯)《醫林改錯》리혈제(理血劑)
조성 ≒ 당귀미(當歸尾), 천궁(川芎), 황기(黃芪), 적작(赤芍), 도인(桃仁), 홍화(紅花), 지용
(地龍).- 水煎服(수전복)
효용 : 補氣(보기), 活血(활혈), 축어(逐瘀), 通絡(통락).
주치 : 1) 중풍후유증(中風后遺證).- 반신불수(半身不遂), 구안왜사(口眼歪斜), 탄탄(癱
瘓) 소변빈삭(小便頻數) 下半身痿廢(하반신위폐), 태백(苔白) 맥완(脈緩).
2) 편탄(偏癱) - 간풍내동(肝風內動)
3) 풍견편시(風牽偏視).
보원탕(保元湯)《景岳全書》
조성 ≒ 인삼(人蔘), 황기(黃芪), 육계(肉桂), 감초(甘草).
효능 : 온보심신(溫補心腎), 이수소종(利水消腫).
주치 : 심신양허증(心腎陽虛證) - 수종(水腫, 음수증(陰水證))
合 진무탕(眞武湯)《상한론(傷寒論)》가감(加减)
보원탕(保元湯)《博愛心鑑》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황기(黃芪), 육계(肉桂), 감초(甘草)
주치 : 허손노겁(虛損勞怯) 원기부족(元氣不足)적 두창(痘瘡=天然痘).- 이두창양허정함
(以痘瘡陽虛頂陷), 혈허장청(血虛漿淸).
불능관장(不能灌漿) 등보원통폐탕(保元通閉湯)《新中醫》1987 ; 10 : 54
조성 ≒ 生黃耆(생황기)100, 滑石(활석)30, 琥珀末(호박말)3.
將黃耆 滑石 二味加水煎 2 次, 取汁, 再將琥珀末 對入, 分 2 次服完
효용 : 補氣活血(보기활혈) 開關利尿(개관이뇨)
주치 : 前列腺肥大(전열선비대)
【臨證擧例】 用本方治療 52 例, 年齡 50~82 歲, 有高血壓者 21 例, 糖尿病者 3 例, 慢性
氣管支炎者 5 例, 冠心病者 1 例.
結果 : 痊愈 38 例, 好轉 13 例, 无效 1 例.
悤有效率爲 98.1 %. 平均服葯 18 劑.
보음대조환(補陰大造丸)《胎産指南》
조성 ≒ 紫河車(자하차)1具, 人蔘(인삼), 當歸(당귀), 懷生地(회생지, 自蒸) 各60, 天門冬
(천문동)39, 北五味子(북오미자)15, 杜仲(두중, 姜炒), 鹽炒黃柏(염초황백) 各21,
山葯(산약)24, 牛膝(우슬, 酒炒)30. 先將 地黃蒸 搗如泥, 其余爲末, 和勻, 加煉蜜
爲丸, 如綠豆大. 每服 100 丸, 空腹時 用淸湯送下.
효용 : 자보신정(滋補腎精)
주치 : 혈허기약(血虛氣弱), 불능섭정성태(不能攝精成胎) 或屢墮胎(루타태).
보음사화탕(補陰瀉火湯)《明醫》
조성 ≒ 백작(白芍), 당귀(當歸), 백출(白朮), 천궁(川芎), 숙지황(熟地黃), 지모(知母, 蜜
炒), 천문동(天門冬), 황백(黃柏, 蜜炒), 진피(陳皮), 주세생지황(酒洗生地黃), 자
감초(炙甘草), 건강(乾姜, 炒紫色).
주치 : 陰虛火動(음허화동)에 潮熱(조열)하며 盜汗(도한)하고, 痰嗽(담수)하고, 咯血(각
혈)하면서 脈(맥)이 數(삭), 沉(침)하고, 肌肉(기육)이 消瘦(소수)한 症(증)을 다스
린다.- - 東醫寶鑑(동의보감).
보음산(補陰散)《必用》
조성 ≒ 백작(白芍), 당귀(當歸), 천궁(川芎), 숙지황(熟地黃), 지모(知母), 천문동(天門冬),
황백(黃柏), 진피(陳皮), 생지황(生地黃), 감초(甘草) 건강(乾姜).
주치 : 陰虛(음허), 火動症(화동증)을 다스린다.
陰虛(음허)는 곧 血虛(혈허)이다. 疲勞(피로)한 중에 陰虛(음허)의 症狀(증상)이 뚜
렷하여 매일 오후가 되면 惡寒發熱(오한발열)이 있고 저녁이 되어 약간 찬 기운
을 만나면 풀리는 경우에 쓴다. 즉 虛熱(허열)을 느낄 때 쓰는 처방으로 일명 補陰
瀉火湯(보음사화탕)이라고 한다.
§ 許浚 - 일명 보음사화탕(補陰瀉火湯)이라 한다. 그러나 백출(白朮)을 빼고 보음산
이라 하였다. 그 이유는 백출(白朮)이 비록 혈(血)에 있으면 혈(血)을 따르
고, 기(氣)에 있으면 기(氣)를 따른다고 하나 실상(實相)인 즉 신경약(腎經葯)과 같
이 쓰지는 못하는 것이다. 왕절제(王節齊)가 백출(白朮)을 보음제(補陰劑)에 넣어
썼는데 이것은 고명(高明)한 분으로서 미쳐 깨닫지 못한 것이니 거(去)하는 것이
옳다.《集略》- 東醫寶鑑(동의보감).
보음전(保陰煎)《景岳全書》청열제(淸熱劑), 及生子不壽, 或孕后虛熱盜汗, 食少帶多者.
조성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황금(黃芩), 황백(黃柏), 작약(芍葯), 속단(續斷),
산약(山葯), 감초(甘草).
주치 : 대탁(帶濁) 유림(遺淋).- 적대혈(赤帶血), 혹 변혈(便血), 혈붕(血崩), 혹 월경 주기
가 일주일이상 이른 증상(經期太早), 맥활삭(脈滑數).
보음환(補陰丸)《明醫》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熟地黃(숙지황)五兩, 酒炒黃柏(주초황백), 酒炒知母(주초지모, 갈색), 酥灸龜板
(소구구판) 各三兩(각삼량), 酥灸鎖陽(소구쇄양), 枸杞子(구기자), 酒炒白芍(주초
백작), 天門冬(천문동) 各二兩(각이량), 五味子(오미자) 一兩(일량), 乾薑炒柴色
(건강초시색) 四錢(사전, 冬寒(동한)에는 6전까지 써도 좋다).
用法 : 作末(작말)하여 煉蜜(련밀)에 猪脊髓(저척수) 三條(삼조)를 넣어서 같이 和
勻(화균)해서 梧桐子大(오동자대)로 作丸(작환)하여 매번 80~90환을 空
心(공심)에 鹽湯(염탕) 혹은 溫酒(온주)로 呑下(탄하)한다.
주치 : 陰虛(음허), 火動(화동)하고 潮熱(조열)하며, 盜汗(도한)하고, 遺精(유정)하며, 夢
泄(몽설)하고, 咯(각), 唾血(타혈)하여서 나날이 여위어가는 症(증)을 다스린다.
이 방제는 원체 陰虛火動(음허화동)을 다스리는 방으로써 대체로 인체에 있어서
陰(음)은 항상 부족하고, 陽(양)은 항상 남음이 있는고로 항상 음을 補(보)해서 양
과 더불어 균등하게 하면 病(병)이 없는 법이다. 그러므로 補陰(보음)하는 약은 젊
을 때로부터 늙음에 이르기까지 없어서는 안 된다 하였다.
보익양영탕(補益養榮湯)《集略(집약)》- 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熟地黃(숙지황) 一錢半(일전반), 當歸身(당귀신) 一錢二分(일전이분), 白芍葯 (백
작약), 白茯苓(백복령), 白朮(백출), 陳皮(진피) 各一錢(각일전), 川芎(천궁), 人蔘
(인삼), 知母(지모) 各八分(각팔분), 黃柏(황백) 七分(칠분), 甘草(감초) 五分(오분),
五味子(오미자) 九粒(구립)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을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虛勞(허로)에 氣血(기혈)이 다 虛(허)한 症(증)을 다스린다.
五勞(오로) : 노동과 휴식을 적절히 취하지 못한 나머지 氣血筋骨(기혈근골)의 활
동이 失調(실조)되어 5가지 손상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소문 ․ 선명5기편》에서는 너무 오래 보면 血(혈)을 손상시키고, 너무 오래 누워
있으면 氣(기)를 손상시키고, 너무 오래 앉아 있으면 肉(육, 살)을 손상시키고, 너
무 오래 서있으면 骨(골)을 손상시키고, 너무 오래 걸으면 筋(근, 힘줄)을 손상시
키는데 이것이 이른바 五勞損傷(오로손상)이다. 라고 하였다.
七傷(칠상) : ① 7가지 勞傷(로상)의 병인이다.
《제병원후론 ․ 허로후》에서는 첫째 지나치게 먹으면 脾(비)를 損傷
(손상)시키고. . . 둘째 몹시 노여워하면 氣(기)가 거슬러 위로 올라가 肝(간)을 손
상시키고, , , 셋째 무거운 것을 들거나 濕(습)한 땅에 오래 앉아 있으면 腎(신)을 손
상시키고. . .넷째 몸이 차거나 찬 음식을 먹으면 肺(폐)를 손상시키고. . . 다섯째
근심, 걱정, 사려가 깊으면 心(심)을 손상시키고. . . 여섯째 바람, 비, 추위, 더위는
身(몸)을 손상시키고. . . 일곱째 심한 두려움을 억제하지 못하면 志(지)를 손상시
킨다. 라고 하였다.
② 腎氣虧損(신기휴손)의 7가지 증상이다.
《제병원후론 ․ 허로후》에서는 칠상이란 첫째는 陰寒(음한)이고, 둘째는 陰萎
(음위)이며, 셋째는 里急(리급)이 생기는 것이고, 넷째는 정액이 절로 흐르는 것이
며, 다섯째는 精氣(정기)가 적고 陰莖(음경) 맡이 습한 것이고, 여섯째는 精氣(정
기)가 맑고 차며 精液(정액)이 稀薄(희박)한 것이며, 일곱째는 소변이 固澁(고삽)
하여 오줌을 누려고 하지만 나가지 않는 것이다(소변이 頻數(빈삭)하고 淋病(림
병)에 의하여 소변이 흐리거나 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이라 하였다.
보익지황환(補益地黃丸)《太平聖惠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숙지황(熟地黃), 오미자(五味子), 원지(遠志), 눈녹각(嫩鹿角), 파극천(巴戟天), 종
용(蓗蓉), 석용예(石龍芮), 계심(桂心), 천문동(天門冬), 토사자(菟絲子).
주치 : 허로(虛勞).- 허로정소(虛勞精少) 면색황백(面色晄白) 요산신피(腰酸神疲) 양위조
설(陽萎早泄) 등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