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36 鱉甲養陰煎 - 補腎養血湯

Aktualisiert: 28. Aug. 2019


醫方集成

별갑양음전(鱉甲養陰煎)《中醫婦科治療學》 - 보신양혈탕(補腎養血湯)

《中醫症狀鑒別診斷學》


별갑양음전(鱉甲養陰煎)《中醫婦科治療學》

조성 ≒ 鱉甲(별갑), 龜版(구판), 乾地黃(건지황), 枸杞子(구기자), 麥門冬(맥문동), 杭白芍

(항백작) 各9, 首烏藤(수오등)15, 地骨皮(지골피) 茯神(복신) 各9, 丹皮(단피)6.

- 水煎 溫服

효용 : 養陰淸熱(자음청열), 滋補肝腎(자보간신)

주치 : 1) 부녀자 음이 허하고 혈이 줄어들어(陰虛血虧) 월경이 폐지되고 이행되지 못하

며(經閉不行) 약쪽 관대뼈 부위가 붉게 물드고(兩顴色紅), 조열이 일어나고 밤

잠을 잘 때 땀을 흘리게 되며(潮熱盜汗), 마음이 괴롭고 불안하여 잠이 잘 들지

않으며(心煩不寐), 손바닥 혹은 발바닥에 열감이 생기고(手心發熱), 입이 마르

고 입술이 붉고(口乾唇紅), 설태는 엷고 누렇고(苔薄而黃)맥은 세삭(脈細數)한

증상을 다스린다.

2) 부녀자의 음도가 느슨해지고, 불로 지지는 뜻한 동통이 발생하는 음정휴손형

(陰精虧損型) 환자를 다스린다.

별갑음자(鱉甲飮子)《濟生方》소도제(消道劑)

조성 ≒ 별갑(鱉甲), 감초(甘草), 오매(烏梅), 황기(黃芪), 진피(陣皮), 백출(白朮), 후박(厚

朴), 빈낭(檳榔), 초과(草果), 천궁(川芎), 적작(赤芍).

주치 : 학모(虐母).- 오랜 학질병으로 몸이 수척해지고(久虐形瘦), 가슴과 배가 창만한 감

이 있으며(胸腹脹滿) 옆구리 아래로 단단한 물체가 잡히는(脇下結

塊) 증상을 다스린다.

별갑전환(鱉甲煎丸)《金匱要略》소도제(消道劑)

조성 ≒ 자별갑(炙鱉甲), 포오선(炮烏扇), 황금(黃芩), 시호(柴胡), 오서부(熬鼠婦), 건강

(乾姜), 대황(大黃), 계지(桂枝), 정력자(葶藶子), 석위(石葦), 후박(厚朴), 단피(丹

皮), 구맥(瞿麥), 자위(紫葳), 반하(半夏), 인삼(人蔘), 오자충(熬蟅虫), 아교(阿膠),

자봉방(炙蜂房, 蜂窠), 적초(赤硝), 오강랑(熬蜣螂), 도인(桃仁), 작약(芍葯).

효능 : 행기활혈(行氣活血), 거습화담(祛濕化痰), 연견소징(軟堅消癥).

주치 : 1) 학모(虐母).- 학질(虐疾) 오래 도록 낫지 않아(日久不愈), 완고한 가래가 앙금이

되어서(頑痰加淤) 겨드랑이 밑에 뭉치어(結于脇下) 결리던 체증이

덩어리를 형성(形成痞塊) 하게 되는 것을 학모라 한다. 겨드랑이 밑에 징적(癥

積)으로 맺혀져서 밀어도 움직이지 않고, 뱃속에 동통이 나며 살이 빠지고(肌

肉消瘦), 음식이 감소되며, 때로는 추웠다 더웠다(寒熱)하고, 부녀자의 경우 월

경이 멈추는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

※ 학질(瘧疾)에 걸려있어서 月初에 發病하며, . . . 절로 낫지 않는 것은 복중에 비

괴(痞塊)가 생겼기 때문인데 이것을 학모(瘧母)라고 한다. 이는 신속히 치료할

필요가 있다.

【臨床報告】《江西漢醫藥 6 : 6, 1959 年》

별갑전환(鱉甲煎丸)으로 251 예의 만기흡혈충병(晩期吸血虫病)의 간비종대(肝脾腫

大)를 치료 했는데 유효율이 100%에 달했다.

이 병의 예는 간비종대(肝脾腫大)를 제외하고도 여전히 복수(腹水), 소수(消瘦), 미한열

(微寒熱), 해수(咳嗽), 두운목현(頭暈目眩), 사지핍력(四肢乏力) 설사(泄瀉) 등이 있다.

별갑전환(鱉甲煎丸)으로 치료한 후에 간비(肝脾)가 모두 다른 정도로 연화(軟化)되었

거나 축소되었다. 그중 일부는 고도(高度)의 복수(腹水)를 수반한 환자였는데 먼저 자

룡산(子龍散)으로 복수를 소제(消除)한 다음, 다시 별갑전환(鱉甲煎丸)을 복용하여 확

실하게 치료한 것이 80%나 되었다.

보간탕(補肝湯)《醫宗金鑑》보익제(補益劑)

조성 ≒ 당귀(當歸), 백작(白芍), 천궁(川芎), 숙지(熟地), 산조인(酸棗仁), 맥문동(麥門冬),

목과(木瓜), 감초(甘草).

효용 : 보혈양간(補血養肝)., 식풍지경(息風止痙)

주치 : 1) 간혈부족(肝血不足).

⑴ 머리가 어지럽고 눈에는 불꽃이 날으며((頭昏眼花), 눈동자가 깔끄럽고(目

澁), 지체마목(肢體麻木) 수족구련(手足拘攣) 설담(舌淡) 맥은 가늘고 똑똑

한 세맥(細脈) 등을 다스린다.

⑵ 간혈허증(肝血虛證) - 경증(輕症)의 경병(痙病).

보간탕(補肝湯)《金匱翼》

조성 ≒ 乾地黃(건지황), 當歸(당귀), 白芍(백작), 川芎(천궁), 陣皮(진피), 甘草(감초).

보간환(補肝丸) 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四物湯(사물탕, 熟地黃(숙지황), 當歸(당귀), 白芍(백작), 川芎(천궁))에 防風(방

풍), 羌活(강활)을 加(가)하여 作末(작말)한 후 蜜丸(밀환)한다.

주치 : 肝虛(간허)를 다스린다. 일명 凉肝丸(량간환)이라 한다.

보감당귀사역탕(寶鑒當歸四逆湯)《衛生寶鑑》리기제(理氣劑)

조성 ≒ 당귀미(當歸尾), 관계(官桂), 부자(附子), 시호(柴胡), 백작(白芍), 소회향(小茴香),

복령(茯苓), 택사(澤瀉), 원호(元胡), 천련자(川楝子).

주치 : 산기(疝氣).- 제복냉통(臍腹冷痛), 요과동통(腰胯疼痛), 혹 음낭종대(陰囊腫大), 추

창부적(墜脹不適), 유한냉감(有寒冷感), 음경은축(陰莖隱縮) 등.

보골지정(補骨脂酊)《經驗方》

조성 ≒ 補骨脂(보골지)180, 75% 酒精(주정, 或高粱酒)400 毫升. 泡 1 周后, 濾汁去渣備

用.- 外涂患處, 日 3~5 次, § 但皮損在顔面部位, 或者皮膚粘膜交界處, 愼用.

효용 : 調和氣血(조화기혈) 增染膚色(증염부색)

주치 : 白駁風(백박풍), 夏日白斑(하일백반), 僞白斑(위백반) 等.

보골지환(補骨脂丸)《中醫內科學》이비제(耳鼻劑)

조성 ≒ 보골지(補骨脂), 당귀(當歸), 천궁(川芎), 육계(肉桂), 숙지황(熟地黃), 천초(川椒),

석창포(石菖蒲), 두중(杜仲), 토사자(菟絲子), 호로파(胡蘆巴), 백지(白芷), 백질려

(白疾藜), 령자석(靈磁石).

주치 : 신정휴손(腎精虧損) 양허혈약(陽虛血弱)지 이명(耳鳴) 이농(耳聾).- 두운목암(頭

暈目暗) 요슬산연(腰膝酸軟) 식욕부진(食欲不振) 하지청냉(下肢淸冷) 소변청장

(小便淸長) 양위(陽痿) 설담(舌淡) 태박백(苔薄白) 맥지혹침이무력(脈遲或沉而无

力).

보근환(補筋丸)《醫宗金鑑》골상제(骨傷劑)

조성 ≒ 우슬(牛膝), 육종용(肉蓗蓉), 사상자(蛇床子), 토사자(菟絲子), 당귀(當歸), 숙지황

(熟地黃), 인삼(人蔘), 백복령(白茯苓), 오가피(五加皮), 정향(丁香), 침향(沉香), 목

향(木香), 목과(木瓜), 단피(丹皮), 백연예(白蓮蕊), 산약(山葯).

십육미약(十六味葯)

주치 : 질복손상(跌扑損傷) 근취골착(筋聚骨錯) 혈맥옹체(血脈壅滯) 청자종통(靑紫腫痛)

기혈허약(氣血虛弱).

보기운비탕(補氣運脾湯)《雜病源流犀燭》보익제(補益劑)

조성 ≒ 황기(黃芪),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진피(陣皮), 사인(砂

仁), 반하곡(半夏曲), 생강(生姜), 대조(大棗).

효용 : 온양익기(溫陽益氣)

주치 : 비허일격(脾虛噎膈).- 음식을 삼킬수 없고(飮食不下), 얼굴색이 희고 정신이 피로

하며(面白神疲), 배가 팽창하고 호흡이 촉박하여 끊어질 것

같으며(氣短腹脹),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이 연하고 가늘고 꾹눌러야 짚이나 가

늘고 똑똑한(脈細弱) 것을 다스린다.

보기탕(補氣湯)《正傳(정전)》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黃芪(황기) 二錢(이전), 人蔘(인삼), 麥門冬(맥문동), 桔梗(길경), 甘草(감초) 各一

錢 (각일전), 生姜(생강) 三片(삼편). - 水煎服(수전복)

주치 : 氣虛(기허)하고 脈(맥)이 浮(부)하며 軟(연)하고, 시도 때도 없이 怔忡(정충) 등을

하는 症(증)을 다스린다.

보기통포음(補氣痛脬飮)《女科輯要》

조성 ≒ 黃芪(황기), 麥冬(맥동), 通草(통초).

보락보관탕(補絡補管湯)《醫學衷中參西彔》리혈제(理血劑)

조성 ≒ 산수육(山茱肉), 용골(龍骨), 모려(牡蠣), 한삼칠(漢三七).

주치 : 폐로해혈(肺勞咳血), 각혈(咯血).- 해혈(咳血) 각혈(咯血) 일구불유(日久不愈), 혈

색선홍(血色鮮紅), 조열도한(潮熱盜汗), 맥세삭(脈細數).

보산무우방(保産无憂方)《傳靑主女科》경산제(經産劑)

조성 ≒ 당귀(當歸), 황기(黃芪), 천궁(川芎), 백작(白芍), 애엽(艾葉), 강활(羌活), 개수(芥

穗), 감초(甘草), 패모(貝母), 토사자(菟絲子), 지각(枳殼), 후박(厚朴).

주치 : 태동불안(胎動不安).- 요산복통(腰痠腹痛) 세욕소산(勢欲小産).

보산신효방(保産神效方)《傳靑主女科》

조성 ≒ 全當歸(전당귀), 川芎(천궁), 厚朴(후박), 菟絲子(토사자), 川貝母(천패모), 枳殼

(지각), 羌活(강활), 荊芥穗(형개수), 黃芪(황기), 蘄艾(기애), 紫草(자초), 白芍(백

작), 生姜(생강).

보선수(普癬水)《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生地楡(생지유), 苦楝子(고련자), 川槿皮(천근피), 斑蝥(반모).

보수고(補髓膏)《醫林(의림)》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黃腱牛前脚髓(황건우전각수) 三斤(삼근), 去滓白蜜(거재백밀) 四斤(사근), 人蔘

(인삼) 杏仁(행인) 各四兩(각사량) 竝細末(병세말), 胡桃肉(호도육) 50個(개) 細硏

(세연)해서 진흙처럼 만들고, 五味子細末(오미자세말) 各一兩(각일량)을 반죽하

여 磁缸(자항)에 담고 重湯(중탕)으로 1~2 시간쯤 달여서 取出(취출)하여 매번

一大匙(일대시, 큰 숟갈로 1숟가락)을 溫酒(온주)로 一日三回(일일삼회) 調下(조

하)한다.

주치 : 虛勞(허로)를 다스리고 精血(정혈)을 補(보)한다.

보수단(補髓丹)《新書(신서)》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雄猪脊膂(웅저척려) 一條(일조), 羊脊膂(양척려) 一條(일조), 團魚(단어, 鱉) 一枚

(일매), 鳥鷄(조계) 一雙(한쌍) 등 四味(사미)를 뼈를 버리고 肉(육)을 깨끗하게 취

하여 술 大椀(대완, 대접) 한 그릇과 같이 砂缸(사항)에 넣어 무르녹게 삶은 뒤에

찧어서 부순 다음 다시 뒤의 諸葯(제약)을 넣는다. 大山葯(대산약) 五條(오조), 蓮

肉(연육) 半斤(반근), 大棗(대조) 100枚(매), 霜柿(상시) 10個(개)의 四味(사미)를

깨끗이 씻어서 井華水(정화수)로 砂甕(사옹, 독)에다 삶아서 역시 찧어서 부수고

앞의 약들을 함께 섞어서 다시 慢火(만화)로 모으고 明膠(명교) 四兩(사량), 黃蠟

(황랍) 四兩(사량)을 천천히 앞에 열거한 八味(팔미)에다 넣어 가면서 다시 찧어

서 膏(고)를 만들고 平胃散末(평위산말), 四君子湯末(사군자탕말), 知母(지모), 黃

柏末(황백말) 各一兩(각일량)을 섞어서 合(합) 10兩(십량)의 분량으로서 製藥(제

약)이 10분쯤 되거든 다시 白蜜(백밀)을 넣고 고아서 靑石(청석) 위에다 放置(방

치)하고 나무 방망이로 진흙같

이 되도록 두드려서 丸(환)을 짖되 梧子大(오자대) 크기로 하여 매번 100환씩 사

간에 구애받지 말고(不拘時) 棗湯(조탕)으로 呑下(탄하, 삼키다) 한다.

주치 : 虛勞(허로)의 羸瘦(리수)를 다스리고, 髓(수)를 補(보)하며, 精(정)을 낳고, 血(혈)을

和(화)하게 하며, 氣(기)를 順(순)하게 한다.

보신고충탕(補腎固冲湯)《中醫學新編》

조성 ≒ 숙지황(熟地黃), 구기자(枸杞子), 아교(阿膠), 당귀(當歸), 토사자(菟絲子), 속단

(續斷), 당삼(黨參), 백출(白朮), 녹각상(鹿角霜), 파극천(巴戟天), 두중(杜仲), 사인

(砂仁), 대조(大棗).

보신고충환(補腎固冲丸)《中醫學新編》경산제(經産劑)

조성 ≒ 당삼(黨參), 백출(白朮), 구기자(枸杞子), 축사인(縮砂仁), 토사자(菟絲子), 천속 단

(川續斷), 아교(阿膠), 파극천(巴戟天), 두중(杜仲), 녹각상(鹿角霜), 대조(大棗), 당

귀(當歸), 숙지황(熟地黃).

주치 : 활태(滑胎).- 루잉루타(屢孕屢墮) 심혹응기이타(甚或應期而墮) 체질섬약(體質纖

弱) 요슬산연(腰膝酸軟) 정신위미(精神萎靡) 심계기단(心悸氣短) 야뇨빈다(夜尿

頻多) 혹활태후난우재잉(或滑胎后難于再孕) 설담눈(舌淡嫩) 태박백(苔薄白) 맥침

약(脈沉弱).

보신산결탕(補腎散結湯)《江蘇中醫雜志》1987 ; 11 : 27

조성 ≒ 黨參(당삼), 黃耆(황기), 地黃(지황), 天冬(천동), 地鱉虫(지별충), 炮山甲(포산갑),

制黃柏(제황백), 知母(지모), 枳殼(지각), 澤瀉(택사) 各10, 琥珀粉(호박분,呑)1.5,

肉桂(육계, 后下)2.- 水煎服.

효용 : 익신보정(益腎補精), 통락산결(通絡散結)

주치 : 고령남성(高齡男性) 전열선증생증(前列腺增生症).

【臨證擧例】報道 30 例, 其中 腎氣陰兩虛型 29 例, 腎陽虛型 1 例. 療效 12 例(40%), 人參

(인삼), 白朮(백출), 杜仲(두중), 續斷(속단), 益智仁(익지인), 阿膠(아교),

艾葉(애엽), 菟絲子(토사자), 補骨脂(보골지), 狗脊(구척).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北窓(북창)》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姜汁浸熟地黃(강즙침숙지황) 二兩(이량), 肉蓗蓉(육종용), 人蔘(인삼), 蜜炙黃芪

(밀자황기), 白朮(백출), 酒洗當歸(주세당귀), 白茯苓(백복령), 山葯(산약) 各二兩

(각이량), 炒杜仲(초두중), 炒破故紙(초파고지), 酒洗牛膝(주세우슬), 五味子(오

미자) 各一兩半(각일량반), 知母(지모) 黃柏(황백) 竝酒炒(병주초), 白芍葯(백작

약) 各一兩(각일량), 肉桂(육계), 沈香(침향) 各七錢半(각칠전반), 炙甘草(자감초)

五錢(오전)을 作末(작말)하여 梧子大(오자대) 만하게 蜜丸(밀환)을 지어 溫酒(온

주) 혹은 米飮(미음)으로 100환을 呑下(탄하, 삼키다) 한다.

주치 : 虛勞(허로)의 모든 증을 다스린다.

보신양혈탕(補腎養血湯)《中醫症狀鑒別診斷學》

조성 ≒ 선령비(仙靈脾), 선모(仙茅), 자하차(紫河車), 여정자(女貞子), 당귀(當歸), 백작

(白芍), 당삼(黨參), 구기자(枸杞子), 토사자(菟絲子), 향부(香附).

55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entarios


Los comentarios se han desactivado.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