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35 白朮散 - 變通白虎湯

Aktualisiert: 24. Aug. 2019


醫方集成

백출산(白朮散)《金匱要略》

경산제(經産劑) - 변통백호탕(變通白虎湯) 《經驗方》



백출산(白朮散)《金匱要略》경산제(經産劑)

조성 ≒ 백출(白朮), 궁궁(芎藭), 촉초(蜀椒), 모려(牡蠣).- 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태동불안(胎動不安) 인(因) 비허한습(脾虛寒濕).- 완복시통(脘腹時痛) 구토청연

(嘔吐淸涎). 불사음식(不思飮食) 백대시하(白帶時下), 심칙(甚則) 태동불안(胎動

不安).

백출산(白朮散)《全生指迷方》

조성 ≒ 白朮(백출), 茯苓(복령), 大腹皮(대복피), 生姜皮(생강피), 陣皮(진피).

백출탕(白朮湯)《景岳全書》

조성 ≒ 백출(白朮), 귤홍(橘紅), 반하(半夏), 복령(茯苓), 감초(甘草), 생강(生姜).

백출환(白朮丸)《洁古家珍》

조성 ≒ 백출(白朮), 남성(南星), 반하(半夏).

효용 : 익기건비(益氣健脾), 화담지해(化痰止咳).

주치 : 해수(咳嗽) - 비폐기허증(脾肺氣虛證) 合 육군자탕(六君子湯)《婦人良方》

백출후박탕(白朮厚朴湯)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白朮(백출), 厚朴(후박), 半夏(반하), 桂心(계심), 藿香(곽향), 靑皮(청피) 各一錢(각

일전), 炮姜(포강), 炙甘草(자감초) 各五分(각오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

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六己年(육기년) 卑監(비감)의 紀(기) 歲土(세토)가 不及(불급)하고 風氣(풍기)가

流行(류행)하여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飱泄(손설, 저녁에 먹은 것을 설사하다),

體重(체중), 癨亂(곽란), 腹痛(복통), 筋骨(근골)이 繇竝(요병, 함께 따라서)하고, 肌

肉(기육)이 실룩거리고 아프며 성을 잘 내응 것을 다스린다.

백통가저담즙탕(白通加猪膽汁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백통탕(白通湯)(총백(葱白), 건강(乾姜), 부자(附子)) 가(加) 저담즙(猪膽汁), 인뇨

(人尿, 童便).

주치 : 소음병(少陰病) 음성격양(陰盛格陽) 열약(熱葯)을 먹고 부작용이 일어난 자(者).-

설사(下利), 맥미(脈微).

☞ 백통탕(白通湯)을 복용했으나 설사가 멋지 않고(利不止), 궐역무맥(厥逆无脈), 건

구(乾嘔) 심번(心煩) 등 증상을 다스린다.

백통탕(白通湯)《傷寒論》온리약(溫里葯)

조성 ≒ 총백(葱白), 건강(乾姜), 부자(附子).

주치 : 소음병(少陰病) 음성격양(陰盛格陽).- 수족궐역(手足厥逆), 면적(面赤), 하리(下

痢), 맥미(脈微) 혹 침이무력(沉而无力).

백합계자탕(百合鷄子湯)《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조성 ≒ 백합(百合), 계자황(鷄子黃).

주치 : 백합병(百合病)으로 토(吐)한 후에 비위(脾胃)의 음(陰)을 손상(損傷)한 자(者), 폐

위(肺胃)의 화강지기(和降之氣)가 요란(擾亂)된 자(者)를 다스린다.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丸)《醫方集解》치조제(治燥劑)

조성 ≒ 생지황(生地黃)6, 숙지황(熟地黃)9. 맥문동(麥門冬)5, 백합(百合), 당귀(當歸), 초

작약(炒芍葯), 패모(貝母), 감초(生甘草) 各3, 현삼(玄參), 길경(桔梗) 各3.

효용 : 양음윤폐(養陰潤肺), 화담지해(化痰止咳).

주치 : 1) 폐신음휴(肺腎陰虧) 허화상염(虛火上炎) - 인후조통(咽喉燥痛) 해수기천(咳嗽

氣喘) 담중대혈(痰中帶血) 수족번열(手足煩熱)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삭(脈

細數).

2) 폐로(肺癆) - 폐음허증(肺陰虛證).

3) 혼정장(混睛障)

4) 실음(失音) - 폐신음허증(肺腎陰虛證).

백합세방(百合洗方)《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주성 ≒ 백합(百合). - 세신(洗身)

주치 : 백합병(百合病)으로 목이 마르게 된자(者).- 만약 몸을 하루 동안 씻은후 갈증(渴

症)이 해제(解除)되지 않은 자(者)는 약(葯)이 병(病)을 물리치지 못하는 것이니 맞

당히 “괄루모려산(栝樓牡蠣散)” 을 사용해야 한다 하였다.

백합지모탕(百合知母湯)《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조성 ≒ 백합(百合), 지모(知母).

주치 : 백합병(百合病)을 발한법(發汗法)으로 오치(誤治)를 하므로써 음(陰)을 상(傷)한

자(傷陰)를 다스린다.

백합지황탕(百合地黃湯)《金匱要略》卷上 청열제(淸熱劑)

조성 ≒ 백합(百合)50, 지황즙(地黃汁, 生地黃)200 毫升. 用水洗百合, 漬一宿, 漬出白沫

后去其水, 再以泉水 500 毫升, 煎百合至 250 毫升, 去滓, 加入地黃汁, 煎取 300

毫升. 分 2 次服. 大便色黑 如漆爲見效 見效卽停服.

효용 : 潤肺養陰(윤폐양음) 淸心補腎(청심보신)

주치 : 1) 백합병(百合病) 초기자(初起者), 미경한토하(未經汗吐下)

2) 臟躁(장조) 屬(속) 肝腎陰虛(간신음허) 心神失養(심신실양).

백합활석대자탕(百合滑石代赭湯)《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조성 ≒ 백합(百合), 활석(滑石), 대자석(代赭石).

주치 : 백합병(百合病) 하후(下后) 손상비위(損傷脾胃).- 구토(嘔吐) 혹 애역(呃逆) 기불하

강(氣不下降)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백합활석산(百合滑石散)《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조성 ≒ 백합(百合), 활석(滑石).

주치 : 백합병(百合病) 발열자(發熱者).

백행고(白杏膏)《古今醫鑒》옹양제(癰瘍劑)

조성 ≒ 輕粉(경분)3, 杏仁(행인)7枚. 同搗爛, 將瘡面 揭去痂, 先抹 猪膽汁, 后涂葯.

효용 : 解毒斂瘡(해독렴창).

주치 : 楊梅瘡(양매창).

백호가계지탕(白虎加桂枝湯)《溫病條辨》

조성 ≒ 석고(石膏), 지모(知母), 갱미(粳米), 감초(甘草), 계지(桂枝).

백호가계지탕(白虎加桂枝湯)《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조성 ≒ 지모(知母)9, 자감초(炙甘草)3, 석고(石膏)30, 갱미(粳米)6, 계지(桂枝)5~9.

효용 : 청열(淸熱) 통락(通絡) 영위(營衛) 조화(調和)

주치 : 온학(溫虐)으로 그 맥(脈)은 평(平)하고, 신열(身熱)이 있으나 무한(无汗)이고, 골

절동번(骨節疼煩)하고, 시유구토(時有嘔吐)하는 증(證). 또한 풍습열비(風濕熱痺)

장열(壯熱) 기조번조(氣粗煩躁) 관절종통(關節腫痛) 구갈(口渴) 태백(苔白) 맥현

삭(脈弦數).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蔘湯)《傷寒論》

조성 ≒ 석고(石膏)30, 지모(知母)9, 갱미(粳米)9, 감초(炙甘草)3, 인삼(人蔘)10. 물 600cc

로 끓여 300cc 정도에서 찌꺼기를 버리고 100cc 씩 3회 분복 한다.

효용 : 청열(淸熱), 익기(益氣), 생진(生津)., 폐위양청(肺胃兩淸), 기음쌍보(氣陰双補), 청

서익기보진(淸暑益氣保津).

주치 : 1) 백호탕증(白虎湯證)이다. 그리고 다한(多汗) 맥대무력(脈大无力) 진기개상증

(津氣皆傷證)이고 또한 서병(暑病)으로 진기양상(津氣兩傷) 한출배(汗出背) 미

오한(微惡寒) 신열(身熱) 갈증(渴症) 등.

2) 소갈병(消渴病) - 위음허증(胃陰虛證)

3) 서온병(暑溫病) - 서열상기증(暑熱傷氣證)

4) 급성록내장(急性綠內障)

눈이 빠질 것처럼 아프면서 오심(惡心) 구토(嘔吐)가 있고, 눈이 충혈(充血) 되

면서 부옇게 흐려지면서 동공(瞳孔)이 확대(擴大)되는 등 급성록내장(急性綠內

障)이 발생할 때

백호가창출탕(白虎加蒼朮湯)《類證活人書》청열제(淸熱劑)

조성 ≒ 석고(石膏), 지모(知母)9, 갱미(粳米)9, 감초(炙甘草)3, 창출(蒼朮)9.

효용 : 청열거습(淸熱祛濕)

주치 : 1) 습온병(濕溫病)으로 신중완비(身重脘痞) 흉비(胸痞) 고열(高熱) 다한(多汗) 구

갈욕음(口渴欲飮) 면적기조(面赤氣粗) 설태황미니(舌苔黃微膩) 혹 설홍태백니

(舌紅苔白膩) 맥활삭(脈滑數).

역치(亦治) ⑴ 서습곤조중초(暑濕困阻中焦) 장열번갈(壯熱煩渴) 다한익단(多汗

溺短) 완비신중(脘痞身重) 맥홍대(脈洪大).

⑵ 서습협체증(暑濕挾滯證) 合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2) 근래에는 풍습열(風濕熱) 등의 치료에도 쓰여 진다.

백호승기탕(白虎承氣湯)《驗方》

조성 ≒ 石膏(석고), 知母(지모), 甘草(감초), 粳米(갱미), 大戟(대극), 芒硝(망초).

백호지황탕(白虎地黃湯)《中國醫學大辭典》

조성 ≒ 生石膏(생석고), 生地(생지), 當歸(당귀), 枳殼(지각), 大黃(대황), 木通(목통), 甘草

(감초), 澤瀉(택사).

백호탕(白虎湯)《傷寒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석고(石膏)30, 지모(知母)9, 갱미(粳米)9, 감초(炙甘草)3.

효용 : 청열생진(淸熱生津), 수청열보진(須淸熱保津), 금표퇴열(金飇退熱)

주치 : 1) 양명기분(陽明氣分)의 열성(熱盛)으로 장열면적(壯熱面赤) 번갈인음(煩渴引

飮) 한출오열(汗出惡熱) 맥홍대유력(脈洪大有力) 혹 활삭(滑數)

2) 진정파손(眞睛破損)

3) 기비(肌痹) 피기염(皮肌炎) - 비위적열증(脾胃積熱證)

4) 東醫寶鑑(동의보감) - 陽明病(양명병)에 땀이 많고 煩渴(번갈)하며 脈(맥)이 洪,

大(홍,대)한데 쓴다.

丹心(단심)에 의하면 本處方(본처방)에 人參(인삼)一錢을 가하면 人參白虎湯(인

삼백호탕)이라 하고, 蒼朮(창출)一錢을 가하면 蒼朮白虎湯(창출백호탕)이라고한

다.

벌목환(伐木丸)(朮礬丸)《張三豊仙傳方》구충제(驅虫劑)

조성 ≒ 모산창출(茅山蒼朮, 미감수침(米泔水浸) 이숙(二宿), 거피모(去皮毛) 절편쇄건

(切片晒乾)) 조반(皂礬, 초반(醋拌) 쇄건(晒乾) 입양성관중돈화(入陽城罐中燉化))

황주면곡(黃酒面曲, 양황주용(釀黃酒用)적 주곡(酒曲)). 초호위환(醋糊爲丸) 호

주(好酒)혹 미탕송복(米湯送服).

주치 : 구충인기(鉤虫引起)적 황종병(黃腫病).- 면색위황(面色萎黃) 부종(浮腫) 심계기촉

(心悸氣促) 지권무력(肢倦无力).

벽력산(霹靂散)《證治准繩》

조성 ≒ 부자(附子).

벽옥산(碧玉散)《醫宗金鑑》

조성 ≒ 黃柏(황백), 紅棗(홍조).

벽옥산(碧玉散)《傷寒直格》거서제(祛暑劑)

조성 ≒ 육일산(六一散)(활석(滑石) 감초(甘草)) 가(加) 청대(靑黛).

주치 : 간화(肝火).- 입 또는 혀에 궤란이 생기고(口舌生瘡), 눈이 붉고 목이 아픈(목적인

통(目赤咽痛) 증상을 다스린다.

벽운산(碧云散)《醫宗金鑑》이비제(耳鼻劑)

조성 ≒ 세신(細辛)6, 신이화(辛荑花)6, 천궁(川芎)30, 청대(靑黛)3, 아불식초(鵝不食

草)30. 이상의 5 종 약제를 모두 곱게 갈아서 보관하고, 사용할 때 입에 맑은 물

을 머금은 체 콧구멍으로는 준비한 가루약을 들숨으로 들여 마셔서 제체기가 나

오게 하면 효력을 얻게 된다.

효용 : 거풍청열(祛風淸熱)

주치 : 1) 콧구멍이 막히는 비구(鼻鼽), 비질(鼻窒).

2) 껄쭉하게 탁한 콧물과 눈물을 흘리고, 코가 막히고 머리가 아픈(鼻塞頭痛) 환

자.

벽하정자(碧霞挺子)《證治准繩》

조성 ≒ 銅綠(동록), 𥓲砂(뇌사), 蟾酥(섬소).

변지고(胼胝膏)《中醫外科學》

조성 ≒ 生石灰(생석회), 苛性鈉(가성납), 肥皂(비조), 樟腦粉(장뇌분).

변통백호탕(變通白虎湯)《經驗方》

조성 ≒ 生石膏(생석고)30~45, 知母(지모), 蓮子心(연자심), 甘草(감초) 各6, 沙蔘(사삼),

山葯(산약) 白茅根(백모근) 各15~30, 浮萍(부평)10, 蟬蛻(선태)3.

1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