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33 拔云退翳散 - 白降丹

Aktualisiert: 1. Sept. 2020


醫方集成

발운퇴예산(拔云退翳散)

《銀海精微》치목제(治目劑) - 백강단(白降丹) 옹양제 (癰瘍劑)



발운퇴예산(拔云退翳散)《銀海精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楮實子(저실자), 薄荷(박하) 各15, 川芎(천궁)45, 黃連(황연), 菊花(국화), 蟬退(선

퇴) 各15, 瓜蔞根(과루근, 生)9, 蔓荊子(만형자), 密蒙花(밀몽화), 荊芥穗(형개수),

香白芷(향백지), 木賊(목적), 防風(방풍), 甘草(감초) 各15. 爲末 煉蜜爲丸 每 30g,

作 10 丸, 每服 2 丸, 1 日 2 服.

주치 : 숙예(宿翳).

발운퇴예환(拔云退翳丸)《原機啓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밀몽화(密蒙花), 국화(菊花), 형개수(荊芥穗), 만형자(蔓荊子), 선퇴(蟬退), 사탈

(蛇脫), 황연(黃連), 지골피(地骨皮), 당귀(當歸), 천궁(川芎), 박하(薄荷), 저실자

(楮實子), 천화분(天花粉), 목적(木賊), 자감초(炙甘草), 천초피(茜草皮), 백질려

(白疾藜). 십칠약미조성(十七葯味組成).

주치 : 천행적안(天行赤眼) 폭예(暴翳).- 백정홍적(白睛紅赤) 소퇴(消退), 흑정성예(黑睛

星翳) 불퇴(不退), 파광유루(怕光流泪) 시물불청(視物不淸).

발제산(發際散)《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五倍子(오배자), 雄黃(웅황), 枯礬(고반).

발제퇴예산(荸薺退翳散)《中醫眼科學講義》1980 年, 치목제(治目劑)

조성 ≒ 硼砂(붕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荸薺粉(발제분).

주치 : 宿翳(숙예)

방기복령탕(防己茯苓湯)《金匱要略》거습제(祛濕劑)

조성 ≒ 방기황기탕(防己黃芪湯) 거(去) 백출(白朮), 가(加) 운령(云苓) 계지(桂枝).

= 방기(防己), 황기(黃芪), 감초(甘草), 운령(云苓) 계지(桂枝).

주치 : 피수(皮水).- 사지부종(四肢浮腫) 기육경미도동(肌肉輕微跳動) 안지몰지(按之沒 指) 설태백활(舌苔白滑) 脈沉.

방기지황탕(防己地黃湯)《金匱要略》치풍제(治風劑)

조성 ≒ 방기(防己), 지황(地黃), 계지(桂枝), 감초(甘草), 방풍(防風).

주일배(酒一杯), 침지일숙(浸之一宿), 교취즙(絞取汁), 갱교지황즙(更絞地黃汁)

합(合) 분복(分服). 以上의 四味(地黃外)를 一杯의 술(酒)에 하룻밤을 담가 그 汁

을 짜낸다. 따로 生地黃 二斤을 짤게 썰어 一斗의 쌀을 찌는데 要하는 時間과 같

은 정도로 오 래 찐후에 汁을 짠다. 이 두 가지 汁을 銅器에 前汁, 后汁의 순서로

담고 잘저어서 二回로 나누어 복용한다.

주치 : 중풍광난(中風狂亂).- 병여광상(病如狂狀), 신식조난불녕(神識躁亂不寧), 독어불

휴(獨語不休), 무한열(无寒熱) 맥부(脈浮).

방기황기탕(防己黃芪湯)《金匱要略》卷上, 거습제(祛濕劑)

조성 ≒ 방기(防己)30, 황기(黃芪)37.5, 백출(白朮)22.5, 감초(炙甘草)15. 上爲粗末 如麻

豆大. 每服 15 克, 加 生姜 4 片, 大棗 1 枚, 水 300 毫升, 煎至 240 毫升, 去滓溫

服, 良久再服. 服后當如 虫行皮中, 從腰以下如冰, 后坐被上, 又以一被繞腰下 溫

令微汗.

효용 : 익기고표(益氣固表), 건비이수(健脾利水)

주치 : 1) 표허풍수(表虛風水).- 편신부종(扁身浮腫) 한출오풍(汗出惡風) 소변불리(小便

不利) 맥부(脈浮).

2) 풍습상박(風濕相搏), 맥부(脈浮), 신중(身重), 혹종혹통(或腫或痛), 한출오풍(汗

出惡風), 현재 공능성 수종(水腫)에 사용한다,

3) 갱년기 종합징(更年期綜合徵) 見有 上述症狀者, 卽症見有 수종(水腫), 부맥에

몸이 무거운 사람(脈浮 身重者).

4) 亦可用于 水濕壅滯(수습옹체) 血中蘊熱(혈중온열)之 狐臭(호취).

加减】 ① 風濕 或 風水.- 身重 汗出 惡風 脈浮 : 加味 生姜 大棗

② 喘者 : 加 麻黃 15 克.

③ 胃中不和 : 加 芍葯 22.5 克.

④ 氣上冲者 : 加 桂枝 22.5 克.

⑤下有陳寒者 : 加 細辛 22.5 克.

【臨床擧例】《陜西中醫》1987 ; 1 : 27

趙某, 女, 46 歲. 半年前 出現 水腫, 經驗査, 肝腎功能正常 心臟聽診及 尿 常規

檢査 亦屬正常 診爲功能性水腫. 曾服西葯 利尿劑, 水腫消, 但不能鞏 固 且出

現 乏力. 診見 下肢浮腫 按之沒指 晨輕暮重 乏力肢麻 白帶多 大 便溏薄 舌苔

薄白而膩 脈濡. 用本方加味 : 生黃耆 防己 各15, 生炒白朮 各10, 生姜 3 片, 大

棗 5 枚, 赤小豆 玉米須 各30. 煎服 7 劑后 腫消, 半个月后 浮腫又起 仍投上葯

再服 7 劑, 病卽痊愈. 隨防半年 未復發.

《貴陽中醫學院學報》1985 ; 3 : 34

本方治療 狐臭 12 例, 其中 男 3 例, 女 9 例, 年齡最大 48 歲, 最小 14歲 ;

病程 1~25 年不等.

處方 : 防己 黃芪 各30, 炒白朮15, 甘草6, 生姜9, 大棗20.,

① 若水濕盛者 : 加 茅蒼朮 車前子(草).

② 脾虛明顯者 : 加 茯苓皮 澤瀉.

③ 肥胖者 : 加 茵陣 焦山楂 各 20 克.

結果 : 12 例, 全部治愈 平均療程 3.5 月.

방풍강활탕(防風羌活湯)《醫宗金鑑》

조성 ≒ 防風(방풍), 羌活(강활), 連翹(연교), 甘草(감초), 升麻(승마), 夏枯草(하고초), 牛蒡

子(우방자), 川芎(천궁), 黃芩(황금), 海帶(해대), 海藻(해조), 僵蚕(강잠), 薄荷(박

하).

방풍귀궁탕(防風歸芎湯)《中醫傷科學講義》골상제(骨傷劑)

조성 ≒ 방풍(防風), 당귀(當歸), 천궁(川芎), 도인(桃仁), 유향(乳香), 몰약(沒葯), 택란엽

(澤蘭葉), 단삼(丹參), 만형자(蔓荊子), 료세신(遼細辛), 소목(蘇木), 강활(羌活), 백

지(白芷), 형개(荊芥).

- 십사미약(十四味葯)

주치 : 질타손상(跌打損傷) 청자종통(靑紫腫痛).

방풍당귀음자(防風當歸飮子)《丹心․東醫寶鑑》

조성 ≒ 滑石(활석)三錢, 柴胡(시호), 人蔘(인삼), 黃芩(황금), 甘草(감초)各一錢, 大黃(대

황), 當歸(당귀), 赤芍(적작), 防風(방풍) 各五分, 生薑(생강)三片(삼편).

剉作(좌작) 一貼(일첩)하여 水煎服(수전복)

丹心(단심)에 의하면 大黃(대황)은 陽明(양명)의 濕熱(습열)을 瀉(사)하여 大便(대

변)으로 따라 나오고 滑石(활석)은 三焦(삼초)의 妄火(망화)를 내려서 小便(소변)

으로 따라 나오고, 黃芩(황금)은 胸膈(흉격)을 맑히고, 防風(방풍)은 頭目(두목)을

맑히고, 人蔘(인삼), 甘草(감초)는 氣(기)를 補(보)하고, 當歸(당귀), 芍藥(작약)은

血(혈)을 補(보)하니 조금이라도 辛, 香(신,향)의 맛이없는 것은 燥熱(조열)의 謬

藥(류약)이다. 라 하였다.

주치 : 心, 肝(심,간)의 火(화)를 瀉(사)하고 腎, 脾(신,비)의 陰(음)을 補(보)하고, 風熱(풍

열), 燥熱(조열), 濕熱(습열)을 다스리고 虛(허)를 補(보)하는 良葯(량약)이다.

방풍산(防風散)《類編朱氏集驗方》

조성 ≒ 當歸(당귀), 芍葯(작약), 炒牛蒡子(초우방자) 各30, 荊芥穗(형개수)36, 蟬退(선

퇴)22.5, 生地黃(생지황), 白芷(백지), 甘草(감초), 白附子(백부자), 白僵蚕(백강잠,

炒去絲), 何首烏(하수오), 烏蛇肉(오사육, 酒浸 去皮骨 焙乾) 各15, 紫丹參(자단

삼)22.5.- 上爲細末 每服 9g, 加至 12~15g, 溫酒調下. 如不飮酒, 以蜜湯調下.

효용 : 祛風活血(거풍활혈)

주치 : 婦女(부녀) 經脈不勻(경맥불균) 氣血壅滯(기혈옹체) 肺有風熱(폐유풍열) 遍身癮

疹(편신은진) 紅紫成片(홍자성편) 肌肉頑痹(기육완비) 皮膚粗澁(피부조삽) 或時

瘙痒(혹시소양)

방풍산(防風散)《得効․東醫寶鑑》

조성 ≒ 羌活(강활), 防風(방풍), 當歸(당귀), 大黃(대황), 川芎(천궁), 梔子(치자), 薄荷(박

하) 各一錢, 蟬殼(선각), 甘草(감초) 各五分에 燈心(등심)20莖, 苦竹葉(고죽엽)10

片을 넣어 水煎服(수전복) 한다.

주치 : 積熱(적열)이 上冲(상충)하여 頭痛(두통)이 불과 같은데 쓴다.

방풍산(防風散)《丹心․東醫寶鑑》

조성 ≒ 防風(방풍), 川芎(천궁), 白芷(백지), 甘菊(감국), 甘草(감초) 各一兩. 作末(작말)하

여 每二錢(매이전)을 茶淸(다청)에 調下(조하)한다.

주치 : 頭目(두목) 不淸(불청)을 다스리고 去風明目(거풍명목)한다.

방풍탕(防風湯)《宣明論方》

조성 ≒ 방풍(防風), 당귀(當歸), 적복령(赤茯苓), 행인(杏仁), 황금(黃芩), 진구(秦艽), 갈근

(葛根), 마황(麻黃), 관계(官桂),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방풍탕(防風湯)《宣明論》치풍제(治風劑)

조성 ≒ 방풍(防風), 당귀(當歸), 행인(杏仁), 황금(黃芩), 감초(甘草), 마황(麻黃), 계지(桂

枝), 적복령(赤茯苓), 독활(獨活), 진구(秦艽), 갈근(葛根).- 11味 組成, 姜棗 爲引.

주치 : 행비(行痺).- 지체(肢體) 관절동통(關節疼痛) 유주부정(游走不定), 굴신불리(屈伸

不利), 발열오풍(發熱惡風), 맥부(脈浮).

방풍통경환(防風通經丸)《遼寧方》

조성 ≒ 白花蛇(백화사), 烏梢蛇(오초사), 黃連(황연), 蒼耳子(창이자), 丁香(정향), 苦蔘

(고삼), 威靈仙(위령선), 百部(백부), 白鮮皮(백선피), 蔓荊子(만형자), 川烏(천오),

草烏(초오), 白附子(백부자), 羌活(강활), 歸尾(귀미), 五加皮(오가피), 石菖蒲(석

창포), 牙皂(아조), 川牛膝(천우슬), 防風(방풍), 白蓮葉(백연엽), 大楓子(대풍자),

僵蚕(강잠), 木瓜(목과), 全蝎(전갈), 白蘞(백렴), 當歸(당귀), 蟬衣(선의), 橘皮(귤

피), 天麻(천마), 山梔(산치), 鬱芩(울금), 黃柏(황백), 蒼耳子(창이자), 笠紅根(립홍

근), 笠黃根(립황근), (或紅管根(홍관근))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丸)《宣明論》표리쌍해제(表裏雙解劑)

조성 ≒ 凉膈散(대황(大黃)15, 망초(芒硝)15, 감초(甘草)60, 치자(梔子)15, 황금(黃芩)30,

박하(薄荷)15, 연교(連翹)15.) 가(加) 방풍(防風)15, 천궁(川芎)15, 당귀(當歸)15,

백출(白朮)30, 백작(白芍)15, 길경(桔梗)30, 마황(麻黃)15, 활석(滑石)90,형개(荊

芥)15, 석고(石膏)30.

효용 : 解表通里(해표통리) 疏風淸熱(소풍청열) 化濕解毒(화습해독)

주치 : 1) 표(表)와 리(里)가 모두 실증(表裏俱實).- 장열이 나며 바람을 싫어하고(惡寒壯

熱), 대변이 몰려서 변비가되며(大便秘結), 소변량이 적고 색이 붉으며(小便短

赤), 혹 창양종독(瘡瘍腫毒) 장풍치루(腸風痔漏) 단반은진(丹斑癮疹)

2) 瘡瘍腫毒(창양종독) 腸風痔漏(장풍치루) 癮疹(은진) 등.

3) 暴風客熱(폭풍객열)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入門․東醫寶鑑》

조성 ≒ 滑石(활석)一錢七分, 甘草(감초)一錢二分, 石膏(석고), 黃芩(황금), 桔梗(길경) 各

七分, 防風(방풍), 川芎(천궁), 當歸(당귀), 赤芍(적작), 大黃(대황), 麻黃(마황), 薄

荷(박하), 連翹(연교), 芒硝(망초) 各四分半, 荊芥(형개), 白朮(백출), 梔子(치자) 各

三分半., 加 半夏(반하), 南星(남성).

剉作(좌작) 一貼(일첩)하여 薑三片(강삼편)을 넣어 水煎服(수전복) 한다.

☆ 이 處方(처방)이 熱,風,燥(열,풍,조)를 다스리는 良劑(량제)이다.(丹心)

대개 風(풍)은 熱(열)에 根本(근본)을 한 症(증)인데 熱(열)이 極(극)하면 風(풍)이

나는 법이요 燥(조)가 風(풍)에서 나는데 風(풍)이 動(동)하면 燥(조)가 생기니 그

의 실상은 한 源流(원류)인 것이며 이 처방이 능히 兼治(겸치)하는 법이다. 防風

(방풍), 薄荷(박하), 荊芥(형개), 麻黃(마황)을 쓰는 것은 熱邪(열사)로 하여금 玄府

(현부)를 따라 나가도록 하는 법이요, 梔子(치자), 滑石(활석)은 熱邪(열사)로 하

여금 小便(소변)으로 따라 나가도록 하는 법이며, 大黃(대황), 朴硝(박초)는 熱邪

(열사)로 하여금 大便(대변)을 따라 나가도록하는 법이요, 나머지 黃芩(황금)은

肺火(폐화)를 散(산)하고, 連翹(연교)는 心火(심화)를 散(산)하고, 石膏(석고)는 胃

火(위화)를 散(산)하고, 芍葯(작약)은 脾火(비화)를 散(산)하고, 川芎(천궁), 當歸

(당귀)는 血(혈)을 和(화)하며 燥(조)를 潤(윤)하고, 白朮(백출), 甘草(감초)는 脾

(비)를 補(보)하며 中(중)을 和(화)하게 하고, 桔梗(길경)은 膈(격)을 여는 것이니

진실로 善處方(선처방)이라고 할만하다,(丹心)

주치 : 모든 風熱(풍열)과 혹은 中風(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것과 暴瘖(폭음)으로 말소리

가 나오지 않는 것과 또는 洗頭風(세두풍), 破傷風(파상풍)으로 제반 (風축) 풍축

과 小兒(소아)의 驚風積熱(경풍적열)과 瘡疹(창진)이 黑陷(흑함)하여 瀕死狀態(빈

사상태)에 빠진 것과 傷寒(상한)의 疫癘(역려)를 분별하지 못하는 증세및 風熱瘡

疥(풍열창개)와 머리에 白屑(백설)이 나는 것과 面鼻(면비)에 紫赤色(자적색)의

風刺(풍자), 癮疹(은진)과 肺風瘡(폐풍창)과 大風癩疾(대풍라질)과 風火(풍화)의

鬱甚(울심)으로 말미암아 膓(장)이 脹滿(창만)하고 澁痛(삽통)하며 煩渴喘悶(번갈

천민)하는 것과 熱(열)이 極(극)하여 風(풍)이 나서 혀가 굳고입을 다물고 筋(근)이

떨리며 肉(육)이 실룩거리는 것과 大小(대소)의 瘡腫惡毒(창종악독)과 熱(열)이

大小便(대소변)에 맺힌 것을 通治(통치)하고 또 술에 傷(상)한 熱毒(열독)을 다스

린다.(宣明)

방풍해독탕(防風解毒湯)《先醒齋醫學廣筆記》영아제(嬰兒劑)

조성 ≒ 방풍(防風), 죽엽(竹葉), 우방(牛蒡), 박하(薄荷), 형개(荊芥), 목향(木香), 지실(枳

實), 길경(桔梗), 연교(連翹), 석고(石膏), 지모(知母), 감초(甘草). 십이미조성(十

二味組成)

주치 : 풍온(風溫).- 사진초기(痧疹初起) 표증중이겸리열(表證重而兼里熱).- 발열(發熱)

미오풍한(微惡風寒) 구고이갈(口苦而渴) 설홍(舌紅) 맥부삭(脈浮數).

방향벽예탕(芳香辟穢湯)《通俗傷寒論》거습제(祛濕劑)

조성 ≒ 울금(鬱芩), 풍란(偑蘭), 곽향(藿香), 이미(苡米), 백구인(白蔲仁), 백개자(白芥子),

천박(川朴), 고행인(苦杏仁), 활석(滑石).

주치 : 졸모예탁(卒冒穢濁).- 혼운구금(昏暈口噤) 면청지냉(面靑肢冷) 脈沉細而微.

방향화탁법(芳香化濁法)《時病論》⇒ 뢰씨방향화탁법(雷氏芳香化濁法)《時病論》

배기음(排氣飮)《沈氏尊生書》경산제(經産劑)

조성 ≒ 곽향(藿香), 목향(木香), 향부(香附), 박초(朴硝), 택사(澤瀉), 오약(烏葯), 지각(枳

殼),귤홍(橘紅).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산후역기(産后逆氣) 식체창통(食滯脹痛).- 흉협창통(胸脇脹痛) 완복만미통(脘腹

滿微痛) 염식(厭食) 맥현활(脈弦滑).

배농산(排膿散)《金匱要略》옹양제(癰瘍劑)

조성 ≒ 지실(枳實), 작약(芍葯), 계자황(鷄子黃), 길경(桔梗). 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위옹(胃癰) 혹(或) 장옹(腸癰)

배농탕(排膿湯)《金匱要略》옹양제(癰瘍劑)

조성 ≒ 생강(生姜), 대조(大棗), 감초(甘草), 길경(桔梗). 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위옹(胃癰) 혹(或) 폐옹(肺癰)

배석탕(排石湯)《中西醫結合急腹證》거습제(祛濕劑)

조성 ≒ 대황(大黃), 지각(枳殼), 금전초(金錢草), 산치(山梔), 호장(虎杖), 원호(元胡), 광목

향(廣木香).

주치 : 담결석(膽結石), 비뇨계결석(泌尿系結石) - 뇨로결석(尿路結石).

백강단(白降丹)《醫宗金鑑》

조성 ≒ 朱砂(주사), 雄黃(웅황), 水銀(수은), 硼砂(붕사), 火硝(화초), 食鹽(식염), 白礬(백

반), 皂礬(조반).

백강단(白降丹) 옹양제(癰瘍劑)

1.《醫宗金鑑》

조성 ≒ 승단(升丹) 가(加) 붕사(硼砂) 식염(食鹽). = 수은(水銀)일량(一兩), 명반(明礬)

화초(火硝) 조반(皂礬) 식염(食鹽) 각일량오전(各一兩五錢), 붕사(硼砂)오전

(五錢), 웅황(雄黃) 진사(辰砂) 각이전(各二錢). 瘡大者用 0.15~0.18g, 小者

0.03~0.06g, 以淸水調涂 瘡頭上; 亦可和 米糊爲條, 揷入瘡口中 外盖膏葯.

효용 : 부식(腐蝕) 평부(平腐)

주치 : 1) 옹저발배(癰疽發背) 일절정독(一切疔毒) 창양일구(瘡瘍日久) 성관자(成管

者).- 창양초기(瘡瘍初起) 미성농(未成膿), 혹이성농(或已成膿) 창양일구불

유(瘡瘍日久不愈) 형성루관(形成漏管) 구불수구(久不收口) 완부농육불거

(頑腐膿肉不去) 분류(粉瘤) 급(及) 루고절(螻蛄癤) 내막포낭(內膜包囊).

2) 궤양농부난거(潰瘍膿腐難去) 혹이성(或已成) 루관(瘻管), 종양성농(腫瘍成

膿) 불능자궤우지라력(不能自潰 疣 痣 瘰癧) 등증(等證) 외부(外敷) 소산약

물(消 散葯物) 효과(效果) 불현저(不顯著)

주의 : 홍승단(紅升丹) 백강단(白降丹) 강열부식지방제(强烈腐蝕之方劑) 면부(面部)

관절(關節) 구강(口腔) 이내(耳內) 안부(眼部) 심신(心腎) 등(等) 부위(部位) 균

불의사용(均不宜使用), 특별시(特別是) 초생아(初生兒) 불의용(不宜用).

2. 《種福堂公選良方》

조성 ≒ 거(去) 붕사(硼砂), 웅황(雄黃), 진사(辰砂).

3. 《瘍科心得集》

조성 ≒ 去 웅황(雄黃), 진사(辰砂), 加 백비(白砒)오전(五錢), 석청(石靑)삼전(三錢).

4.《中華人民共和國葯典》

조성 ≒ 거(去) 명반(明礬).

3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