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목적전(木賊煎)《景岳全書》 - 문합탕(文蛤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목적전(木賊煎)《景岳全書》
조성 ≒ 목적(木賊), 후박(厚朴), 빈낭(檳榔), 청피(靑皮), 반하(半夏), 창출(蒼朮).
주치 : 학질(虐疾) 습담소치(濕痰所致).- 신체(身體)가 건장(健壯)한 자(者)가 학질(虐疾)
삭발불지(數 發不止)하며 맥현활유력(脈弦滑有力).
목통산(木通散)《證治准繩》거습제(祛濕劑)
조성 ≒ 목통(木通), 상백피(桑白皮), 자소(紫蘇), 적복령(赤茯苓), 저령(猪苓), 빈낭(檳榔).
주치 : 기체수종(氣滯水腫).- 일신실종(一身悉腫) 천촉번민(喘促煩悶) 소변불리(小便不
利).
목통산(木通散)《婦科玉尺》
조성 ≒ 枳殼(지각), 檳榔(빈낭), 木通(목통), 滑石(활석), 冬葵子(동규자), 甘草(감초).
목통산(木通散)《醫宗金鑑》
조성 ≒ 木通(목통), 車前子(차전자), 篇蓄(편축), 瞿麥(구맥), 赤茯苓(적복령), 梔子(치자),
滑石(활석), 黃芩(황금), 甘草(감초), 大黃(대황), 燈芯(등심).
목향대안환(木香大安丸)《證治准繩》영아제(嬰兒劑)
조성 ≒ 목향(木香), 산사(山楂), 맥아(麥芽), 육신곡(六神曲), 황연(黃連), 연교(連翹), 광진
피(廣陣皮), 지실(枳實), 백출(白朮), 사인(砂仁), 래복자(萊菔子). 십일미조성(十一
味組成)
주치 : 유식적체(乳食積滯).- 면황기수(面黃肌瘦) 복부창실(腹部脹實) 애기오심(噯氣惡
心) 대변산취(大便酸臭) 식욕부진(食欲不振) 혹(或) 두온복
열(頭溫腹熱) 구토산 부유식(嘔吐酸腐乳食) 태황니(苔黃膩) 맥활삭(脈滑數).
목향도체환(木香導滯丸)《松崖醫徑》소도제(消道劑)
조성 ≒ 지실도체환(枳實導滯丸, 지실(枳實), 택사(澤瀉), 운령(云苓), 백출(白朮), 황금(黃
芩), 황련(黃連), 신곡(神曲), 천대황(川大黃)) 加 빈낭(檳榔), 목향(木香).
주치 : 습열식적(濕熱食積) 비만민란(痞滿悶亂).
목향등초환(木香燈草丸)《御葯院方》
조성 ≒ 木香(목향), 紅花(홍화), 燈草(등초) 各90. 上爲細末. 糯米粉 酒打糊爲丸, 如梧桐
子大. 每服 70 丸, 食前溫酒送下.1日 3次
효용 : 행기활혈(行氣活血) 이수통규(利水通竅)
주치 : 男子 중경중통(陰莖中痛), 소변삽체(小便澁滯).
목향보신환(木香補腎丸)《外科正宗》補陽劑 ☆☆☆
조성 ≒ 懷慶生地(회경생지, 酒煮 搗膏)120, 菟絲子(토사자), 肉蓗蓉(육종용), 黃精(황정),
黑棗肉(흑조육), 牛膝(우슬), 蛇床子(사상자, 微炒), 茯苓(복령), 遠志(원지) 各36,
當歸身(당귀신)72, 丁香(정향)9, 大茴香(대회향), 木香(목향) 各18, 枸杞子(구기
자)45, 巴戟天(파극천), 杜仲(두중) 各30, 靑鹽(청염), 人蔘(인삼) 各15.
- 上爲細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60~70丸, 空腹時 溫酒送下. 偏墜者炙
后宜服. 俱可內消.
효용 : 보신조양(補腎助陽), 행기소종(行氣消腫).
주치 : 신양부족(腎陽不足) 기허담성지 불육, 불잉(氣虛痰盛之 不育, 不孕).
男子偏墜 一名木腎 不疼不痒 漸漸而大 最爲頑疾 有妨行動 多致不便; 諸疝 不常
擧發者; 及 精寒血冷 久无嗣息.
【備考】 此葯功效 不獨治疝, 中年后服之 益壽延年 黑髮壯筋 塡髓明目 聰耳補腎
助元陽 調飮食. 其功不可盡述. 婦人服之 顔如童女 肌膚潔如玉.
목향빈낭환(木香檳榔丸)《儒門事新》소도제(消道劑)
조성 ≒ 목향(木香), 빈낭(檳榔), 황련(黃連), 황백(黃柏), 지각(枳殼), 청피(靑皮), 진피(陣
皮), 망초(芒硝), 향부(香附), 삼능(三棱), 아출(莪朮), 견우(牽牛), 대황(大黃).
주치 : 적체내정(積滯內停).- 완복창통(脘腹脹痛) 변비(便秘) 혹 하리적백(下痢赤白) 태
황니(苔黃膩) 맥실(脈實).
목향빈낭환(木香檳榔丸)《醫方集解》
조성 ≒ 木香(목향), 檳榔(빈낭), 靑陳皮(청진피), 枳殼(지각), 莪朮(아출), 黃連(황연), 三棱
(삼능), 大黃(대황), 黃柏(황백), 香附(향부), 玄明粉(현명분), 黑丑(흑축).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統旨方》리기제(理氣劑)
조성 ≒ 목향(木香), 창출(蒼朮), 진피(陣皮), 후박(厚朴), 감초(甘草), 사인(砂仁), 향부(香
附), 지각(枳殼), 청피(靑皮), 빈낭(檳榔).
주치 : 기체불서(氣滯不舒).- 흉민동통(胸悶疼痛) 양협창만(兩脇脹滿) 이급(以及) 복만
(腹滿), 복통(腹痛).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沈氏尊生書》리기제(理氣劑)
조성 ≒ 목향(木香), 지각(枳殼), 후박(厚朴), 청피(靑皮), 진피(陣皮), 오약(烏葯), 향부(香
附), 사인(砂仁), 계심(桂心), 감초(甘草), 천궁(川芎), 창출(蒼朮), 생강(生姜), 대조
(大棗).
주치 : 취증인(聚證因) 간기울체(肝氣鬱滯), 한습중조(寒濕中阻).- 완복비만(脘腹痞滿),
식소납매(食少納呆), 설태백니(舌苔白膩), 맥현(脈弦).
목향육계축한방(木香肉桂逐寒方)《驗方》
조성 ≒ 木香(목향), 肉桂(육계), 烏葯(오약), 砂仁(사인), 白芍(백작), 生姜(생강), 茯苓(복
령).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和劑局方》리기제(理氣劑)
주성 ≒ 목향(木香), 감초(甘草), 백구인(白蔲仁), 사인(砂仁), 정향(丁香), 단향(檀香), 곽향
(藿香).
주치 : 기체(氣滯).- 흉격허비(胸膈虛痞), 오심구토(惡心嘔吐), 우냉복통(遇冷腹痛).
목향조위산(木香調胃散)《胎産新書》
조성 ≒ 木香(목향), 陣皮(진피), 甘草(감초) 各4.5, 三棱(삼능), 莪朮(아출), 車前子(차전
자), 大腹皮(대복피), 紅豆(홍두), 砂仁(사인), 蒼朮(창출), 木通(목통), 山楂(산사),
萆薢(비해) 各3. 生姜皮(생강피)1.5.- 上爲粗末 水煎, 空腹時服
효용 : 活血通經(활혈통경) 利水消腫(이수소종)
주치 : 月經來時(월경래시) 扁身浮腫(편신부종)
몰약산(沒葯散)《聖濟悤錄》
조성 ≒ 沒葯(몰약), 川芎(천궁), 木香(목향), 炮烏頭(포오두), 天麻(천마), 白芷(백지), 肉桂
(육계), 茯神(복신, 去木), 牡丹皮(모단피). 芍葯(작약). 當歸(당귀) 各30.
효용 : 溫經活血(온경활혈) 祛風散寒(거풍산한)
주치 : 室女(질여) 月水不利(월수불리) 遍身疼痛(편신동통)
몽석곤담환(礞石滾痰丸)《養生主論》
조성 ≒ 청몽석(靑礞石), 침향(沉香), 대황(大黃), 황금(黃芩), 박초(朴硝).
몽석곤담환(礞石滾痰丸)《景岳全書》
조성 ≒ 靑礞石(청몽석), 沉香(침향), 大黃(대황), 黃芩(황금).
몽석곤담환(礞石滾痰丸)《丹溪心法附余》거담제(祛痰劑)
조성 ≒ 몽석(礞石), 황금(黃芩), 침향(沉香), 대황(大黃).
주치 : 실열노담(實熱老痰).- 전광경계(癲狂驚悸) 정충혼미(怔忡昏迷) 해수담조(咳嗽痰
稠) 설태황후이니(舌苔黃厚而膩) 맥활삭유력(脈滑數有力).
묘안초고(猫眼草膏)《便民圖纂》
조성 ≒ 猫眼草(묘안초, 澤漆)
묘향산(妙香散)《和劑局方》안신제(安神劑)
조성 ≒ 人參(인삼), 황지(黃芝), 진사(辰砂), 산약(山葯), 원지(遠志), 목향(木香), 사향(麝
香), 복령(茯苓), 복신(茯神),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심기부족(心氣不足), 기가 울결되어 우울하고(懮思鬱結), 놀래어 가슴이 두근거
리고 불안하며(驚悸不安), 마음이 허전하고 번거롭고 잠을 이루지 못하며(虛煩不
眠), 기뻐하다기 화를 내고 그 마음을 고정하지 못하며(喜怒无常), 반잠을 잘 때
땀을 많이 흘리며(夜多盜汗), 음식무미(飮食无味), 모리가 어지럽고 눈이 앗찔하
면서 캄캄해 지는(頭目昏眩) 등 증상을 다스린다.
무개산(无价散)《衛生寶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감수(甘遂)一錢半, 주사(朱砂)二錢半, 경분(輕粉)半錢. 삼미약조성(三味葯組成)
온수(溫水) 가(加) 마유(麻油)一滴, 조하(調下)
§ 일자(一字) 위고대도량방법(爲古代度量方法)지일(之一), 약합현재(約合現在)
0.5g
주치 : 풍열천촉(風熱喘促).- 발열오풍(發熱惡風) 해수기촉(咳嗽氣促) 미유한출(微有汗
出) 구갈담다(口渴痰多) 인부홍적(咽部紅赤)설태미황(舌苔微黃) 맥부삭(脈浮數).
무개산(无价散)《證治准繩》
조성 ≒ 辰砂(진사), 輕粉(경분), 甘遂(감수).
무기환(戊己丸)《和劑局方》청열제(淸熱劑)
조성 ≒ 좌금환(左金丸) 가(加) 백작(白芍).: 황련(黃連), 오수유(吳茱萸), 백작(白芍).
주치 : 비습하리(脾濕下利).- 설사가 멎지 않고(泄利不止), 미곡의 소화가 늦으며(미곡지
화(米谷遲化), 배와 배곱주위가 바늘로 찌르듯 아픈(臍腹刺痛) 자(者)를 다스린다.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무비산약원)《局方(국방)》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五味子(오미자) 六兩(육량), 肉蓗蓉(육종용) 四兩(사량), 菟絲子(토사자), 杜仲(두
중) 各三兩(각삼량), 山葯(산약) 二兩(이량), 赤石脂(적석지), 茯神(복신), 山茱萸
(산수유), 巴戟(파극), 牛膝(우슬), 澤瀉(택사), 熟地黃(숙지황) 各一兩(각일량)을
作末(작말)하여 梧子大(오자대) 크리고 蜜丸(밀환)을 지어 溫酒(온주) 혹은 米飮
(미음)으로 70~90환을 呑下(탄하, 삼키다) 한다. 이 약을 먹은 지 7일 후이면 몸
이 가볍고 불으며 얼굴빛이 光澤(광택)이 나며 手足(수족)이 따뜻하고 음성이 淸
亮(청량)하니 이것이 그 効驗(효험)이며 10일 후에는 肌肉(기육)이 生長(생장)하
고, 중앙을 통하여 腦(뇌)에 들어가며 코가 반드시 시고 아프나 異常(이상)하게
생각할 것은 없다.
주치 : 虛勞(허로)를 다스리고 腎(신)을 도우며 精血(정혈)을 더한다.
무비산약환(无比山葯丸)《千金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都氣丸(숙지(熟地),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택사(澤瀉), 단피(丹皮), 복령(茯
苓), 오미자(五味子)) 감(减) 단피(丹皮), 가(加) 적석지(赤石脂), 육종용(肉蓗蓉),
토사자(菟絲子), 파극육(巴戟肉), 우슬(牛膝), 두중(杜仲).
주치 : 신음부족(腎陰不足).- 허리와 대퇴부 무력증(腰腿无力), 주야로 사정하며(夢精滑
精), 머리가 빙빙돌고 귀에서는 소리가 나는(頭暈耳鳴) 증 증상을 다스린다.
무운산(巫云散)《東醫寶鑑》
조성 ≒ 明礬(명반), 五倍子(오배자), 百葯煎(백약전), 靑胡桃皮(청호도피), 石榴皮(석류
피), 訶子皮(가자피), 木瓜皮(목과피), 猪牙皂角(저아조각), 何首烏(하수오) 細辛
(세신).
문합산(文蛤散)《傷寒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문합(文蛤).
주치 : 상한(傷寒) 태양표증(太陽表證) 불해(不解).- 양울발열(陽鬱發熱) 불용한법(不用
汗法) 반용(反用) 냉수분림(冷水濆淋) 겁열이성(劫熱而成) 내유울열(內有鬱熱) 외
유수한(外有水寒). 신열불해(身熱不解) 육상속기(肉上粟起), 심번(心煩), 의욕음
수(意欲飮水) 단불갈(但不渴)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한사에 의해 상한 태양병 표증이 해제되지 않은 자.- 양기가 울결되여 발열이 있
을 경우는 한법(汗法)을 사용하여 땀을 내면 안된다. 반하여 냉수를 체표에 뿜어
서 체내에 울결된 열기를 빼내고, 따라서 체표에 있는 수한도 제거된다.
몸의 열이 해제되지 않고, 피부위로 좁쌀 같이 돗아나며, 마음이 번거롭고, 물을
마시려고 하면 목이 마르지 않는 등 이런 변증을 근거로 치로 한다.
문합탕(文蛤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문합(文蛤), 마황(麻黃), 행인(杏仁), 석고(石膏),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
棗).
주치 : 토후탐음(吐后貪飮).- 토후갈심(吐后渴甚) 음수불지(陰水不止) 불복토(不復吐) 심
번(心煩) 태황(苔黃) 맥부삭(脈浮數).
Komment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