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매화점설단(梅花点舌丹)《外科全生集》 - 목유산(木萸散)《經驗方》
매화점설단(梅花点舌丹)《外科全生集》
조성 ≒ 沒葯(몰약), 硼砂(붕사), 熊膽(웅담), 乳香(유향), 血竭(혈갈), 葶藶(정력), 大冰片
(대빙편), 沉香(침향) 各3, 蟾酥(섬소), 麝香(사향) 各6, 破大珍珠(파대진주)9, 朱砂
(주사) 牛黃(우황) 各9.
各制細末(각제세말), 以人乳化開蟾酥(이인유화개섬소) 入葯末(입약말) 和搗爲
(화도위) 500 丸, 如綠豆大(여녹두대) 金箔爲衣(금박위의).
每次 一丸, 和葱白打碎, 酒呑, 盖暖取汗, 每天 3 次. 或用醋化開, 外敷患處.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消腫止痛(소종지통)
주치 : 疔毒惡瘡(정독악창) 无名腫毒(무명종독) 癰癤紅腫(옹절홍종) 咽喉腫痛(인후종통)
맥동양영탕(麥冬養營湯)《血證論》
조성 ≒ 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당귀(當歸), 백작(白芍), 생지황(生地黃),
지모(知母), 진피(陣皮), 황기(黃芪), 감초(甘草).
주치 : 타혈(唾血), 각혈(咯血) - 비음허증(脾陰虛證)
맥문동탕(麥門冬湯)《金匱要略》치조제(治燥劑)
조성 ≒ 맥문동(麥門冬), 인삼(人參), 반하(半夏), 감초(甘草), 갱미(粳米), 대조(大棗).
효용 : 자음(滋陰), 윤폐(潤肺), 청열(淸熱).
주치 : 1) 폐위음상(肺胃陰傷) 기화상염(氣化上炎)적 폐위(肺痿).- 해토연말(咳吐涎沫) 인
후건조이갈(咽喉乾燥而渴) 설광홍(舌光紅) 맥허삭(脈虛數).
2) 역치(亦治) 위음부족(胃陰不足) 기화상역(氣火上逆)의 구토(嘔吐).
3) 위통(胃痛) - 위음허증(胃陰虛證)
4) 구토(嘔吐) 허증(虛證) -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 위음이 부족한 사람이(若胃陰
虛者), 때로는 헛구역질을 하고(時作干嘔), 구갈(口渴), 위완부가 불로 지지는 뜻
한 열감이 나며(胃部有灼熱感), 태는 벗겨져서 광이 나다(苔光剝).
5) 폐위(肺痿) - 폐음허증(肺陰虛證) 또는 폐기음양허증(肺氣陰兩虛證)
맥문동탕(麥門冬湯)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麥門冬(맥문동), 白芷(백지), 半夏(반하), 竹葉(죽엽), 鍾乳粉(종유분), 桑白皮(상
백피), 紫菀茸(자원용), 人蔘(인삼) 各一錢(각일전), 甘草(감초) 五分(오분)을 剉作
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
(수전복)한다.
주치 : 六戊年(육무년) 赫曦(혁희)의 紀(기)
歲火(세화)가 太過(태과)하고 火暑(화서)가 流行(류행)하여 肺金(폐금)이 邪(사)를
받아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瘧疾(학질), 少氣(소기), 咳喘(해천), 血溢(혈일), 血泄
(혈설), 身熱(신열), 骨痛(골통) 등증이 漫淫(만음)하는 것을 다스린다.
맥미지황환(麥味地黃丸)(湯)《醫級》
조성 ≒ 熟地(숙지), 山葯(산약), 山茱肉(산수육), 澤瀉(택사), 茯苓(복령), 丹皮(단피), 麥冬
(맥동), 五味子(오미자).
면충산(綿茧散)《證治准繩》
조성 ≒ 出蛾綿茧(출아면충), 生白礬(생백반).
將生白礬 搗碎納入 茧內, 煅燒, 待礬汁盡后, 硏末備用.
면회산(免懷散)《濟陰綱目》경산제(經産劑)
조성 ≒ 당귀(當歸), 적작약(赤芍葯), 홍화(紅花), 우슬(牛膝).
주치 : 산부(産婦) 불욕포유(不欲哺乳).- 회유환가용(回乳還可用)피초장우포대(皮硝裝于
布袋), 배공유즙후(排空乳汁后) 부우유부(敷于乳部) 병찰긴(幷扎緊) 대온후갱환
(待溫后更換). 역가용(亦可用) 맥아(麥芽) 선퇴(蟬退) 수전복(水煎服)
멸개유(滅疥油)《普濟方》
조성 ≒ 硫黃(유황), 白礬灰(백반회).
멸선지습분(滅癬止濕粉)《中醫外科學》
조성 ≒ 硫黃(유황), 樟腦(장뇌), 吳茱萸(오수유), 烏賊骨(오적골).
명목지황환(明目地黃丸)《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숙지황(熟地黃), 생지황(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두중(杜仲), 택사
(澤瀉), 복신(茯神), 시호(柴胡), 당귀신(當歸身), 오미자(五味子).
효능 : 양간명목(養肝明目)
주치 : ① 간신휴손지(肝腎虧損之)지 운무이정(云霧移睛) - 시물혼몽(視物昏朦) 혹(或)
능근겁원(能近怯遠) 안전자각흑화비무(眼前自覺黑花飛舞) 유리체혼탁(琉璃
體混濁) 혹(或) 안동시(眼動時) 유리체동탕명현(琉璃體動蕩明顯) 두운이명(頭
暈耳鳴) 요산유설(腰酸遺泄) 구조인건(口燥咽乾) 맥세무력(脈細无力)
② 안병(眼病) - 간음허증(肝陰虛證)
③ 청맹(靑盲) 고풍내장(高風內障)
명반산(明礬散)《中醫耳鼻喉科學》이비제(耳鼻劑)
조성 ≒ 명반(明礬), 백강단(白降丹), 웅황(雄黃), 감수(甘遂). 위세말(爲細末) 용수혹향유
조합(用水或香油調合) 방우면편상(放于棉片上) 부우식육(敷于息肉) 적제후칠천
(摘除后七天) 가방지복발(可放止復發).
주치 : 비식육(鼻息肉)
명반세제(明礬洗劑)《中醫外科外治法》
조성 ≒ 明礬(명반), 白及(백급), 馬勃(마발).
모단산(牡丹散)《三因極一病證方論》
조성 ≒ 모단피(牡丹皮), 대황(大黃), 망초(芒硝), 동과자(冬瓜子), 도인(桃仁).
모단피산(牡丹皮散)《婦人大全良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모단피(牡丹皮) 연호색(延胡索) 삼능(荊三棱) 아출(莪朮) 당귀미(當歸尾) 우슬(牛
膝) 적작(赤芍) 계심(桂心).
주치 : 혈어(血瘀).- 복중적괴(腹中積塊) 통유정처(痛有定處) 설유어반(舌有瘀斑) 맥삽
(脈澁).
모려산(牡蠣散)《和劑局方》고삽제(固澁劑)
조성 ≒ 모려(牡礪), 부소맥(浮小麥), 마황근(麻黃根), 황기(黃芪).
주치 : 표허자한(表虛自汗).- 밤잠을 잘 때 땀이 심하게 많이 나며(盜汗尤甚), 자각적으로
심장이 뛰고 두근거리며 불안해하고 잘놀라고 근심 하며
(心悸驚惕), 호흡이 촉박하며(短氣), 번거롭고 권태로우며(煩倦), 설담홍(舌淡紅)
등 증상을 다스린다.
모려산(牡蠣散)《證治准繩》
조성 ≒ 煅牡蠣(단모려), 川芎(천궁), 熟地黃(숙지황), 白茯苓(백복령), 龍骨(용골), 續斷
(속단), 當歸(당귀), 焦艾葉(초애엽), 人參(인삼), 五味子(오미자), 地楡(지유), 甘草
(감초).
모려택사산(牡蠣澤瀉散)《傷寒論》거습제(祛濕劑)
조성 ≒ 모려(牡蠣), 택사(澤瀉), 촉칠(蜀漆), 정력자(葶藶子), 상육근(商陸根), 해조(海藻),
괄루근(栝樓根).
주치 : 수종(水腫).- 대병차후(大病差后) 요이하유수기(腰以下有水氣) 안지요함(按之凹
陷) 이변불리(二便不利) 맥침유력(脈沉有力).
모반단(牡礬丹)《類證治裁》
조성 ≒ 牡蠣粉(모려분), 黃丹(황단), 枯礬(고반).
모창세방(毛瘡洗方)《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蒼耳子(창이자), 明礬(명반), 雄黃(웅황).
목방기거석고가복령망초탕(木防己去石膏加茯苓芒硝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목방기(木防己), 계지(桂枝), 인삼(人蔘), 복령(茯苓) 망초(芒硝).
주치 : 지음(支飮).- 천만(喘滿) 심하비견(心下痞堅) 면색려흑(面色黧黑) 맥침긴(脈沉緊).
목방기탕(木防己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방기(防己), 석고(石膏), 인삼(人蔘), 계지(桂枝).
주치 : 수음화열(水飮化熱).- 천만(喘滿) 심하비견(心下痞堅) 번갈(煩渴) 설태황니(舌苔
黃膩) 맥침삭현(脈沉數弦).
목유산(木萸散)《經驗方》
조성 ≒ 木瓜(목과), 吳茱(오수), 防風(방풍), 全蝎(전갈), 蟬衣(선의), 天麻(천마), 僵蚕(강
잠), 膽南星(담남성), 藁本(고본), 桂枝(계지), 蒺藜(질려), 朱砂(주사), 雄黃(웅황),
猪膽汁(저담즙).
- 水煎服(수전복)
효용 : 祛風化痰(거풍화담) 淸熱解毒(청열해독)
주치 : 破傷風(파상풍)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