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마황가출탕(麻黃加朮湯)《金匱要略》
치풍제(治風劑) - 매화점설단(梅花点舌丹)
《外科證治全生集》옹양제(癰瘍劑)
마황가출탕(麻黃加朮湯)《金匱要略》치풍제(治風劑)
조성 ≒ 마황탕(麻黃湯) 가(加) 백출(白朮) : 마황(麻黃)6, 계지(桂枝)4, 행인(杏仁)9, 자감
초(炙甘草)3, 백출(白朮).
주치 : 풍습번동(風濕煩疼).- 신체동통(身體疼痛) 이겸번요(而兼煩擾).
마황계지각반탕(麻黃桂枝各半湯)《傷寒論》(天津方)
조성 ≒ 麻黃(마황), 桂枝(계지), 白芍(백작), 生姜(생강), 大棗(대조), 甘草(감초), 杏仁(행
인). - 水煎服
치법 : 散風祛寒(산풍거한) 調和營衛(조화영위).
마황부자감초탕(麻黃附子甘草湯)《傷寒論》: 해표제(解表劑)
조성 ≒ 마황(麻黃), 포부자(炮附子), 감초(甘草).
주치 : 상한(傷寒) 소음병(少陰病) 표사경증(表邪輕證). 소음병(少陰病) 발열(發熱) 맥침
(脈沉), 이삼일(二三日) 무리증(无裏證), 변증의거(辨證依据).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傷寒論》
조성 ≒ 마황(麻黃), 포부자(炮附子), 세신(細辛).
주치 : 양허(陽虛) 감한발열(感寒發熱). 오한심(惡寒甚) 발열경(發熱輕) 맥침이무력(脈沉
而无力)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마황사물탕(麻黃四物湯)《醫宗金鑑》
조성 ≒ 麻黃(마황), 桂枝(계지), 杏仁(행인), 甘草(감초), 生姜(생강), 大棗(대조), 當歸 (당
귀), 熟地(숙지), 川芎(천궁), 白芍(백작).
마황순주탕(麻黃醇酒湯)《金匱要略》거습제(祛濕劑)
조성 ≒ 마황(麻黃), 청주(淸酒).
주치 : 외감풍한(外感風寒) 습열재표(濕熱在表) 황달(黃疸).- 신황(身黃) 발열오한(發熱
惡寒) 무한(无汗) 맥부(脈浮).
마황승마탕(麻黃升麻湯)《傷寒論》: 해표제(解表劑)
조성 ≒ 마황(麻黃), 승마(升麻), 당귀(當歸), 지모(知母), 황금(黃芩), 위유(葳蕤), 작약 (芍
葯), 천문동(天門冬), 계지(桂枝), 복령(茯苓), 감초(甘草), 석고(石膏), 백출(白朮),
건강(乾姜).
주치 : 상한(傷寒) 대하후(大下后) 상열하한(上熱下寒) 정허양울(正虛陽鬱), 상한(傷寒)
대하후(大下后) 인후불리(咽喉不利) 타농혈(唾膿血) 설이불지(泄利不止) 무한 (无
汗) 수족궐역(手足厥逆) 촌맥침이지(寸脈沉而遲), 하부맥불지(下部脈不至).
마황연교적소두탕(麻黃連翹赤小豆湯)(麻黃連軺赤小豆湯)《傷寒論》: 해표제(解表劑)
조성 ≒ 마황(麻黃), 연교(連翹), 행인(杏仁), 적소두(赤小豆), 생재백피(生梓白皮, 桑白皮),
감초(炙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양황겸표증(陽黃兼表證). 신목발황(身目發黃), 소변불리(小便不利) 발열오한(發
熱惡寒) 흉완비민(胸脘痞悶) 무한(无汗) 맥부(脈浮) 등 변증의거.
마황정통탕(麻黃定痛湯)《壽世保元》太陰人方-(唐宋明時期)
조성 ≒ 麻黃(마황)15, 杏仁(행인)7.5, 黃芩(황금), 半夏(반하), 桑白皮(상백피), 蘇子(소
자), 款冬花(관동화), 甘草(감초) 各5, 白果(백과, 炒)21个.
☞ 李濟馬는 半夏 蘇子와 甘草를 빼야 한다고 하였다.
효용 : 肺(폐)의 元氣(원기)를 거두어 들이고 邪氣(사기)를 몰아내며, 消化를 돕는다.
주치 : 喘息(천식).
마황탕(麻黃湯)《傷寒論》: 신온해표제(辛溫解表劑) (太陰人方, 張仲景)
조성 ≒ 마황(麻黃)6-15, 계지(桂枝)4-10, 행인(杏仁)9, 자감초(炙甘草)30. 姜棗.
효용 : 발한해표(發汗解表) 선폐평천(宣肺平喘)
주치 : 1) 외감풍한(外感風寒)으로 오한발열(惡寒發熱) 두신동통(頭身疼痛) 무한 이천
(无汗而喘) 설태박백(舌苔薄白) 맥부긴(脈浮緊).
2) 효천(哮喘) - 발작기(發作期) 先用 : 폐비신양허증(肺脾腎陽虛證)
증해 : 풍한(風寒)으로 인체(人體)의 기표(肌表)가 상(傷)하면 털구멍(毛竅)이 막히고 폐
기불선(肺氣不宣)이 되며 위기(衛氣)가 외달(外達)될 수가 업께 되고 영기(營氣)
도 불창(不暢) 된다. 그래서 외견상 오한발열(惡寒發熱) 두통(頭痛) 신동(身疼) 무
한(无汗) 부맥(浮脈)이 되고 안으로는 천촉(喘促)이 생긴다.
방해 : 마황(麻黃)은 맛이 쓰고 맵고 성질은 온(溫)한 폐경(肺經)의 전문약이다. 인체의
양기(陽氣)를 발산케 하여 발한해표(發汗解表)와 선폐평천(宣肺平喘) 작용이 있
으므로 군약(君葯)으로 쓴다. 영삽위울(營澁衛鬱)로 인하여 마황(麻黃)을 단용(單
用)하여 발한(發汗)케하고 위기(衛氣)의 울(鬱)을 풀어(解鬱) 준다.
계지(桂枝)는 온경산한(溫經散寒) 투영달위(透營達衛) 하므로 신약(臣葯)으로 씀
으로 발한해표(發汗解表)를 강화하고 신동(身疼)을 제거(除去)한다.
麻黃(마황), 桂枝(계지)는 모두 상행(上行)하여 산(散)하게 한다. 그래서 다시 폐기
(肺氣)를 내리고 풍한(風寒)을 산(散)하게 하는 행인(杏仁)을 좌약(佐葯)으로 하여
같은 마황(麻黃)으로 일선일강(一宣一降)케 하여 해울평천(解鬱平喘)의 효능을
증강시켰다.
자감초(炙甘草)는 선강(宣降)의 마황(麻黃)과 행인(杏仁)을 조화시키고 또한 마황
(麻黃) 계지(桂枝)의 상합(相合)으로 인한 준열한 성질을 또 완화시키며 한출(汗
出)케 함으로써 과맹(過猛)과 정기(正氣)의 모상(耗傷)에 이르지 않게 한다.
주의 : 마황(麻黃)에 계지(桂枝)를 득하면 마황(麻黃)은 위분(衛分)의 울(鬱)을 발산하고,
계지(桂枝)는 영분(營分)의 사(邪)를 투달(透達)하는 까닭에 가금(柯琴)은 마황탕
을 평하기를 “개표축사발한(開表逐邪發汗)의 준열한 방제”라고 하였다. 바로 이
것은 상한론(傷寒論) 속의 창가(瘡家) 임가(淋家) 뉵가(衄家) 망혈가(亡血家) 그리
고 상한표허자한(傷寒表虛自汗)과 혈허(血虛)에서 맥(脈)이 척중지(尺中遲)로 나
타나서 하제(下劑)를 잘못 씀으로써 나타나는 신중심계(身重心悸) 등에 대하여
비록 표허증(表虛證)이 있더라도 역시 본방을 사용하지 말어야 한다. 풍열(風熱)
에서 온열(溫熱)의 결과로 일어난 표증(表證) 또는 표한증(表寒證)이 치료되지 못
해서 사울(邪鬱)이 열(熱)로 화한 것도 본방은 역시 좋지가 않다.
요컨대 이것은 발열(發熱) 구갈(口渴) 삭맥(數脈) 또는 환자(患者)의 기(氣) 혈(血)
진(津) 액(液)이 편허(偏虛)하고 혹은 리열(裏熱)을 겸하거나 오한(惡寒)이 있더라
도 발열(發熱) 무한(无汗) 신동(身疼) 부맥(浮脈) 등의 증(證)이 있을 때는 모두가
마황탕(麻黃湯)으로 치료해서는 않된다.
마황행인감초석고탕(麻黃杏仁甘草石膏湯)《傷寒論》: 해표제(解表劑)
조성 ≒ 마황(麻黃), 행인(杏仁), 감초(甘草), 석고(石膏).
주치 : 표사화열(表邪化熱) 옹알우폐(壅遏于肺)적 천역(喘逆), 발열(發熱) 천급(喘急) 구
갈(口渴) 설태황(舌苔黃) 맥부활삭(脈浮滑數)
마황행인의이감초탕(麻黃杏仁薏苡甘草湯)《金匱要略》치풍제(治風劑)
조성 ≒ 마황(麻黃), 행인(杏仁), 의이인(薏苡仁), 자감초(炙甘草).
주치 : 풍습신통(風濕身痛).- 일신진동(一身盡疼), 발열(發熱), 일포갱극(日晡更劇).
만금고(万金膏)《眼科纂要》
조성 ≒ 荊芥(형개), 防風(방풍), 川連(천연), 文蛤(문합) 各15, 銅綠(동록)1.5, 苦蔘根(고삼
근)12, 薄荷(박하)3.- 共硏細末 爲丸彈子大 熱水化開一丸, 乘熱洗目.
주치 : 瞼弦赤爛(검현적란)
만령단(万靈丹)(保安万靈丹)《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웅정(雄精), 모출(茅朮), 천마(天麻), 마황(麻黃), 당귀(當歸), 천오(川烏), 초오(草
烏), 하수오(何首烏), 천궁(川芎), 감초(甘草), 전갈(全蝎), 진사(辰砂), 석곡(石斛),
강활(羌活), 방풍(防風), 형개(荊芥), 세신(細辛). 십칠미조성(十七味組成).
주치 : 옹저(癰疽) 정독(疔毒) 습담류주(濕痰流注) 부골음저(附骨陰疽).- 악창초기(惡瘡
初起) 이삼일간(二三日間) 혹(或) 옹저이성(癰疽已成) 지십조전후(至十朝前后),
단미성농(但未成膿) 장약상한(狀若傷寒) 두동번갈(頭疼煩渴) 구급오한(拘急惡
寒) 지체동통(肢體疼痛) 오심구토(惡心嘔吐) 사지침중(四肢沈重) 황홀민란(恍惚
悶亂) 좌와불령(坐臥不寧) 피부장열(皮膚壯熱).
만령단(万靈丹)《醫宗金鑑》
조성 ≒ 蒼朮(창출)240, 何首烏(하수오) 羌活(강활) 荊芥(형개) 川烏(천오) 烏葯(오약) 川
芎(천궁) 甘草(감초) 川石斛(천석곡) 炙全蝎(자전갈) 防風(방풍) 細辛(세신) 當歸
(당귀) 麻黃(마황) 天麻(천마) 各30, 雄黃(웅황)18. 共硏細末, 煉蜜爲丸, 朱砂爲衣,
每丸 9 克. 每次 1 丸, 葱頭, 豆豉煎湯 或溫酒送下.
효용 : 해표발한(解表發汗), 구풍리습(驅風理濕), 온경통락(溫經通絡).
주치 : 부골저(附骨疽) 풍한습사형(風寒濕邪型) 초기(初起), 오한발열(惡寒發熱), 근골동
통(筋骨疼痛), 以及 마풍초기(麻風初起), 마목불인(麻木不仁) 等證.
만령지보선주(万靈至寶仙酒)《古今圖書集成․醫部全彔》引《身經通考》
조성 ≒ 淫羊藿(음양곽, 酒洗)300, 列當(열당, 如无 以肉蓗蓉代之) 仙茅(선모, 糯米泔浸一
宿)各120, 雄黃(웅황, 硏) 黃柏(황백) 知母(지모) 各60, 酒洗當歸(주세당귀)240.
【宜忌】忌食牛肉; 制葯 服葯 忌鐵器.
上爲粗末, 用无灰酒 7500 毫升, 裝入甁內封固 桑柴文武火懸煮 6 小時, 埋地下 3
晝夜 去火毒, 取出, 待七日, 將葯撈出, 晒乾, 爲細末, 糯米粉打糊爲丸, 如梧桐子
大. 每服 50 丸, 酒送下, 服后以乾食物壓之. 此酒用 銀壺 或瓷壺重湯 燙熱服. 酒
后 不可慈 性交接 須待時而動 少側 3 月, 多則半年 精泄胞成 屢試屢驗.
치법 : 생정익신(生精益腎), 조양보음(助陽補陰).
주치 : 신음양휴허(腎陰陽虧虛), 남자(男子) 양위불거(陽痿不擧), 여자(女子) 적백대하(赤
白帶下), 월수불조(月水不調), 두냉제통(肚冷臍痛), 불잉(不孕).
만보대침고(万寶代針膏)《證治准繩》
조성 ≒ 硼砂(붕사), 血竭(혈갈), 輕粉(경분), 金頭蜈蚣(금두오공), 蟾酥(섬소), 雄黃(웅황),
片腦(편뇌), 麝香(사향), 檳榔(빈낭).
만씨우황환(万氏牛黃丸)《痘疹世醫心法》개규제(開竅劑)
조성 ≒ 우황(牛黃), 주사(朱砂), 황련(黃連), 황금(黃芩), 산치(山梔), 울금(鬱芩).
주치 : 온병(溫病) 열입심포(熱入心胞).- 정신이 똑똑치 못하고 헛소리를 치며(神昏譫語),
신열번조(身熱煩躁)하고, 팔다리가 늘어저 힘을 가누지 못하며(肢厥), 혀의놀림
이 순조롭지 못하고(舌蹇)
☞ 중풍규폐(中風竅閉), 소아경궐(小兒驚厥) 등 담열(痰熱)에 속하는 자(者)는 본방
을 역시 응용할 수 있다.
만응고(万應膏)《醫宗金鑑》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地(생지), 白蘞(백렴), 白及(백급), 象皮(상피), 官桂(관
계), 白芷(백지), 當歸(당귀), 赤芍(적작), 羌活(강활), 苦蔘(고삼), 土木鱉(토목별),
穿山甲(천산갑), 烏葯(오약), 甘草(감초), 獨活(독활), 玄參(현삼), 定粉(정분), 大黃
(대황).
만응환(万應丸)《醫學正傳》구충제(驅虫劑)
조성 ≒ 흑축(黑丑), 빈낭(檳榔), 대황(大黃), 침향(沉香), 뢰환(蕾芄), 목향(木香), 조각(皂
角), 고련근(苦楝根).
주치 : 충적내조(虫積內阻).- 복창통(腹脹痛) 거안(拒按) 대변비결(大便秘結) 맥침실(脈
沉實)
만형자산(蔓荊子散)《東垣十書》이비제(耳鼻劑)
조성 ≒ 만형자(蔓荊子), 상백피(桑白皮), 적복령(赤茯苓), 목통(木通), 적작(赤芍), 자감초
(炙甘草), 승마(升麻), 전호(前胡), 생지황(生地黃), 국화(菊花), 맥문동(麥門冬).
주치 : 간담화성(肝膽火盛) 풍열외침(風熱外侵)의 농이(膿耳).- 발열오한(發熱惡寒) 두통
(頭痛) 비색류체(鼻塞流涕) 구고인건(口苦咽乾) 이내돌연동통(耳內突然疼痛) 축
점가중(逐漸加重) 이명(耳鳴) 이내창민감(耳內脹悶感) 동통견연두부(疼痛牽連頭
部) 무농액류출(无膿液流出) 설홍태황(舌紅苔黃) 맥현삭(脈弦數).
망우산(忘懮散)《辨證彔》
조성 ≒ 白朮(백출)15, 茯神(복신)9, 遠志(원지)6, 柴胡(시호)1.5, 鬱芩(울금)3, 白芍(백
작)30, 當歸(당귀)9, 巴戟天(파극천)6, 陣皮(진피)1.5, 白芥子(백개자)6, 神曲(신
곡)1.5, 麥冬(맥동)9, 丹皮(단피)9. - 水煎服
효용 : 소간해울(疏肝解鬱)
주치 : 남자(男子) 심간이기울체(心肝二氣鬱滯), 회포소울이불육(懷抱素鬱而不育).
【備考】徜改 湯爲丸 久服, 則鬱氣盡解, 未有不得子者.
매창세욕방(梅瘡洗浴方)《外科啓玄》옹양제(癰瘍劑)
조성 ≒ 방풍(防風), 형개(荊芥), 오가피(五加皮), 괴지(槐枝), 박초(朴硝), 사상자(蛇床子)
各30.- 煎湯, 피풍처(避風處) 洗浴, 沐浴后 卽更衣, 勿穿舊衣 連洗 2~3次
효용 : 거풍제습(祛風除濕), 렴창해독(斂瘡解毒).
주치 : 楊梅瘡(양매창)
매홍고(煤紅膏)《經驗方》
조성 ≒ 京紅粉(경홍분)30, 利馬錐(이마추, 煉丹后剩下鍋底的葯粉)4, 白蠟(백랍)4, 凡士
林(범사림) 加至(가지)100.- 上葯共硏極細, 凡士林 白蠟溶化后 加入 葯粉, 調勻成
膏, 卽爲 30%的 京紅紛膏, 然后再依需要調制成不同濃度的 煤紅膏.
① 5% 煤紅膏, 京紅紛膏95, 煤焦油5.
② 10% 煤紅膏, 京紅紛膏90, 煤焦油10.
③ 15% 煤紅膏, 京紅紛膏85, 煤焦油15.
先洗浴 除去鱗屑, 然后外搽 煤紅膏, 扑以滑石粉, 1~2 天換葯 1 次; 由低濃度開
始根据皮損消退情况, 可采用較高濃度的 煤紅膏.
按 : 京紅粉爲含汞制劑, 同時需注意不可大面積用葯 防止汞中毒反應.
효용 : 殺虫止痒(살충지양) 軟堅祛鱗屑(연견거린설) 化腐生肌(화부생기)
주치 : 銀屑病(은설병) 慢性濕瘡(만성습창) 神經性皮炎(신경성피염).
매화점설단(梅花点舌丹)《外科證治全生集》옹양제(癰瘍劑)
조성 ≒ 유향(乳香), 몰약(沒葯), 혈갈(血竭), 각일전(各一錢), 단사(丹砂)이전(二錢), 진주
(大珍珠)삼전(三錢), 유향(乳香)일전(一錢), 사향(麝香), 우황(牛黃) 각이전 (各二
錢), 웅담(熊膽), 빙편(冰片), 붕사(硼砂), 정력(葶藶), 요황(腰黃) 각일전(各一錢),
섬소(蟾酥)이전(二錢). 각위세말(各爲細末) 섬소이인유화개(蟾酥以人乳化開),
입약미화도(入葯未和搗) 위오백환(爲五百丸) 금박위의(金箔爲衣) 매복일환(每
服一丸) 입총백내타쇄(入葱白內打碎) 주송복(酒送服) 개피취한(盖被 取汗) 매
일삼차(每日三次). 혹용(或用) 초화개(醋化開) 외부환처(外敷患處).
주치 : 악창(惡瘡) 무명종독(无名腫毒) 옹절홍종(癰癤紅腫) 인후동통(咽喉疼痛).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