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동록고(銅綠膏)《眼科纂要》치목제(治目劑) - 령계출감탕(苓桂朮甘湯)
《傷寒論》거담제(祛痰劑)
동록고(銅綠膏)《眼科纂要》치목제(治目劑)
조성 ≒ 鮮銅綠(선동록)9, 硏細末 以生蜜調涂粗碗內 將碗覆轉 燒艾烟薰至 焦黑爲度 取
起冷定 以乳汁調勻 放飯上蒸過 擦爛處.
주치 : 瞼弦赤爛(검현적란)
동반산(東礬散)《中醫外科學》
조성 ≒ 飛東丹(비동단), 明礬(명반).
동방일호약고(東方一号葯膏)《創傷處理和更換敷料》
조성 ≒ 茅朮(모출), 黃柏(황백), 防己(방기), 木瓜(목과), 玄胡(현호), 鬱芩(울금), 白及(백
급), 煅石膏(단석고), 爐甘石(로감석), 麻油(마유).
동씨감적방(董氏疳積方)《유과추언(幼科芻言)》
소도(消導) 혹 소보겸시(消補兼施) 혹 보위주(補爲主) 등 삼법(三法)
동씨감적갑방(董氏疳積甲方) : 소도(消導)
조성 ≒ 삼능(三棱), 아출(莪朮), 건섬복(乾蟾腹), 청피(靑皮), 진피(陣皮), 목향(木香), 오곡
충(五谷虫), 호황련(胡黃連), 불수(佛手), 산사(山楂), 래복자(萊菔子).
동씨감적을방(董氏疳積乙方) : 소보겸시(消補兼施)
조성 ≒ 당삼(黨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진피(陣皮), 청피(靑皮), 오곡충
(五谷虫), 신곡(神曲), 삼능(三棱), 아출(莪朮).
동씨감적병방(董氏疳積丙方) : 보위주(補爲主)
조성 ≒ 당삼(黨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진피(陣皮), 산약(山葯), 편두(扁
豆), 오곡충(五谷虫), 신곡(神曲).
동원청서익기탕(東垣淸暑益氣湯)《비위론(脾胃論)》거서제(祛暑劑)
조성 ≒ 감초(甘草), 당귀(當歸), 황기(黃芪), 생맥산(生脈散 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
자(五味子)) 합(合) 이묘산(二妙散 창출(蒼朮), 황백(黃柏)) 청피(靑皮),진피(陣皮),
백출(白朮), 택사(澤瀉), 신곡(神曲), 갈근(葛根), 승마(升麻), 생강(生姜), 대조(大
棗).
효용 : 보기익음(補氣益陰), 자기화원(滋其化源)
주치 : 1) 기허서습(氣虛暑濕).- 신열두통(身熱頭痛), 구갈(口渴) 땀이 절로 나고(自汗), 팔
다리가 피곤하고 지쳐서 싫증나며(四肢困倦), 소화불량 식욕감퇴(納呆), 가슴
이 가득차고 몸이 무거우며(胸滿身重), 대변당박(大便溏薄) 소변단적(小便短
赤) 태니(苔膩) 맥허(脈虛) 등
2) 서열(暑熱)의 사기(邪氣)가 땀을 따라 나가 해제(已隨汗解) 된 것은 소위 “暑當
與汗俱出而勿止(서당여한구출이물지)”라 했다. 다만 땀을 너무 지나치게 흘리
거나(汗泄太過) 혹은 평소에 음액(陰液)이 줄어든 사람은 비록 서기(暑氣)를 제
거 했다 해도 진기(津氣)를 또한 상하고, 신열(身熱)이 이미 물러났어도 구갈설
조(口渴舌燥)하며, 정신이 지치고 말하고 싶지 않으며(神疲懶言), 맥허무력(脈
虛无力)한 등 증상을 보이는 경우.
동창고(凍瘡膏)《中醫外科學》
조성 ≒ 蜂蜜(봉밀), 樟腦(장뇌), 猪油(저유).
동청엽전(冬靑葉煎)《古今醫統大全》훈세방(熏洗方)
조성 ≒ 冬靑葉(동청엽), 小麥(소맥), 甘草(감초) 各等分.- 煎水洗患處
효용 : 산풍청열(散風淸熱), 소종지통(消腫止痛).
주치 : 부인(婦人) 음종(陰腫) 소호가통(小戶嫁痛).
동충하초주(冬虫夏草酒)《趙炳南臨床經驗集》
조성 ≒ 冬蟲夏草(동충하초), 白酒(백주).
동합생정음(冬蛤生精飮)《遼寧中醫雜志》☆☆☆
조성 ≒ 麥冬(맥동), 白芍(백작), 菖蒲(창포), 合歡皮(합환피), 茯苓(복령), 淫羊藿(음양곽)
各15, 枸杞子(구기자), 知母(지모) 各20, 山葯(산약)10, 蛤蚧(합개, 巨頭, 足, 皮, 烘
乾, 碾成細末, 分成 4 分, 入湯葯同服)1對.
水煎服. 每劑分 10 次煎服, 日服 2 次, 早飯后與 晩飯后服, 3 月爲 1 療程.
효용 : 영심강신(寧心强腎), 자혈전정(滋血塡精).
주치 : 무정자증(无精子症)
加减 : ③ 기혈양허(氣血兩虛) : 加 冬蟲夏草(동충하초) 10.
② 간경습열하주(肝經濕熱下注) : 加 萆薢(비해)10, 燈芯(등심)3.
③ 심신경공(心神驚恐) : 加 萱草(훤초) 竹葉(죽엽) 遠志(원지) 各10.
【臨證擧例】報道 60 例, 治愈 36 例, 顯效8 例, 好轉 4 例, 无效 12 例. 有效率爲 80 %
두시고(豆豉膏)《醫宗金鑑》
조성 ≒ 淡豆豉(담두시) 一兩, 田螺(전라)19个, 葱白(총백)10根.
搗爛 用芭蕉根汁 調貼臍上.
두풍마산(頭風摩散)《金匱要略》치풍제(治風劑)
조성 ≒ 부자(附子) 염(鹽). - 목욕후(沐浴后)에 발병부위(發病部位)에 약물마찰(葯物摩
擦)을 한다.
주치 : 두풍(頭風).- 두부(頭部) 풍한침습(風寒侵襲), 두통(頭痛), 휴지무상(休止无常), 우
우풍칙중(遇風則重)
두형환(杜蘅丸)《太平聖惠方》
조성 ≒ 杜蘅(두형), 防風(방풍), 茯苓(복령), 炮附子(포부자), 細辛(세신) 各30, 白薇(백미),
牛膝(우슬), 半夏(반하, 湯洗去滑, 微炒) 各15, 沙蔘(사삼), 秦艽(진구), 川椒(천초,
微炒出汗), 桂心(계심), 菖蒲(창포), 藁本(고본), 蛇床子(사상자) 各22.5. 上爲末 煉
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30 丸, 空腹及 晩食前 以溫酒送下. 有子卽停服.
효용 : 거풍활혈(祛風活血), 온난자궁(溫暖子宮).
주치 : 부인(婦人) 복장(腹臟) 구적풍냉(久積風冷), 혈기응삽(血氣凝澁), 불능선통(不能宣
通), 구불잉육(久不孕育).
등약(騰葯)《劉壽山正骨經驗》골상제(骨傷劑)
조성 ≒ 유향(乳香), 몰약(沒葯), 골쇄보(骨碎補), 속단(續斷), 목과(木瓜), 투골초(透骨草),
백지(白芷), 강활(羌活), 방풍(防風), 당귀(當歸), 홍화(紅花), 천초(川椒). 조말(粗
末) 가입(加入) 대청염(大靑鹽) 백주적량반균(白酒適量拌勻) 장입백포대내봉타
(裝入白布袋內縫妥). 전탕훈세(煎湯熏洗) 환처(患處) 혹(或) 증후열부환처(蒸后
熱敷患處)
주치 : 골절(骨折) 탈위(脫位) 근상(筋傷) 비증종창동통(痹證腫脹疼痛)
등황고(藤黃膏)《經驗方》
조성 ≒ 生藤黃粉(생등황분)120, 白蠟(백랍)120, 麻油(마유)500. 先將麻油煮沸 入白蠟熔
化 加入藤黃粉調勻 收貯備用. 薄攤紗布上(박탄사포상) 貼潰瘍上(첩궤양상) 1 天
1 換.
효용 : 解毒生肌(해독생기)
주치 : 各種潰瘍(각종궤양).
ㄹ
락세법(落洗法)《古今醫統大全》卷二十二
조성 ≒ 椒目(초목), 川烏(천오), 細辛(세신), 乾姜(건강), 官桂(관계). 各等分.
上爲粗末. 煎湯 乘熱洗下部.
효용 : 온경산한(溫經散寒)
주치 : 하원허냉(下元虛冷) 일절냉병(一切冷病) 요복냉통(腰腹冷痛) 붕루대하(崩漏帶
下). 병세음문관대幷(洗陰門寬大) 하추번출(下墜翻出), 증속(證屬) 양기허한이하
함자(陽氣虛寒而下陷者).
란이산(爛耳散)《中醫耳鼻喉科學》이비제(耳鼻劑)
조성 ≒ 천심연(穿心蓮), 저담즙(猪膽汁), 고반(枯礬). 연세말(硏細末) 취우환처(吹于患處)
주치 : 농이(膿耳)
람엽산(藍葉散)《證治准繩》영아제(嬰兒劑)
조성 ≒ 람엽(藍葉, 大靑葉), 승마(升麻), 시호(柴胡), 황금(黃芩), 감초(甘草), 대황(大黃), 치자(梔子), 서각(犀角), 석고(石膏). 구미조성(九味組成)
주치 : 단독(丹毒, 赤游風).- 국부피부홍종(局部皮膚紅腫), 형여운편(形如云片) 흔열종통
(焮熱腫痛) 유주부정(游走不定) 고열(高熱) 번조(煩躁) 대변
비결(大便秘結) 설홍태황(舌紅苔黃).
랍매해독탕(臘梅解毒湯)《中醫兒科學》
조성 ≒ 랍매화(臘梅花), 연교(連翹), 은화(銀花), 국화(菊花), 판람근(板藍根), 선의(蟬衣),
적작(赤芍), 감초(甘草), 황련(黃連), 목통(木通), 지정(地丁).
랍지고(臘脂膏)《外科啓玄》옹양제(癰瘍劑)
조성 ≒ 랍월저유(臘月猪油)適量, 수은(水銀), 경분(輕粉), 대풍자인(大楓子仁) 各三錢, 목
별자육(木鱉子肉)二錢, 고반분(枯礬粉)五分. 육미조성(六味組成). 각연극세말(各
硏極細末) 화균(和勻), 저유조성(猪油調成) 호상(糊狀). 부첩환처(敷貼患處) 매일
환약(每日換葯) 일차(一次). 초용(初用)여유(如有) 국부반응(局部反應) 삼사천후
(三四天后) 즉능적응(卽能適應)
주치 : 주조비(酒糟鼻)
래복단(來復丹)《和劑局方》온리제(溫里劑)
조성 ≒ 현정석(玄精石), 초석(硝石), 유황(硫黃), 진피(陣皮), 청피(靑皮), 오령지(五靈脂).
주치 : 상한하허(傷寒下虛)의 음한급증(陰寒急證).- 심복냉통(心腹冷痛), 폭토폭사(暴吐
暴瀉), 사지궐냉(四肢厥冷), 맥침복(脈沉伏) 혹 담궐기폐(痰厥氣閉)등 증을 다스린
다.
량격산(凉膈散) ⇒ 양격산(凉膈散)
량부환(良附丸)《良方集腋》리기제(理氣劑)
조성 ≒ 고량강(高良姜), 향부(香附).- 주세(酒洗) 7 번. 미탕(米湯) 가(加) 생강즙(生姜汁),
鹽爲丸, 백개수(白開水)로 복용한다.
한중자(寒重者) : 고량강(高良姜) 배(倍) 향부(香附)
기중자(氣重者) : 향부(香附) 배(倍) 고량강(高良姜)
인한겸기자(因寒兼氣者) : 각등분(各等分)
효능 : 온위산한지통(溫胃散寒止痛)
주치 : 1) 간울기체(肝鬱氣滯) 한기객위(寒氣客胃).- 위완통(胃脘痛), 혹 구토(嘔吐), 혹 연
흉협창통(連胸脇脹痛) 태박백(苔薄白) 맥침현(脈沉弦).
2) 위한증(胃寒證) - 위완통(胃脘痛).
량혈청기탕(凉血淸氣湯)《丁甘仁醫案》 ⇒ 양영청기탕(凉營淸氣湯)《丁甘仁醫
案》인후제(咽喉劑)
렴창고(斂瘡膏)《醫方集成》옹양제(癰瘍劑) SYS ADAOMTAFR Oil
조성 ≒ Arnebiae Radix (紫草), Dracon's Sanguis (血竭), Acacia catechu (兒茶),
Olibanum (乳香), Myrrha Preparata (沒葯), Tomarix chinensis Lour (檉柳),
Angelicae Dahuricae Radix (白芷), Forsythia Weeping Capsul (連翹),
Scrophulariae Radix (玄參)30g, 植物油 : Raps Oil (유채유,Omega 3 함유).
유채유에 기타 약제(葯劑)를 모두 넣고 7일 이상 담갔다가 약한 불에 끓인 다음
거재(去滓) 하여 보관한다.
效能 : 살충지양(殺虫止痒), 소염생기렴창(消炎生肌斂瘡), 지혈(止血), 활혈화어(活血化
瘀).
主治 : 아토피 피부염(皮膚炎), 악창종독(惡瘡腫毒), 피부궤양(皮膚潰瘍), 습진(濕疹), 음
양(陰陽), 질타손상(跌打損傷), 외상출혈(外傷出血), 어혈종통(瘀血腫痛), 충상종
통소양(虫傷腫痛瘙痒).
保管 : 葯을 태양의 직사광선을 피해야 하며, 실내 온도가 7℃이상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기름이 찌들거나 응고되면 약효가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령감오미가강신반하행인탕(苓甘五味加姜辛半夏杏仁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건강(乾姜), 세신(細辛), 반하(半 夏), 행
인(杏仁).
주치 : 복용(服用) 桂苓五味甘草去桂加乾姜細辛半夏湯 후(后) 수음거(水飮去) 구역지(嘔
逆止) 형체부종자(形體浮腫者).
령감오미가강신반행대황탕(苓甘五味加姜辛半杏大黃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건강(乾姜), 세신(細辛), 반하( 半夏), 행
인(杏仁), 대황(大黃).
주치 : 수음협열(水飮挾熱) 위열상충(胃熱上冲) 면열여취자(面熱如醉者).
령감오미강신탕(苓甘五味姜辛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감초(甘草), 오미자(五味子), 건강(乾姜), 세신(細辛).
효용 : 온비폐이화담(溫脾肺而化痰)., 온화한담(溫化寒痰), 강기지해(降氣止咳).
주치 : 1) 복용(服用) 계령오미감초탕(桂苓五味甘草湯) 후(后), 충기즉견하강(冲氣卽見
下降) 단(但) 해수(咳嗽), 흉만지증(胸滿之證) 복발자(復發者).
2) 담음(痰飮) - 비양허증(脾陽虛證), 천식(喘息).
3) 천증(喘證) - 한담조폐증(寒痰阻肺證).
령계출감탕(苓桂朮甘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계지(桂枝), 백출(白朮), 감초(甘草).
효용 : 온비화음(溫脾化飮), 온양이수(溫陽利水), 진역정계(鎭逆停悸).
주치 : 1) 담음(痰飮) - 비양허증(脾陽虛證).
2) 구토(嘔吐) 실증(實證) -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
合 소반하탕(小半夏湯)《금궤요략(金匱要略)》
만일 담음이 안을 요해하여(若痰飮內阻) 맑은 물의 가래와 침을 토할 때(嘔吐淸
水痰涎)
령계출감탕(苓桂朮甘湯)《傷寒論》거담제(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계지(桂枝), 백출(白朮), 감초(甘草). 효용 : 온비화음(溫脾化飮),
주치 : 1) 상한(傷寒) 병을 사하법(瀉下法)이나 발한법(發汗法)으로 잘못 치료하였거나
(誤用汗下), 중초의 양기가 손상을 받은(中陽受損) 내상잡병으로서(雜病) 중초
의 양기가 부족하고(中陽不足) 심하 부위에 음사(飮邪)가 머물고 있어서(飮停
心下).- 흉부에 기가 상충함으로(氣上冲胸) 머리를 굽혔다가 들게 되면 아찔하
고 캄캄해지는 현기증(眩氣症)이 일어나고(起則頭眩), 호흡이 짧아 숨이 차고
(短氣) 기침을 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心悸而咳) 맥이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
는 뜻하거나(脈弦) 혹은 맥이 팽팽히 긴장하고 유력하며 꼬인 줄을 누르는 것
같다(或緊).
2) 현운(眩暈) : 수기능심증(水氣凌心證).
3) 담음(痰飮) : 비허습곤증(脾虛濕困證), 비양불진(脾陽不振) 수음불화(水飮不化)
4) 음증(飮證) :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
5) 경계정충(驚悸怔忡) - 심신양허증(心腎陽虛證) 合 사역탕(四逆湯)《傷寒論》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