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25 桃仁散 - 獨活寄生湯

Aktualisiert: 24. Aug. 2019



醫方集成

도인산(桃仁散)《千金方》경산제(經産劑) -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千金方》치풍제(治風劑)


도인산(桃仁散)《千金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도인(桃仁), 대황(大黃), 복령(茯苓), 계심(桂心), 이미(苡米), 대자석(代赭石), 토별충(土鱉虫), 우슬(牛膝).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수기혈(水氣血) 호결하초(互結下焦).- 월경래(月經來) 소제통(燒臍痛) 상충심흉

(上冲心胸) 왕래한열(往來寒熱).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溫病條辨》《瘟疫論》리혈제(理血劑)

조성 ≒ 도인(桃仁), 대황(大黃), 망초(芒硝), 당귀(當歸), 작약(芍葯), 분단피(粉丹皮).

효용 : 량혈공어(凉血攻瘀)

주치 : 하초축혈(下焦蓄血).- 소복견만(少腹堅滿), 소변자리(小便自利), 야열조량(夜熱早

凉), 대변폐결(大便閉結), 맥침실(脈沉實).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傷寒論》

조성 ≒ 桃仁(도인), 大黃(대황), 芒硝(망초), 桂枝(계지), 甘草(감초).

주치 : 1) 안구(眼球)의 어떤 원인이나 약물복용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록내장

(綠內障)을 다스릴 때에 몸이 냉(冷)하며 변비(便秘)가 있을 때

도인홍화전(桃仁紅花煎)《素庵医要》리혈제(理血劑)

조성 ≒ 숙지황(熟地黃), 백작(白芍), 당귀(當歸), 천궁(川芎), 도인(桃仁), 홍화(紅花), 청

피(靑皮), 향부(香附), 단삼(丹參), 원호(元胡).

주치 : 어혈(瘀血) 조우흉중(阻于胸中).- 흉민불서(胸悶不舒), 심통(心痛), 순갑청자(唇甲

靑紫) 설유어반(舌有瘀斑).

도적산(導赤散)《銀海精微》

조성 ≒ 목통(木通), 감초(甘草), 치자(梔子), 황백(黃柏), 생지황(生地黃), 지모(知母), 죽

엽 (竹葉), 등심(燈芯).

도적산(導赤散)《醫宗金鑑》

조성 ≒ 木通(목통), 生地黃(생지황), 生甘草梢(생감초초), 燈芯(등심), 竹葉(죽엽).

- 水煎服 加(가) 黃連(황연), 滑石(활석), 赤苓(적령), 更妙(갱묘).

도적산(導赤散)《小兒葯證直訣》청열제(淸熱劑)

조성 ≒ 감초초(甘草梢), 목통(木通), 생지황(生地黃) 各等分. 上爲末. 每服 9~15 克, 用

水 200 毫升, 淡竹葉 適量, 煎至 100 毫升, 食后溫服.

효용 : 淸熱利水(청열이수), 淸心凉血(청심양혈) 利水通淋(이수통림)

주치 : 1) 심경유열(心經有熱).- 구설생창(口舌生瘡), 혹 소변단적(小便短赤) 삽통(澁痛),

설홍(舌紅) 맥삽(脈澁).

2) 濕熱型(습열형) 前列腺肥大(전열선비대)

3) 瞼弦赤爛(검현적란) 赤脈傳睛(적맥전정) 凝脂翳(응지예) 赤膜下垂(적막하수)

血翳包睛(혈예포정).

4) 肥大型(비대형) 前列腺炎(전열선염), 産后(산후) 尿瀦留(뇨저류) 等, 證屬(증

속) 濕熱內蘊(습열내온). 症見(증견) 心胸煩熱(심흉번열) 口渴面赤(구갈면적)

小便短澁(소변단삽) 不暢(불창), 尿時刺痛(뇨시자통) 舌紅(설홍) 脈數(맥삭).

도적승기탕(導赤承氣湯)《溫病條辨》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적작(赤芍), 생지(生地), 천연(川連), 천황백(川黃柏), 대황(大黃), 망초(芒硝).

주치 : 양명부실(陽明腑實) 겸(兼) 소장열성(小腸熱盛).- 신열(身熱) 번갈(煩渴) 대변불통

(大便不通) 소변단적이동(小便短赤而疼) 설태황조(舌苔黃燥).

도적청심탕(導赤淸心湯)《通俗傷寒論》거서제(祛暑劑)

조성 ≒ 생지황(生地黃), 목통(木通), 맥문동(麥門冬), 주복신(朱茯神) 모단피(牡丹皮), 연

자심(蓮子心), 익원산(益元散), 죽엽(竹葉).

효용 : 청심양영(淸心凉營), 청사화부(淸瀉火府).

주치 : 1) 복서(伏暑) 열재심영(熱在心營) 하이소장(下移小腸).- 열(熱)이 낮에는 경하고

밤에는 중하고(發熱日輕夜重), 마음이 번거롭고 잠을 잘 수 없으며(心煩不寐),

입이 마르나 물을 마실 수 없고(口乾 渴不欲飮), 소변이 짧고 색이 붉으며 뜨거

운 통증(小便短赤熱痛)이 있고 설강(舌絳) 맥삭(脈數)의 증상을 다스린다.

2) 복서(伏暑) - 복서 열입영분증(伏暑熱入營分證)

도절암(陶節庵)《傷寒六書》“三黃石膏湯(삼황석고탕)” 較本方增 姜, 棗, 茶.

주치 : 상한병(傷寒病)을 한토하법(汗吐下法)으로 오치(誤治)한 후에, 삼초(三焦)에 모두

열(熱)이 있고, 몸과 눈이 모두 아픈(身目俱痛) 증상을 다스린다.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傷寒論》리혈제(理血劑)

조성 ≒ 도인(桃仁), 대황(大黃), 망초(芒硝), 계지(桂枝), 감초(炙甘草).

주치 : 하초축혈(下焦蓄血).- 소복급결(少腹急結), 소변자리(小便自利), 맥침실(脈沉實)

혹삽(或澁).

도홍사물탕(桃紅四物湯)《醫宗金鑑》리혈제(理血劑)

조성 ≒ 당귀(當歸)12, 초백작(炒白芍)10, 생지황(生地黃)15, 천궁(川芎)8, 도인(桃仁)6,

홍화(紅花)4.- 수전복(水煎服)

효용 : 양혈(養血), 활혈(活血), 축어(逐瘀).

주치 : 1) 어혈인기(瘀血引起)적 각종질병(各種疾病).- 자통거안(刺痛拒按) 통유정처(痛

有定處) 혹 환처청자(患處靑紫), 혹유(或有) 혈괴(血塊), 설유암홍(舌有暗紅) 혹

자색어반(紫色淤斑) 맥삽(脈澁).

2) 부녀(婦女) 경기초전(經期超前) 량다(量多) 색자(色紫) 질점조(質粘稠), 或 괴상

(塊狀) 복통복창(腹痛腹脹) 等.

3) 맥비(脈痹) 결절성다동맥염(結節性多動脈炎) - 기체혈허(氣滯血虛).

4) 撞擊傷目(당격상목) - 活血化瘀(활혈화어)

도홍사물탕(桃紅四物湯)《和劑局方》

조성 ≒ 地黃(지황), 當歸(당귀), 赤芍(적작), 川芎(천궁), 桃仁(도인), 紅花(홍화). - 水煎服

효용 : 養血(양혈), 活血(활혈), 祛瘀(거어).

주치 : 瘡瘍(창양), 皮膚病(피부병), 脫疽(탈저), 屬于(속우) 血瘀(혈어)자

도홍음(桃紅飮)《類證治裁》리혈제(理血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천궁(川芎), 위령선(威靈仙).

주치 : 비증일구(痺症日久) 어혈응체(瘀血凝滯).- 관절종대(關節腫大) 변형(變形), 통유

정처 (痛有定處), 설질청자(舌質靑紫) 맥침삽(脈沉澁).

도화산(桃花散)《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대황(大黃)一兩五錢, 석회(石灰)半升. 이미조성(二味組成)

주치 : 금창출혈(金瘡出血) 혹(或) 창양출혈(瘡瘍出血)

도화산(桃花散)《醫宗金鑑》

조성 ≒ 白石灰(백석회)250, 大黃片(대황편)45. 白石灰用水潑成末, 與大黃片同炒, 以灰

變紅色爲度, 去大黃, 將石灰篩細備用. 摻于患處 紗布緊扎 或凉水調敷.

효용 : 지혈(止血)

주치 : 창구출혈(瘡口出血)

도화탕(桃花湯)《傷寒論》고삽제(固澁劑)

조성 ≒ 적석지(赤石脂), 건강(乾姜), 갱미(粳米).

주치 : 오랜 이질이 낫지 않고(久痢不愈),- 복통(腹痛), 따듯하게 감쌓않는 것을 좋아하

며(喜按喜溫),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은 한 번 호흡하는 사이에 4 번 이하로 뛰고

연하고 가늘고 꾹눌러야 짚이는 지약맥(遲弱脈) 등

독각연고(獨角蓮膏)《西安方》

조성 ≒ 獨角蓮(독각연), 白芷(백지), 皂刺(조자), 防己(방기), 連翹(연교), 生穿山甲(생천

산갑), 銀花(은화), 當歸(당귀), 海桐皮(해동피), 生南星(생남성), 蘇木(소목), 刺猬

皮(자위피), 昆布(곤포), 󰜋麻子(피마자), 血余炭(혈여탄), 豨薟草(희렴초), 乾蟾

(건섬), 麻油(마유), 乳香(유향), 沒葯(몰약).

독삼탕(獨蔘湯)《十葯神書》《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대조(大棗).

효용 : 익기고탈(益氣固脫), 지렴구역(止斂救逆).

주치 : 1) 실혈(失血), 원기폭탈(元氣暴脫).- 면색창백(面色蒼白) 정신이 무관심하고 담

담하다(神情淡漠), 땀이 나고 팔다리가 차다(肢冷汗出), 호흡(呼吸)이 미약(微

弱)하고, 맥이 몹시 가늘고 연하여 누르면 끊어질 듯이 잘 감촉되지 않는맥(脈

微欲絶).

2) 소아경공(小兒驚恐) - 심담불영증(心膽不寧證) 이는 일반인의 심담기허와 비

교해서는 안 된다(此則非一般之心膽氣虛可比).

3) 만약 하혈(下血)이 과다하거나 혹 혈허(血虛)한 환자가 하혈(下血)이 멈추지

않고, 면색(面色)이 창백(蒼白)하며, 땀을 흘리며 팔다리가 차며(肢冷汗出) 맥

이 몹시 가늘고 약하여 끊어질 듯한(脈微細) 사람은 실혈(失血)이 과다하여 기

가 의지할 곳 을 잃은(氣失依附) 것으로 정기가 장탈(正氣將脫)하는 위험한 증

후이다. 할 수 있는 한 신속히(亟宜) 익기고탈(益氣固脫) 해야 한다.

원기가 돌아오면(固住元氣后) 이어서(繼進)

황토탕(黃土湯)《금궤요략(金匱要略)》

≒ 조심황토(竈心黃土)25, 아교(阿膠), 백출(白朮), 건지황(乾地黃), 포부자(炮附

子), 감초(甘草), 황금(黃芩)9.- 加水 1500 毫升, 煮取 600 毫升, 分兩次溫服.

부양익음(扶陽益陰), 삽장지혈(澁腸止血)한다.

독삼탕(獨蔘湯)《新書(십약신서)》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大人蔘(대인삼) 二兩(이량)을 蘆頭(로두)는 버리고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大

棗(대조) 五枚(오매)를 넣어서 長流水(장류수)로 濃煎(농전)하여 먹는다.

주치 : 虛勞(허로)로 吐血(토혈)한 뒤에 羸瘦(리수)하고 약하며, 氣(기)가 微少(미소)한

症(증)을 다스린다.

독성산(獨聖散)《傷科滙纂》골상제(骨傷劑)

조성 ≒ 향부(香附). 일미약(一味葯) 조성(組成)

주치 : 손상(損傷) 기체동통(氣滯疼痛).- 창통(脹痛) 통다주찬(痛多走竄) 혹(或) 통무정처

(痛无定處) 심칙(甚則) 불능부앙전측(不能俯仰轉側) 위변증의거(爲辨證依据)

독승고(獨勝膏)《外科金鑒》

조성 ≒ 獨頭蒜(독두산).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千金方》치풍제(治風劑)

조성 ≒ 독활(獨活), 상기생(桑寄生), 진교(秦艽), 방풍(防風), 세신(細辛), 당귀(當歸), 작

약(芍葯), 천궁(川芎), 두중(杜仲), 생지(生地), 우슬(牛膝), 인삼(人蔘), 복령(茯苓),

계심(桂心), 감초(甘草).

효용 : 양혈통락(養血通絡), 거풍습(祛風濕).

주치 : 1) 간신양휴(肝腎兩虧)의 풍한습비(風寒濕痺). - 요슬냉통(腰膝冷痛), 퇴족(腿足)

굴신불리(屈伸不利), 마목산연(麻木酸軟) 맥세약(脈細弱).

2) 맥비(脈痹) 결절성다동맥염(結節性多動脈炎) - 풍습입락(風濕入絡)


1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