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23 大安丸 - 大陷胸丸

Aktualisiert: 1. Sept. 2020


醫方集成

대안환(大安丸)《丹溪心法》

소도제(消道劑) - 대함흉환(大陷胸丸)《傷寒論》

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대안환(大安丸)《丹溪心法》소도제(消道劑)

조성 ≒ 보화환(保和丸, 신곡(神曲), 산사(山楂), 진피(陣皮), 래복자(萊菔子), 운령(云苓),

연교(連翹), 반하(半夏)) 가(加) 백출(白朮).

주치 : 비허이유식적자(脾虛而有食積者).

대암밀환(大岩蜜丸)《陳素庵婦科補解》

조성 ≒ 방풍(防風), 영지(靈芝), 연호색(延胡索), 생지(生地), 당귀(當歸), 감초(甘草), 적

작(赤芍), 익모초(益母草), 천궁(川芎), 건강(乾姜), 오약(烏葯), 백지(白芷), 포황

(蒲黃), 진피(陣皮), 세신(細辛), 오수유(吳茱萸).

대연교탕(大連翹湯) (飮)《醫宗金鑑》

조성 ≒ 連翹(연교), 當歸(당귀), 赤芍(적작), 防風(방풍), 木通(목통), 滑石(활석), 牛蒡子

(우방자), 蟬衣(선의), 瞿麥(구맥), 滑石(활석), 荊芥(형개), 甘草(감초), 柴胡(시

호), 黃芩(황금), 梔子(치자), 車前子(차전자).

대영전(大營煎)《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조성 ≒ 당귀(當歸), 숙지황(熟地黃), 구기자(枸杞子), 두중(杜仲), 우슬(牛膝), 감초(甘草),

육계(肉桂).

효능 : 온양혈기(溫養血氣), 조보기경(調補奇經(冲任脈)).

주치 : 정혈휴손(精血虧損).- 부인(婦人) 경지혈소(經遲血少) 요슬근골동통(腰膝筋骨疼

痛), 혹 기혈허한(氣血虛寒), 심복동통(心腹疼痛)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지(脈遲).

대오두전(大烏頭煎)《金匱要略》

조성 ≒ 오두(烏頭), 밀(蜜).

효용 : 산한지통(散寒止痛)

주치 : 산기(疝氣) - 한체간맥증(寒滯肝脈證)

대오보환(大五補丸)《普濟方》引《聖濟悤錄》

조성 ≒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菖蒲(창포), 茯神(복신), 人參(인삼), 炒益智仁

(초익지인), 枸杞子(구기자), 地骨皮(지골피), 遠志(원지), 熟地黃(숙지황). 各等

分(각등분).- 上爲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30 丸, 空腹時 用酒送下.

효용 : 양혈섭정(養血攝精), 교제수화(交濟水火).

주치 : 수인(瘦人) 혈허이무자(血虛而无子).

대오보환(大五補丸)《海藏(해장)》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石菖蒲(석창포), 茯神(복신), 人蔘(인삼), 益智

仁(익지인), 枸杞子(구기자), 地骨皮(지골피), 遠志(원지), 熟地黃(숙지황) 各一

兩(각일량)을 作末(작말)하고 梧子大(오자대)크기로 蜜丸(밀환)을 지어 술로 50

~70환을 呑下(탄하) 한다.

주치 : 虛勞(허로)의 부족을 補(보)하고 能(능)히 交濟(교제)한다.

대저당탕(代抵當湯)《證治准繩》리혈제(理血劑)

조성 ≒ 대황(大黃), 귀미(歸尾), 생지(生地), 포산갑(炮山甲), 망초(芒硝), 도인(桃仁), 육

계(肉桂). - 수전복(水煎服)

효용 : 공축어혈(攻逐瘀血)

주치 : 방광축혈(膀胱蓄血) 인기적(引起的) 융폐(癃閉)

대저당환(代抵當丸)《證治准繩》리혈제(理血劑)

조성 ≒ 당귀미(當歸尾), 천산갑(穿山甲), 망초(芒硝), 대황(大黃), 생지(生地), 계심(桂心),

광도인(光桃仁).

주치 : 하초축혈(下焦蓄血).- 소변불통창(小便不通暢), 소복창통(小腹脹痛), 설자암(舌紫

暗) 맥삽(脈澁).

대정풍주(大定風珠 )《溫病條辨》치풍제(治風劑)

조성 ≒ 백작(白芍), 건지황(乾地黃), 맥문동(麥門冬), 아교(阿膠), 마인(麻仁), 오미자(五

味子), 구판(龜板), 별갑(鱉甲), 모려(牡蠣), 감초(甘草), 계자황(鷄子黃).

효용 : 자액식풍(滋液熄風), 익기고탈(益氣固脫)

주치 : 1) 열사구기(熱邪久羈) 진음수작(眞陰受灼), 허풍내동(虛風內動).- 계종신피(瘈瘲

神疲), 시시욕탈(時時欲脫) 설강소태(舌降少苔) 맥기허약(脈氣虛弱).

2) 궐증(厥證) - 간풍내동(肝風內動)

3) 중증(重證)의 경병(痙病) - 간혈허증(肝血虛證)

4) 폭맹(暴盲)

5) 변비(便秘)

⑴ 습열화조증(濕熱化燥證)

여러 날 변을 보지 못한 사람(多日不大便者) 수족을 떨며 내두르고(手足顫

動), 심하면 혹 계종을 일으키고(甚或瘛瘲), 정신이 권태롭고 맥은 무력하며

(神倦脈虛), 혀는 진홍색이고 태는 적으며(舌絳苔少), 수시로 탈증을 보이는

사람(時時欲脫者)은, 음정이 크게 줄어들고(陰精大虧), 허풍내동(虛風旋擾)

이 있다.

治宜 : 극의(亟宜) 자음잠양(滋陰潛陽), 식풍고탈(熄風固脫).

6) 만약 팔다리를 쭉 뻗으며 부들부들 떨고, 계종(瘈瘲), 시시욕탈자(時時欲脫者)

는 음허불렴(陰虛不斂)하고 허양상요(虛陽上擾)하므로

治宜 : 급의(急宜) 자음고탈(滋陰固脫), 잠양식풍(潛陽息風).

계종(瘈瘲) : 보통 추풍(抽風)이라고 하는데 소아경풍의 한 증상이다. 계(瘈)는

힘줄이 당기면서 줄어드는 것이고 종(瘲)은 힘줄이 이완되어 늘어

난 것이다. 계종은 손발이 수시로 신축되는 상태를 형용한 것인데 이는 열극생

풍(熱極生風), 간풍내동(肝風內動)의 증후이다.

7) 춘온(春溫) - 음허풍동증(陰虛風動證)

대조탕(大棗湯)《陳素庵婦科補解》卷三

조성 ≒ 大棗(대조), 浮小麥(부소맥) 各6, 麥冬(맥동), 人參(인삼), 川芎(천궁), 當歸(당귀),

竹茹(죽여), 茯苓(복령), 茯神(복신), 陣皮(진피), 熟地(숙지), 香附(향부), 白芍(백

작), 黃耆(황기) 各3.

효용 : 養心血(양심혈) 滋肺金(자폐금) 淸肅上焦(청숙상초) 安胎定神(안태정신)

주치 : 姙娠(임신) 无故終日悲泣(무고종일비읍) 或獨居一室(독거일실) 喜笑不休(희소불

휴) 狀如(장여) 鬼崇所附(귀숭소부), 或驚悸數發(경계삭발). 此由(차유)臟燥之故

(장조지고).

대조환 (大造丸)《集略》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紫河車(자하차) 一具(일구)를 뜨물에 담가서 깨끗이 씻고 竹器(죽기)에 담아 長

流水(장류수)에 1~2시간 쯤 담가서 生氣(생기)를 돌리고 작은 瓦盆(와분)에 넣

어큰 시루에다 爛熟(난숙)하도록 쪄서 풀과 같이 되거든 퍼내어 먼저 自然汁(자

연즙)을 따라서 두고 건더기는 石臼(석구)에다 爛搗(난도)하여 前汁(전즙)과 함

께 和勻(화균)하고 生乾地黃(생건지황) 四兩(사량), 龜板(구판), 杜仲(두중), 天門

冬(천문동), 鹽酒炒黃柏(염주초황백) 各一兩半(각일량반), 牛膝(우슬), 麥門冬(맥

문동), 當歸身(당귀신) 各一兩二錢(각일량이전), 人參(인삼) 一兩(일량), 五味子

(오미자) 五錢(오전)을 作末(작말)하고 紫河車汁(자하차즙)에 米糊(미호)를 넣어

爛搗(난도) 하여 作丸(작환)해서 溫酒(온주) 혹은 鹽湯(염탕)으로 一日二回(일일

이회) 100환씩 任下(임하)한다.

주치 : 六脈(육맥)이 모두 虛(허), 微(미)하고, 血氣(혈기)가 衰弱(쇠약)한 症(증)을 다스리

니 이 方文(방문)이 滋陰(자음), 補陽(보양), 養壽(양수)하는 聖葯(성약)이다.

대진교탕(大秦艽湯)《醫學發明》

조성 ≒ 진교(秦艽), 당귀(當歸), 강활(羌活), 독활(獨活), 방풍(防風), 백지(白芷), 세신(細

辛), 숙지황(熟地黃), 백출(白朮), 생지황(生地黃), 복령(茯苓), 천궁(川芎), 백작(白

芍), 석고(石膏), 황금(黃芩), 감초(甘草).

효용 : 거풍화담(祛風化痰), 소통경락(疏痛經絡)

대진교탕(大秦艽湯)《保命集》치풍제(治風劑)

조성 ≒ 八珍湯(당귀(當歸), 천궁(川芎), 작약(芍葯), 숙지(熟地),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거(去) 인삼(人蔘), 가(加) 생지(生地), 대진교(大秦艽), 세

신(細辛), 백지(白芷), 강활(羌活), 독활(獨活), 방풍(防風), 황금(黃芩), 석고(石膏).

주치 : 풍사초중경락(風邪初中經絡).- 신열(身熱), 수족(手足) 불능운동(不能運動), 설강

불어(舌强不語), 맥부삭(脈浮數).

대창포산(大菖浦散)《古今醫統大全》

조성 ≒ 當歸(당귀)30, 秦艽(진구)6, 炒吳茱萸(초오수유)15. 上爲粗末 每服 9, 水 200 毫

升 加 葱白(총백)2根, 煎至 120 毫升, 空腹時 溫服.

효용 : 활혈거풍(活血祛風), 조습소종(燥濕消腫).

주치 : 婦人 월수삽체(月收澁滯), 음호간(陰戶間) 종대이통(腫大而痛). 욕념과다(因欲念

過多) 방실과도(房室過度) 所致者.

대천궁환(大川芎丸)《河間․東醫寶鑑》

조성 ≒ 川芎(천궁)四兩, 天麻(천마)一兩. 을 作末(작말)하여 蜜丸(밀환)하되 一兩(일량)

으로 10환을 만들어서 每一丸(매일환)을 씹어 茶酒(다주)에 送下(송하)한다.

주치 : 수풍(首風)을 다스린다. 沐浴(목욕)을 하고 바람을 쏘이면 首風症(수풍증)이 된

다. 그 病勢(병세)가 頭面(두면)에 땀이 많고 바람을 싫어하며 一日前(일일전)에

바람을 쏘이면 翌日(익일)은 病(병)이 甚(심)하고 頭痛(두통)이 苦劇(고극)하다가

또 돐이 다시 돌아오면 조금 낫는다. (內經) 이는 大川芎丸(대천궁환)이 주치한

다. (河間)

대청연교탕(大靑連翹湯)《經驗方》

조성 ≒ 大靑葉(대청엽), 玄參(현삼), 貫仲(관중), 枯苓(고령) 各6, 連翹(연교), 銀花(은화),

生地黃(생지황) 各12, 車前子(차전자), 車前草(차전초), 赤芍(적작), 馬齒莧(마치

현) 各9, 甘草(감초)6.

대청용탕(大靑龍湯)《傷寒論》: 신온해표제(辛溫解表劑)

조성 ≒ 마황(麻黃)12, 계지(桂枝)4, 행인(杏仁)6, 석고(石膏)12, 감초(甘草)5, 생강(生

姜)9, 대조(大棗)3~12매(枚).

효용 : 발한해표(發汗解表) 청열제번(淸熱除煩)

주치 : 1) 외감풍한(外感風寒) 발열오한(發熱惡寒) 한열(寒熱)이 모두 심(甚) 하고 맥부

긴(脈浮緊) 신동통(身疼痛) 무한(无汗) 번조(煩躁) 등.

2) 급성록내장(急性綠內障)에 쓰는 약으로 심한 통증(痛證), 구토증(嘔吐症), 오

심(惡心), 두통(頭痛), 충혈(充血), 동공확대(瞳孔擴大) 등 증상을 다스린다.

대청의인탕(大靑薏仁湯)《經驗方》

조성 ≒ 生赭石(생자석), 生龍骨(생용골), 生牡蠣(생모려), 生薏苡仁(생의이인) 各30, 馬

齒莧(마치현)15, 大靑葉(대청엽)12, 當尾(당미), 赤芍(적작), 丹參(단삼) 各10, 升

麻(승마)6.

대칠기탕(大七氣湯)《醫學入門》

조성 ≒ 청피(靑皮), 진피(陣皮), 길경(桔梗), 곽향(藿香), 관계(官桂), 감초(甘草), 삼능(三

棱), 아출(莪朮), 향부(香附), 익지인(益智仁).

효용 : 행기소적(行氣消積), 활혈통락(活血通絡).

주치 : 적취병(積聚病) - 간기울결증(肝氣鬱結證)

대칠기탕(大七氣湯)《濟生方》리기제(理氣劑)

조성 ≒ 진피(陣皮), 청피(靑皮), 곽향(藿香), 익지인(益智仁), 감초(甘草), 길경(桔梗), 육

계(肉桂), 광목향(廣木香), 아출(莪朮), 삼능(三棱),.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가취.- 수기상하(隨氣上下), 심복동통(心腹疼痛), 상기질색(上氣窒塞), 소복창만

(腹脹滿),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등.

대토사자환(大菟絲子丸)《驗方》

조성 ≒ 菟絲子(토사자), 鹿茸(녹용), 肉桂(육계), 石龍芮(석용예), 炮附子(포부자), 澤瀉

(택사), 熟地(숙지), 牛膝(우슬), 山茱萸(산수유), 杜仲(두중), 茯苓(복령), 肉蓗蓉

(육종용), 續斷(속단), 石斛(석곡), 防風(방풍), 補骨脂(보골지), 蓽茇(필발), 巴戟

天(파극천), 茴香(회향), 川芎(천궁), 五味子(오미자), 桑螵蛸(상표소), 覆盆子(복

분자), 沉香(침향).

☞ 一方 无蓽茇, 有蓽澄茄.

대풍자유(大風子油)(市售成葯)

조성 ≒ 大風子油(대풍자유), 硼酸(붕산), 冰片(빙편), 麝香(사향).

대함흉탕(大陷胸湯)《傷寒論》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대황(大黃)10, 망초(芒硝)10, 감수(甘遂)1.

주치 : 결흉증(結胸證).- 대변난(大便難) 설상부(舌上部)가 말라서 조갈(燥渴)이 아고, 해

질녁에 잠시 몸에 열이 있고(日晡小時潮熱), 심하(心下)에서 소

복(少腹)까지 그득하고 뜬뜬한 것이 아퍼서 접근 할 수 없므며, 맥침긴(脈沉緊) 유

력(有力)한 것을 다스린다.

대함흉환(大陷胸丸)《傷寒論》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대함흉탕(大陷胸湯)(대황(大黃)250, 망초(芒硝)175, 감수(甘遂)1錢.) 가(加) 정력

(葶藶)175, 행인(杏仁)175. - 감수(甘遂) 1전(錢)을 찧어 백밀(白蜜) 2홉(二合)에

물 2승(二升)으로 달여서 일승(一升)에서 취하여 하룻밤 지난후에 이를 따뜻하

게 돈복(頓服)한다.

효용 : 사열축수(瀉熱逐水)

주치 : 결흉증(結胸證)으로 흉중(胸中)의 경만(硬滿)과 통증(痛證), 항강(項强)에 약간의

경증(痙證)이 있는 자(者)를 다스린다.

1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