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22 當歸掂痛湯 - 大柴胡湯

Autorenbild: 서선영서선영

Aktualisiert: 24. Aug. 2019


醫方集成

당귀점통탕(當歸掂痛湯)《蘭室秘藏》

거습제(祛濕劑) - 대시호탕(大柴胡湯)《傷寒論》

표리쌍해제(表裏雙解劑)


당귀점통탕(當歸掂痛湯)《蘭室秘藏》거습제(祛濕劑)

조성 ≒ 당귀(當歸), 감초(甘草), 인진(茵陣), 강활(羌活), 방풍(防風), 승마(升麻), 황금(黃

芩), 백출(白朮), 창출(蒼朮), 택사(澤瀉), 갈근(葛根), 저령(猪苓), 지모(知 母), 고

삼(苦蔘), 인삼(人蔘).

주치 : 습열상박(濕熱相搏)의 동통(疼痛).- 관절침중이번통(關節沉重而煩痛) 설태황니

(舌苔黃膩) 흉격불리(胸膈不利) 맥삭(脈數).

당귀지황음(當歸地黃飮)《景岳全書》

조성 ≒ 당귀(當歸), 숙지(熟地), 산수유(山茱萸), 두중(杜仲), 산약(山葯), 우슬(牛膝), 감초

(甘草).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證治准繩》치풍제(治風劑)

조성 ≒ 세신(細辛), 방풍(防風), 고본(藁本), 백지(白芷), 당귀(當歸), 숙지(熟地), 천궁 (川

芎), 작약(芍葯).

주치 : 파상풍(破傷風).- 아관불리(牙關不利), 지체견강(肢體牽强), 맥연약무력(脈軟弱无

力).

☞ 차방가용(此方可用) - 파상풍(破傷風) 소치적(所致的) 후유증(后遺證).

당귀탕(當歸湯)《千金翼方》훈세방(熏洗方)

조성 ≒ 當歸(당귀), 獨活(독활) 各45, 白芷(백지), 地楡皮(지유피), 枯礬(고반) 各60.

上爲粗末. 以水 1500 毫升, 煮取 1200 毫升, 洗浴陰部

효용 : 산풍소종散風消腫

주치 : 부인(婦人) 방사후(房事后) 자장수풍(子臟受風), 말위움종 및 음통(發爲陰腫及

陰痛)

당귀패모고삼환(當歸貝母苦蔘丸)《金匱要略》경산제(經産劑)

조성 ≒ 당귀(當歸), 패모(貝母), 고삼(苦蔘). 삼미조성(三味組成)

주치 : 임신(姙娠) 혈허울열(血虛鬱熱) 소변불리(小便不利).- 소변난(小便難) 대변조결

(大便燥結) 음식여고(飮食如故) 설건홍(舌乾紅) 맥세삭(脈細數)

당귀환(當歸丸)《聖濟悤錄》

조성 ≒ 當歸(당귀), 芍葯(작약), 吳茱萸(오수유), 大黃(대황), 乾姜(건강), 炮附子(포부자),

細辛(세신), 丹皮(단피), 川芎(천궁), 虻虫(맹충), 水蛭(수질), 厚朴(후박), 桃仁(도

인), 桂枝(계지).

당귀활혈음(當歸活血飮)《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사물탕(四物湯, 숙지(熟地), 백작(白芍), 당귀신(當歸身), 천궁(川芎)) 가(加) 황기

(黃芪), 강활(羌活), 방풍(防風), 창출(蒼朮), 박하(薄荷), 감초(甘草).

주치 : 혈허수풍(血虛受風)지 포륜진도(胞輪振跳).- 포륜진도(胞輪振跳) 불휴(不休),혹

여(或與) 미액면구각(眉額面口角) 상인(相引), 불능자공(不能自控).

대각풍세제(大脚風洗劑)《中醫外科學》

조성 ≒ 透骨草(투골초), 玄胡(현호), 歸尾(귀미), 姜黃(강황), 川椒(천초), 海桐皮(해동피),

威靈仙(위령선), 川牛膝(천우슬), 乳香(유향), 沒葯(몰약), 羌活(강활), 白芷(백지),

蘇木(소목), 五加皮(오가피), 紅花(홍화), 土茯苓(토복령).

대강활탕(大羌活湯)《此事難知》표리쌍해제(表裏雙解劑)

조성 ≒ 九味羌活湯(강활(羌活)5, 방풍(防風)5, 세신(細辛)1, 천궁(川芎)3, 생지(生地)3,

황금(黃芩)3, 창출(蒼朮)5, 백지(白芷)3, 감초(甘草)3.) 감(减) 백지(白芷), 가(加)

방기(防己) 지모(知母) 독활(獨活) 백출(白朮) 황연(黃連).

주치 : 풍한습사(風寒濕邪) 표증겸유(表證兼有) 리열증(里熱證).- 두통(頭痛) 발열(發熱)

바람을 싫어하고(惡寒), 입이 마르고 갈증이 심하며 마음이 몹시 번거로운(口乾

煩滿而渴) 증상을 다스린다.

대건중탕(大建中湯)《金匱要略》온리제(溫里劑)

조성 ≒ 촉초(蜀椒), 건강(乾姜), 인삼(人蔘), 이당(飴糖).

효용 : 온중산한(溫中散寒).

주치 : 완복통(脘腹痛) 심자(甚者) - 비양허증(脾陽虛證)

대건중탕(大建中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촉초(蜀椒), 건강(乾姜), 인삼(人蔘), 이당(飴糖).

주치 : 1) 비위허한(脾胃虛寒)적 한산(寒疝),- 심흉복중(心胸腹中) 극열동통(劇烈疼痛),

구토하며 음식을 먹을 수 없고(嘔不能食), 수족이 끝으로부터 차가우며(手足厥

冷), 맥상침복(脈象沉伏).

대건중텅(大建中湯)《得効(득효)》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黃芪(황기), 炮附子(포부자), 酒蒸鹿茸(주증녹용), 地骨皮(지골피), 續斷(속단), 石

斛(석곡), 白芍葯(백작약), 人蔘(인삼), 川芎(천궁), 當歸(당귀), 小草(소초) 各 一錢

(각일전), 炙甘草(자감초) 五分(오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생강) 5片

(편), 大棗(대조) 2枚(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虛勞(허로)의 부족과 小腹(소복)의 急痛(급통)과 潮熱(조열)과 盜汗(도한)과 痰

(담)이 많아서, 咳嗽(해수)하는 症(증)과 눕기를 즐기고 일어나기를 싫어하는 症

(증)을 다스린다.

대귤피탕(大橘皮湯)《奇效良方》거습제(祛濕劑)

조성 ≒ 귤피(橘皮), 오령산(五苓散, 계지(桂枝), 복령(茯苓), 택사(澤瀉), 백출(白朮), 저령

(猪苓)) 빈낭(檳榔), 목향(木香), 육일산(六一散, 활석(滑石), 감초(甘草)).

주치 : 습열호결(濕熱互結) 습중열경(濕重熱輕).- 심복창만(心腹脹滿) 대변당사(大便溏

瀉) 소변불리(小便不利).

대당귀탕(大當歸湯)《外科眞詮》

주성 ≒ 當歸(당귀)8, 吳茱萸(오수유)2, 肉桂(육계)2, 川芎(천궁)6, 白芍(백작)6, 木香(목

향)2, 小茴香(소회향)2, 炙甘草(자감초)3.- 水煎服

효용 : 온간산한(溫肝散寒), 行氣止痛(행기지통).

주치 : 婦人(부인) 房事陰痛(방사음통), 小腹拘攣(소복구련), 畏寒頭痛(외한두통).

대도산(代刀散)《外科全生集》옹양제(癰瘍劑)

조성 ≒ 조자(皂刺), 황기(黃芪), 감초(甘草), 유향(乳香).

주치 : 창양농불득출(瘡瘍膿不得出).- 환부동통(患部疼痛) 종창(腫脹).

대반하탕(大半夏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반하(半夏), 인삼(人蔘), 봉밀(蜂蜜).

주치 : 위반구토(胃反嘔吐).- 모식조토(暮食朝吐) 조식모토(朝食暮吐), 숙곡불화(宿谷不

化)

대방풍탕(大防風湯)《和劑局方》

조성 ≒ 防風(방풍), 白朮(백출), 杜仲(두중), 當歸(당귀), 生地(생지), 白芍(백작), 黃芪(황

기), 羌活(강활), 牛膝(우슬), 甘草(감초), 人參(인삼), 炮附子(포부자), 川芎(천궁).

대보원전(大補元煎)《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 산약(山葯), 숙지황(熟地黃), 두중(杜仲), 구기자(枸杞子),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감초(甘草).

효능 : 보익신기(補益腎氣), 익신전정(益腎塡精)

주치 : 1) 신기부족(腎氣不足) 기혈양휴(氣血兩虧).-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이며 힘이 빠

지는 듯이 연약함을 느끼며(腰膝痠軟), 머리가 빙빙도는 듯 어지럽고, 귀 울림

이나며(頭暈耳鳴), 정신은 피로하고 호흡은 촉박한(氣短神疲) 등 증상을 다스

린다.

2) 허로(虛勞) : 양위(陽萎), 불잉(不孕)

⑴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

⑵ 폐신음허증(肺腎陰虛證) 合 증음리노탕(拯陰理勞湯)《醫宗必讀》

3) 효천(哮喘) - 완해기(緩解期) : 폐비신양허증(肺脾腎陽虛證).

대보음환(大補陰丸) 대보환(大補丸)《丹溪心法》보익제(補益劑)

조성 ≒ 황백(黃柏)120, 지모(知母, 酒浸炒)120, 숙지황(熟地黃, 酒蒸)180, 구판(龜板,酥

炙) 저척수(猪脊髓). - 水煎服(수전복)

효용 : 자음강화(滋陰降火), - 자신전음(滋腎塡陰)

주치 : 1) 紅斑性(홍반성) 狼瘡(낭창), 陰經癌(음경암) 肝腎陰虛(간신음허).

2) 간신음허(肝腎陰虛) 허화상염(虛火上炎)으로 인한 골증조열(骨蒸潮熱), 밤잠

을 잘때 땀이나며, 유정을 하고(盜汗遺精), 해수각혈(咳嗽咯血), 마음이 번거롭

고 화를 잘내며(心煩易怒), 발과 무릎이 아프고 열이 나며(足膝疼熱), 혹은 근

육이 위축되어 발과 무릎을 움직이기 어렵고 약하고(痿軟), 설홍소태(舌紅少

苔) 맥은 척맥(尺脈)이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5 번 이상뛰며(數), 유력한 증상

을 다스린다.

3) 허로(虛勞). - ⑴ 신음허증(腎陰虛證).

⑵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

4) 陰火(음화)를 내리고 腎水(신수)를 壯(장)하게 하는 要葯(요약)이다.- 東醫寶鑑

대보지황환가감(大補地黃丸加减)《經驗方》

조성 ≒ 生熟地(생숙지), 枸杞子(구기자), 山茱肉(산수육) 各12, 炒黃柏(초황백), 當歸(당

귀), 炒白芍(초백작), 肉蓗蓉(육종용), 玄參(현삼), 花粉(화분), 天麥冬(천맥동) 各

10, 山葯(산약)15, 炒知母(초지모)6.

대분청음(大分淸飮)《景岳全書》거습제(祛濕劑)

조성 ≒ 저령(猪苓), 복령(茯苓), 택사(澤瀉), 목통(木通), 치자(梔子), 지각(枳殼), 차전자

(車前子).

주치 : 적열협습(積熱挾濕) 폐결우리(閉結于里).- 소변불리(小便不利) 혹 익혈(溺血), 혹

요복하부극통(腰腹下部極痛) 혹 하리희수(下利稀水) 황달(黃疸), 혹 사열축혈복

통(邪熱蓄血腹痛).

대분청음(大分淸飮)《類證治裁》

조성 ≒ 茯苓(복령), 猪苓(저령), 澤瀉(택사), 木通(목통), 山梔(산치), 車前子(차전자), 枳

殼(지각). - 水煎服(수전복)

효용 : 淸熱燥濕(청열조습)

주치 : 精濁(정탁), 溺濁(익탁) 水疝(수산)

대산우원(大山芋元)《局方(국방)》東醫寶鑑(동의보감) 보익제(補益劑)

조성 ≒ 山葯(산약) 三兩七錢半(삼량칠전반), 甘草(감초) 三兩半(삼량반), 炒大豆黃卷(초

대두황권), 熟地黃(숙지황), 當歸(당귀), 肉桂(육계), 炒神麴(초신국) 各一兩二錢

半(각일량이전반), 人蔘(인삼), 阿膠(아교) 各八錢二分半(각팔전이분반), 白朮

(백출), 麥門冬(맥문동), 防風(방풍), 白芍葯(백작약), 杏仁(행인), 川芎(천궁) 各七

錢半(각칠전반), 白茯苓(백복령), 桔梗(길경), 柴胡(시호) 各六錢二分半(각육전

이분반), 乾姜(건강) 三錢七分半(삼전칠분반), 白斂(백렴) 二錢半(이전반)을 作

末(작말)하고 大棗(대조) 100枚(매)를 쪄서 肉(육)을 취하여 煉蜜(련밀)을 넣 고

和丸(화환)을 彈子大(탄자대)로 하여 매번 一丸(일환)을 溫酒(온주) 혹은 米飮

(미음)으로 嚼下(작하)한다.

주치 : 虛弱(허약)하고 여위고 脾, 胃(비,위)가 허약하고 飮食(음식)이 减少(감소)하며, 혹

은 大病(대병) 후에 氣(기)가 회복되지 않아서 將次(장차) 勞損(노손)해지는 症

(증)을 다스린다.

대성탕(大成湯)《仙授理傷續斷秘方》골상제(骨傷劑)

조성 ≒ 망초(芒硝), 대황(大黃), 지각(枳殼), 후박(厚朴), 진피(陣皮), 감초(甘草), 당귀(當

歸), 소목(蘇木), 목통(木通), 홍화(紅花).

주치 : 질복손상(跌扑損傷) 어혈내축(瘀血內蓄).- 혼수불성(昏睡不醒) 이변비결(二便秘

結) 혹(或) 요추손상(腰椎損傷) 후반(后伴) 발장마비(發腸麻痹) 복창변비(腹脹便

秘).

대성풍탕(大省風湯)《和劑局方》치풍제(治風劑)

조성 ≒ 방풍(防風), 독활(獨活), 감초(甘草), 전갈(全蝎), 천오(川烏), 포부자(炮附子), 천

남성(天南星).

주치 : 중풍담궐(中風痰厥).- 후중담명(喉中痰鳴), 혼불지인(昏不知人), 수족축닉(手足

搦), 반신불수(半身不遂) 맥침활(脈沉滑).

대순산(大順散)《和劑局方》온리제(溫里劑)

조성 ≒ 계지(桂枝), 건강(乾姜), 행인(杏仁), 감초(甘草).

주치 : 감수서사(感受暑邪).- 안에 열이 숨어 있으며(伏熱在里), 더하여 찬음식을 과식하

여(又加冷飮過多), 비위(脾胃)가 습사(濕邪)에 상하다(濕傷脾胃).- 구토(嘔吐) 설

사(泄瀉), 몸은 추워보이고 팔다리는 찬(形寒肢冷) 증상을 다스린다.

대승기탕(大承氣湯)《傷寒論》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소승기탕(小承氣湯) 加 망초(芒硝) - 수전복(水煎服) 대황(酒洗大黃)12 后下, 후

박(炙厚朴)15 冲服, 지실(枳實)12, 망초(芒硝)9.

효용 : 瀉熱攻下(사열공하)

주치 : 1) 양명부실증(陽明腑實證) 즉 비만조실(痞滿燥實).- 비증(痞證) 즉 흉완부(胸脘

部)가 폐색(閉塞)된 것 같이 중압감(重壓感)을 자각(自

覺)하며, 만증(滿證) 즉 완복(脘腹)이 창만(脹滿)하여 손으로 집으면 저항감(抵

抗感)이 있고, 조증(燥證)은 장중분변(腸中糞便)이 말라서 손으로 집으면 굳은

분변(糞便)을 집을수 있다. 실증(實證)은 장위(腸胃)의 마른 분변(糞便)과 열사

(熱邪)가 결합(結合)하여 변비(便秘) 복통(腹痛)이 있고, 손으로 누르는 것을 싫

어하고 또는 복통(腹痛)과 수양(水 樣)의 설사(泄瀉)를 하는데 이같은 증상을

다스린다.

2)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

3) 瘡瘍(창양) 皮膚病(피부병) 急腹症(급복증) 裏熱實證(리열실증).

대승기탕(大承氣湯)《入門․東醫寶鑑》

조성≒ 大黃(대황)四錢, 厚朴(후박), 枳實(지실), 芒硝(망초)各二錢. 剉作一貼(좌작일첩)하

여 水二大盞(수이대잔)에다 먼저 枳實(지실), 厚朴(후박)을 달여서 一盞(일잔) 쯤

되거든 大黃(대황)을 넣어 七分(칠분)쯤 되게 달이고 去滓(거재)한 뒤에 芒硝(망

초)를 넣어 다시 한 번 끓여서 溫服(온복)한다.

주치 : 傷寒裏症(상한리증)에 大熱(대열), 大實(대실), 大滿(대만)한 症(증)은 急(급)히 (하)

해야 한다.

대승기탕(大承氣湯)《傷寒論》표리쌍해제(表裏雙解劑) 太陰人方-(張仲景)

조성 ≒ 시호(柴胡)15, 황금(黃芩)9, 작약(芍葯)9, 반하(半夏)9, 생강(生姜)15, 대조(大棗)

5~12매(枚), 대황(大黃)6, 지실(枳實)9.

효용 : 肺와 肝에 울체된 양열을 제거하고, 肺의 元氣를 거두어들인다.

주치 : 1) 소양(少陽), 양명(陽明) 합병(合病).- 한(寒)과 열(熱)이 번갈라 일어나므로 추웠

다 더웠다하며(寒熱往來), 옆구리가 그득

하게 膨滿하고 입안에 쓴맛이 돌고(胸脇苦滿), 내용물이 없는 구토를 계속하며

(嘔不止), 마음이 불편하고 번거롭고(鬱鬱微煩), 심하(心下)에 딴딴한 것이 마

치고 아프며(心下痞硬), 혹은 심하(心下)가 그득하고 아프기도 하며(或心下滿

痛), 변비가 있고(大便秘結), 설태 는 누렇고(舌苔黃), 脈은 가라앉은 것이 가야

금줄을 누르는 것 같으며 힘이있다(脈弦有力).

2) 급성간염(急性肝炎) 열성황달(熱性黃疸) 고혈압(高血壓) 담석증(膽石症) 담낭

염(膽囊炎) 等, 중풍(中風)에도 사용한다.

3) 복통(腹痛) -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

대시호탕(大柴胡湯)《傷寒論》표리쌍해제(表裏雙解劑) 太陰人方-(張仲景)

조성 ≒ 시호(柴胡)15, 황금(黃芩)9, 작약(芍葯)9, 반하(半夏)9, 생강(生姜)15, 대조(大棗)

5~12매(枚), 대황(大黃)6, 지실(枳實)9.

효용 : 肺와 肝에 울체된 양열을 제거하고, 肺의 元氣를 거두어 들인다.

주치 : 1) 소양(少陽), 양명(陽明) 합병(合病).- 한(寒)과 열(熱)이 번갈라 일어나므로 추웠

다 더웠다하며(寒熱往來), 옆구리가 그득하

게 膨滿하고 입안에 쓴맛이 돌고 (胸脇苦滿), 내용물이 없는 구토를 계속하며

(嘔不止), 마음이 불편하고 번거롭고(鬱鬱微煩), 심하(心下)에 딴딴한 것이 마

치고 아프며(心下痞硬), 혹은 심하 (心下)가 그득하고 아프기도 하며(或心下滿

痛), 변비가 있고(大便秘結), 설태는 렇고(舌苔黃), 脈은 가라앉은 것이 가야금

줄을 누르는 것 같으며 힘이 있다(脈弦有力).

2) 급성간염(急性肝炎) 열성황달(熱性黃疸) 고혈압(高血壓) 담석증(膽石症) 담낭

염 (膽囊炎) 等, 중풍(中風)에도 사용한다.

3) 복통(腹痛) -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

4) 《正傳․東醫寶鑑》

조성 ≒ 柴胡(시호)四錢, 黃芩(황금), 芍藥(작약) 各二錢半, 大黃(대황)二錢, 枳實

(지실)一錢半, 半夏(반하)一錢, 生薑(생강)三片, 大棗(대조)二枚. 剉作(좌

작) 一貼(일첩)하여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東醫寶鑑(동의보감) - 傷寒病(상한병)의 少陽(소양)이 轉變(전변)하여 陽

明(양명)에 속하면서 몸이 熱(열)하고, 惡寒(오한)하지 않으면 도리어 惡

熱(오열)하며, 大便(대변)이굳고 小便(소변)이 붉고 譫語(섬어)하며 배가

부르고 潮熱(조열)하는 症(증)을 다스린다.

海藏 : 小柴胡湯(소시호탕)에서 人參(인삼), 甘草(감초)를 빼고 芍藥(작약), 大黃

(대황), 枳實(지실)을 加(가)한 것이니 芍藥(작약)으로써 밑으로 太陰(태

음)을 편히 하여 邪氣(사기)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大黃(대황)으로

地道(지도)의 不通(불통)을 다스리며 枳實(지실)로써 心下(심하)의 痞悶

(비민)을 除去(거)하는 것이다. 라고 했다.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