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귀신환(歸腎丸)《景岳全書》경산제(經産劑) - 금연이모환(芩連二母丸)《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귀신환(歸腎丸)《景岳全書》경산제(經産劑)
조성 ≒ 숙지황(熟地黃), 두중(炒杜仲), 토사자(菟絲子), 구기자(枸杞子), 당귀(當歸), 산수
유(山茱萸), 산약(懷山葯), 복령(茯苓).
효용 : 자보간신(滋補肝腎), 양혈조경(養血調經).
주치 : ⑴ 신기휴손(腎氣虧損) 정혈부족(精血不足)적 월경과소(月經過少).- 경소(經少)
색담홍(色淡紅) 혹암홍(或暗紅) 질박(質薄) 요(腰) 척(脊) 슬(膝) 각산연무력(脚
酸軟无力) 족근통(足跟痛) 두운이명(頭暈耳鳴) 혹 소복냉(小腹冷), 혹 야뇨다
(夜尿多), 설 담태백(舌淡苔白), 맥침지무력(脈沈遲无力).
⑵ 폐경(閉經) - 간신음허증(肝腎陰虛證)
귀용원(歸茸元)《입문(入門)》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當歸(당귀), 鹿茸(녹용)을 各等分(각등분)하여 作末(작말)해서 烏梅肉(오매육)으
로 膏(고)를 만들어 梧子大(오자대) 크기로 和丸(화환)을 지어서 溫酒(온주)로
50~70 환을 呑下(탄하, 삼키다)한다.
주치 : 虛勞(허로)에 陰血(음혈)이 耗竭(모갈)하고 얼굴빛이 검고 귀가 멀며, 눈이 어둡고
다리가 痿弱(위약)하고 허리가 아프고 소변이 白濁(백탁)한 症(증)을 다스린다.
귀작제통음(歸芍除痛飮)《臨床經驗方》
조성 ≒ 白芍(백작), 當歸(당귀) 各25, 牛膝(우슬), 五加皮(오가피)各15, 柴胡(시호), 玄參
(현삼) 各10, 甘草(감초)5.
주치 : 魚腹(어복, 大魚際(대어제) 또는 足低(족저)에 상응한 부위) 筋肉痛(근육통), 關節
屈伸不利(관절굴신불리)를 치료한다.
귀작지황탕(歸芍地黃湯)《北京市中葯成方選集》치목제(治目劑)
조성 ≒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 숙지황(熟地黃), 산수육(山茱肉), 산약(山葯), 택사(澤
瀉), 복령(茯苓), 단피(丹皮)) 가(加) 당귀(當歸), 백작(白芍).
주치 : 간신부족(肝腎不足) 심영모손(心營耗損)의 백정일혈(白睛溢血).- 백정표층내(白
睛表層內) 정편상선홍(呈片狀鮮紅) 건망실면(健忘失眠) 요슬산연(腰膝酸軟) 면색
창백(面色蒼白) 사려과도(思慮過度)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삭(脈細數).
귀작지황환(歸芍地黃丸)《上海方》
조성 ≒ 當歸(당귀), 白芍(백작), 熟地(숙지), 山茱肉(산수육), 山葯(산약), 澤瀉(택사), 茯苓
(복령), 丹皮(단피), 麥冬(맥동), 五味(오미).
귀작홍화산(歸芍紅花散)《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당귀(當歸), 적작(赤芍), 홍화(紅花), 생지황(生地黃), 대황(大黃), 산치자(山梔子),
황금(黃芩), 감초(甘草), 락연교(落連翹), 백지(白芷), 관방풍(關防風).
주치 : 혈열옹체(血熱壅滯)의 초창(椒瘡).- 포검후경(胞瞼厚硬) 검내과립루루(瞼內顆粒
累累) 흘탑불평(疙瘩不平) 홍적현저(紅赤顯著) 안검중추난개(眼瞼重墜難開) 안내
(眼內) 자통작열(刺痛灼熱) 사삽수명(沙澁羞明) 생치유루(生眵流泪) 흑정적막하
수(黑睛赤膜下垂).
역치(亦治) : 혈열옹체(血熱壅滯)지 혈예포정(血翳包睛)
귀활온경탕(歸活溫經湯)《陳素庵婦科補解》
조성 ≒ 當歸(당귀)9, 羌活(강활), 獨活(독활), 防風(방풍), 川芎(천궁) 各4.5, 丹參(단
삼)12, 靑皮(청피)6, 香附(향부)4.5, 烏葯(오약)3, 川斷(천단)9.- 水煎服
효용 : 婦人經行(부인경행) 下血過多(하혈과다) 筋失肌養(근실기양) 痛如行痹(통여행
비).
규자복령산(葵子茯苓散)《金匱要略》경산제(經産劑)
조성 ≒ 규자(葵子), 복령(茯苓). 양미조성(兩味組成)
주치 : 임신수기(姙娠水氣).- 임신신종(姙娠身腫) 자각침중(自覺沉重) 소변불리(小便不
利) 주석오한(酒淅惡寒) 기칙두현(起則頭眩).
균기산(勻氣散) 《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포강(炮姜), 목향(木香), 사인(砂仁), 진피(陣皮), 감초(甘草), 길경(桔梗). 육미조성
(六味組成) 대조(大棗) 위인(爲引).
주치 : 비장허한(脾臟虛寒).- 곡성저약(哭聲低弱) 수희권곡(睡喜蜷曲) 복희마안(腹喜摩
按) 사지흠온(四肢欠溫) 연유무력(吮乳无力) 혹불연유(或不吮乳) 대변당박(大便
溏薄) 소변청장(小便淸長) 면색청백(面色靑白) 설담태백(舌淡苔白).
귤반계령지강탕(橘半桂苓枳姜湯)《溫病條辨》경산제(經産劑)
조성 ≒ 귤피(橘皮), 계지(桂枝), 반하(半夏), 복령(茯苓), 지실(枳實), 생강(生姜). 육미조성
(六味組成),약가(若加) 백출(白朮) 이인(苡仁) 료효갱가(療效更佳)
주치 : 담습음취(痰濕陰吹).- 음취이대하증다(陰吹而帶下增多) 색백질점니(色白質粘膩)
무취(无臭), 흉민완비(胸悶脘痞) 구니담다(口膩痰多) 태황니(苔黃膩) 혹백니(或白
膩) 맥현활(脈弦滑).
귤반지출환(橘半枳朮丸)《醫學入門》소도제(消道劑)
조성 ≒ 지출환(枳朮丸, 지실(枳實) 백출(白朮)) 가(加) 진피(陣皮) 반하(半夏).
주치 : 비허정담(脾虛停痰) 음식난소(飮食難消) 기체비민(氣滯痞悶).
귤엽산(橘葉散)《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귤엽(橘葉), 석고(石膏), 치자(梔子), 천궁궁(川芎窮), 시호(柴胡), 황금(黃芩), 연교
(連翹), 감초(甘草), 진피(陣皮), 청피(靑皮).
주치 : 유옹(乳癰).- 유방종창(乳房腫脹) 동통(疼痛), 피부점홍(皮膚漸紅) 유즙분비(乳汁
分泌) 불창(不暢), 오한발열(惡寒發熱) 흉민불서(胸悶不舒) 설태황니(舌苔黃膩)
맥현삭(脈弦數).
귤지강탕(橘枳姜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귤피(橘皮), 지실(枳實), 생강(生姜).
효용 : 선통강역(宣通降逆), 행기화담(行氣化痰).
주치 : 기체편성(氣滯偏盛) 수음정축(水飮停蓄) 흉비경증(胸痹輕證).- 흉중기색(胸中氣
塞) 단기(短氣) 심하비만(心下痞滿) 구토기역(嘔吐氣逆).
귤피전원(橘皮煎元)《入門(입문)》東醫寶鑑(동의보감) 보익제(補益劑)
조성 ≒ 橘皮(귤피) 五兩(오량), 甘草(감초) 三兩三錢(삼량삼전), 當歸(당귀), 萆薢(비해),
肉蓗蓉(육종용), 吳茱萸(오수유), 厚朴(후박), 肉桂(육계), 陽起石(양기석), 巴戟(파
극), 石斛(석곡), 附子(부자), 菟絲子(토사자), 牛膝(우슬), 鹿茸(녹용), 杜仲(두중),
乾姜(건강) 各一兩(각일량)을 作末(작말)하여 술 一升半(일승반)과 橘皮末(귤피
말)을 磁器(자기) 안에 넣고 달여서 엿물과 같이 되거든 諸葯末(제약말)을 넣어
고루 저어서 찧고 梧子大(오자대)만하게 和丸(화환)을 지어 溫酒(온주) 혹은 鹽湯
(염탕)으로 空心(공심)에 50~70환을 呑下(탄하)한다.
주치 : 脾(비)와 腎(신)이 크게 虛(허)해서 음식을 먹지 못하고 살이 여위며 虛弱(허약)하
고 憔悴(초췌)한데 또한 오랜 瘧疾(학질)이나 오랜 痢(이)를 다스린다.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金匱要略》리기제(理氣劑)
조성 ≒ 귤피(橘皮), 죽여(竹茹), 인삼(人蔘),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1) 구병허약(久病虛弱) 혹 토리지후(吐利之后) 위허유열(胃虛有熱) 기역불강(氣
逆 不降).- 애역(呃逆) 혹 구홰(嘔噦), 설눈홍(舌嫩紅) 맥허(脈虛)
2) 애역(呃逆) - 간위불화증(肝胃不和證) 合 시호소간탕(柴胡疏肝湯)《경악전서(景
岳全書)》
2. 제생귤피죽여탕(濟生橘皮竹茹湯)《濟生方》
조성 ≒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 가(加) 반하(半夏), 운복령(云茯苓), 맥동(麥冬), 비
파엽(枇杷葉).
주치 : 위열다갈(胃熱多渴) 구홰불식(嘔噦不食).
귤피탕(橘皮湯)《金匱要略》리기제(理氣劑)
조성 ≒ 귤피(橘皮), 생강(生姜).
주치 : 구홰(嘔噦).- 건구(乾嘔), 수족궐냉(手足厥冷).
귤핵환(橘核丸)《濟生方》리기제(理氣劑)
조성 ≒ 귤핵(炒橘核), 해조(洗海藻), 해대(洗海帶), 곤포(洗昆布), 천련자(打炒川楝子), 도
인(桃仁) 各30, 후박(厚朴, 去皮姜汁炒), 목통(木通), 지실(枳實, 麩炒), 연호색(炒
延胡索), 계심(桂心), 목향(木香) 各15.- 共爲細末 酒糊爲丸 如梧桐子大. 每天 2
次, 每次 60 粒, 空腹淡塩湯送下.
효용 : 소간행기(疏肝行氣) 산어소종(散瘀消腫) 연견이수(軟堅利水)
주치 : 독산(禿疝).- 고환종창(睾丸腫脹) 편추(偏墜), 통인제복(痛引臍腹), 혹 견경여석(堅
硬 如石), 음낭종대(陰囊腫大)
금궤신기환(金匱腎氣丸)《金匱要略》 ☞ 신기환(腎氣丸)《金匱要略》
금령자산(金鈴子散)《素問病機氣宜保命集》리기제(理氣劑)
조성 ≒ 금령자(金鈴子), 연호색(延胡索). 各30.- 每次 9 克, 酒調服 或開水送下.
효용 : 행기소간(行氣疏肝) 활혈지통(活血止痛)
주치 : 1) 간울유열(肝鬱有熱).- 심복협늑(心腹脇肋) 제통(諸痛), 시발시지(時發時止), 설
홍태황(舌紅苔黃), 맥현삭(脈弦數).
2) 협통(脇痛), 위완통(胃脘痛), 복통(腹痛).
⑴ 간기울결증(肝氣鬱結證)
⑵ 담열증(膽熱證) 合 좌금환(左金丸)《단계심법(丹溪心法)》
금령자산(金鈴子散)《太平聖惠方》
조성 ≒ 玄胡(현호) ,川楝子(천련자).
금비초산(金沸草散)《類證活人書》
조성 ≒ 금비초(金沸草), 전호(前胡), 형개수(荊芥穗), 세신(細辛), 반하(半夏), 적작(赤芍),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효용 : 소풍산한(疏風散寒), 선이폐기(宣利肺氣).
주치 : 실음(失音) -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
금비초산(金沸草散)《南陽活人書》거담제(祛痰劑)
조성 ≒ 금비초(金沸草), 세신(細辛), 반하(半夏), 전호(前胡), 적복령(赤茯苓), 형개(荊芥),
감초(甘草).
주치 : 숙유담음(宿有痰飮) 복감풍한(復感風寒).- 해수담다(咳嗽痰多) 발열오한(發熱惡
寒) 태백니(苔白膩) 맥부활(脈浮滑).
금소고(金素膏)《經驗方》
조성 ≒ 枯礬(고반)6, 雄黃(웅황)10, 凡士林(범사림)84. 將葯硏極細末, 調膏 備用.- 敷貼,
日 1 次.
효용 : 解毒軟堅(해독연견)
주치 : 瘰癧性(라력성) 皮膚結核(피부결핵, 未潰), 硬紅斑(경홍반) 等.
금수육군전(金水六君煎)《景岳全書》거담제(祛痰劑)
조성 ≒ 이진탕(二陣湯, 반하(半夏), 운령(云苓), 진피(陣皮), 감초(甘草)) 가(加) 당귀(當
歸), 숙지(熟地).
주치 : 폐신음허(肺腎陰虛)의 담음(痰飮).- 해수담천(咳嗽痰喘) 요슬산연(腰膝酸軟) 설홍
소태(舌紅少苔) 맥세삭(脈細數).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醫方集解》고삽제(固澁劑)
조성 ≒ 검실(芡實)60, 사원질려(沙苑蒺藜)60, 용골(龍骨)30, 모려(牡蠣)30.- 共硏細末 연육자(蓮肉煮). 粉糊丸. 每次 10g, 每天 2~3 次, 空腹淡鹽湯送下.
효용 : 고신삽정(固腎澁精)
주치 : 1) 신관불고(腎關不固).- 유정활설(遺精滑泄) 요통이명(腰痛耳鳴) 사지핍력(四肢
乏力).
2) 신허유정(腎虛遺精), 백탁(白濁).
금연사물탕(芩連四物湯)《醫宗金鑑》
조성 ≒ 황금(黃芩), 황련(黃連), 당귀(當歸), 백작(白芍), 생지(生地), 천궁(川芎).
금연이모환(芩連二母丸)《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황금(黃芩), 황연(黃連), 지모(知母), 패모(貝母), 당귀(當歸), 백작(白芍), 영양각(羚
羊角),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포황(蒲黃), 지골피(地骨皮), 감초(甘草), 천
궁(川芎), 위말(爲末) 측백엽전탕(側柏葉煎湯) 타한식면호위환(打寒食面糊爲丸) 여오동자대(如梧桐子大) 정심전탕송하(灯心煎湯送下). 매복(每服) 70-환(丸).
주치 : 혈류(血瘤).- 류체정미자(瘤体呈微紫) 자홍(紫紅) 연경잡간(軟硬雜間) 피부은은
(皮膚隱隱) 여전홍사(如纏紅絲) 피파혈류불지(皮破血瘤不止).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