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13 高枕无憂散 - 栝樓牛蒡湯

Aktualisiert: 24. Aug. 2019



醫方集成

고침무우산(高枕无憂散)《古今醫鑒》 - 괄루우방탕(栝樓牛蒡湯)《醫宗金鑑》

옹양제(癰瘍劑)


고침무우산(高枕无憂散)《古今醫鑒》

조성 ≒ 인삼(人蔘), 석고(石膏), 진피(陣皮), 반하(半夏), 복령(茯苓), 지실(枳實), 죽여(竹

茹), 맥문동(麥門冬), 용안육(龍眼肉), 산조인(酸棗仁), 감초(甘草).

주치 : 불매(不寐) 유열담자(有熱痰者) - 심담불영증(心膽不寧證)

고포탕(固脬湯)《雜病源流犀燭》

조성 ≒ 상표소(桑螵蛸), 황기(黃芪), 사원자(沙苑子), 산수유(山茱萸), 당귀(當歸), 복신

(茯神), 토사자(菟絲子), 백작(白芍), 승마(升麻), 양유(羊乳).

효용 : 온신고삽(溫腎固澁)

주치 : 유뇨(遺尿) - 신기불

고증(腎氣不固證) 合 상표소산(桑螵蛸散)《본초연의(本草衍義)》

고하익기탕(固下益氣湯)《臨證指南醫案》

조성 ≒ 人參(인삼), 白朮(백출), 熟地(숙지), 阿膠(아교), 白芍(백작), 炙甘草(자감초), 砂

仁(사인), 艾葉炭(애엽탄).

곡맥지출환(曲麥枳朮丸)《醫學正傳》소도제(消道劑)

조성 ≒ 지출환(枳朮丸, 지실(枳實) 백출(白朮)) 가(加) 신곡(神曲) 맥아(麥芽).

주치 : 음식과다(飮食過多) 심복창만(心腹脹滿) 불쾌자(不快者)

골과외세방(骨科外洗方) 골상제(骨傷劑)

一方《外傷科學》

조성 ≒ 금은화등(金銀花藤), 관근등(寬筋藤), 유기노(劉寄奴), 왕불유행(王不留行), 쌍구

등(雙鉤藤), 형개(荊芥), 방풍(防風), 대황(大黃). - 八味葯. 전수훈세(煎水熏洗) 환

처(患處), 지체가직접침포(肢体可直接浸泡)

주치 : 손상후(損傷后) 근육구련(筋肉拘攣)

관절공능흠가(關節功能欠佳) 산통마목(酸痛麻木) 혹(或) 외감풍습(外感風濕) 작

통(作痛).

二方《外傷科學》

조성 ≒ 계지(桂枝), 형개(荊芥), 방풍(防風), 위령선(威靈仙), 오가피(五加皮), 세신(細辛),

명몰약(明沒葯). 칠미약(七味葯) 전수훈세환처(煎水熏洗患處) 지체가직접침포

(肢体可直接浸泡)

주치 : 손상후기(損傷后期) 지체냉통(肢體冷痛) 관절불리(關節不利) 급(及) 풍한습사침

주(風寒濕邪侵注) 국부우냉칙통극(局部于冷則痛劇) 득온초적지비증(得溫稍適

之痺證).

골자환(骨刺丸)《外傷科學》골상제(骨傷劑)

조성 ≒ 북세신(北細辛), 백지(白芷), 홍화(紅花), 당귀신(當歸身), 천오두(川烏頭), 초오두

(草烏頭), 면비해(棉萆薢). 칠미약(七味葯)

주치 : 손상후기(損傷后期)에 골을 쑤시는 자통이 되기 때문에(骨刺所致) 통증이 있고

(疼痛), 혹은 풍한습비통(風寒濕痺痛)

골질증생환(骨質增生丸)《外傷科學》골상제(骨傷劑)

조성 ≒ 래복자(萊菔子), 육종용(肉蓗蓉), 녹함초(鹿銜草), 계혈등(鷄血騰), 숙지황(熟地

黃), 음양곽(淫羊藿), 골쇄보(骨碎補). 칠미약(七味葯)

주치 : 척주골질증생(脊柱骨質增生) 경추병(頸椎病) 관절간유이체(關節間游離体) 골자

(骨刺) 근골동통(跟骨疼痛) 근골수상후(筋骨受傷后) 미능흔호수복(未能很好修

復) 경상산통자(經常酸痛者).

공연단(控涎丹)《三因極一病證方論》공축제(攻逐劑) = 축수제(逐水劑)

조성 ≒ 십조탕(十棗湯) 거(去) 원화(芫花), 가(加) 백개자(白芥子). 감수(甘遂) 대극(大戟) 백개자(白芥子) 각등분(各等分).

효용 : 거담축음(祛痰逐飮)

주치 : 담연(痰涎)이 흉격(胸膈)의 상하(上下)에 숨어있어 갑자기 흉배(胸背) 경항(頸項)

요과(腰胯) 등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아프고, 근골(筋骨)이 낙시바늘로 끌어 당

기는 듯이 아프며, 자주 움직이며 가만히 있지 않고 혹은 수족냉비(手足冷痺) 혹

은 참을 수 없는 두통(頭痛), 혹은 신지혼권(神志昏倦) 다수(多睡), 혹은 음식무미

(飮食无味), 담타(痰唾)가 조점(稠粘)하고 밤에는 목에서 담명(痰鳴)이 나며 연타

(涎唾)를 많이 흘리는 증(症) 등을 다스린다. 담음정우흉격(痰飮停于胸膈).- 흉협

은통(胸脇隱痛) 설태점니(舌苔粘膩) 맥활(脈滑).

공제환(鞏提丸)《景岳全書》영아제(嬰兒劑)

조성 ≒ 숙지황(熟地黃), 부자(附子), 토사자(菟絲子), 파고지(破故紙), 구채자(韭菜子), 익

지인(益智仁), 오미자(五味子), 백출(白朮), 복령(茯苓), 산약(山葯).

주치 : 1) 명문화쇠(命門火衰)의 소변실금(小便失禁).- 소변불금(小便不禁) 요슬산냉(腰

膝酸冷) 면색창백(面色蒼白) 지냉형한(肢冷形寒)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脈

沉)

2) 소변불금(小便不禁) - 방광허한증(膀胱虛寒證).

공진단(拱辰丹)《世醫得效方》

조성 ≒ 鹿茸(牛乳에 적셔서 프라이펜에 볶은 것) 當歸 山茱萸 各160, 麝香20. 이상의

약을 가루 낸 다음 밀가루에 술을 붓고 끓인 밀가루풀로 반죽해서 0.3g 크기의

알약으로 만들어 두었다가 따끈한 술이나 소금을 약간 탄 물과 함께 70~100알

씩 복용한다. 湯劑로 할 때는 麝香만은 가루 내고 기타 약을 끓인 물에 타서 복

용한다.

加减 : ① 약값 : 麝香 대용으로는 沉香이나 木香을 쓰면 경제적일 수 있다

② 기혈부족(氣血不足) : 加 인삼(人參), 숙지황(熟地黃).

③ 신냉(身冷) : 加 계피(桂皮), 포부자(炮附子).

주치 : ① 肝癌을 預防하는데는 공진단(拱辰丹)이 효과적이다.

② 중국 원나라 명의였던 위역림이 편찬한【世醫得效方】에 기재된 처방으로 특

히 肝機能 虛弱에 뛰어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전해 내려온다. 肝機能이 虛弱

하면 얼굴이 까칠해지면서 윤기도 없어지고 검은 빛을 띄게 되며 눈이 침침

해지고 눈물이 흐르고 눈빛도 맑지 못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또 근육과 뼈마

디가 아프거나 경직되며 경련과 같은 떨림 증상이 올 수도 있는데 심하면 머

리가 멍해지면서 참을 수 없는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이를 頭暈症, 目眩症

이라고 하는데 이들 증상을 다스린다.

③ 拱辰丹은 肝機能 虛弱 증세를 다스릴 뿐 아니라 선천적으로 약한 체질을 강화

시키고 체내의 물과 불(陰陽)을 조화시켜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공진단(拱辰丹)《득효(得効)》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酥炙鹿茸(소자녹용), 當歸(당귀), 山茱萸(산수유) 各四兩(각사량), 麝香(사향) 五

錢(오전,별도로 細末(세말))를 細末(세말)하여 酒麵糊(주면호, 술로 쑨 밀가루

풀)로 梧子大(오자대) 만하게 和丸(화환)을 지어 溫酒(온주) 혹은 鹽湯(염탕)으로

70~100환을 呑下(탄하, 삼키다)한다.

주치 : 남자가 바야흐로 壯年(장년)을 當(당)하여 眞氣(진기)에 怯(겁)이 많은 症(증)은

稟賦(품부)가 本來(본래) 弱(약)한 때문이요 虛(허)해서 그러한 것이 아니다. 그러

나 燥(조)하고 澁(삽)한 藥(약)은 쓰지 말아야 하고 滋益(자익)하는 方文(방문)도

品名(품명)이 繁多(번다)하고 약의 힘이 細微(세미)하여 공효를 보기가 어려우니

다만 天元(천원)의 一氣(일기)를 굳세게 하여 水昇(수승), 火降(화강)이 잘 되도록

하여주면 五臟(오장)이 스스로 和(화)하고 百病(백병)이 나지 않으니 이런 경우에

이 方文(방문)이 主治(주치)한다.

과기음(過期飮)《證治准繩》

조성 ≒ 숙지황(熟地黃), 당귀(當歸), 백작(白芍), 천궁(川芎), 도인(桃仁), 홍화(紅花), 아

출(莪朮), 형개(荊芥), 육계(肉桂), 목통(木通), 감초(甘草).

과기음(過期飮)《女科准繩》경산제(經産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사물탕(四物湯, 地黃 芍葯 當歸 川芎), 목통(木通), 아출

(莪朮), 향부(香附), 감초(甘草), 육계(肉桂). 십일미조성(十一味組成)

주치 : 월경과기불지(月經過期不至).- 과기불지(過期不至) 경래량소(經來量少) 색암유

괴(色暗有塊) 소복창통(少腹脹痛) 설자암(舌紫黯) 맥삽(脈澁)

과기음(過期飮)《醫略六書》

조성 ≒ 熟地(숙지)15, 當歸(당귀)9, 白芍(백작, 酒炒)4.5, 川芎(천궁)3, 肉桂(육계, 去皮)3,

炮姜(포강)3, 附子(부자)3, 香附(향부, 酒炒)6, 艾葉(애엽, 酒炒)3. - 水煎溫服

효용 : 온양양혈(溫陽養血), 난궁산한暖宮散寒

주치 : 불잉(不孕), 경후과기(經候過期) 맥지삽(脈遲澁).

과루산(瓜蔞散)《世醫得效方》卷七

조성 ≒ 茯苓(복령), 天花粉(천화분), 黃連(황연), 白萹豆(백편두), 人蔘(인삼), 石膏(석고),

甘草節(감초절), 寒水石(한수석), 白朮(백출), 猪苓(저령).- 各等分(각등분). - 上爲

末 每服 6, 熱湯調服

효용 : 청열생진(淸熱生津)

주치 : 盛壯之時 不知謹惜(불지근석) 恣精縱欲(자정종욕) 年長腎氣虛弱 性功能减退 因

而 多服助陽之葯 眞氣旣盡 葯氣內盛 陰中乾焦 津液全无 小便赤黃 大便乾實 小

便晝夜百十行.

과루우방탕(瓜蔞牛蒡湯)《醫宗金鑑》

조성 ≒ 과루(瓜蔞), 우방자(牛蒡子), 천화분(天花粉), 황금(黃芩), 진피(陣皮), 생치자(生

梔子), 조각자(皂角刺), 금은화(金銀花), 청피(靑皮), 시호(柴胡), 감초(甘草), 연교

(連翹). - 수전복(水煎服)

효용 : 청간사열(淸肝瀉熱)

주치 : 유옹초기(乳癰初起)

과루해백탕(瓜蔞薤白湯)《金匱要略》

조성 ≒ 瓜蔞實(과루실), 薤白(해백), 白酒(백주).

주치 : 맥비(脈痹) 결절성다동맥염(結節性多動脈炎) - 흉양불선(胸陽不宣).

과체산(瓜蔕散)《傷寒論》용토제(湧吐劑)

조성 ≒ 과체(瓜蒂), 적소두(赤小豆), 두시(豆豉).

주치 : 담연숙식(痰涎宿食) 옹체흉완(壅滯胸脘).- 흉중비경(胸中痞硬) 오농불안(懊憹不

安) 기상충인후(氣上冲咽喉) 불득식(不得息) 촌맥미부(寸脈微浮).

과체산(瓜蔕散)《東垣․東醫寶鑑》용토제(湧吐劑)

조성≒ 炒瓜蒂(초과체), 赤小豆(적소두) 各等分. 作末(작말)하여 各二錢(각이전)을 溫漿

水(온장수)에 調下(조하)하는데 吐(토)하는 것을 限度(한도)로 한다. (東垣) 一方 -

一錢(일전)을 먹고 葯(약)이 내려간 뒤에 편이 누워서 吐(토)할 것 같은 것을 참고

조금 지난 뒤에 다시 二錢(이전)을 取(취)해서 溫水(온수) 二合(이합)으로 和服(화

복)하고 手指(수지)로써 喉中(후중)을 探(탐)하면 吐(토)한다고 하였다. (活人) 又

一方 - 먼저 豉(시, 메주) 一合(일합)과 溫水(온수) 七合(칠합)을 달여 汁(즙)을 取

(취)하여 葯末(약말) 一錢(일전)을 타서 頓服(돈복)하고 吐(토)하지 않으면 再服

(재복)하여 快吐(쾌토)한 다음 곧 그친다 하였다. (仲景)

주치 : 頑痰(완담)과 食積(식적)이 胸中(흉중)에 있어서 昏迷(혼미)하고 眩亂(현란)한 症

(증)을 다스린다.

곽박하령탕(藿朴夏苓湯)《醫原》거습제(祛濕劑)

조성 ≒ 곽향(藿香), 후박(厚朴), 반하(半夏), 복령(茯苓), 행인(杏仁), 의이인(薏苡仁), 백구

인(白蔲仁), 저령(猪苓), 택사(澤瀉), 두시(豆豉).

효용 : 선화습열(宣化濕熱), 방향선투(芳香宣透) .

주치 : 1) 습온초기(濕溫初起).- 신열권태(身熱倦怠), 흉민구니(胸悶口膩), 설태박백(舌苔

薄白), 맥유완(脈濡緩).

2) 濕遏衛陽證(습알위양증) - 濕溫病初起(습온병초기) 습온병(濕溫病) 중에 습열

사기(濕熱邪氣)가 표위(表衛)에 울증(鬱證)을 보이

는 사람은 대부분 습사(濕邪)가 체표(体表)에 울체(鬱滯)되어 위기불선(衛氣不

宣)하고 또 열이 습을 막는(且熱爲濕遏) 고로 발병 초기에 오한(惡寒)을 볼 수가

있는데 그 오한은 잠시 짧게(惡寒短暫) 나타나고 이어서 곧 발열(發熱)하여 습

(濕)이 열(熱)을 막게 됨으로 말미암아 열(熱)이 위로 날라 흩어지지 못하며(不

揚), 습이 기의 기능을 막아(濕遏氣機), 위기가 화락하게 펼쳐지지 못하는(衛氣

不得宣暢) 고로 가슴이 답답하다(胸悶). 습(濕)은 음사(陰邪)를 위주로 함으로

그 성질이 끈끈하고 미끈거리며(粘膩), 습은 열을 막고 저지하는(濕熱鬱遏) 고

로 목은 마르지만 물을 미시려하지 않는다(口渴而不欲飮). 이로 인하여(因此)

습사(濕邪)가 표위(表衛)에 울체(鬱滯)된 사람은 처음에 오한증(惡寒症)을 보고

후에 발열(發熱)하게 되는데 그 불양(不揚)하여 가슴이 답답하고(胸悶), 목이말

라 물을 마시게 되며(口渴引飮), 설태는 미끈미끈(苔膩)하고, 맥은 뜬맥이 가늘

고 연하다(脈濡).

곽연탕(藿連湯)《幼幼集成》

조성 ≒ 藿香(곽향), 川連(천련), 厚朴(후박), 生姜(생강), 大棗(대조).

곽향세제(藿香洗劑)《中醫外科學》

조성 ≒ 藿香(곽향), 黃精(황정), 大黃(대황), 白礬(백반).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和劑局方》거습제(祛濕劑)

조성 ≒ 곽향(藿香), 자소(紫蘇), 백지(白芷), 길경(桔梗), 백출(白朮), 후박(厚朴), 반하곡

(半夏曲), 대복피(大腹皮), 복령(茯苓), 귤피(橘皮),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

(大棗).

효용 : 방향화습(芳香化濕), 온산표습(溫散表濕), 건비관중(健脾寬中).

주치 : 1) 외감풍한(外感風寒) 내상습체(內傷濕滯).- 발열오한(發熱惡寒) 두통(頭痛) 구

토설사(嘔吐泄瀉) 완복민통(脘腹悶痛) 설태백니(舌苔白膩).

2) 곽란(癨亂) : 습곤비양증(濕困脾陽證).

3) 구토(嘔吐), 설사(泄瀉) - 위한증(胃寒證) 合 리중탕(理中湯)《傷寒論》加减

4) 구토(嘔吐) 실증(實證) -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 육음(六淫)의 사기(邪氣)가

위(胃)를 침범한 사람은(外邪犯胃者), 항상 표증을 겸하고 있다(常兼表證).

5) 설사(泄瀉) : 외습내침(外濕內侵) - 습곤비토(濕困脾土)

6) 하령설사(夏令泄瀉) - 서겸한습증(暑兼寒濕證)

관심소합환(冠心蘇合丸)《上海冠心病防治組方》《中華人民共和國葯典》리기제(理氣劑)

조성 ≒ 소합향(蘇合香), 단향(檀香), 청목향(靑木香), 빙편(冰片), 유향(乳香), 주사(朱砂),

백밀(白蜜).

주치 : 흉통(胸痛).- 심전부(心前部) 민통(悶痛) 혹 자통(刺痛), 흉부부적(胸部不適), 설질

발자(舌質發紫).

관중탕(貫衆湯)《中醫兒科學》《驗方》영아제(嬰兒劑)

조성 ≒ 관중(貫衆), 토형개(土荊芥), 자소(紫蘇), 고련근피(苦楝根皮).

주치 : 구충병(鉤虫病)

관흉환(寬胸丸)《葯物治療手冊》리기제(理氣劑)

조성 ≒ 단향(檀香), 빙편(冰片), 필발(蓽茇), 고량강(高良姜), 세신(細辛), 원호(元胡).

주치 : 기체(氣滯), 혈어(血瘀), 한응(寒凝)적 흉통(胸痛).- 흉민(胸悶), 흉통(胸痛), 면백

(面白) 지냉(肢冷) 태박백(苔薄白) 맥현지(脈弦遲).

괄루계지탕(栝樓桂枝湯)《金匱要略》치풍제(治風劑)

조성 ≒ 괄루근(栝樓根), 계지(桂枝), 작약(芍葯),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태양병(太陽病) 기증비(其證備), 신체강(身體强), 기기연(幾幾然) 맥반침지(脈反沉

遲).

괄루구맥환(栝樓瞿麥丸)《金匱要略》온리제(溫裏劑)

조성 ≒ 괄루(栝樓), 구맥(瞿麥), 부자(附子), 산약(山葯), 백복령(白茯苓).

주치 : 소변불리(小便不利) 하한상조(下寒上燥) 자(者).- 소변불리(小便不利) 구갈(口渴)

복중냉(腹中冷) 혹 부종(浮腫) 맥침지(脈沉遲)

괄루모려산(栝樓牡蠣散)《金匱要略》청열제(淸熱劑)

조성 ≒ 괄루(栝樓), 모려(牡礪).

주치 : 백합병(百合病), 갈증(渴症) 불해자(不解者).

괄루우방탕(栝樓牛蒡湯)《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괄루(栝樓), 우방자(牛蒡子), 은화(銀花), 치자(梔子), 시호(柴胡), 황금(黃芩), 천

화분(天花粉), 연교(連翹), 조각자(皂角刺), 감초(甘草), 청피(靑皮), 진피(陣皮).

주치 : 유옹초기(乳癰初起).- 유방종창(乳房腫脹) 동통(疼痛), 피부미홍(皮膚微紅) 혹 불

홍(不紅), 종괴(腫塊) 혹유혹무(或有或无), 유즙불창(乳汁不暢) 오한발열(惡寒發

熱) 두통(頭痛) 흉민불서(胸悶不舒) 설태황(舌苔黃) 맥현삭(脈弦數).

2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