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122 黃連溫膽湯 - 回陽玉龍膏

Aktualisiert: 31. Aug. 2019



醫方集成

황련온담탕(黃連溫膽湯)《六因條辨》

담제(祛痰劑) - 회양옥용고(回陽玉龍膏)《外科正宗》

옹양제(癰瘍劑)



황련온담탕(黃連溫膽湯)《六因條辨》거담제(祛痰劑)

조성 ≒ 죽여(竹茹), 지실(枳實), 반하(半夏), 진피(陣皮), 복령(茯苓), 황련(黃連), 감초(甘

草)., (생강(生姜)). 효능 : 청열화담(淸熱化痰), 양심안신(養心安神).

주치 : 1) 담열내요(痰熱內擾).- 실면(失眠) 현운(眩暈) 심번(心煩) 구고(口苦) 설태황니

(舌苔黃膩) 맥활삭(脈滑數).

2) 불매(不寐) - 담울담요증(膽鬱痰擾證) 加 원지(遠志), 조인(棗仁) 등.

3) 청풍내장(靑風內障)

황련유(黃連油)《經驗方》

조성 ≒ 황연소편(黃連素片)2, 마유(麻油)100ml, 장황연소편연세(將黃連素片硏細) 가

입마유중조균즉성(加入麻油中調勻卽成). 外搽患處 每天 3~4 次.

효용 : 청열윤조(淸熱潤燥), 지양(止痒).

주치 : 습창(濕瘡) 순풍(唇風) 등(等).

황련청심음(黃連淸心飮)《沈氏尊生書》고삽제(固澁劑)

조성 ≒ 황련(黃連),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인삼(人蔘), 감초(甘草), 연자육(蓮子肉),

원지(遠志), 산조인(酸棗仁), 주복신(朱茯神)

주치 : 심화독항(心火獨亢) 신부요정(神浮擾精) 유정(遺精),.- 심유소모(心有所慕), 소매

다몽(少寐多夢), 몽칙유정(夢則遺精), 심중번열(心中煩熱),

두운목현(頭暈目眩), 정신불진(精神不振), 체권핍력(體倦乏力), 심계정충(心悸怔

冲), 구건(口乾), 소변단적(小便短赤), 설첨홍적(舌尖紅赤), 맥세삭무력(脈細數无

力).

황련탕(黃連湯)《傷寒論》화해제(和解劑)

조성 ≒ 황련(黃連), 건강(乾姜), 계지(桂枝), 인삼(人蔘), 반하(半夏), 감초(甘草), 대조(大

棗).

주치 : 흉중유열(胸中有熱) 비민불서(痞悶不舒) 욕구토(欲嘔吐) 복중통(腹中痛) 태백활

(苔白滑) 맥현(脈弦).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外台秘要》《外科秘要》引 崔氏方, 청열제(淸熱劑)

조성 ≒ 황련(黃連)3~9, 황금(黃芩), 황백(黃柏) 各6, 산치자(山梔子)9.

효용 : 사화해독(瀉火解毒)

주치 : 1) 열독내성(熱毒內盛).- 마음이 번거롭고 초조하며 갈증으로 문란하며(煩擾躁

渴), 혹 토(吐)하거나, 코피(衄血)을 흘리며 발광(發狂)(吐

衄發狂)을 하고, 혹 외과질환(外科疾患)인 창양종독(瘡瘍腫毒)을 겸(兼)하고

있음을 변증의거(辨證依据)로 하는 자(者)를 다스린다.

2) 傷寒(상한)의 大熱(대열)과 煩燥(번조)로 因(인)하여 잠자지 못하고 或(혹)은

나은 뒤에 술을 마셔 病(병)이 다시 심해진 症(증)과 一切(일절)의 熱毒(열독)

을 다스린다.- 東醫寶鑑(동의보감).

3) 검현적란(瞼弦赤爛) 루정창(漏睛瘡) 화학성안외상(化學性眼外傷)

황련향유음(黃連香薷飮)《類證活人書》거서제(祛暑劑) ☞ 향유음(香薷飮)

조성 ≒ 黃連(황련), 香薷(향유), 厚朴(후박).

효용 : 淸暑解表(청서해표), 化濕和中(화습화중).

주치 : 1) 暑濕病(서습병) - 暑兼寒濕證(서겸한습증) 체표가 심하게 춥지 않으며(如表寒

不甚), 안으로는 서습에 막혀(暑濕內阻), 오한에 꿋꿋하고(凜

凜惡寒), 신열번조(身熱煩躁)하며, 구갈(口渴), 변당(便溏)등 증에

황령단(黃靈丹)《實用中醫皮膚科學》

조성 ≒ 煅石膏(단석고), 黃柏(황백), 爐甘石(로감석), 滑石(활석), 輕粉(경분), 鉛粉(연

분),冰片(빙편).

황백상(黃柏霜)《經驗方》

조성 ≒ 硬脂酸(경지산)200, 單硬脂酸甘油脂(경지산감유지)72, 石蠟油(석랍유)160, 凡

士林(범사림)40, 尼泊金(니박금)1, 萃甲酸鈉(췌갑산납)4, 吐溫(토온 -80)10, 三

乙醇아민(삼을순아민)50,

二甲基亞풍(이갑기아(유기화합물))20, 黃柏液(황백액 1:4)500, 取硬脂酸(경지

산), 單硬脂酸甘油脂(단경지산감유지), 石蠟油(석랍유), 凡士林(범사림), 萃甲酸

鈉(췌갑산납) 및 尼泊金(니박금)를 용기에 담아(置容器內) 60℃로 가열(加熱)해

서 기름과 함께 녹인다(使熔化油相)). 再取(재취), 黃柏液(황백액), 吐溫-80(토온

-80), 三乙醇안(삼을순 아민)을 가입해서 수용액에 넣고(水溶液中), 함께 60℃

가 되도록 가열(幷加熱至)한다). 앞에서 만든 1차 유액에 함께 넣고 힘차게 저으

면 유즙과 같이 되는데 계속 휘저으면서 식히면 된다(繼續攪拌至冷卽成.) 이 고

약으로 환부를 매일 3~4번 문질러 준다(搓擦患處, 每天 3~4 次).

효용 : 淸熱止痒(청열지양)

황백용액(黃柏溶液)《經驗方》

조성 ≒ 2~10% 黃柏片(황백편)10~50, 硼酸(붕산)1.5~7.5, 黃柏片(황백편) 浸于

500ml 蒸餾水中, 經 48小時, 過濾, 入 500ml 鹽水甁中, 隔湯煮沸 30 分鍾, 再

加无菌蒸餾水補足 500ml 趁熱加入硼酸 使徹底溶解 待冷. 將葯液 洗滌瘡口; 或

以消毒紗布浸漬 作濕敷用.

효용 :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 : 옹저창양궤후(癰疽瘡瘍潰后) 농부불퇴(膿腐不脫) 동통불지(疼痛不止) 창구난렴

자(瘡口難斂者).

황병강반환(黃病絳礬丸)《重訂廣濕熱論》구충제(驅虫劑)

조성 ≒ 평위산(平胃散, 창출(蒼朮), 후박(厚朴), 진피(陣皮), 초감초(炒甘草)) 加 조반 (皂

礬, 絳礬). 전홍조육(煎紅棗肉)으로 작은 환(丸)을 만들어 강반하분(姜半夏粉)을

입혀서(爲衣), 생강탕(淡姜湯)으로 송복(送服)한다.

주치 : 구충병(鉤虫病) 비허습체(脾虛濕滯).- 얼굴색이 누렇게 시들거나(面色萎黃) 혹 누

렇게 뜨고(面黃而虛浮), 식사를 잘하고도

쉬 배가 고프며(善食易飢), 식후에 배가 부르고(食后腹脹) 혹 생쌀(異嗜生米), 차

엽(茶葉), 숯(木炭) 등을 먹으며, 팔다리가 연약하고 정신이 피로하며(神疲肢軟),

혀는 담담하고 태는 얇으며(舌淡苔薄), 맥은 위로 뜨고 가늘며 연하다(脈濡).

황분산(黃粉散)《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黃柏(황백), 輕粉(경분), 五倍子(오배자), 滑石(활석).

황애유(黃艾油)《經驗方》

조성 ≒ 黃連(황연)30, 艾葉(애엽)適量, 植物油(식물유). 黃連硏細末, 植物油調成糊狀 涂

在瓷碗壁上, 倒置在点燃的 艾絨上薰, 待薰黑后, 再取下被薰黑的 黃連糊, 加植

物油 調至稀糊狀 備用.- 外涂患處.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收水止痒(수수지양).

주치 : 嬰兒濕疹(영아습진) 等

황연고(黃連膏)《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황연(黃連)삼전(三錢), 귀미(歸尾)오전(五錢), 생지(生地)일량(一兩), 황백(黃柏)

ㅡ 강황(姜黃) 각삼전(各三錢)., 향유(香油)십이량(十二兩) 장약전고(將葯煎枯)

거사(去渣) 하황초(下黃醋)사량(四兩) 용화진(溶化盡), 용하포장유려정(用夏布

將油濾凈) 경입완내(傾入碗內) 이유지불시교지(以柳枝不時攪之) 후응위도(候

凝爲度). 용시(用時) 탄사포상(攤紗布上) 외부창면(外敷瘡面).

효용 : 윤조(潤燥), 청열(淸熱), 해독(解毒), 지양(止痒).

주치 : 양성창양조열(陽性瘡瘍燥熱).- 창양건조동통(瘡瘍乾燥疼痛)

황연고(黃連膏)《醫宗金鑑》이비제(耳鼻劑)

조성 ≒ 황연(黃連)9, 당귀미(當歸尾)15, 생지황(生地黃)30, 황백(黃柏)9, 강황(姜黃)9.

주치 : 이정(耳疔) 이창홍종동통(耳瘡紅腫疼痛).

황연유(黃連油)《中醫外科學》

조성 ≒ 黃連(황연), 植物油(식물유).황연해독탕(黃連解毒湯) ⇒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황용탕(黃龍湯)《傷寒六書》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공보겸시제(攻補兼施劑)

조성 ≒ 대승기탕(大承氣湯 대황(大黃)12, 망초(芒硝)9, 지실(枳實)9, 후박(厚朴12,))

加 길경(桔梗), 당귀(當歸)9, 감초(甘草)3, 인삼(人蔘)6.

효용 : 사열통변(瀉熱通便), 보기익혈(補氣益血).

주치 : 리열실증(裏熱實證)과 기혈허약(氣血虛弱)으로 하리청수(下痢淸水)이거나 혹은

대변비결(大便秘結) 완복창만(脘腹脹滿) 경통거안(硬痛拒按) 신열구갈(身熱口

渴) 섬어(譫 語) 심하면 옷을 헛손질로 움켜쥐고, 신혼지궐(神昏肢厥) 구설건조

(口舌乾燥) 설태초황(舌苔焦黃) 혹은 초흑(焦黑) 신권소기(神倦少氣) 맥허(脈虛)

등이다.

황정수세제(黃丁水洗劑)《中醫外科學》

조성 ≒ 黃精(황정), 藿香(곽향), 大黃(대황), 皂礬(조반), 徐長卿(서장경).

황정수세제(黃丁水洗劑)《經驗方》

조성 ≒ 黃精(황정), 丁香(정향) 各30, 明礬(명반)10. 煎取葯汁 備用.- 濕敷 或浸泡

효용 : 收濕(수습), 散風(산풍), 殺虫(살충), 止痒(지양).

주치 : 癬菌疹(선균진) 鵝掌風(아장풍).

황토탕(黃土湯)《金匱要略》리혈제(理血劑)

조성 ≒ 조심황토(竈心黃土)25, 아교(阿膠), 백출(白朮), 건지황(乾地黃), 포부자(炮附

子), 감초(甘草), 황금(黃芩)9.- 加水 1500 毫升, 煮取 600 毫升, 分兩次溫服.

효용 : 온양건비(溫陽健脾), 양혈지혈(養血止血).

주치 : 1) 비불통혈(脾不統血) 소치(所致) 실혈(失血).- 혈색암담(血色黯淡) 면색위황

(面色萎黃)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세무력(脈沉細无力)

2) 변혈(便血). - ⑴ 비불통혈(脾不統血) ⑵ 비신양허증(脾腎陽虛證)

⑶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

3) 비허양쇠(脾虛陽衰) 부인혈붕(婦人血崩) 혈색암담(血色黯淡) 사지불온(四肢

不溫) 면색위황(面色萎黃)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세무력(脈沉細无力).

4) 부인(婦人) 교접출혈(交接出血) 속비기허한(屬脾氣虛寒) 기불섭혈자(氣不攝

血者)

회양고장탕(回陽固腸湯)

조성 ≒ 炙黃芪(자황기),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 炒山葯(초산약), 炒乾姜 (초

건강), 訶子肉(가자육), 肉豆寇(육두구), 草果仁(초과인), 丁香(정향), 肉桂(육계),

炮附子(포부자), 甘草(감초) 各7.5, 生姜(생강)3.5, 大棗(대조)3枚.

주치 : 結腸炎(결장염) - 간과 비장 부위를 안진할 때 통증을 느끼고(肝脾部位 按診時 痛

感), 배꼽주위가 아프며(臍周圍痛), 농혈대변(膿血大便)을 보고,

음식이 소화되지 않은 변을(淸谷不化), 하루에 6~7번 보고, 음식 맛이 없으며(飮

食无味), 전신이 힘이 없고(全身乏力),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며 실같이 가늘고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沉細數).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傷寒六書》온리제(溫里劑)

조성 ≒ 인삼(人蔘), 부자(附子), 백출(白朮), 반하(半夏), 복령(茯苓), 진피(陣皮), 건강(乾

姜), 육계(肉桂),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생강(生姜), 사향(麝香).

효용 : 익기렴진(益氣斂津), 생맥고탈(生脈固脫).

주치 : 1) 한사(寒邪) 직중삼음(直中三陰).- 추운 것을 싫어하고, 피곤하여 누우려하며

(惡寒倦臥), 손발이 가락으로부터 차가워 들며(四肢厥冷), 복통토사(腹痛吐瀉),

혹 손톱 발톱과 입술이 프른색을 띠고(手足指甲及口唇發靑), 맥침지무력(脈沈

遲无力).

2) 온병(溫病) 중에 심양폭탈증(心陽暴脫證)

회양반본탕(回陽返本湯)《傷寒六書》

조성 ≒ 부자(附子), 건강(乾姜), 인삼(人參), 맥문동(麥門冬),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랍차(臘茶), 진피(陣皮), 밀(蜜).

회양삼건탕(回陽三建湯)

조성 ≒ 附子(부자), 當歸(당귀), 白芍(백작), 丹參(단삼), 蒼朮(창출), 茯苓(복령), 川芎(천

궁), 陳皮(진피), 鷄血藤(계혈등), 枸杞(구기), 川朴(천박), 獨活(독활), 木香(목향).

- 水煎服

주치 : 맥비(脈痹)

회양옥용고(回陽玉龍膏)《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백지(白芷)30, 군강(軍姜)90, 육계(肉桂)15, 초오(草烏)90, 적작(赤芍) 천남성(天

南星) 各30.- 연세말(硏細末) 열주(熱酒) 조부환처(調敷患處)

효용 : 온경활혈(溫經活血), 산한화담(散寒化痰).

주치 : 창양음증(瘡瘍陰證).- 피색불변(皮色不變) 만종무두(漫腫无頭) 불종고(不腫膏) 불

흔통(不焮痛) 불발열(不發熱) 불화농(不化膿).

1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