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121 黃芩滑石湯 - 黃連阿膠湯

Aktualisiert: 2. Sept. 2020


醫方集成

황금활석탕(黃芩滑石湯)《溫病條辨》

거습제(祛濕劑) -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傷寒論》

《溫病條辨》청열제(淸熱劑)



황금활석탕(黃芩滑石湯)《溫病條辨》거습제(祛濕劑)

조성 ≒ 황금(黃芩), 활석(滑石), 복령피(茯苓皮), 대복피(大腹皮), 백구인(白蔲仁), 통초

(通草), 저령(猪苓).

효용 : 청이중초습열(淸利中焦濕熱), 창달비위기기(暢達脾胃氣機).

주치 : 습온병(濕溫病) :

한출열해(汗出熱解) 단이복열(斷而復熱) 신통(身痛) 설태담황이활(舌苔淡黃而

滑) 맥완(脈緩). 신중동통(身重疼痛) : 습사(濕邪)가 기분(氣分)에 조체(阻滯)되어

몸이 무겁고 아프며, 맥은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4번 뛰며 느리고(緩), 혀는 번들

번들하게 윤활하며(舌滑), 땀을 흘리고 나면 열이 해제되는데(汗出熱解) 해제된

열이 다시 재발하는 것은 습조비위(濕阻脾胃)에 속하는 것이다.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金匱要略》 ☞ 소건중탕(小建中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소건중탕(小建中湯) 가(加) 황기(黃芪) : 황기(黃芪), 계지(桂枝), 감초(甘草), 대

조(大棗), 생강(生姜), 이당(飴糖), 작약(芍葯).

효능 : 보익위기(補益胃氣)

주치 : 1) 기허자한(氣虛自汗), 단기곤권(短氣困倦).

2) 위완통(胃脘痛). - ⑴ 위기허증(胃氣虛證) ⑵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

3) 복통(腹痛). -

⑴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 加 백출(白朮), 복령(茯苓), 포강(炮姜).

⑵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

황기계지오물탕(黃芪桂枝五物湯)《金匱要略》치풍제(治風劑)

조성 ≒ 황기(黃芪), 작약(芍葯), 계지(桂枝),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1) 혈비(血痹).- 몸이 마비되고 통증으로 굽혔다 폈다 할 수 없는 것이(身體不仁

麻木微痛) 마치 풍비와 같다(如風痹狀), 촌관맥이 모두 몹시 가늘

고 연하여 누르면 끊어질 듯하여 감촉할 수 없고(脈寸關俱微) 척맥은 약간 팽

팽히 긴장하고 유력하며 꼬인 줄을 누르는 것 같다(尺中稍緊).

황기계지오물탕(黃芪桂枝五物湯)《傷寒論》

조성 ≒ 황기(黃芪), 작약(芍葯), 계지(桂枝), 통초(通草), 자감초(炙甘草), 세신(細辛), 대

조(大棗).- 수전복(水煎服)

효용 : 온경(溫經) 활혈이비(活血利痹)

황기내소탕(黃芪內消湯)《外科眞詮》

조성 ≒ 황기(黃芪), 당귀(當歸), 희렴초(豨薟草), 창이자(蒼耳子), 포공영(蒲公英), 현삼

(玄參), 적작(赤芍), 모단피(牡丹皮), 천산갑(穿山甲), 감초(甘草).

황기내탁산(黃耆內托散)《外科正宗》《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천궁(川芎), 당귀(當歸), 황기(黃耆) 各6, 백출(白朮), 금은화(金銀花), 천화분(天

花粉), 조각자(皂角刺) 各3, 감초(甘草), 택사(澤瀉) 各1.5.

加水 200毫升, 煎取 160毫升, 飯前服. 重者 1日 2劑.

효용 : 익기양음(益氣養陰), 탁리배농(託裏排膿).

주치 : 매독(梅毒) - 어구(魚口), 변독(便毒), 황현(黃痃) 等症, 궤양이 시작되지 않은 사람

(已成不潰者)

황기당귀산(黃芪當歸散)《醫宗金鑑》경산제(經産劑)

조성 ≒ 황기(黃芪), 생강(生姜), 당귀(當歸), 대조(大棗), 인삼(人蔘), 백출(白朮), 백작(白

芍), 감초(甘草), 저뇨포(猪尿脬).- 구미조성(九味組成)

주치 : 산후손상방광(産后損傷膀胱) 혹(或) 뇨도(尿道).- 배뇨임리불단(排尿淋漓不斷)

혹(或) 협유혈사(挾有血絲).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衛生寶鑑》청열제(淸熱劑)

조성 ≒ 진구부리탕(秦艽扶羸湯 진교(秦艽), 시호(柴胡), 인삼(人蔘), 감초(甘草), 당귀(當

歸) 별갑(鱉甲) 지골피(地骨皮) 자원(紫菀) 반하(半夏)) 거(去) 당귀(當歸), 가(加)

백작(白芍), 지황(地黃), 운령(云苓), 지모(知母), 계지(桂枝), 길경(桔梗), 상피(桑

皮), 천동(天冬), 황기(黃芪).

주치 : 기혈음양(氣血陰陽) 개허(皆虛).- 오심번열(五心煩熱), 골증도한(骨蒸盜汗), 해수

(咳嗽), 인간(咽干), 사지무력(四肢无力).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入門(입문)》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鱉甲(별갑), 天門冬(천문동) 各一錢(각일전), 知母(지모), 地骨皮(지골피), 黃芪(황

기), 秦艽(진구), 白茯苓(백복령), 赤芍葯(적작약), 柴胡(시호) 各七分半(각칠분반),

桑白皮(상백피), 半夏(반하), 甘草(감초) 各五分(각오분), 紫菀(자원), 生地黃(생지

황), 各四分(각사분), 人蔘(인삼), 肉桂(육계), 桔梗(길경) 各三分(각삼분)을 剉作一

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3片(편), 大棗(대조) 2枚(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

한다.

주치 : 虛勞(허로)의 百損(백손)과 一切(일절)의 勞傷(노상)을 다스린다.

황기보중탕(黃芪補中湯)《東垣十書》보익제(補益劑)

조성 ≒ 황기(黃芪), 인삼(人蔘), 감초(甘草), 사령산(四苓散 저령(猪苓), 복령(茯苓), 택사

(澤瀉), 백출(白朮)) 창출(蒼朮), 진피(陣皮).

주치 : 비양허(脾陽虛).- 면색창백(面色蒼白) 사지핍력(四肢乏力) 안면부종(顔面浮腫) 위

의 수납기능이 정체 됨으로 소화불량및 식욕감퇴증(納呆)이 있

고, 변이 오리똥과 같이 묽은((便溏) 증상을 다스린다.

황기복신탕(黃芪伏神湯)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黃芪(황기), 茯神(복신), 遠志(원지), 紫河車(자하차), 炒棗仁(초조인) 各一錢(각

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

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六癸年(육계년) 伏明(복명)의 紀(기) 歲火(세화)가 不及(불급)하고 寒(한)이 盛行

(성행)하니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胸痛(흉통), 脇痛(협통), 가슴, 등, 어깨, 양팔

등이 內痛(내통)하고, 鬱痛(울통)하며, 心痛(심통)하고, 暴瘖(폭음, 갑자기 벙어리

가 되고) 하는 등 증세가 流行(류행)하는 것을 다스린다.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直指(직지)》-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白芍(백작) 一錢半(일전반), 黃芪(황기), 當歸(당귀), 熟地黃(숙지황), 茯神(복신)

各七分(각칠분), 人蔘(인삼), 白朮(백출), 酸棗仁(산조인), 半夏(반하), 陳皮(진피),

五味子(오미자), 肉桂(육계), 烏葯(오약), 麥門冬(맥문동), 甘草(감초) 各五分(각

오분), 木香(목향), 沉香(침향) 各二分(각이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

(생강) 五片(오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虛勞(허로)를 補(보)하고 血氣(혈기)를 기른다.

황기외탁산(黃耆外托散)《洞天奧旨》옹양제(癰瘍劑)

조성 ≒ 황기(黃耆)30, 당귀(當歸)6, 인삼(人蔘)9, 복령(茯苓)15, 토복령(土茯苓)60, 백작

(白芍)15, 생감초(生甘草)9, 백반(白礬)6. - 水煎服 配合外用葯

효용 : 扶正托毒(부정탁독), 淸熱解毒(청열해독).

주치 : 翻花楊梅瘡(번화양매창)

황기육일탕(黃芪六一湯)《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黃芪(황기), 甘草(감초), 大棗(대조).- 溫服(온복), 不拘時(불구시).

주치 : 男子(남자), 婦人(부인) 諸虛不足(제허부족), - 肢体勞倦(지체노권), 胸中煩悸(흉중

번계), 時常焦渴(시상초갈), 脣口干燥(순구간조), 面色萎黃(면색위황), 或消渴日久

(혹소갈일구) 而發瘡癤(이발창절), 或癰疽而后渴(혹옹저이후갈), 脈虛爲辨證依据

(맥허위변증의거).

황기익기탕(黃芪益氣湯)《回春․東醫寶鑑》

조성 ≒ 蜜炒黃芪(밀초황기)一錢, 人參(인삼), 白朮(백출), 製半夏(제반하), 陳皮(진피)各

七分, 酒洗當歸(주세당귀), 川芎(천궁), 藁本(고본), 甘草(감초) 各五分, 酒炒黃柏

(주초황백), 升麻(승마), 細辛(세신) 各五分에 薑三(강삼), 棗二(조이)를 넣어 水煎

服(수전복)한다.

주치 : 氣虛頭痛(기허두통)을 다스린다.

황기익손탕(黃芪益損湯)《得効(득효)》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人蔘(인삼), 白朮(백출), 黃芪(황기), 木香(목향), 當歸(당귀), 桂皮(계피), 白茯苓

(백복령), 白芍葯(백작약), 半夏(반하), 川芎(천궁), 熟地黃(숙지황), 山葯(산약), 五

味子(오미자), 牡丹皮(모단피), 麥門冬(맥문동), 石斛(석곡), 甘草(감초) 各七分(각

칠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생강)5片(편), 大棗(대조) 2枚(매)를 넣고,

烏梅(오매) 一枚(일매)와 小麥(소맥) 50粒(립)을 넣어서 同煎服(동전복)한다.

주치 : 虛勞(허로)의 百症(백증)을 다스린다.

황기작약계지고주탕(黃芪芍葯桂枝苦酒湯)《金匱要略》거습제(祛濕劑)

조성 ≒ 황기(黃芪), 작약(芍葯), 계지(桂枝), 고주(苦酒).

주치 : 황한표허(黃汗表虛) 환자.- 한첨의(汗沾衣) 색정황(色正黃) 여백즙 신체중(身體

重) 발열(發熱) 주신한출(周身汗出) 구갈(口渴) 맥침(脈沉).

황기탕(黃芪湯)《金匱翼》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황기(黃芪), 마인(麻仁), 진피(陣皮), 백봉밀(白蜂蜜).

주치 : 허비(虛秘).- 임측노쟁핍력(臨厠努掙乏力) 한출단기(汗出短氣) 면백(面白)신피

(神疲) 맥허(脈虛)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황기탕(黃芪湯)《臟腑標本葯式》

조성 ≒ 인삼(人蔘), 황기(黃芪), 지골피(地骨皮), 상백피(桑白皮), 감초(甘草).

황기탕(黃芪湯)《濟陰綱目》경산제(經産劑)

조성 ≒ 황기(黃芪), 숙지황(熟地黃), 복령(茯苓), 백출(白朮), 단모려(煅牡蠣), 맥문동(麥

門冬), 대조(大棗), 감초(甘草), 방풍(防風).- 구미조성(九味組成)

주치 : 산후자한(産后自汗) 인(因) 기허자(氣虛者).- 산후한출교다(産后汗出較多) 불능

자지(不能自止) 동칙가극(動則加劇) 시혹오풍(時或惡風) 면색황백(面色晄白) 기

단나언(氣短懶言) 어성저겁(語聲低怯) 권태핍력(倦怠乏力) 설담태박(舌淡苔薄)

맥허혹약(脈虛或弱)

황련고(黃連膏)《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 황연고(黃連膏)

조성 ≒ 황연(黃連)9, 당귀(當歸)15, 황백(黃柏)9, 생지(生地)30, 강황(姜黃)9, 마유(麻

油)360, 황랍(黃蠟)120.- 上葯除黃蠟外 浸入麻油內 1 天后, 用文火 熬煎至葯枯

去渣濾淸, 再加入黃蠟, 文火徐徐收膏. 攤紗布上 外敷瘡面.

효용 : 윤조(潤燥), 청열(淸熱), 해독(解毒), 지양(止痒).

주치 : 양성창양(瘡瘍陽性)

황련리중탕(黃連理中湯)《證因脈治》

조성 ≒ 人參(인삼), 白朮(백출), 乾姜(건강), 炙甘草(자감초), 黃連(황련).

황련복령탕(黃連茯苓湯)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黃連(황연), 赤茯苓(적복령) 各一錢二分半(각일전이분반), 麥門冬(맥문동), 通草

(통초), 車前子(차전자), 遠志(원지) 各七分半(각칠분반), 半夏(반하), 黃芩(황금),

甘草(감초) 五分半(오분반)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七片(칠편), 大

棗(대조) 二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六丙年(육병년) 漫衍(만연)의 紀(기) 歲水(세수)가 太過(태과)하고 寒氣(한기)가

流行(류행)하여 心火(심화)가 邪(사)를 받아서 사람들의 疾病(질병)이 身熱(신열)

하고, 心燥(심조)하고, 陰(음)이 厥逆(궐역)하며, 上下(상하)가 寒(한)에 맞아(中)

譫語(섬어)하고, 妄心(망심)하며, 疼痛(동통)하고 咳嗽(해수)하며, 寢汗(침한, 盜

汗(도한))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황련상청환(黃連上淸丸)《古今醫方集成》청열제(淸熱劑)

조성 ≒ 황련(黃連), 대황(大黃), 강황(姜黃), 당귀(當歸), 천궁(川芎), 치자(梔子), 황금(黃

芩), 황백(黃柏), 현삼(玄參), 갈근(葛根), 국화(菊花), 화분(花粉), 락연교(落連翹),

길경(桔梗), 박하(薄荷).

주치 : 풍열두통(風熱頭痛), 양명열성(陽明熱盛).- 머리가 팽창하는 듯이 아프고(頭痛而

脹), 심하면 머리가 쪼개지는 듯이 아프고(頭痛如裂), 몸에 열이 있고(身熱), 혹 바

람을 싫어하며(惡風), 얼굴과 귀가 붉고(面紅耳赤), 목이 말라서 물을 마시려 하

며(口渴欲飮), 대변이 굳어 변비가 생기고(大便秘結), 입과 코에 종기(口鼻生瘡)

가 생기며, 설질은 붉고(설질홍(舌質紅), 설태는 누렇고 두터우며(苔黃厚), 맥(脈)

은 위로 뜨고 빠르다(浮數).

황련서과상안약수(黃連西瓜霜眼葯水)《中醫眼科學》1980 年, 치목제(治目劑)

조성 ≒ 硫酸黃連素(유산황련소)0.5, 西瓜霜(서과상)5, 月石(월석)0.2, 硝苯汞(초분

홍)0.002, 蒸餾水(증류수)100ml. 주치 : 椒瘡(초창) 粟瘡(속창) 赤脈傳睛(적맥전

정) 暴風客熱(폭풍객열) 天行赤眼(천행적안) 金疳(금감) 白澁症(백삽증) 赤膜下

垂(적막하수) 血翳包睛(혈예포정).

황련아교계자황탕(黃連阿膠鷄子黃湯)《傷寒論》

조성 ≒ 黃連(황연)12, 黃芩(황금)6, 芍葯(작약)6, 鷄子黃(계자황)2枚, 阿膠(아교)9. 加水

600 毫升, 先煮前 3 味, 取 300 毫升, 去滓, 加 阿膠 溶盡, 稍冷放入 鷄 子黃, 每

服 100 毫升, 溫服 1 日 3 次.

효용 : 청열양음(淸熱養陰), 안신자신(安神滋腎).

주치 : 신음부족(腎陰不足) 심화상항(心火上亢)의 성욕항진(性欲亢進) 겸견심중번(兼見

心中煩) 실면(失眠) 인건구조(咽乾口燥)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침세삭(脈沉 細

數).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傷寒論》《溫病條辨》청열제(淸熱劑)

조성 ≒ 황련(黃連), 아교(阿膠), 황금(黃芩), 작약(芍葯), 계자황(鷄子黃).

효용 : 자음청화(滋陰淸火), 양심안신(養心安神).

주치 : 1) 소양병(少陽病), 음휴화왕(陰虧火旺).- 마음이 번거롭고 잠을 이룰 수 없으며

(心煩失眠), 몸에 열이(身熱) 있고, 맥세삭(脈細數).

2) 불매(不寐) - 심신불교증(心腎不交證)

合 주사안신환(硃砂安神丸)《東垣十書․內外傷辨》

2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