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태양단(太陽丹)《得効․東醫寶鑑》 - 토사자환(兎絲子丸)《濟生方》
고삽제(固澁劑)
태양단(太陽丹)《得効․東醫寶鑑》
조성 ≒ 石膏(석고)二兩, 川芎(천궁), 炮川烏(포천오), 白芷(백지), 甘草(감초) 各一兩, 龍腦
(용뇌)二錢.
- 作末(작말)하여 煉蜜(연밀)에 麵糊(면호)를 섞어서 每一兩(매일량)으로 18丸
(환)을 만들어 黃丹(황단)으로 옷을 입힌 뒤 2~3환을 食后(식후) 葱茶湯(총다
탕)에 嚼下(작하)한다.
주치 : 腦(뇌)가 찬 症(증)은 邪(사)가 上焦(상초)를 쳐서 頭痛(두통)이 일어나고 晝夜(주
야)로 불안한 증인데 此劑(차제, 이 약제)가 주치(主治)한다.
태원음(胎元飮)《景岳全書》경산제(經産劑)
조성 ≒ 팔진탕(八珍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당귀(當歸), 천궁
(川芎), 백작(白芍), 숙지(熟地)) 가(加) 진피(陣皮), 두중(杜仲), 감거(減去) 운령(云
苓), 천궁(川芎).-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기혈양허(氣血兩虛) 충임실수(冲任失守) 태동불안(胎動不安) 불고(不固).-
순조담백(唇爪淡白) 요산복창(腰酸腹脹) 맥세약(脈細弱).
태을고(太乙膏)《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육계(肉桂), 백지(白芷), 당귀(當歸), 현삼(玄參), 적작(赤芍), 생지황(生地黃), 대황
(大黃), 대별자(大鱉子) 각이량(各二兩), 아위(阿魏, 切片)삼전(三錢), 경분(輕粉)
사전(四錢), 괴지(槐枝), 유지(柳枝) 각일백단(各一百段), 혈여(血余)일량(一兩),
황단(黃丹)사십량(四十兩), 유향(乳香, 硏)오전(五錢), 몰약(沒葯, 硏)삼전(三錢).
전팔미(前八味) 병괴(幷槐), 유지이마유(柳枝以麻油)오근침(五斤浸), 춘오일(春
五日) 하삼일(夏三日) 추칠일(秋七日) 동십일(冬十日)., 침필치대과내(浸畢置大
鍋內) 만화오지(慢火熬至) 약고부기위도(葯枯浮起爲度) 주화편시(住火片時) 여
거사(濾渣) 장유칭준근량(將油秤准斤兩) 복치과내(復置鍋內) 투입혈여(投入血
余) 만화오지(慢火熬至) 혈여부기(血余浮起) 이유곤도착(以柳棍挑着) 사고용화
지상위오숙(似膏溶化之象爲熬熟) 의정유(依凈油) 일근(一斤) 서서하(徐徐下) 황
단(黃丹, 飛) 육량오전(六兩五錢, 夏季每斤油酌加五錢) 차장화점점가대(且將火
漸漸加大) 불주수교(不住手攪) 후과내선발청연(候鍋內先發靑烟) 후지백연(后至
白烟) 첩첩선기(疊疊旋起) 기미향복(氣味香馥) 시위고성(時爲膏成) 주화(住火)
장고적입수중(將膏滴入水中) 시연경적중(試軟硬適中) 약노가숙유(若老加熟油)
희가초황단(稀加炒黃丹) 각소허(各少許) 점점가화(漸漸加火) 후연진철화(候烟
盡撤火) 하아위우(下阿魏于) 고면상화진(膏面上化盡) 차하(次下) 유향(乳香) 몰
약(沒葯) 경분(輕粉) 교균(攪勻) 경입수중(傾入水中) 이유곤루일괴(以柳棍摟一
塊) 재환(再換) 냉수침편시수기(冷水浸片時收起). 용시(用時) 취적량(取適量) 격
수돈화(隔水炖化) 탄포상(攤布上) 수창구(隨瘡口) 대소외첩(大小外貼).
효용 : 소종청화(消腫淸火), 해독생기(解毒生肌).
주치 : 창양(瘡瘍).- 옹저발배(癰疽發背) 악창종독(惡瘡腫毒) 이궤(已潰) 혹미궤(或未潰).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壽世保元》太陰人方-(李濟馬)
조성 ≒ 薏苡仁(의이인), 乾栗(건율) 各15, 萊菔子(래복자)10, 五味子(오미자), 麥門冬(맥
문동), 石菖蒲(석창포), 桔梗(길경), 麻黃(마황) 各5.
하루에 2 첩씩 아침저녁으로 水煎服(수전복)한다. 효용 : 補肺和肺(보폐화폐), 消食祛邪(소식거사).
주치 : 食滯痞滿(식체비만), 腹痛泄瀉(복통설사) 膝寒(슬한) 腿脚无力(퇴각무력) 黃疸(황
달) 喘息(천식) 瘟疫(온역) 婦女帶下(부녀대하) 下血(하혈) 等. 특히 虛症(허증)에
效好(효호).
태평환(太平丸)《新書(신서)》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知母(지모), 貝母(패모), 款冬花(관동화), 杏仁
(행인) 各二兩(각이량), 當歸(당귀), 生乾地黃(생건지황), 熟地黃(숙지황), 阿膠珠
(아교주) 各一兩半(각일량반), 炒蒲黃(초포황), 京墨(경묵), 桔梗(길경), 薄荷(박하)
各一兩(각일량). 白蜜(백밀), 白蜜(백밀) 四兩(사량), 麝香(사향) 一錢(일전)을 細
(세)하고 함께 섞어서 銀石器(은석기)에 먼저 白蜜(백밀)을 넣고 달여서 煉熱(연
열)한 뒤에 諸葯末(제약말)을 넣고 저어서 다시 불을 붙이고 麝香(사향)을 넣어서
끓인 후에 彈子大(탄자대) 크기로 作丸(작환)하여 매일 식후에 1환씩 三回(삼회)
씹어서 薄何湯(박하탕)으로 천천히 삼키고 다음 1환을 역시 같은 방법으로 먹는
다. 만약 痰(담)이 盛(성)하면 먼저 飴糖(이당)으로 消化丸(소화환)을 개어서 먹고
다시이 약을 먹은 뒤에 仰臥(앙와)하여 葯(약)이 肺竅(폐규)에 흘러 들어가게 하
면 肺(폐)가 맑고 潤(윤)하며 기침이 없어지고 七日(칠일)만에 병이 낫는다.
주치 : 虛勞(허로)의 肺痿(폐위)와 오래된 기침을 다스린다.
택란탕(澤蘭湯)《婦人大全良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택란(澤蘭), 당귀(當歸), 작약(芍葯), 감초분(甘草粉).- 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실여경폐성노(室女經閉成勞).- 골증조열(骨蒸潮熱) 형체리수(形體羸瘦) 구건인조
(口乾咽燥) 설담소태(舌淡少苔) 맥허세(脈虛細).
택사탕(澤瀉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택사(澤瀉), 백출(白朮).
주치 : 지음(支飮).- 심하계(心下悸) 두목혼현(頭目昏眩).
택사탕(澤瀉湯)《聖濟悤錄》권구십이(卷九十二)
조성 ≒ 澤瀉(택사)30, 黃耆(황기)22.5, 炮乾姜(포건강), 炙甘草(자감초), 肉桂(육계), 煅牡
蠣(단모려), 芍葯(작약) 各15.
上爲末. 每服 15 克, 加水 150 毫升, 煎至 100 毫升, 去滓, 分 2 次 空腹服. 如小便
淋, 則以 熱酒調 9 克, 去滓澄淸, 1 日服 3 次.
효용 : 온신익기(溫腎益氣), 고섭유근(固攝柔筋).
주치 : 경공실정(驚恐失精), 음경중통(陰莖中痛).
택칠탕(澤漆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택칠(澤漆), 자삼(紫參), 인삼(人蔘), 생강(生姜), 계지(桂枝), 반하(半夏), 백전(白
前), 황금(黃芩), 감초(甘草).
주치 : 수음내정(水飮內停) 해천(咳喘).- 해천(咳喘) 신종(身腫) 흉만(胸滿) 번조(煩躁).
토과근산(土瓜根散)《金匱要略》경산제(經産劑)
조성 ≒ 토과근(土瓜根, 王瓜根), 작약(芍葯), 계지(桂枝), 자충(蟅虫).-사미조성(四味組成)
주치 : 경수불리(經水不利) 인어혈자(因瘀血者).- 경수불리(經水不利) 혹(或) 일월재견
(一月再見), 소복만통(少腹滿痛) 안지유경괴(按之有硬塊) 설자암(舌紫暗).
토근피백부정(土槿皮百部酊)《蚌埠方》
조성 ≒ 土槿皮(토근피), 百部(백부), 烏梅(오매), 樟腦(장뇌), 冰片(빙편), 75% 酒精(주정).
토근피정(土槿皮酊)《經驗方》
조성 ≒ 土槿皮(토근피)10, 80% 乙醇(을순)100ml. 按滲漉法(안삼녹법) 制成卽可.
搽擦患處(차찰환처) 每天 3~4 次. § 手足部糜爛 或皸裂者 禁用
효용 : 殺虫止痒(살충지양)
주치 : 鵝掌風(아장풍), 脚濕氣(각습기) 紫白癜風(자백전풍) 등토근피정(土槿皮酊)(10%)《中醫外科學》
조성 ≒ 土槿皮(토근피), 高粱酒(고량주).
토대황(土大黃)《中醫外科學》
조성 ≒ 土大黃(토대황), 硫黃(유황), 川椒(천초).
토복령복방(土茯苓復方)《中醫喉科學講義》옹양제(癰瘍劑)
조성 ≒ 土茯苓(토복령)30, 銀花(은화), 紫花地丁(자화지정) 各12, 生甘草(생감초)6, 連翹
(연교), 制大黃(제대황), 馬齒莧(마치현) 各9. - 水煎服(수전복)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化痰利咽(화담이인).
주치 : 梅毒(매독) - 양매결독(楊梅結毒)이 줄지 않고 인후에 뭉쳐진 후감(喉疳), (未인후
가 발갛게 붓고 아프며(咽喉紅腫疼痛) 음식을 먹기가 불리(納食不
利)하고, 빽백하고 끈끈한 가래가 많고(痰多粘稠) 목구멍이 썩어 문드러졌으며
(喉間腐爛), 심하면 연달아 콧구멍(鼻竅), 귓구멍(耳竅)에 미치고 경항부(頸項部)
는 결핵(結核)으로 붓고 아프거나(頸項部結核腫痛) 혹 변비 두통(或便秘頭痛)있
고, 온몸에는 천연두가 퍼진다(身發廣痘).
토복령탕(土茯苓湯)《醫林纂要》옹양제(癰瘍劑)
조성 ≒ 토복령(土茯苓)120, 황백(黃柏), 생황기(生黃芪) 各60, 생감초(生甘草)30.
효용 : 사화탁독(瀉火托毒)
주치 : 매독(梅毒) - 양매창(楊梅瘡) 어구(魚口) 신감(腎疳).
신감(腎疳)의 주요임상표현은 사지가 여위고, 얼굴색이 검으며, 잇몸
(齒齦)에 창(瘡)이 생기거나 혹은 곪아 터져 피가 나고, 상부에는 열(熱)이 나며,
하부는 차다, 한열(寒熱)이 수시로 발작하고, 구역질이 나고, 젖과 음식을 적게 먹
으며, 물 같은 설사를 하며 심지어 탈항이 생기고 항문이 궤란(潰爛)되며, 습(濕)
에 의해 가렵고 창(瘡)이 생기는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흔히 오지(五遲) 등의 신
기부족(腎氣不足)의 증상을 나타낸다.
☞ 신감(腎疳) : 오감(五疳) 즉 심감(心疳), 간감(肝疳), 비감(脾疳), 폐감(肺疳) 과 함께
신감(腎疳)은 오감 중에 하나로써 이들은 모두 젖과 음식을 잘 조리
(調理)하지 못함으로 열이 속에 잠복하고 울체되어 일어나는 병리적 현상을 말한
다.
토복령합제(土茯苓合劑)《中醫外科學講義》옹양제(癰瘍劑)
조성 ≒ 토복령(土茯苓)30~60, 금은화(金銀花)12, 위령선(威靈仙) 백선피(白鮮皮) 各9,
생감초(生甘草)6, 창이자(蒼耳子)15.
加水 800毫升, 煎至 400毫升. 每日服 1劑, 分早中晩 3次服, 連服 2个月 1療程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燥濕祛風(조습거풍).
주치 : 梅毒(매독)
토복령합제(土茯苓合劑)《經驗方》
조성 ≒ 土茯苓(토복령)180, 銀花(은화)60, 連翹(연교)30, 生甘草(생감초)30. 上葯爲一劑
(상약위일제) 分 5 天煎服完, 25 天爲 1 療程.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주치 : 梅瘡(매창), 解毒治療(해독치료).
토사자산(兎絲子散)《醫宗必讀》영아제(嬰兒劑)
조성 ≒ 토사자(菟絲子), 육종용(肉蓗蓉), 포부자(炮附子), 모려(牡蠣), 오미자(五味子), 계
내금(鷄內金).- 육미조성(六味組成).
주치 : 하원허한(下元虛寒)의 유뇨(遺尿).- 잠을 자는 도중에 오줌을 싸는데(睡中遺尿),
많으면 하루밤에 여러번 싸고(一夜數次), 신
피핍력(神疲乏力), 얼굴색이 창백하고(面色蒼白) 팔다리가 서늘하고 찬것을 두려
워하며(肢凉怕冷) 다리에 힘이 없고(下肢无力) 허리와 엉덩이가 시큰시큰 쏘고
연약하며(腰腿痠軟) 지력이 둔하고 더디며(智力遲鈍) 소변발이 길고 색이 맑으며
(小便淸長) 혀는 담담하고 태는 희며(舌淡苔白)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인다(脈沉).
토사자정(菟絲子酊)(25%)《經驗方》
조성 ≒ 菟絲子(토사자, 打碎)25, 50% 酒精(주정)75 毫升.
5~7 天后, 濾汁去渣, 備用.- 外涂
효용 : 補元增色(보원증색)
주치 : 白駁風(백박풍).
토사자환(兎絲子丸)《濟生方》고삽제(固澁劑)
조성 ≒ 토사자(菟絲子), 육종용(肉蓗蓉), 녹용(鹿茸), 산약(山葯), 오약(烏葯), 모려(牡礪),
오미자(五味子), 상표소(桑螵蛸), 계내금(鷄內金), 익지인(益智仁), 포부자(炮附
子).
효능 : 온신난포(溫腎暖脬), 고축뇨액(固縮尿液).
주치 : 1) 신양쇠미(腎陽衰微).- 신피겁한(神疲怯寒) 두운(頭暈) 요산(腰酸) 사지무력(四
肢无力), 소변임리불단(小便淋漓不斷) 혹 유뇨(遺尿) 맥침세(脈沉細)
2) 소변불금(小便不禁) - 방광허한증(膀胱虛寒證).
토사자환(兎絲子丸)《沈氏尊生書》
조성 ≒ 토사자(菟絲子), 복령(茯苓), 산약(山葯), 연자육(蓮子肉), 구기자(枸杞子).
효용 : 보신고삽(補腎固澁)
주치 : 임병(淋病) - 신기불고증(腎氣不固證)
토사자환(兎絲子丸)《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토사자(菟絲子), 눈녹용(嫩鹿茸), 회향(茴香), 육계(肉桂), 포부자(炮附子), 정석용
예(凈石龍芮), 우슬(牛膝), 복분자(覆盆子), 두중(杜仲), 숙지황(熟地黃), 산수육
(山茱肉), 운복령(云茯苓), 방풍(防風), 금석곡(金石斛), 건택사(建澤瀉), 회침향
(盔沉香), 파극천(巴戟天), 육종용(肉蓗蓉), 오미자(五味子), 상표소(桑螵蛸), 파고
지(破故紙), 천속단(川續斷), 천궁(川芎), 필징가(蓽澄茄).
온주(溫酒) 혹 염탕(鹽湯).
주치 : 신기허손(腎氣虛損) 오로칠상(五勞七傷).- 소복구급(少腹拘急) 사지산통(四肢酸
痛), 얼굴색이 검누런 흑색(面色黧黑)이고, 입과 입술이 건조(唇口乾燥)하며, 눈은
어둡고 귀에서는 소리가 나며(目暗耳鳴), 놀라서 무서워하고 호흡이 촉박하며(心
忪氣短), 밤잠을 자면서 꿈을 꾸어 놀라 공포를 느끼며(夜夢驚恐), 정신이 지쳐서
피로하며(精神困倦), 슬프고 우울하여 즐거움이 없으며(悲懮不樂), 음식무미(飮
食无味)하고, 위완부가 창만(心腹脹滿)하고, 무릎과 종아리가 근육이 위축되어
동작이 몹시 느리고(脚膝痿緩), 소변이 빠르게 잘나가고(小便滑數), 남자의 성기
가 발기되지 않고, 또발기 되어도 강하지 않고 일찍이 정액을 배설하며(陽萎早
泄), 다리 내측에 습진이 발생하며 몹시 가려웁고(股內濕痒), 소변을 본후 오줌방
울을 흘리며(小便余瀝), 맥은 가볍게 누르면 짚이지 않고 힘주어 눌러야 짚이면
서 무력한, 침이무력맥(沉而无力脈) 등 증을 다스린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