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추풍여성산(追風如聖散)《外科醫案》 - 치우방(治疣方)《外科學》
추풍여성산(追風如聖散)《外科醫案》
조성 ≒ 細辛(세신), 防風(방풍), 薄荷(박하), 草烏(초오), 川芎(천궁), 白芷(백지), 蒼朮(창
출), 雄黃(웅황).
추풍탕(抽風湯)《審視瑤函》
조성 ≒ 방풍(防風), 시호(柴胡), 세신(細辛), 길경(桔梗), 대황(大黃), 황금(黃芩), 차전자
(車前子), 원명분(元明粉).
추혈명목음(墜血明目飮)《審視瑤函》
조성 ≒ 세신(細辛), 인삼(人蔘), 적작(赤芍), 오미자(五味子), 천궁(川芎), 우슬(牛膝), 석결
명(石決明), 생지황(生地黃), 산약(山葯), 지모(知母), 백질려(白疾藜), 당귀미(當歸
尾), 방풍(防風).
축궁축어탕(縮宮逐瘀湯)《中醫症狀鑒別診斷學》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포황(蒲黃), 오령지(五靈脂), 당삼(黨參), 지각(枳殼), 익모
초(益母草).
축비산(畜鼻散)《醫學心悟》개규제(開竅劑)
조성 ≒ 생반하(生半夏), 세신(細辛), 조각(皂角). - 가루 내어 콧구멍에 불어 넣는다.
주치 : 중풍(中風)으로 인사불성(人事不省)을 다스린다.
축비음(縮脾飮)《和劑局方》거서제(祛暑劑)
조성 ≒ 오매(烏梅), 감초(甘草), 사인(砂仁), 초과(草果), 편두(扁豆), 갈근(葛根).
주치 : 서습사기(暑濕邪氣)에 비위를 상하여(暑濕損傷脾胃), 구토설사(嘔吐泄瀉), 번조
구갈(煩躁口渴) 등 증을 다스린다.
축사지신단(逐邪至神丹)《洞天奧旨》옹양제(癰瘍劑)
조성 ≒ 금은화(金銀花)120, 포공영(蒲公英), 당귀(當歸) 각(各)60, 인삼(人蔘), 생감초(生
甘草)30, 대황(大黃)15, 천화분(天花粉). - 수전복(水煎服)
효용 : 청열해독(淸熱解毒), 사실소옹(瀉實消癰).
주치 : 매독(梅毒) - 변독초기(便毒初起) 혹좌혹우(或左或右) 병치(幷治) 낭옹(囊癰).
축어지붕탕(逐瘀止崩湯)《安徽中醫驗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삼칠(三七), 오적골(烏賊骨), 용골(龍骨), 모려(牡蠣), 당귀(當歸), 천궁(川芎), 아교
(阿膠), 애엽(艾葉), 단삼(丹參), 단피(丹皮), 몰약(沒葯), 오령지(五靈脂).
주치 : 붕루하혈(崩漏下血).- 임리불단(淋漓不斷) 혹(或) 돌연하혈량다(突然下血量多),
협유어괴(挾有瘀塊) 소복동통거안(小腹疼痛拒按) 설질암홍
(舌質黯紅) 유어점(有瘀点), 맥침삽(脈沉澁).
축어지혈탕(逐瘀止血湯)《傳靑主女科》경산제(經産劑)
조성 ≒ 대황(大黃), 당귀미(當歸尾), 적작(赤芍), 구판(龜版), 도인(桃仁), 지각(枳殼), 생지
황(生地黃), 모단피(牡丹皮).
《方解》 ① 생지(生地), 귀미(歸尾), 적작(赤芍) : 양혈활혈(養血活血)
② 도인(桃仁), 대황(大黃), 단피(丹皮) : 활혈거어(活血祛瘀)
③ 지각(枳殼) : 행기산어(行氣散瘀)
④ 구판(龜板) : 양음지혈(養陰止血)
치법 : 화어지혈(化瘀止血) - 활혈산어(活血散瘀), 양음지혈(養陰止血).
주치 : 경간기출혈(經間期出血) 량혹다혹소(量或多或少) 색자흑(色紫黑) 혹유혈괴(或有
血塊) 소복양측(少腹兩側) 창통(脹痛) 혹자통(或刺痛) 흉민번조(胸悶煩躁) 설질암
홍(舌質暗紅) 혹유자점(或有紫点) 맥세현(脈細弦).
축천환(縮泉丸)《婦人良方》《朱氏集驗方》고삽제(固澁劑) 又名 고진단(固眞丹)《魏氏家藏方》
조성 ≒ 천태오약(天台烏葯), 익지인(益智仁, 去皮, 炒), 산약(山葯) 各等分.
上爲末, 另用山葯炒黃爲末, 打糊, 和上葯末爲丸 如梧桐子大 晒乾. 每服 50 丸, 嚼
茴香 20~30 粒, 鹽湯 或塩酒送下.
효용 : 온신지유(溫腎止遺), 고섭축뇨(固攝縮尿).
주치 : 1) 하원허냉(下元虛冷).- 소변빈삭(小便頻數) 혹 소아유뇨(小兒遺尿) 지냉형한(肢
冷形寒)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지(脈沉遲)
2) 신경허한(腎經虛寒), 소변빈삭(小便頻數) 백탁(白濁) 몽유(夢遺) 조설(早泄) 실
정(失精).
축한탕경탕(逐寒蕩驚湯)《福幼編》
조상 ≒ 胡椒(호초), 炮姜(포강), 肉桂(육계), 丁香(정향), 灶心土(조심토).
춘근백피환(椿根白皮丸)《醫學入門》권팔(卷八)
조성 ≒ 椿根白皮(춘근백피)30, 黃柏(황백)90, 靑黛(청대)10, 乾姜(건강)10, 滑石(활
석)15, 蛤粉(합분)15, 神曲(신곡)15, 制南星(제남성)10, 法半夏(법반하)10.
上爲末, 水泛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30~50 丸, 1 日 2 次.
효용 : 청열조습(淸熱燥濕), 척담사화(滌痰瀉火).
주치 : 여자실합(女子失合), 번조욕사(煩躁欲死), 외음 및 음도 안이(外陰及陰道內), 가려
워 참기 어려우며(瘙痒難耐), 백음이 마치 쏟아지듯 흘러나오다(白淫如崩).
☞ 백음(白淫) : ① 여성의 질에서 백색의 점액이 지나치게 많이 흘러나오는 것을 가리킨다.
성샹활이 과도하거나 하초의 습열에 의하여 일어난다.
② 남성이 성생활이 과도하여 욕화(欲火)가 망동함으로 정액이 저절로 흘
러나어는 현상을 가리키다.
③ 남성의 활정(滑精), 여성의 백대(白帶)를 가리킨다.
마시(馬蒔)《黃帝內經 素問 注證發微》.
춘온탕(春溫湯)《辨證彔》보양제(補陽劑)
조성 ≒ 人蔘(인삼), 巴戟天(파극천), 白朮(백출), 杜仲(두중) 各15, 破故紙(파고지)9, 肉桂
(육계)3, 菟絲子(토사자)15. - 水煎服(수전복)
효용 : 補脾暖宮(보비난궁)
주치 : 부인(婦人) 하신빙냉(下身冰冷) 50
춘택탕(春澤湯)《證治要訣類方》거습제(祛濕劑)
조성 ≒ 오령산(五苓散, 백출(白朮), 계지(桂枝), 저령(猪苓), 택사(澤瀉), 복령(茯苓)),
加 인삼(人蔘).
주치 : 융폐기허자(癃閉氣虛者).- 소변불출(小便不出) 혹 량소이불창(量少而不暢) 정신
피핍(精神被乏) 기단(氣短) 어성저세(語聲低細) 소복추
창(小腹墜脹) 태박(苔薄) 맥세약무력(脈細弱无力).
출계초현단(朮桂草玄丹)《辨證彔》卷十一
조성 ≒ 白朮(백출)60, 肉桂(육계), 甘草(감초), 玄胡索(현호색) 各3.- 水煎服
효용 : 거한조습(祛寒燥濕)
주치 : 부인하초(婦人下焦) 한습상쟁(寒濕相爭) 경수장래(經水將來) 3, 5일전(三五日前)
제하동통(臍下疼痛) 장여도자(狀如刀刺), 한열고작(寒熱交作) 하여흑두즙(下如黑
豆汁) 구무잉육(久无孕育).
출부탕(朮附湯)《醫宗金鑑》온리제(溫裏劑)
조성 ≒ 백출(白朮), 부자(附子).
주치 : 한습상박(寒濕相搏).- 지체동통(肢體疼痛).
출부탕(朮附湯)《近效方》치풍제(治風劑)
조성 ≒ 백출(白朮), 부자(附子), 생강(生姜), 대조(大棗), 자감초(炙甘草).
주치 : 양허(陽虛) 협풍한(挾風寒)의 현운증(眩暈證).- 두목현운(頭目眩暈), 소체양허(素
體陽虛), 외감풍한(外感風寒).
충화고(冲和膏)《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자형피(紫荊皮)150, 독활(獨活)90, 석창포(石菖蒲)45, 백지(白芷)30, 적작(赤
芍)60. 오미조성(五味組成). 총즙(葱汁) 진주(陳酒) 조부환처(調敷患處).
효용 : 疏風(소풍) 消腫(소종) 活血祛寒(활혈거한)
주치 : 1) 옹저(癰疽) 발배(發背) 음양불화(陰陽不和) 냉열(冷熱) 불명(不明).- 옹저미열
(癰疽微熱) 미오한(微惡寒) 미적종(微赤腫) 맥삭이무력(脈數而无力).
2) 瘡瘍(창양) 陰陽不和(음양불화) 冷熱相凝(냉열상응)
충화탕(冲和湯)(中和湯)《外科准繩》옹양제(癰瘍劑)
조성 ≒ 사군자탕(四君子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가(加) 당귀
(當歸), 황기(黃芪), 진피(陣皮), 조자(皂刺), 유향(乳香), 몰약(沒葯), 은화(銀花), 천
궁(川芎), 백지(白芷)., 수주(水酒) 각반(各半) 전복(煎服).
주치 : 반음반양적창양(半陰半陽的瘡瘍).- 환부(患部) 사궤불궤(似潰不潰), 만종무두(漫
腫无頭) 통이불심(痛而不甚) 종이불열(腫而不熱) 미홍색담(微紅色淡) 맥허약(脈
虛弱).
취령단(臭靈丹)《醫宗金鑑》
조성 ≒ 硫黃(유황), 油核桃(유핵도), 生猪油(생저유), 水銀(수은).
취선환(聚仙丸)《良朋滙集》卷五
조성 ≒ 沙苑蒺藜(사원질려)500 (爲末, 取凈葯 120 克, 余滓用水泡 3~5 日, 取汁熬膏 備
用), 蓮蕊(연예, 黃色者)120, 芡實(검실)120, 枸杞子(구기자), 菟絲子(토사자) 各
60, 山茱肉(산수육)120, 覆盆子(복분자, 去蒂 酒拌 蒸)60, 川斷(천단, 酒泡一宿 焙
乾)60, 金櫻子(금앵자, 去外刺)90, 龍骨(용골, 火煅 童便淬 10 次)15.
- 上爲細末, 同蒺藜膏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9 克, 鹽湯 或黃酒送下. 求速效者,
日進 2 服.
효용 : 補肝益腎(보간익신), 塡精收攝(전정수섭).
주치 : 부인(婦人) 음정부족(陰精不足), 음도송이(陰道松弛).
【加减】 불잉자(不孕者) : 倍 용골(龍骨), 加 금앵자(金櫻子, 熬) 60 克.
취운산(翠云散)《醫宗金鑑》
조성 ≒ 輕粉(경분), 煅石膏(단석고), 膽礬(담반), 銅綠(동록).
측백양화쇄보정(側柏羊花碎補酊)《脫發的中醫防治》
조성 ≒ 鮮側柏葉(선측백엽), 뇨羊花(뇨양화), 補骨脂(보골지) 85%酒精(주정).
측백엽정(側柏葉酊)《經驗方》
조성 ≒ 이갑아유기화합물(二甲亞有機化合物)100, 920片 100片(每片 20mg) 側柏葉乙
醇浸出液(측백엽을순침출액) 加到(가도) 10000ml(取生側柏葉(생측백엽)
2500g, 用 60% 乙醇(을순)). 无 920 片, 不用也可.- 每天 3~4 次 搓擦患處
효용 : 凉血淸熱(양혈청열) 止痒(지양)
주치 : 白屑風(백설풍).
측백저피환(側柏樗皮丸)《醫學入門》경산제(經産劑)
조성 ≒ 측백엽(側柏葉), 저피(樗皮), 항백작(杭白芍), 황백(黃柏), 황연(黃連), 백출(白朮),
백지(白芷), 향부(香附).-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대하(帶下).- 점조취예(粘稠臭穢) 색황(色黃) 구건(口乾) 소변단적이통(小便短赤
而痛) 태황(苔黃) 맥삭이유력(脈數而有力).
치도지사산(梔桃枳楂散)《醫學入門》卷六
조성 ≒ 山梔(산치), 桃仁(도인), 枳實(지실), 山楂(산사).- 各等分.
上爲末. 加少許姜汁, 放砂鍋內 煎二三沸 乘熱服
효용 : 행기활혈(行氣活血), 이습소경(利濕疏經).
주치 : 양명(陽明) 습열하주(濕熱下注), 소복연모제(小腹連毛際) 민통(悶痛) 불가인(不可
忍).
치붕증극험방(治崩證極驗方)《女科集要》경산제(經産劑)
조성 ≒ 산치(山梔), 황금(黃芩), 황연(黃連), 모려(牡蠣), 백작(白芍), 감초(甘草), 지황(地
黃), 지유(地楡), 단피(丹皮), 연수(蓮須).
주치 : 혈붕(血崩).- 혈색이 븍고 하혈량이 많으며(量多色紅), 입술은 타고 입은 마르며
(口燥唇焦), 설태는 누렇고(苔黃), 맥은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
상 뛰며 빠르다(脈數).
치선제일령단(治癬第一靈丹)《寶志遺方》
조성 ≒ 鮮玉簪花(선옥잠화), 母丁香(모정향), 沉香(침향), 冰片(빙편), 麝香(사향), 山西城
磚(산서성전).
치연사화탕(梔連瀉火湯)《辨證彔》
조성 ≒ 生地(생지)30, 當歸(당귀) 丹皮(단피) 各15, 炒梔子(초치자) 天花粉(천화분) 各9,
黃連(황연)6, 吳茱萸(오수유)3. - 水煎服
효용 : 청간설열(淸肝泄熱), 양음양혈(養陰凉血).
주치 : 부인(婦人) 뜻하는 바를 이루지 못하고(情欲不遂), 기가 막히고 맺힌 것이 오래되
면(鬱結日久) 간화의 기세가 치성(肝火熾盛)하여, 미친 지랄이 그치지 않는다(癲
狂不已).
【加减】사열(邪熱)이 혈실(血室)에 침입한 사람 : 加 시호(柴胡) 3 克.
치우방(治疣方)《經驗方》
조성 ≒ 靈磁石(령자석), 紫貝齒(자패치), 代赭石(대자석), 生牡蠣(생모려), 桃仁(도인), 山
慈菇(산자고), 白芍(백작), 地骨皮(지골피), 黃柏(황백).- 水煎服(수전복)
효용 : 活血通絡(활혈통락), 平肝潛鎭(평간잠진).
주치 : 사마귀(疣)의 피진(皮疹)이 확산(擴散)된 사람
치우방(治疣方)《外科學》
조성 ≒ 靈磁石(령자석), 紫貝齒(자패치), 代赭石(대자석), 牡蠣(모려), 桃仁(도인), 紅花
(홍화), 山慈菇(산자고), 白芍(백작), 地骨皮(지골피), 黃柏(황백).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