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9 結毒神效方 - 桂心釜墨散

Aktualisiert: 23. Aug. 2019


醫方集成

결독신효방(結毒神效方)《丹台玉案》

옹양제(癰瘍劑) - 계심부묵산(桂心釜墨散)

《醫宗金鑑》卷四十九


결독신효방(結毒神效方)《丹台玉案》옹양제(癰瘍劑)

조성 ≒ 當歸(당귀), 川芎(천궁) 各9, 皂子(조자)7个, 防風(방풍), 生地(생지), 白鮮皮(백선

피), 赤芍(적작), 金銀花(금은화), 牛膝(우슬), 人蔘(인삼), 防己(방기), 威靈仙(위령

선) 各6, 土茯苓(토복령)120. 用水 1200毫升, 煎至 600毫升, 溫服. 服后飮酒 以

助葯力.

효용 : 祛風活血(거풍활혈), 淸熱化毒(청열화독). 주치 : 梅毒(매독) - 結毒(결독) 筋骨疼

痛(근골동통)결파산가감(結破散加减)(結破散加減)

조성 ≒ 海藻(해조), 昆布(곤포), 海蛤殼(해합각) 各10, 龍膽草(용담초), 通草(통초), 三稜

(삼릉), 莪朮(아출), 靑皮(청피) 各6, 麥曲(맥곡), 半夏(반하), 浙貝母(절패모) 各12.

효용 : 活血化痰(활혈화담) 消痰散結(소담산결)

주치 : 甲亢(갑항) - 기혈어결형氣(血瘀結型), 영종일구(癭腫日久), 질지연경불일(質地軟

硬不一) 반유흉민(伴有胸悶), 음아(音啞) 등 설질암(舌質暗), 태박백

(苔薄白), 맥세완(脈細緩).

경옥고(琼玉膏)《洪氏集驗方》치조제(治燥劑)

조성 ≒ 생지황즙(生地黃汁), 복령(茯苓), 인삼(人蔘), 백밀(白蜜).

주치 : 허로(虛勞).- 건해(乾咳) 인조각혈(咽燥咯血).

경옥고(瓊玉膏)《入門(입문)》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

조성 ≒ 生地黃(생지황) 16斤(근)을 절구로 찧어서 汁(즙)을 짜고, 人蔘(인삼)을 細末(세

말)한 것 24兩(량), 白茯苓(백복령)을 細末(세말)하여 48兩(량), 白蜜(백밀)을 精

選(정선) 한 것 10斤(근).

이상을 같이 調和(조화)하여 磁器盒(자기합)에 넣고 油紙(유지) 五重(오중)과 厚

布(후포) 一重(일중)으로 盒口(합구)를 堅封(견봉)하여 동과에 넣고 솥바닥에 깨

끗한 나무막대기를 거로질러 놓아서 물이 끓어도 盒口(합구, 그릇 입구)에 넘어

들지 않도록 한 후 뽕나무 불로 三晝夜(삼주야)를 끓이는데 물이 减(감)하면 뜨

거운 물을 다시 添加(첨가)하는 방법으로 끓이는 期限(기한)이 되거든 葯盆(약

분)을 끄집어내어 다시 蠟紙(랍지, 밀초종이)로 싸서 盒口(합구)를 堅封(견봉)한

뒤에 우물속에 달아매어 놓고 一晝夜(일주야)가 지난 뒤에 끄집어내어 다시 舊

湯(구탕)에 前法(전법)과 같이(如) 넣어 一晝夜(일주야)를 끓여 내는 것이다. 제

일 먼저 조금 덜어서 天地(천지)의 神(신)에祭(제)를 지낸 뒤에 一日(일일)에

2~3회로 1~2 匙(시, 숟가락)씩 溫酒(온주)로 복용하고, 술을 먹지 못하는 이는

百沸湯(백비탕, 오래 끓인 물)에 調服(조복)한다.

炎暑中(염서중)에는 陰冷(음냉)한 곳이나 혹은 氷中(빙중)이나 地中(지중)에 藏

置(장치, 저장해 두다)하되 婦人(부인)이나 喪人(상인)이나, 鷄犬(계견) 등에 보

이지 않는 것이 좋다. 製劑(제제, 약을 조제)할 때에 終始(종시, 시종)로 鐵器(철

기)를 쓰지 말고 忌食(기식, 가려야할 음식)은 파, 마늘, 무, 醋(초) 등이다. 衛生

方(위생방)에는 生地黃(생지황) 8斤(근), 人蔘(인삼) 32兩(량), 白茯苓(백복령)

24兩(량), 白蜜(백밀) 5斤(근)으로 되어 있다.

東醫寶鑑(동의보감)에 의하면 中國(중국) 皇室(황실)에서 太醫院會議(태의원회

의)를 열고 위의 처방에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地骨皮(지골피) 各八

兩(각팔량)을 加(가)하여 益壽永眞膏(익수영진고)라 하였다. 라고 한다.

주치 : ① 塡精(전정), 補髓(보수), 調眞(조진), 養性(양성), 返老(반노), 還童(환동)하는

膏葯(고약)으로 百損(백손)을 補(보)하고, 百病(백병)을 除去(제거)하며 萬神

(만신)이 모두 족하고 五臟(오장)이 盈溢(영일, 차고 넘치다)하며, 白髮(백발)

이 검어지고 落齒(락치)가 다시 나며, 奔馬(분마)처럼 달린다. 하루에 2~3회

먹으면, 종일토록 (탄탄증, 마비증)을 고치고 十分(십분)의 一(일)을 먹으면

癆瘵(노채, 결핵간균에 의한 肺癆(폐로))가 낫고 27년 동안을 먹으면 360세

를 살며, 64년을 복용하면 500세를 살 수 있다.

② 生精(생정), 補氣(보기)한다.

③ 勞瘵(노채)를 다스리고, 滋血(자혈), 補氣(보기)하여 元氣(원기)를 堅固(견고)

히 하는 聖葯(성약)이다. 一料(일료)로 10 사람의 勞瘵(노채)를 구한다. 라고

하였다.

경험광사환(經驗廣嗣丸)《惠直堂經驗方》

조성 ≒ 人蔘(인삼), 山茱肉(산수육), 茯苓(복령), 天冬(천동), 石菖蒲(석창포), 車前子(차

전자), 赤石脂(적석지, 另硏), 當歸(당귀) 各30, 生地(생지), 熟地(숙지), 杜仲(두

중), 地骨皮(지골피), 川椒(천초), 牛膝(우슬) 各60, 枸杞子(구기자), 肉蓗蓉(육종

용), 遠志(원지) 各90, 菟絲子(토사자)120, 覆盆子(복분자), 澤瀉(택사), 柏子仁(백

자인), 山葯(산약), 五味子(오미자), 巴戟天(파극천), 木香(목향) 各(각)30.

上爲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初服 60丸, 漸加至 100丸, 空腹時 用鹽湯或酒送下

효용 : 온신전정(溫腎塡精), 양심익기(養心益氣).

주치 : 남자 과중한 업무로 몸이 여위고(勞損羸瘦), 중년(中年) 양기가 일어 나지 못하며

(陽事不擧), 정신력 흐리고 약하며(精神短少) 나이 50세가 되기도 전에(未至五旬

머리털이 일찍이 희고(須髮早白) 걷기가 어렵다(步履艱難) 부인에게 미치면(以

及婦人) 하초의 원기가 부족하여 차서(下元虛冷), 오랜 동안 임신이 되지 않는다

(久不孕育).

경효산(經效散)《竄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시호(柴胡), 감초초(甘草梢), 당귀미(當歸尾), 적작(赤芍), 천대황(川大黃), 연교

(連翹), 서각(犀角). - 칠미약조성(七味葯組成)

주치 : 진정파손(眞睛破損), 외사침입(外邪浸入), 열독치성(熱毒熾盛).- 창구오예부종(瘡

口汚穢浮腫), 백정혼적(白睛混赤), 안구종창(眼球腫脹) 혹 황액상충(黃液上冲),

혹 루급건강지안(累及健康之眼), 태황(苔黃), 맥삭(脈數).

계격산(啓膈散)《의학심오(醫學心悟)》

조성 ≒ 사삼(沙蔘), 단삼(丹參), 패모(貝母), 복령(茯苓), 울금(鬱金), 사인각(砂仁殼), 하

엽체(荷葉蒂), 저두강(杵頭糠).

효용 : 개울화담윤조(開鬱化痰潤燥).

주치 : 담기호결증(痰氣互結證)의 열격(噎膈). 일격(噎膈), 억울일구(抑鬱日久), 기결진

고(氣結津枯).- 인하경색(咽下梗塞) 심칙(甚則) 동통구토(疼痛嘔吐).

계관산(鷄管散)《醫學入門》卷八

조성 ≒ 黃連(황연), 大黃(대황) 各6, 鷄管石(계관석), 赤石脂(적석지)1.5, 雄黃(웅황)0.3,

片腦(편뇌)0.15, - 上爲細末 唾液調敷.

효용 : 청열렴창(淸熱斂瘡)

주치 : 환병초유(患病初愈), 오범방사(誤犯房事), 음경피파(陰莖皮破), 종통흔홍(腫痛焮

紅).

계궁환(啓宮丸)《經驗方》

조성 ≒ 半夏(반하), 香附(향부), 蒼朮(창출), 陣皮(진피), 神曲(신곡), 茯苓(복령), 川芎(천

궁).

계궁환(啓宮丸)《中醫婦科學》경산제(經産劑)

조성 ≒ 반하(半夏), 창출(蒼朮), 향부(香附), 신곡(神曲), 복령(茯苓), 진피(陣皮), 천궁(川

芎).

주치 : 담습불잉(痰濕不孕).- 결혼한 후 오랜 동안 임신이 안되고(婚后久不受孕) 몸은 비

만하며(形體肥滿) 월경이 늦게 오고(經期延后) 심한 경우는 혹 폐경이 되며(甚或

經閉) 대하 량이 많고(帶下量多) 질이 빽빽하고 끈끈하며(質粘稠) 얼굴색리 새하

얗고(面色晄白) 가슴이 두근 거리고 머리가 어지러우며(頭暈心悸), 가슴이 답답

하고 속에서 울걱 넘어오고(胸悶泛噁) 설태는 희고 미끈거리며(苔白膩), 맥은 순

조롭고 원활하다(脈滑).

계단황유(鷄蛋黃油)《經驗方》

조성 ≒ 生鷄蛋(생계단) 10~15个. 將鷄蛋煮熟, 去蛋白取黃, 稍凉乾, 于鍋內置少許植物

油, 再放入蛋黃, 以慢火煎熬漸見黑色鷄蛋油 析出.- 外涂, 或制成紗條敷貼.

효용 : 生肌長肉(생기장육) 攎膚防裂(로부방열)

주치 : 궤양육아홍활(潰瘍肉芽紅活), 혹 군열(皸裂).

계단황유고(鷄蛋黃油膏)《經驗方》치목제(治目劑)

조성 ≒ 鷄蛋黃(계단황, 放入銅銚內, 以文火煮熬 色黑如油)1~3枚, 制甘石(제감석) 冰片

(빙편) 各少許(兩葯均須硏細末), 和勻, 涂擦患處.

주치 : 검현적란(瞼弦赤爛)

계령감로산(桂苓甘露散)《宣明論》거서제(祛暑劑)

조성 ≒ 六一散(활석(滑石), 감초(甘草)), 오령산(五苓散)((계지(桂枝), 복령(茯苓), 저경(猪

苓), 택사(澤瀉), 백출(白朮)) 가(加) 한수석(寒水石), 생석고(生石膏).

주치 : 중서수습(中暑受濕).- 두통(頭痛) 발열(發熱), 목이 몹기 말라서 물을 마시며(煩渴

引飮), 소변불리(小便不利), 혹 토하며 설사를하는 곽란이 있고(霍亂吐瀉), 위완

부가 답답하고 마음은 번거로우며(脘悶心煩), 설태황니(舌苔黃膩) 맥유삭(脈 濡

數)한 증상을 다스린다..

계령오미감초거계가건강세신반하탕(桂苓五味甘草去桂加乾姜細辛半夏湯)《金匱要略》祛痰劑

조성 ≒ 복령(茯苓),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건강(乾姜), 세신(細辛), 반하(半夏).

주치 : 복용(服用) 영감오미강신탕(苓甘五味姜辛湯) 후(后), 해만즉지(咳滿卽止) 충기복

발(冲氣復發) 현모구역(眩冒嘔逆)자.

계령오미감초탕(桂苓五味甘草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계지(桂枝), 복령(茯苓), 오미자(五味子), 감초(甘草).

주치 : 진양소허(眞陽素虛) 지음외한리음(支飮外寒裏陰) 복용(服用) 소청용탕(小靑龍

湯)후(后) 인발(引發) 충기상역(冲氣上逆), 원양수상(元陽受傷).- 다타구조(多唾口

燥), 수족궐역(手足厥逆) 혹 수족마목(手足麻木) 불인(不仁), 기종소복(氣從少腹)

상충흉인(上冲胸咽), 면흡열여취상(面翕熱如醉傷) 소변난(小便難) 혼무(昏瞀) 촌

맥침(寸脈沉) 척맥미(尺脈微).

계마각반탕(桂麻各半湯)《傷寒論》太陰人方- (張仲景)

조성 ≒ 麻黃(마황)7.5, 白芍(백작) 桂枝(계지) 杏仁(행인) 各5, 甘草(감초)3.5, 生姜(생

강)3片, 大棗(대조)2枚.- 水煎二服(수전이복).

효용 : 健肺(건폐) 表邪除祛(표사제거)

주치 : 1) 太陽病(태양병) 表症(표증)이 8~9 일이 지나, 학질과 같은 증상(즉 열이 많고

한기가 적으며 땀이없고 몸이 거렵다)이 나타날 때 쓴다.

2) 두드러기, 食中毒(식중독), 麻痹(마비) 等도 治療(치료)한다.

계명산(鷄鳴散)《證治准繩》거습제(祛濕劑)

조성 ≒ 목과(木瓜), 오수유(吳茱萸), 빈낭편(檳榔片), 길경(桔梗), 생강(生姜), 소엽(蘇葉),

진피(陣皮).

주치 : 습각기(濕脚氣).- 족경종중(足脛腫重) 무력(无力), 마목냉통(麻木冷痛).

계명산(鷄鳴散)《傷科補要》골상제(骨傷劑)

조성 ≒ 도인(桃仁), 당귀미(當歸尾), 대황(大黃).

- 삼미약(三味葯) 술로 달여서(酒煎), 닭이 우는 시간으로부터 해가 뜰 때 복용

하여(鷄鳴時服, 至天明) 어혈을 내려보내면 곧 낫는다(攻下瘀血卽愈).

주치 : 흉복내상(胸腹內傷) 어혈(瘀血).- 동통난인(疼痛難忍), 거안(拒按), 대변비결(大便

秘結), 설암홍(舌暗紅) 태후(苔厚) 위변증의거(爲辨證依据).

계부리중환(桂附理中丸)《三因方》 ☞ 리중환(理中丸)《傷寒論》온리제(溫里劑)

계부탕(桂附湯)《入門》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桂皮(계피) 三錢(삼전), 炮附子(포부자) 三錢(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으로 하

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가해서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陽虛(양허), 血弱(혈약), 虛汗不止(허한불지)를 다스린다.

계비산(啓脾散)《成方便讀》영아제(嬰兒劑)

조성 ≒ 산사(山楂), 오곡충탄(五谷虫炭), 진피(陣皮), 사인(砂仁), 백출(白朮), 당삼(黨

參),연육(蓮肉).- 칠미약(七味葯)

주치 : 소아감질(小兒疳疾).

음식을 적게 먹고 몸은 여위며(食少形羸), 얼궁은 누렇고 배는 북처럼 크게 부르

며(肚大面黃), 머리는 크고 목은 가늘다(頭大頸細).

계사산(桂麝散)《葯蘞啓秘》옹양제(癰瘍劑)

조성 ≒ 麻黃(마황)15, 細辛(세신)15, 肉桂(육계)30, 牙皂(아조)9, 生半夏(생반하)24, 丁

香(정향)30, 生南星(생남성)24, 麝香(사향)1.8, 冰片(빙편)1.2.

- 硏極細末, 摻膏葯內貼之.

주치 : 일절(一切) 창양(瘡瘍), 음증미궤(陰證未潰).

계소산(鷄蘇散)《傷寒直格》거서제(祛暑劑)

조성 ≒ 육일산(六一散)(활석(滑石), 감초(甘草)) 가(加) 박하(薄荷).

주치 : 풍열표증(風熱表證)

계심부묵산(桂心釜墨散)《醫宗金鑑》卷四十九

조성 ≒ 계심(桂心), 부저묵(釜底墨, 伏龍肝) 各等分.- 上爲末. 每服 3 克, 溫酒調下

효용 : 보익심비(補益心脾), 온중지혈(溫中止血).

주치 : 부인(婦人) 심비이경(心脾二經) 손상(損傷), 교접하자 갑자기 출혈(交接輒出血).

【備考】按 :《千金要方》卷三 有 “治女人 交接輒出血方 : 桂心 伏龍肝 各12,- 爲末,

每服 3 克, 溫酒調服” “治童女交接 陽道違里 及爲他物所傷 血出流離不止方 : 取

釜底墨 少許, 硏胡麻 以敷之”. 本方兼此二方之長, 淵源卓然可見.

1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Kommentare


Die Kommentarfunktion wurde abgeschalte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