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감수반하탕(甘遂半夏湯)《金匱要略》
공축제(攻逐劑) - 개명환(開明丸)《審視瑤函》
치목제(治目劑)
감수반하탕(甘遂半夏湯)《金匱要略》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감수(甘遂), 반하(半夏), 작약(芍葯), 자감초(炙甘草), 봉밀(蜂蜜).
주치 : 음이 흉협에 머무르거나(飮留胸脇) 혹은 음이 위장에 머무르고(飮留胃腸) 병의
뿌리가 깊고 견고한자(根深蒂固者).
감수통결탕(甘遂通結湯)《中西醫結合治療急腹證》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감수(甘遂), 도인(桃仁), 적작(赤芍), 토우슬(土牛膝), 광목향(廣木香), 천대황(川
大黃), 천후박(川厚朴).
주치 : 장경조(腸梗阻).- 장강적액(腸腔積液)이 비교적(比較的) 많은 자(者)
감적산(疳積散)《中醫兒科學》《驗方》영아제(嬰兒劑)
조성 ≒ 향부(香附), 창출(蒼朮), 육두구(肉豆寇), 신곡(神曲), 맥아(麥芽,) 빈낭(檳榔), 호
황연(胡黃連), 오곡충(五谷虫), 계내금(鷄內金). 구미조성(九味組成)
주치 : 감적(疳積).- 확실하게 몸이 여위고(形體消瘦明顯) 위와 장이 마치 북과 같이 부
풀고(肚腹臌脹) 정맥이 폭로되어 구불구불 표면에 나타나고(靑筋暴露), 얼굴색
이 누렇게 시들어 빠지고 밝지 못하며(面色萎黃无華), 머리카락이 누렇게 성기
고(毛髮稀黃) 마치 이삯이 맺은 것 같고(如穗結), 정신을 차리지 못하며(精神不
振) 혹은 갑갑해하고 조급해하며(或易煩躁) 격동하고(激動), 잠을 자도 편안하지
않고(睡眠不寧) 혹(或) 코를 후비고 눈썹을 문지르며(揉眉挖鼻), 이를 갈고 손가
락을 깨물며(咬指磨牙) 이상한 동작을 하고(動作異常) 식욕이 감퇴된다(食欲减
退).
감초건강탕(甘草乾姜湯)《金匱要略》온리제(溫里劑)
조성 ≒ 감초(甘草), 건강(乾姜).
주치 : 폐위(肺痿) 허냉(虛冷).- 폐위(肺痿), 기침을 할 때 거품이 있는 침과 가래를
뱉으며(咳唾吐涎沫), 목이 마르지 않고(不渴), 소변은 자주 보거나(小便數), 혹 오줌
을 쌓는(遺尿) 등 증을 다스린다.
감초건강탕(甘草乾姜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감초(甘草) 건강(乾姜).
주치 : ① 상한(傷寒) 한사에 비양을 손상 받아(寒傷脾陽).- 수족이 말단으로부터 차가워져
오르고(手足厥冷), 목구멍이 건조하며(咽中乾), 기가 상역하여 토하고 마음이 답
답하고 초조하다(煩躁吐逆).
② 천식(喘息), 기관지염(氣管支炎).
감초마황탕(甘草麻黃湯)《金匱要略》거습제(祛濕劑)
조성 ≒ 감초(甘草), 마황(麻黃).
주치 : ① 피수표실(皮水表實) 환자.- 사지부종(四肢浮腫), 몸에 열과 땀이 나지 않으며(无
熱无汗)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고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지만 속이 비지는 않는
다(脈浮).
② 천식(喘息)
감초부자탕(甘草附子湯)《傷寒論》치풍제(治風劑)
조성 ≒ 자감초(炙甘草), 포부자(炮附子), 백출(白朮), 계지(桂枝).
주치 : ① 비신양허(脾腎兩虛) 영위허극(營衛虛極)적 비통(痺痛).- 풍습비통(風濕痺痛), 오
풍(惡風), 한출(汗出) 기단(氣短), 관절굴신불리(關節屈伸不利).
② 견통(肩痛) 목양(目痒) 감기빈발(感氣頻發)
감초분밀탕(甘草粉蜜湯)《金匱要略》구충제(驅虫劑)
조성 ≒ 감초(甘草) 분(粉), 밀(蜜).
주치 : 살충약을 복용한 후(服殺虫葯后) 욱신거리는 통증이 몹시 심해진(疼痛更甚) 사람.-
침을 자주 뱉으며(吐涎) 때때로 심통이 발작하고(心痛發作 時有), 살충약으로는 멈
출 수 없는(殺虫葯不能止) 경우.
감초사심탕(甘草瀉心湯)《傷寒論》화해제(和解劑)
조성 ≒ 감초(甘草)量倍加, 인삼(人蔘), 반하(半夏), 건강(乾姜), 대조(大棗), 황금(黃芩), 황련
(黃連)./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 가(加) 감초(甘草 量倍加)
주치 : ① 위허(胃虛) 비증(痞證).
② 위염(胃炎) 구내염(口內炎) 설사(泄瀉) 불면증(不眠症)
감초사심탕(甘草瀉心湯)《金匱要略》
조성 ≒ 甘草(감초), 黃芩(황금), 生姜(생강), 半夏(반하), 人參(인삼), 大棗(대조).
감초소맥대조탕(甘草小麥大棗湯)《金匱要略》경산제(經産劑)
조성 ≒ 감초(甘草), 소맥(小麥), 대조(大棗).
주치 : 부인장조(婦人臟躁).- 희비상욕곡(喜悲傷欲哭), 상여신령소작(象如神靈所作),
삭흠신태식(數欠伸太息).
감초유(甘草油)《趙炳南臨床經驗集》
조성 ≒ 甘草(감초), 香油(향유).
감초초흑두탕(甘草梢黑豆湯)《醫方考》
조성 ≒ 生甘草梢(생감초초)60, 黑豆(흑두)250. 水 1500 毫升, 煎去半, 空腹時服
효용 : 해독완급(解毒緩急).
주치 : 근산(筋疝). 경근설통(莖筋挈痛), 정창불감야(挺脹不堪也).
감초탕(甘草湯)《傷寒論》인후제(咽喉劑)
조성 ≒ 감초(甘草).
주치 : ① 상한(傷寒) 소음객열(少陰客熱) 인통(咽痛).- 소음병(少陰病) 인후동통(咽喉疼
痛)
② 인두염(咽頭炎) 편도선염(扁桃腺炎) 구내염(口內炎)
감초환(甘草丸) 《臨床經驗方》
조성 ≒ 甘草(감초)500, 海螵蛸(해표소)150, 乳香(유향)25, 沒葯(몰약)25.
- 硏末(연말) 蜜丸(밀환)
주치 : 十二指腸潰瘍(십이지장궤양)
갑자제독약분(甲字提毒葯粉)《房芝萱方》
조성 ≒ 輕粉(경분), 京紅粉(경홍분), 血竭(혈갈), 琥珀面(호박면), 朱砂(주사), 麝香(사향),
冰片(빙편).
강계사물탕(羌桂四物湯)《醫宗金鑑》卷四十四
조성 ≒ 當歸(당귀), 川芎(천궁), 熟地(숙지), 赤芍(적작) 各9, 羌活(강활), 桂枝(계지) 各6.
- 水煎服(수전복)
효용 : 疏通經絡(소통경락)
주치 : 血脈壅阻(혈맥옹조), 經行身痛(경행신통), 无表證(무표증) 환자.
강부경고(康膚硬膏)《經驗方》
조성 ≒ 大楓子(대풍자), 制馬錢子(마전자), 苦杏仁(고행인) 各30, 川烏(천오), 草烏(초오), 全蝎(전갈), 斑蝥(반모), 蜈蚣(오공), 𥓲砂(뇌사) 各15, 麻油(마유)750.
群葯放入麻油中 炸枯, 過濾去渣, 再煉至滴水成珠, 取出浸入冷水中去火毒, 兌入樟丹適量收膏 攤在紙上備用.- 視皮損範圍 大小而貼之 2~3 天一換.
효용 : 祛風止痒(거풍지양) 軟堅散結(연견산결)
주치 : 옴(馬疥), 완고한 습성 창양(頑濕瘍), 攝領瘡(섭령창) 等.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東垣․東醫寶鑑》
조성 ≒ 麻黃(마황), 附子(부자), 防風(방풍), 白芷(백지), 炒白殭蠶(초백강잠) 各一錢, 黃柏
(황백), 羌活(강활), 蒼朮(창출) 各七分, 黃芪(황기), 升麻(승마), 炙甘草(자감초) 各
五分. 剉作(좌작) 一貼(일첩)하여 水煎(수전) 食后服(식후복)한다.
주치 : 대한(大寒)이 뇌(腦)를 범하여 뇌통(腦痛)에 치통(齒痛)을 겸하는 증(症)을 뇌풍(腦
風)이라고 하는데 이 약(葯)이 가장 효(効)가 있다.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內外傷辨惑論》거습제(祛濕劑)
조성 ≒ 강활(羌活), 독활(獨活), 고본(藁本), 방풍(防風), 천궁(川芎), 만형자(蔓荊子), 감초
(甘草).
효용 : 거풍승습(祛風勝濕)
주치 : 풍습재표(風濕在表).- 체온이 37.4℃ 전후의 미열이 나고 추운 것이 싫고(惡寒微
熱), 머리와 몸이 무겁고 아프며(頭身重痛), 설태는 희고(苔白), 맥은 약간 누르고
짚이나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지만 속이 비지 않은 맥이다(脈浮).
강활승풍탕(羌活勝風湯)《原機啓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강활(羌活), 형개수(荊芥穗), 방풍(防風), 독활(獨活), 감초(甘草), 지각(枳殼), 시
호(柴胡), 전호(前胡), 길경(桔梗), 어출(於朮, 白朮), 황금(黃芩), 백지(白芷), 박하
(薄荷), 천궁(川芎).
십사미조성(十四味組成)
주치 : 1) 폭풍객열(暴風客熱) 풍중열경(風重熱輕).- 포검종창(胞瞼腫脹) 백정홍적(白睛
紅赤) 양통겸작(痒痛兼作) 수명다루(羞明多泪) 두통비색(頭痛鼻塞) 오풍발열
(惡風發熱) 태박백(苔薄白) 혹 박황(薄黃) 맥부삭(脈浮數).
2) 혼정장(混睛障) - 이 병은 대부분 간경풍열(肝經風熱)에 의하여 진액(津液)이
뜨겁게 되고, 어혈(瘀血)이 응체(凝滯) 됨으로 발생한다. 그 증
상은 검은 자위에 넓은 회백색 예장(翳障)이 가리운 것이 마치 부연 유리와 같
고 시력에 심한 장애가 생긴다. 각막반예(角膜斑翳)와 비슷하다.
강활패독산(羌活敗毒散)《症因脈治》
조성 ≒ 강활(羌活), 독활(獨活), 방풍(防風), 형개(荊芥), 천궁(川芎), 시호(柴胡), 전호(前
胡), 창출(蒼朮), 백지(白芷), 감초(甘草).
개관산(開關散)《沈氏尊生書》
조성 ≒ 남성(南星), 빙편(冰片).
개관산(開關散)《衛生寶鑑》
조성 ≒ 皂角(조각)6, 細辛(세신)0.9. 곱게 갈아서(硏爲細末), 매번 적은 량을(每用少許)
코로 들여 마시면 곧 깨닫게 된다(吸入鼻中, 卽醒).
효용 : 개관통규(開關通竅)
주치 : 입을 굳게 다물고 벌리지 않고(口噤不開), 호흡이 통하지 않는다(氣息不通).
개금산(開噤散)《醫學心悟》리기약(理氣葯)
조성 ≒ 인삼(人蔘), 운령(云苓), 하체(荷蒂), 진미(陳米), 귤피(橘皮), 단삼(丹參), 동과자
(冬瓜子), 석연자(石蓮子), 황련(黃連), 창포(菖蒲).
주치 : 금구리(噤口痢).- 가슴이 답답하고 헛구역질을 하며(胸悶嘔逆), 소화불량, 식욕감
퇴 등 위의 수납기능이 정체되고, 입에서 더러운 냄새가 나며(口穢納呆), 설태는
누렇고 미끈거린다(舌苔黃膩).
금구리(噤口痢) : 이질(痢疾)로 인하여 음식물을 먹지 못하거나, 토(吐)하여 먹을
수 없는 것을 금구리라고 말한다. 대체로 역리(疫痢), 습열리(濕
熱痢)가 변화 발전되어 생기거나, 역리(疫痢), 습열리(濕熱痢)의 병기(病機)적 과
정 중에서 이질이 비교적 심한 증후에 이르게 되면 나타난다. 대부분 습열독사
(濕熱毒邪)가 장내에 맺혀 독(毒)이 성(盛)해져서 위기(胃氣)를 손상시켜 위음(胃
陰)이 소모되었거나 혹은 오랜 병에 의하여 비위(脾胃)가 손상되어 위기하강(胃
氣下降)이 상실되고 운화(運化)가 무력하여 기기(氣機)가 막히게 되면 발생한다.
임상특징은 식욕이 없고, 메스꺼워 음식물을 받지 못하며 먹으면 곧 토하고, 가슴
에 비기(痞氣)가 있어서 답답하고, 혀가 붉으며, 설태가 누렇고 기름기가 있는 등
증상이 겸하여 나타난다.
개명환(開明丸)《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관계(官桂), 토사자(菟絲子), 주숙지(酒熟地), 오미자(五味子), 맥문동(麥門冬), 구
기자(枸杞子), 충위자(茺尉子), 방풍(防風), 세신(細辛), 초결명(草決明), 청상자
(靑葙子), 황금(黃芩), 행인(杏仁), 고정력(苦葶藶), 택사(澤瀉), 차전자(車前子), 지
부자 (地膚子), 양간(羊肝), 유인(蕤仁). 십구미약조성(十九味葯組成) 爲細末 煉
蜜爲丸 如桐子大. 每服 30 丸, 白滾湯送下 日進三次, 仍忌生姜糟酒炙煿熱物.
주치 : 간신음허(肝腎陰虛)의 숙예(宿翳).- 흑정유백색예장(黑睛有白色翳障), 시물혼몽
(視物昏朦), 안내건삽(眼內乾澁),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이무력(脈細而无力)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