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의방 11 桂枝附子湯 - 固本止崩湯

Aktualisiert: 24. Aug. 2019


醫方集成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傷寒論》

치풍제(治風劑) - 고본지붕탕(固本止崩湯)《傳靑主女科》

경산제(經産劑)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傷寒論》치풍제(治風劑)

조성 ≒ 계지(桂枝), 부자(附子), 생강(生姜), 대조(大棗), 감초(甘草).

주치 : 상한비통(傷寒痺痛).- 상한팔구일(傷寒八九日), 풍습상박(風濕相搏), 신체동번(身

體疼煩), 불능전측(不能轉側), 불구(不嘔), 불갈(不渴), 맥부허이삽(脈浮虛而澁).

계지사물탕(桂枝四物湯)《醫宗金鑑》卷四十四

조성 ≒ 계지(桂枝), 백작(炒白芍) 各9, 감초(炒甘草)3, 당귀(當歸), 천궁(川芎), 숙지황(熟

地黃) 各6.- 加 生姜(생강), 大棗(대조).- 水煎服(수전복).

효옹 : 養血調經(양혈조경) 溫通經脈(온통경맥)

주치 : 1) 月經不調(월경불조) 證屬虛寒(증속허한); 及(급) 經行身痛(경행신통) 症見(증

견) 經期(경기) 或行經前后(행경전후) 肢體疼痛(지체동통) 或麻木酸困(마목산

곤) 頭暈頭痛(두운두통) 舌淡苔白(설담태백) 脈細弱(맥세약).

2) 經行身痛(경행신통) 屬(속) 血虛寒凝(혈허한응) 者(자).- 經期(경기) 或(혹) 行經

前后(행경전후), 肢體疼痛(지체동통), 或(혹) 麻木酸困(마복산곤), 頭暈頭痛(두

운두통), 舌淡苔白(설담태백), 脈細弱(맥세약).

계지생강지실탕(桂枝生姜枳實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계지(桂枝), 생강(生姜), 지실(枳實).

주치 : 담음기역(痰飮氣逆) 심통(心痛).- 심중비(心中痞) 기역창심(氣逆搶心) 건구기색

(乾嘔氣塞) 심현통(心懸痛).

계지신가탕(桂枝新加湯)《傷寒論》

조성 ≒ 계지(桂枝), 작약(芍葯), 감초(甘草), 인삼(人蔘), 생강(生姜), 대조(大棗).

계지이마황일탕(桂枝二麻黃一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계지탕(桂枝湯) 2/3, 마황탕(麻黃湯)1/3 합방(合方).

주치 : 상한(傷寒) 태양병(太陽病) 표울경증(表鬱輕證). - 계지탕(桂枝湯) 복용후 학질병

(虐疾病) 같이 하루에 2~3도 한열(寒熱)이 발생(發生)하는 것을 다스린다.

계지이월비일탕(桂枝二越婢一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계지(桂枝), 작약(芍葯), 마황(麻黃), 석고(石膏),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

棗).

주치 : 상한(傷寒) 태양병(太陽病) 표울경증(表鬱輕證). - 발열오한(發熱惡寒) 열다한소

(熱多寒少), 구미갈(口微渴) 심번(心煩)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계지인삼탕(桂枝人蔘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 리중환(理中丸)《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계지(桂枝), 백출(白朮), 건강(乾姜), 감초(甘草), 인삼(人蔘).

주치 : 태양병(太陽病) 오하후(誤下后) 비기허한(脾氣虛寒) 표사불해(表邪不解). 즉 태양

병에 하법(下法)을 씀으로써 잘못 다스려 표사(表邪)는 해제(解除)되지 않고 비기

(脾氣)가 허한(虛寒)해저서 복통설사(腹痛泄瀉)가 멎지 않으며, 심하(心下)가 비

만(痞滿)해지고 발열오한(發熱惡寒)이 있고, 설담태백(舌淡苔白) 맥부지무력(脈

浮遲无力)함을 다스린다.

계지자충탕(桂枝蟅虫湯)《中醫症狀鑒別診斷學》

조성 ≒ 계지(桂枝), 자충(蟅虫), 도인(桃仁), 적작(赤芍), 백작(白芍), 천화분(天花粉).

계지작약지모탕(桂枝芍葯知母湯)《金匱要略》치풍제(治風劑)

조성 ≒ 계지(桂枝), 작약(芍葯), 지모(知母), 부자(附子), 마황(麻黃), 백출(白朮), 감초(甘

草), 방풍(防風), 생강(生姜).

주치 : 비증(痺證).- 신체수약(身體瘦弱), 관절종대(關節腫大), 극열동통(劇烈疼痛), 발열

불해(發熱不解), 맥부(脈浮).

계지탕(桂枝湯)《傷寒論》 又名 陽旦湯 : 신온해표(辛溫解表)

조성 ≒ 계지(桂枝)9, 작약(芍葯)9, 자감초(炙甘草)6, 생강(生姜)9, 대조(大棗)3~12枚.-

수전복(水煎服) 上爲粗末. 以水 700 毫升, 微火煮取 300 毫升, 去滓溫服 100 毫

升. 服后 啜熱稀粥 適量, 以助葯力. 溫覆取 遍身微汗爲效. 如 1 服取效,則停葯;

若不發汗 再服, 半日內服完 300 毫升 葯液. 仍未痊愈 可服至二三劑.

【宜忌】 禁食生冷 粘滑 肉 面 五辛 酒 酪 臭惡 等物. 表實无汗 表寒里熱 及溫病

初起 均忌用 本方.

효용 : 해기발표(解肌發表) 소산풍한(疏散風寒) 조화영위(調和營衛)

주치 : 1) 외감풍한(外感風寒)으로 인한 두통발열(頭痛發熱) 한출오풍(汗出惡風) 비명

건구(鼻鳴乾嘔) 태백(苔白) 불갈(不渴) 맥부완(脈浮緩)혹부약(浮弱)

2) 男子 睾丸疼痛, 證屬 寒凝經脈者.

3) 풍한형(風寒型) 은진(癮疹).

방해 : 풍한(風寒)으로 인체(人體)의 기표(肌表)가 상(傷)하면 오한발열(惡寒發熱)과 무

한(无汗)이 되는데, 지금 땀이 스스로 나오고 발열(發熱)에 오풍불해(惡風不解)하

고 비명(鼻鳴)이 있고 건구(乾嘔)가 난다면 그것은 주리(腠理)가 불고(不固)하고,

위기(衛氣)가 외설(外泄)되어 영음(營陰)이 내수(內守)를 못하고 폐위(肺胃)가 실

화(失和)된 까닭에 이는 표허증(表虛證)이다.

그 병기(病機)를 규명해보면 이는 곧 외감풍한(外感風寒)으로 위강영약(衛强營

弱)인 것이다.

즉 상한론(傷寒論) 제53조에 이르기를 위기(衛氣)는 영기(營氣)와 함께 조화(調

和)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하다는 것은 풍한(風寒)은 표(表)에 있으므로 신온발산

약(辛溫發散葯)으로 해표(解表)시 켜야 한다.

본방(本方)의 증(證)은 표허증(表虛證)에 속하므로 주리(腠理)가 불고(不固)하고

위강영약(衛强營弱)인 까닭에 계지(桂枝)를 군약(君葯)으로 삼아 발표해기(發表

解肌)하여 외감풍한(外感風寒)을 산(散)하게 하였다. 또작약(芍葯)을 신약(臣葯)

으로 씀으로써 익음렴영(益陰斂營)토록하였다. 그리하여 계지(桂枝) 작약(芍葯)

이 상합(相合)하여 한편으로는 위강(衛强)을 치료(治療)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영

약(營弱)을 치료 하므로 결과는 영위(營衛)를 조화(調和)케 한다. 생강(生姜)은 성

미(性味)가 신온(辛溫)하여 계지(桂枝)의 해기작용(解肌作用)을 도와줄 뿜만 아

니라 완위지구(緩胃止嘔)토록 한다. 대조(大棗)는 그 성미(性味)가 감평(甘平)하

여 익기보중(益氣補中)하며 자비생진(滋脾生津)한다. 생강(生姜)과 대조(大棗)가

상합(相合)하여 비위생발(脾胃生發)의 기(氣)를 돋우어 주고 영위기(營衛氣)를

조화시켜 주므로 좌약으로 썼다. 자감초(炙甘草)는 2가지 용도로 쓰여지는데 하

나는 좌약(佐葯)으로 익기화중(益氣和中)하고 계지(桂枝)를 도와 해기(解肌)하

며, 작약(芍葯)과 합쳐서 익음케한다. 다른하나는 사약(使葯)으로 제약(諸葯)을

조화(調和)시킨다.

【實驗硏究】

1) 解熱 鎭痛 抗炎 鎭靜作用 《中成葯硏究》1983 ; 3 : 25 解熱 實驗結果 75% 桂枝

能使 發熱家免 肛溫降低 0.71℃, 皮溫試驗可使 小鼠 正常皮膚溫度 降低 8.13%.

鎭痛 實驗證明, 在 120 分鍾時 37.5%, 75% 桂枝湯 能使 小鼠 基礎痛閾 分別增

高 64.82% 和 105.63%, 與 0.1% 嗎非(20 毫克/千克)的作用相近; 75% 桂枝湯對

小鼠 扭体反應的 抑制率爲 90%. 此外 桂枝湯 有效强 抗甲醛性 炎症作用, 致炎

后 1 小時 37.5% 和 75% 桂枝湯的 腫脹抑制率 分別爲 85.72% 和 84.77%; 實驗

還表明 桂枝湯 能抑制 小鼠 自由活動, 增强巴比妥類 葯物的 催眠作用.

2) 對巨噬細胞 功能的 促進作用《福建中醫葯》1983 ; 1 : 61 本方對 小白鼠的 巨噬

細胞 功能 有明顯 促進作用. 桂枝組的 巨噬細胞 呑噬率爲 24.4%, 呑噬指數爲

42.2%; 對照組則 分別爲 21.0%, 36.4%(P<0.05) 有顯著性 差異. 實驗還 參考

Ashmann, Ellingson 提出的 体溫升高, 巨噬細胞 活動能力 隨之增强的 觀察結

果, 證實了原方 “噬粥, 溫覆”的 科學性. 幷采用 不同時間給葯, 分組觀察, 發現每

日服 2~3 劑或每日 1 劑 連服數日的 效果最 佳 與原方 “后服小促” “不愈更作”

的 記載一致.

【臨床擧例】《浙江中醫雜志》1985 ; 3 : 109

本方加味 治療 睾丸疼痛 20 例, 其中 急性睾丸炎 11 例, 慢性附睾丸炎 1 例, 精

索靜脈曲張 2 例, 睾丸鞘膜積液 1 例, 外傷 3 例, 受寒所致 2 例.

結果 : 服葯 6~32 天 均疼痛消失 隨訪 16 例 均未見復發.

계지탕(桂枝湯)《傷科補要》골상제(骨傷劑)

조성 ≒ 계지(桂枝), 방풍(防風), 독활(獨活), 당귀미(當歸尾), 생지황(生地黃), 홍화(紅花),

쇄원호(碎元胡), 진피(陣皮), 적작(赤芍), 지각(枳殼), 초향부(醋香附). 십일미약

(十一味葯). 동변(童便) 노진주전복(老陳酒煎服).

주치 : 실침(失枕).-상지손상(上肢損傷) 풍, 한, 습, 침습 경락작통(風寒濕侵襲經絡作痛).

계지홍화탕(桂枝紅花湯)《經驗方》

조성 ≒ 桂枝(계지)15, 紅花(홍화), 川椒(천초) 各10. 硏粗末, 水煎取汁, 備用.

- 先熏后浸泡.

효용 : 散寒通絡(산한통락) 活血止痒(활혈지양) 止痛(지통).

주치 : 四肢逆冷(사지역냉), 凍瘡(동창).

고경환(固經丸)《醫學入門》경산제(經産劑)

조성 ≒ 구판(龜版), 향부(香附), 백작(白芍), 저근피(樗根皮), 황백(黃柏), 황금(黃芩). 위

말(爲末) 주위환(酒爲丸) 주송복(酒送服)

주치 : 음허협열(陰虛挾熱)적 붕루(崩漏).- 과다한 월경이 멈추지 않고(經水過多不止) 양

쪽 광대뼈 부위가 뷹고(兩觀潮紅) 손바닥과 발바닥에 열감이 일고(手足心熱) 혀

는 붉고 설태는 적으며(舌紅少苔) 맥은 세삭(脈細數)하다.

고량강탕(高良姜湯)《備急千金要方》온리제(溫裏劑)

조성 ≒ 고량강(高良姜), 계심(桂心), 후박(厚朴), 당귀(當歸)., 생강(生姜).

주치 : 한통(寒痛)- 심장및 위완부의 복통이 마치 바늘로 찌르는 것같고(心腹絞痛如刺),

양쪽 옆구리가 팽팽히 가득찬 감이 있고(兩脇脹滿), 몸은 추워보이고 팔과 다리

는 차며(形寒肢冷),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긴(脈沉緊)한 증상을 다스린다.

고련자고(苦楝子膏)《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苦楝子(고련자), 猪脂(저지).

고림탕(膏淋湯)《醫學衷中參西錄》고삽제(固澁劑)

조성 ≒ 용골(龍骨), 모려(牡礪), 항백작(杭白芍), 당삼(黨參), 산약(山葯), 검실(芡實), 생

지황(生地黃).

주치 : 고림(膏淋).- 소변혼탁(小便混濁)한데 마치 쌀뜨물과 같고(如米泔水), 솜과 같이

밑에 가라앉았으며(沉淀如絮狀), 위에 뜬 것은 마치 기름과 같다(上

有浮油如脂), 혹덩어리로 응괴(凝塊)되기도 하고, 혹은 혈액이 탁하게 있고, 뇨

도가 약간 아프며, 반복해서 발작하고, 몸이 야위고, 정신이 피로하며 힘이 없고,

허리와 무릎이 시킅시큰 쏘고 힘이 빠지는 듯 하고,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무력한 세이무력맥(細而无力脈) 등이다.

고보탕(顧步湯)《外科眞詮》옹양제(癰瘍劑)

조성 ≒ 자화지정(紫花地丁), 포공영(蒲公英), 금석곡(金石斛), 황기(黃芪), 당귀(當歸), 인

삼(人蔘), 감초(甘草), 국화(菊花), 금은화(金銀花), 우슬(牛膝).

주치 : 열독형(熱毒型) 탈저(脫疽).- 병이 든 다리(患肢)의 피부색이 붉고 어두우며 부었

고(皮膚暗紅而腫), 부양맥(趺陽脈)은 박동이 소실

(搏動消失)되었으며, 피부가 누렇게 부어올랐다(皮膚起黃疱) 점정흑자색(漸呈黑

紫色) 침윤성만연(浸潤性蔓延) 동통이상(疼痛異常) 여탕발화소양(如湯潑火燒樣)

설태는 누렇고(苔黃) 맥은 홍삭(脈洪數)하다.

고본지붕탕(固本止崩湯)《傳靑主女科》경산제(經産劑)

조성 ≒ 당귀(當歸), 황기(黃芪), 인삼(人蔘), 백출(白朮), 지황(地黃), 흑강(黑姜).

주치 : 비불통혈(脾不統血)적 붕루(崩漏).- 양목흑암(兩目黑黯) 혼운재지(昏暈在地) 불성

인사(不省人事).

4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兒茶(아차, 硏末), 制乳香(제유향), 制沒葯(제몰약), 冰片(빙편) 各1.5, 人中白(인중백, 煅 爲末)3. - 極細末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乳香(유향), 沒葯(몰약), 松香(송향), 𥓲砂(뇌사), 冰片(빙편), 麝香(사향). 흑퇴소(黑退消)《外科學》《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枳殼), 적작(赤芍), 감초(甘草), 길경(桔梗).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 담응지만후음(痰凝之慢喉瘖). 성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