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10 桂心散 - 桂枝茯苓丸

Aktualisiert: 1. Sept. 2020



醫方集成

계심산(桂心散)《古今醫統大全》

卷八十三 - 계지복령환(桂枝茯苓丸)《金匱要略》卷下,

又名 : 奪命丸《婦人大全良方》卷十二


계심산(桂心散)《古今醫統大全》卷八十三

조성 ≒ 계심(桂心), 복용간(伏龍肝) 各等分.- 上爲末. 每服 9 克, 空腹時用酒調下.

효용 : 거풍(祛風), 온양(溫陽), 지혈(止血)

주치 : 부인(婦人) 성교출혈(性交出血), 음부동통(陰部疼痛).

계심탕(桂心湯)《外台秘要》

조성 ≒ 桂心(계심), 煅牡蠣(단모려), 芍葯(작약), 龍骨(용골), 炙甘草(자감초) 各12, 大棗(대조)10枚, 生姜(생강)15. 上爲粗末 水 800毫升 煎取 300毫升 分溫 3 服.

효용 : 진심안신(鎭心安神), 삽정지유(澁精止遺)

주치 : 욕념과도(欲念過度), 음수자출(淫水自出).

계안고삼호(鷄眼膏三号)《中醫外科學》

조성 ≒ 肥皂(비조), 生石灰(생석회), 樟腦粉(장뇌분), 苛性鈉(가성납), 蒸餾水(증류수).

계안고이호(鷄眼膏二号)《中醫外科學》

조성 ≒ 烏梅(오매), 補骨脂(보골지), 樟丹(장단), 水楊酸鈉(수양산납), 普魯卡因(보로잡

인), 液體石炭酸(액체석탄산).

계안고일호(鷄眼膏一号)《中醫外科學》

조성 ≒ 東丹(동단), 水楊酸(수양산), 苯坐卡因(분좌잡인), 白糖(백당).

계안산(鷄眼散)《中醫外科學》

조성 ≒ 朱砂(주사), 水楊酸(수양산), 淀粉(정분).

계지가갈근탕(桂枝加葛根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갈근(葛根), 계지(桂枝), 작약(芍葯),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상한태양중풍(傷寒太陽中風) 경륜불이(經輪不利). - 태양중풍(太陽中風)으로 발

열(發熱)이 있고, 땀을 흘리며, 바람을 싫어하고, 목덜미가 땡기고 아파서 고개를

돌리기 불편한 증을 다스린다.

☞ 본방(本方)은 또한 풍한비통(風寒痺痛), 유경(柔痙)을 치료(治療)한다.

계지가계탕(桂枝加桂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계지(桂枝), 백작(白芍),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분돈기(奔豚氣).- 그 기(氣)가 소복(少腹)으로부터 올라와 심장(心臟)에 이르고

(以氣從少腹上冲于心), 자각적은 심장박동과 불안(心悸不安) 증을 다스린다.

계지가당귀탕(桂枝加當歸湯)《中醫外科學》《經驗方》

조성 ≒ 계지(桂枝), 백작(白芍), 당귀(當歸), 감초(炙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 수전복(水煎服)

효용 : 양혈화영(養血和營), 온경통락(溫經通絡).

주치 : 탈저(脫疽), 동창(凍瘡)등 영혈부족(營血不足), 한습응체(寒濕凝滯)자.

계지가대황탕(桂枝加大黃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계지(桂枝)9, 작약(芍葯)9x2, 자감초(炙甘草)6, 생강(生姜)9, 대조(大棗)12枚, 대

황(大黃).

주치 : 태음병(太陰病)으로 배가 그득할 때 배가 아프며, 대변불통(大便不通)을 치료한

다.

계지가미탕(桂肢加味湯)《普濟方》卷二四九

조성 ≒ 桂枝湯(계지탕, 桂枝(계지)9, 芍葯(작약)9, 炙甘草(자감초)6, 生姜(생강)9, 大棗

(대조)12枚). 加 澤瀉(택사), 炮川烏(포천오), 靑鹽(청염), 茴香(회향) 各等分.

- 수전복(水煎服).

효용 : 온경지통(溫經止痛).

주치 : 한습(寒濕)의 계절성 병독을 감수하여(行事時感受寒濕), 음경(陰莖)에 걸려 아 프

고(外腎弔痛), 경련으로 굴신할 수 없으며(拘攣不得屈伸) 그 맥이 침현긴삽(其脈

沉弦緊澁)하다.

【備考】 治療上症 臍腹本方外 需用 炮附子 胡蘆巴(酒炒) 川楝子(炒) 炒茴香 四味

等分爲末, 酒煮猪腰子, 去筋膜硏細 入酒少許 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40~50 丸, 以酒送下.

계지가부자탕(桂枝加附子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계지(桂枝), 작약(芍葯), 포부자(炮附子), 자감초(炙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한다상양(汗多傷陽). - 태양병(外感風寒)으로 땀이 계속

흐르며, 바람과 추운 것을 싫어하며, 소변이 곤란하고, 사지미급(四肢微急)하여

굴신(屈伸)이 어려운 증상(證狀)을 다스린다.

계지가용골모려탕(桂枝加龍骨牡蠣湯)《金匱要略》고삽제(固澁劑)

조성 ≒ 계지(桂枝), 작약(芍葯), 자감초(炙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용골(龍骨), 모

려(牡礪).

주치 : 男子 실정(失精), 女子 몽교(夢交).- 음양양허(陰陽兩虛) 소복현급(少腹弦急), 머

리털이 빠지고 눈이 아찔하고 컴컴해지며(目眩髮落), 음경이 차고(陰頭寒), 맥동

(脈動)., 맥을 누르면 약간 긴급한맥, 등계지가작약탕(桂枝加芍葯湯) 與

계지가대황탕(桂枝加大黃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1. ≒ 계지(桂枝)9, 작약(芍葯)9x2, 자감초(炙甘草)6, 생강(生姜)9, 대조(大棗)12枚.

주치 : 태음복통(太陰腹痛). - 태음병(太陰病) 배가 그득할 때 통증(痛症)이 읶다.

조성 2. ≒ 계지가작약탕(桂枝加芍葯湯) 가입(加入) 대황(大黃) = 계지가대황탕(桂枝加

大黃湯)

주치 : 태음병(太陰病)으로. 배가 그득할 때 통증(痛症)이 있고 대변불통(大便不通)을 다

스린다. 太陽病 腹滿時痛而大便不通者

계지가황기탕(桂枝加黃芪湯)《金匱要略》거습제(祛濕劑)

조성 ≒ 계지탕(桂枝湯, 계지(桂枝) 작약(芍葯)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가(加)

황기(黃芪).

주치 : 양과 수가 막히고 황한을 흘리는 사람(黃汗陽鬱水滯者).- 몸이 무겁고(身體沉重)

땀을 흘리고 난 뒤에는 약간 가벼워지며(出汗后則輕松), 오래되면 근육이 뛰고

(久之則肌肉跳動), 기육이 뛰면(肌肉跳動則) 가슴이 아프고(胸痛), 허리 아래로

땀이 나며(腰以上有汗), 허리 아래로 땀이 나지 않으면(腰以下无汗) 허리 관골 부

위가(腰髖部) 이완되는 듯이 아프고(弛緩疼痛) 피하에 무슨 물체가 있는 것 같고

(如有物在皮中狀) 심한 사람은 음식을 먹을 수 없고(劇者不能食), 몸이 몹시 아프

며(身疼重) 조급하고 답답하며(煩躁) 오줌이 나오질 않는다(小便不利).

계지가후박행자탕(桂枝加厚朴杏子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계지(桂枝), 작약(芍葯), 생강(生姜), 감초(甘草), 대조(大棗), 후박(厚朴), 행인(杏

仁).

주치 : 상한(傷寒) 태양병(太陽病)으로 인한 천증(喘證). - 태양병(太陽病) 발열오풍(發熱

惡風) 해역천만(咳逆喘滿)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계지감초용골모려탕(桂枝甘草龍骨牡蠣湯)《傷寒論》안신제(安神劑)

조성 ≒ 계지(桂枝), 감초(甘草), 용골(龍骨), 모려(牡蠣).

효능 : 온통심양(溫通心陽), 온양이수(溫陽利水), 진역정계(鎭逆停悸).

주치 : ① 심계(心悸) - 심양허증(心陽虛證)

② 산한병을 잘못 치료하여(傷寒誤治), 심양(心陽)을 손상(損傷)한 경우. -심양허

(心陽虛), 마음이 번거롭고 초조하녀 잠을 이루지 못하며(煩躁不眠), 혹은 자

각적으로 심장박동을 두근두근 느끼며 불안해 하고(心悸), 땀을 흘리는(汗出)

등 증상을 다스린다.

③ 경계정충(驚悸怔忡) - 심신양허증(心腎陽虛證)

계지감초탕(桂枝甘草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계지(桂枝), 감초(甘草).

주치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발한과다(發汗過多) 손상심양(損傷心陽).- 태양병(太陽

病) 발한과다(發汗過多), 상급심양(傷及心陽) 우수자모심(又手自冒心) 심하계(心

下悸) 욕득안(欲得按) 신권핍력(身倦乏力), 혹 욕구(欲嘔).

계지거계가복령백출탕(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작약(芍葯), 자감초(炙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복령(茯苓), 백출(白朮). 주치 : 상한(傷寒) 태양병(太陽病), 경기불리(經氣不利), 수기내정(水氣內停). 태양병(太

陽病)으로 계지탕(桂枝湯)을 복용(服用)한 후 두항강통(頭項强痛)이 있고, 발열(發熱), 무한(无汗), 심하(心下)가 그득하고 약간 통증(痛症)이 있으며 소변불리(小便不利)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계지거작약가마신부자탕(桂枝去芍葯加麻辛附子湯)《金匱要略》온리제(溫里劑)

조성 ≒ 계지(桂枝), 생강(生姜), 감초(甘草), 대조(大棗), 마황(麻黃), 세신(細辛), 부자(附

子).

주치 : 기분병(氣分病).- 손과 발이 가락으로부터 차갑고(手足厥冷), 배가 그득하고 소리

가 나며(腹滿腸鳴), 몸이 차고 골절이 아프고(身冷骨節痛), 심하가 뜬뜬한 것이 크

기가 쟁반만하며(心下堅, 大如盤), 변두리는 잔의 둘레와 같다(邊如旋杯).

계지거작약가부자탕(桂枝去芍葯加附子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계지(桂枝), 자감초(炙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포부자(炮附子).

주치 : 상한(傷寒) 태양병(太陽病) 오하(誤下), 표증미해(表證未解), 흉양(胸陽) 위양수손

(衛陽受損).

- 태양병(太陽病, 外感風寒病) 환자(患者)를 하법(下法)으로 치료(治療)를 잘못 함

으로써 흉만(胸滿)하고, 오한(惡寒)이 있고, 설담(舌淡) 촉맥(促脈)이 무력(无力)

한 것을 다스린다.

계지거작약가조협탕(桂枝去芍葯加皂莢湯)《千金要方》거담제(祛痰劑)

조성 ≒ 계지(桂枝),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조협(皂莢).

주치 : 폐위(肺萎).- 해역상기(咳逆上氣) 담탁옹색(痰濁壅塞) 토연말(吐涎沫).

계지거작약가촉칠모려용골구역탕(桂枝去芍葯加蜀漆牡蠣龍骨救逆湯)《傷寒論》

조성 ≒ 계지(桂枝),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촉칠(蜀漆), 용골(龍骨), 모려(牡

蠣).

계지거작약탕(桂枝去芍藥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계지(桂枝), 자감초(炙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주치 : 상한(傷寒) 태양병(太陽病) 표증미해(表證未解) 오하이치(誤下而致) 흉양수손(胸

陽受損). - 태양병(外感風寒)을 잘못 다스려(下法) 흉만(胸滿) 심계(心悸) 기단(氣

短) 혹 해역(咳逆) 맥촉(脈促)한 것을 다스린다.

계지마황각반탕(桂枝麻黃各半湯)《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계지탕(桂枝湯), 마황탕(麻黃湯), 합방(合方)

주치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표울경증(表鬱輕證). 태양병(太陽病) 8~9 일이 경과해

도 차도가 없고 병세가 마치 학질병(虐疾病) 같이 발열오한(發熱惡寒)이 열다한

소(熱多寒少)한 것이 하루에 2~3 차 발생하고, 면색(面色)이 붉고(發紅)으며, 양

기(陽氣)가 울결(鬱結)되어 몸을 펴기가 불편하고, 가렵다.

계지반모정(桂枝斑蝥酊)《經驗方》

조성 ≒ 桂枝(계지)12, 乾姜(건강)10, 川芎(천궁)5, 斑蝥(반모)3, 50%酒精(주정)85~100

毫升, 甘油(감유)少許. 將葯硏粗末 浸入酒精中 7~10 天后, 濾汁去渣, 兌入甘油

少許, 混勻, 甁貯備用. 外涂, 日 1~2 次.

효용 : 구풍산한(驅風散寒), 통락생발(通絡生發).

주치 : 油風(유풍). - 반독(斑禿)이라고도 한다. 머리카락이 단시일 내에 뭉청뭉청 빠져

서 두피(頭皮)가 번들번들 광택이 나는 병증이다. 증상이 심하면 여

러 곳이 반점모양으로 머리카락이 빠지고 나중에는 머리카락이 신속하게 모두

빠져 버린다. 흔히 혈허생풍(血虛生風) 혹은 풍성혈조(風盛血燥)에 의하여 머리

카락이 자양(滋養)을 잃기 때문에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외

다른 자각증상은 없지만 개중에 어떤 환자는 머리카락이 빠진 부위의 피부가 붉

고 가렵다. 회복기에는 머리카락이 가늘고 부드러우며 누르스름하거나 희끄무

레 해지면서 점차 정상적으로 전변(轉變)된다.

계지백엽탕(桂枝柏葉湯)《四巠心源》卷八

조성 ≒ 수오(首烏), 계지(桂枝), 단피(丹皮), 생지(生地), 측백엽(側柏葉), 생강(生姜), 인

삼(人參), 아교(阿膠) 各9.

효용 : 익기양혈(益氣養血), 오수흑발(烏須黑發). 주치 : 생장모발(生長毛發)

加减 : ① 발락발초(發落發焦), 고조불영(枯燥不榮), 황삽조백(黃澁早白) :

加 상심(桑椹), 흑두(黑豆).

② 양쇠토습(陽衰土濕) :

加 건강(乾姜), 복령(茯苓). 폐기불충(肺氣不充) : 重用 황기(黃芪).

계지백호탕(桂枝白虎湯)《傷寒論》

조성 ≒ 桂枝(계지), 石膏(석고), 知母(지모), 粳米(갱미), 甘草(감초).

계지복령환(桂枝茯苓丸)《金匱要略》卷下, 又名 : 奪命丸《婦人大全良方》卷十二

조성 ≒ 계지(桂枝), 복령(茯苓), 모단피(牡丹皮), 도인(桃仁), 작약(芍葯) 各等分.

上爲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10~15 丸; 不效, 加至 30 丸.

효용 : 활혈화어(活血化瘀), 완소징괴(緩消癥塊).

주치 : 1) 婦人宿有癥病 漏下不止.

現用于 子宮肌瘤, 卵巢卵腫 等婦科良性腫瘤 以及崩漏 痛經 等由 瘀血所致者.

2) 전열선증생(前列腺增生), 증속(證屬) - 어혈(瘀血)과 패정(敗精)이 뇨도에 막힌

(阻滯尿道) 환자.

3) 축혈증(蓄血證).- 소복숙유증괴(小腹宿有症塊) 안지통(按之痛) 복련급(腹攣急)

맥삽(脈澁) 혹(或) 혈어경폐(血瘀經閉) 복통거안(腹痛拒按).

【臨證擧例】

① 자궁기류(子宮肌瘤)《新中醫》1982 ; 10 : 24

用本方 加味 (계지(桂枝), 복령(茯苓), 도인(桃仁), 단피(丹皮), 적작(赤芍), 별갑

(鱉甲), 권백(卷柏), 애엽(艾葉), 청피(靑皮), 천단(川斷), 황기(黃芪)各10, 생모려

(生牡蠣)30, 황백(黃柏)6.) 制成蜜丸 每丸 9 克, 1日 3 次, 每次 1 丸, 連服

1.5~3 个月爲 1 療程, 治療子宮氣瘤 60 例, 其中輕型 26 例, 中型 27 例, 重型

7 例. 經 1~3 个療程

治愈者 43 例, 顯效者 11 例, 有效者 4 例, 氣瘤發展被控制者 2 例. 對血瘀偏寒

虛弱者 療效較佳, 對偏陰虛者 療效較差.

☞ 《北京中醫》1989 ; 6 : 30

用本方加味(桂枝 赤芍 鱉甲 各12, 茯苓15, 丹皮 桃仁 穿山甲 各10.) 制成蜜丸

每丸 10 克, 每服 1 丸, 早晩各 1 次, 1 月爲 1 療程.

治療 : 子宮肌瘤 30 例, 經期停服. 結果 : 痊愈 18 例, 顯效 5 例, 有效 5 例, 无效

2 例. 悤有效率達 93.3%.

☞ 《浙江中醫雜志》1984 ; 4 : 180

用本方 加 牛膝 牡蠣 丹參 爲主方, 隨證加味 煎服 治療 : 子宮肌瘤 100 例, 獲

全消者 46 例, 縮小 1/2 以上者 34 例, 无效 20 例. 服葯 少者 36 劑, 多者 200

劑.

② 婦科 良性腫瘤《江蘇中醫》1989 ; 1 : 5

用本方 各 10克, 加 자석(赭石) 45克, 水煎, 每日 1 劑, 10 劑爲 1 療程.

㉠ 기허자(氣虛者) : 加 인삼(人參), 황기(黃芪) 各 15 克.

㉡ 혈허자(血虛者) : 加 숙지(熟地)12, 당귀(當歸)10.

㉢ 한성자(寒盛者) : 加 포부자(炮附子)8.

㉣ 혈열자(血熱者) : 加 생지(生地), 한련초(旱蓮草) 各12.

結果 : 1 療程 痊愈 2 例, 2 療程 痊愈 8 例, 3 療程 痊愈 11 例,

4 療程 痊愈 7 例.

③ 卵巢囊腫《湖南中醫雜志》1986 ; 2 : 50 報告 用本方 加减治療 7 例, 療效較佳.

2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