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의방 4 加味六君子湯 - 肝腎双治湯

Aktualisiert: 21. Aug. 2019


醫方集成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醫宗金鑑》

영아제(嬰兒劑) - 간신쌍치탕(肝腎双治湯)《辨證錄》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육군자탕(六君子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진피(陣皮) 반

하(半夏)) 가(加) 포강(炮姜) 육계(肉桂) 승마(升麻) 시호(柴胡).

주치 : 오경(五硬).- 전신이 어름같이 차고(全身冰冷) 빳빳하게 엎드려서 정신없이 잠을

자고(僵臥昏睡) 적게 움직이고(少動), 팔다리가 굳세며(四肢强硬), 소식하며 기가

약하다(食少氣弱).

가미육미지황환(加味六味地黃丸)《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숙지황(熟地黃), 산약(山葯), 산수유(山茱萸), 복령(茯苓), 단피(丹皮), 택사(澤瀉),

녹용(鹿茸), 오가피(五加皮), 사향(麝香).

효용 : 전정보신(塡精補腎), 익기양혈(益氣養血).

주치 : 1) 간신부족의(肝腎不足之) 오지(五遲).- 근골위약(筋骨痿弱) 발육지완(發育遲緩)

권태희와(倦怠喜臥) 면색무화(面色无華) 전신무력(全身无力) 설태박백(舌苔

薄白) 설질담(舌質淡).

2) 오지(五遲), 오연(五軟) -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

가미이묘산(加味二妙散)《雜病源流犀燭》

조성 ≒ 황백(黃柏) 창출(蒼朮) 당귀미(當歸尾) 우슬(牛膝) 방기(防己) 비해(萆薢) 구판(龜

板).

효용 : 청열이습(淸熱利濕)

가미이묘산(加味二妙散)《丹溪心法》거습제(祛濕劑)

조성 ≒ 이묘산(二妙散, 창출(蒼朮) 황백(黃柏)) 가(加) 비해(萆薢), 구판(龜版), 당귀(當

歸), 천우슬(川牛膝), 방기(防己).

주치 : 습열소치(濕熱所致) 위증(痿證).- 지체위연곤중(肢體痿軟困重) 소변단삽(小便短

澁) 열통(熱痛) 설태황니(舌苔黃膩) 맥유삭(脈濡數).

가미이진탕(加味二陣湯)《醫宗金鑑》구치제(口齒劑)

조성 ≒ 이진탕(二陣湯, 반하(半夏), 진피(陣皮), 복령(茯苓), 감초(甘草)) 가(加) 황금(黃

芩), 황연(黃連), 박하(薄荷). 생강(生姜)三片, 위인(爲引)

주치 : 담포(痰包).- 혀 밑에 보따리 같은 종물이 맺혀있는데(舌下結腫如包) 점점 커지며

(逐漸增大) 표면이 광활하고(外表光滑) 색은 담황색이며(色淡黃) 만

져보면 연하고 부드럽고(按之柔軟) 물렁물렁하고(有波動感) 종창이 심해지면 팽

창하는 아픔을 느낀다(腫脹甚則有脹痛感) 대화와 음식을 먹을 때 방애되고(妨碍

說話和飮食) 터트리면 황백색 점액이 흘러나오는데(破后則流出黃白色粘液) 반

복해서 발작(反復發作) 한다.

가미정지환(加味定志丸)《臨床經驗方》

조성 ≒ 人參(인삼), 炙黃芪(자황기) 各200, 茯苓(복령)150, 遠志(원지), 石菖蒲(석창포)

各100, 肉桂(육계)50. 涎沫(연말) 蜜丸(밀환) 溫水送下(온수송하).

주치 : 근시(近視)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東垣․東醫寶鑑》

조성 ≒ 蜜炒黃芪(밀초황기)一錢, 人參(인삼), 蒼朮(창출), 甘草(감초) 各七分, 陳皮(진

피), 當歸(당귀), 川芎(천궁) 各五分, 木香(목향), 升麻(승마), 柴胡(시호), 細辛(세

신), 蔓荊子(만형자) 各三分.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氣血俱虛(기혈구허)의 頭痛(두통)에 有効(유효)하다.

가미청위산(加味淸胃散)《張氏醫通》청열제(淸熱劑)

조성 ≒ 淸胃散(승마(升麻) 황련(黃連) 당귀(當歸) 지황(地黃) 단피(丹皮)) 가(加) 연교(連

翹) 오서각(烏犀角) 생감초(生甘草).

주치 : 위화치성(胃火熾盛) 치뉵(齒衄).- 치에서 피사 나는데 그 색이 선홍색이고(齒衄血

色鮮紅), 잇몸이 붉게 부어서 아프며(齒齦紅腫疼痛), 머아거 어프고(頭痛), 입에

서 냅새가 나며(口臭), 혀는 붉으며 태는 누렇고(舌紅苔黃), 맥홍대이삭(脈洪大而

數).

가미향부환(加味香附丸)《證治准繩․女科》

조성 ≒ 香附(향부)500 (4 分, 各用 老酒, 米醋, 童便, 山梔汁 浸兩宿, 炒, 爲末), 澤蘭(택

란) 海螵蛸(해표소)(搗碎, 炒) 各180, 酒洗當歸(주세당귀) 酒炒白芍(주초백작) 各

120, 川芎(천궁)90, 熟地(숙지)240(焙乾).

上爲末, 用浮小麥粉, 酒 醋 水 打糊爲丸, 如綠豆大, 每服 9 丸, 早晩各服 1 次

효용 : 조기양혈(調氣養血). 주치 : 用于 부녀불잉(婦女不孕) 의기(宜忌) : 기식채복(忌食

菜菔), 우육(牛肉), 생냉(生冷).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醫學心悟》해표제(解表劑)

조성 ≒ 자소엽(紫蘇葉), 향부(香附), 진피(陣皮), 감초(甘草), 형개(荊芥), 방풍(防風), 만

형자(蔓荊子), 대천궁(大川芎), 진교(秦艽), 생강(生姜).

주치 : 사시감모(四時感冒).- 두통(頭痛) 항강(項强) 비색(鼻塞) 류체(流涕) 신체동통(身

體疼痛) 발열오한(發熱惡寒), 혹 오풍(惡風), 무한(无汗) 설태박백(舌苔薄白) 맥

부(脈浮).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丹心(단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熟地黃(숙지황) 四兩(사량), 牛膝(우슬) 二兩(이량), 人蔘(인삼), 黃芪(황기), 炒白

芍(초백작), 酒浸炒黃柏(주침초황백), 當歸(당귀), 山葯(산약) 各一兩(각일량), 炒

破故紙(초파고지), 炒杜仲(초두중), 五味子(오미자) 各七錢半(각칠전반), 菟絲子

(토사자), 龜板(구판), 虎脛骨(호경골), 枸杞子(구기자), 酥炙鎖陽(소자쇄양) 各五

錢(각오전)을 作末(작말)하고, 煉蜜(연밀)에 猪脊髓(저척수)를 넣어 梧子大(오

자대)크기로 和丸(화환)하여 鹽湯(염탕)으로 70환을 呑下芷), 방풍(防風), 생지황

(生地黃), 천화분(天花粉), 감초(甘草), 우방자(牛蒡子). 灸(구)한다.

주치 : 虛勞(허로)를 다스리고, 心(심), 腎(신)을 補(보)한다.

가미활혈음(加味活血飮)《眼科金鏡》

조성≒ 당귀(當歸), 적작(赤芍), 홍화(紅花), 은화(銀花), 치자(梔子), 황금(黃芩), 연교(連

翹), 백지(白芷), 방풍(防風), 생지황(生地黃), 천화분(天花粉), 감초(甘草), 우방자

(牛蒡子).

가보입소탕(可保立蘇湯)《醫林改錯》영아제(嬰兒劑)

조성 ≒ 파고지(破故紙), 대조(大棗), 백출(白朮), 당귀(當歸), 백작(白芍), 당삼(黨參), 황

기(黃芪), 감초(甘草), 산수육(山茱肉), 구기자(枸杞子), 도핵(桃核).

주치 : 병구기허(病久氣虛)의 만경풍(慢驚風).- 근맥이 경련으로 빳빳해지고(筋脈拘攣),

팔다리를 쪽 뻗으며, 목과 잔등을 뒤로 젖히고(項背反張), 양눈은 하늘을 바라보

며(兩目天弔), 입에선 거품을 담은 침을 흘리고(口流涎沫), 혼이 가라앉아 인사불

성이 되며(昏沉不省人事), 피부가 바싹 말라 윤기가 없고(皮膚枯槁不澤), 설태는

희고 얇으며(舌苔薄白),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는 것이 실같이 가늘고 무력하

다(脈沉細无力).

가서분탕(貑鼠糞湯)《範東陽方》

조성 ≒ 구근(韮根), 가서분(貑鼠糞).

가이륵산(訶梨勒散)《金匱要略》고삽제(固澁劑)

조성 ≒ 가이륵(訶梨勒).

주치 : 기리(氣痢).- 하리활탈(下痢滑脫), 대변을 볼 때 실기(失氣)하며 변을 배출한다.

☞ 氣痢 : 실증(實證)과 허증(虛證)으로 나눈다.

實證 : 새우의 거품과 같이 점조한 대변을보고 리급후중감이 나며 배가 그득하

고 대변을 볼 때 기체를 많이 배설하며 그 냅새가 더럽고 배에서 소리가

나며 소변이 불리한 등을 겸하여 나타난다. 이는 습열(濕熱)이 울체(鬱滯)

되여 기기(氣機)가 잘 순환되지 못한데서 일어난다.

虛證 : 배가 그득하고 기체를 배설할 때 대변이 함께 나오는데 이는 중기하함에

의하여 장(腸)이 허(虛)하여 고수(固守)하지 못한데서 일어난다.

가자청음탕(訶子淸音湯)《醫方集解》

조성 ≒ 가자육(訶子肉), 길경(桔梗), 감초(甘草).

각기분(脚氣粉)《中醫外科學》

조성 ≒ 황백(黃柏), 고반(枯礬), 활석(滑石), 장뇌(樟腦).

각서조원법(却暑調元法)《時病論》⇒ 뢰씨각서조원법(雷氏却暑調元法)《時病論》

각영음(却營飮)《喉科種福》(卷三)

조성 ≒ 白芷(백지), 當歸(당귀), 川芎(천궁), 陳皮(진피), 法半夏(법반하),茯苓(복령), 厚朴

(후박), 枳殼(지각), 桔梗(길경), 甘草(감초) 各3, 赤芍(적작), 防風(방服(수전복) 宜

忌(의기풍) 各2.4, 羌活(강활), 獨活(독활) 各6, 蒼朮(창출)9, 生姜(생강)3片, 蘇葉

(소엽)7片, 葱白(총백)3根.

- 水煎수전) - 禁食發物(금식발물), 茶飮(차음).

효능 : 散風解毒(산풍해독), 化痰利咽(화담이인).

주치 : 楊梅毒喉(양매독후), 痒而且痛(양이차통), 飮食防碍(음식방애), 其狀如石榴去 皮

(기상여석류거피), 顆顆分明(과과분명), 有界而成板(유계이성판), 生于喉咽之內

(생우후인지내), 其色淡紅而通亮(기색담홍이통량), 无涎絲(무연사), 无垢膩(무구

니), 日久糜爛(일구미란) 각침고(脚針膏)《瘍科大全》 조성 ≒ 阿魏(아위), 莪朮(아

출), 三棱(삼능), 麝香(사향), 鷄肫皮(계순피), 鱔魚血(선어혈), 大黃(대황), 荸薺(발

제).

간갈탕(干葛湯)《증인맥치(證因脈治)》 ⇒ 건갈탕(乾渴湯)《증인맥치(證因脈治)》

간신쌍치탕(肝腎双治湯)《辨證錄》

조성 ≒ 白芍(백작)9, 當歸(당귀), 山葯(산약), 熟地(숙지) 各15, 甘草(감초)1.5, 陳皮(진

피)0.9, 茯苓(복령), 山茱肉(산수육) 各6, 神曲(신곡)3.

효능 : 보익간신(補益肝腎) 주치 : 신기휴허(腎氣虧虛) - 婦人數月一行經(부인수월일행

경), 无或先或后之導(무혹선혹후지도), 又无或多或少之殊(우무혹다혹소지수)

3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의방 109 七神散 - 太上混元丹

醫方集成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 태상혼원단 (太上混元丹)《丹溪》補益劑(보익제) 칠신산(七神散)《外科證治全書》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蜜涂 炙 9 次, 硏末), 姜蚕(강잠, 新瓦焙燥 爲末) 各3,...

의방 124 黑退散 - 稀涎千緡湯

醫方集成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 희연천민탕(稀涎千緡湯)《醫宗金鑑》 용토제(湧吐劑) 흑퇴산(黑退散)《中醫外科臨床手冊》 조성 ≒ 川烏(천오), 草烏(초오), 生南星(생남성), 生半夏(생반하), 公丁香(공정향), 肉桂 (육계),...

의방 123 會厭逐瘀湯 - 黑油膏

醫方集成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 인후제(咽喉劑) - 흑유고(黑油膏)《經驗方》 회염축어탕(會厭逐瘀湯)《醫林改錯》인후제(咽喉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현삼(玄參), 시호(柴胡), 지각...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