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方集成
가감궁신탕(加减芎辛湯) - 가감주경환(加减駐景丸)
가감궁신탕(加减芎辛湯)《醫鑑․東醫寶鑑》
조성 ≒ 川芎(천궁), 細辛(세신), 白芷(백지), 石膏(석고), 藁本(고본), 皂角(조각), 羌活(강
활), 防風(방풍), 荊芥(형개), 桔梗(길경), 蔓荊子(만형자), 甘菊(감국), 薄荷(박하),
甘草(감초) 各五分.
-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두풍(頭風)이 눈을 치는 증(症)을 다스린다.
가감귀작지황탕(加减歸芍地黃湯)《醫略六書》卷二十六
조성 ≒ 生地(생지)15, 山茱肉(산수육) 炒山葯(초산약) 各9, 茯苓(복령)4.5, 當歸(당귀)9,
丹皮(단피)4.5, 炒白芍(초백작)4.5, 麥芽(맥아)9, 五味子(오미자)4.5.- 水煎服
효용 : 滋陰養陰(자음양음), 泄熱止血(설열지혈)
주치 : 부녀자가 음이 허한 탓으로 상대적인 양이 뜨게 되고(陰虛陽浮), 충임맥의기가 견
고하지 못하게 되어(經氣不固) 경혈이 쉽게 움직이게 되며(經血易動), 성교를 할
때 출혈이 생기고(交接出血) 맥은 허삭(脈虛數)한 증상을 다스린다.
가감금쇄고정탕(加减金鎖固精湯)《醫學探驪集》卷五
조성 ≒ 豆蔲(두구), 五倍子(오배자) 各6, 金櫻子(금앵자), 海金沙(해금사), 龍骨(용골), 牡
蠣(모려) 各9, 焦白朮(초백출), 罌粟殼(앵속각) 各12, 竹葉(죽엽)3.
- 水煎溫服
효용 : 固精澁精(고정삽정) 健脾助胃(건비조위)
주치 : 男子(남자) 遺精早泄(유정조설) 脈微細而數(맥미세이삭)
가감내고환(加减內固丸)《入門》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巴戟(파극), 肉蓗蓉(육종용), 山茱萸(산수유), 菟絲子(토사자) 各三兩(각삼량), 破
故紙(파고지) 二兩半(이량반), 石斛(석곡), 胡蘆巴(호로파) 各二兩(각이량), 茴香
(회향) 一兩(일량), 附子(부자) 五錢(오전). 作末(작말)하여 蜂蜜(봉밀)로 梧子大
(오자대)크기로 환을 지어 溫酒(온주) 혹은 鹽湯(염탕)으로 50~70환을 呑下(탄
하)한다.
주치 : 命門火(명문화)가 衰(쇠)하여 腎(신)이 차고 陰(음)이 痿(위)하여 元陽(원양)이 虛
(허)하고 困憊(곤비)한데 사용한다.
가감단치소요산(加减丹梔消遙散)《中醫症狀鑒別診斷學》
조성 ≒ 시호(柴胡), 당귀(當歸), 백작(白芍), 단피(丹皮), 산치자(山梔子), 제향부(制香附),
익모초(益母草).
가감마행석감탕(加减麻杏石甘湯)《喉痧症治槪要》
조성 ≒ 마황(麻黃), 석고(石膏), 상패모(象貝母), 죽엽(竹葉), 행인(杏仁), 사간(射干), 강잠
(姜蚕), 감초(甘草), 연교(連翹), 현삼(玄參), 박하엽(薄荷葉), 백래복즙(白萊菔汁).
가감목방기탕(加减木防己湯)《溫病條辨》
조성 ≒ 방기(防己), 계지(桂枝), 석고(石膏), 행인(杏仁), 활석(滑石), 통초(通草), 의 이인
(薏苡仁).
효용 : 의거서습(宜祛暑濕), 통경락(通經絡).
주치 : 서습 사기가(暑濕之邪) 경락(經絡)을 침입하는 경우는 대체로 무더운 여름철(炎
夏之時) 이거나 혹은 찬고 서늘한 물로 목욕을 하다 풍을 맡거나(圖凉浴冷當風),
혹은 무더운 장마철에 비를 맡고 감기에 걸리는(淋雨冒暑) 등 계절 성 사기에 감
수됨으로써(感受時邪而成), 유한신열(有汗身熱)하고, 관절종통(關節腫痛)하며,
지중곤권(肢重困倦)하는 등의 특징이 인다.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조성 ≒ 목향(木香), 고량강(高良薑), 승마(升麻), 빈랑(檳榔), 인삼(人參), 백출(白朮), 육
두구(肉荳蔲)(愄)各12.5, 신곡(神曲)10, 오수유(吳茱萸)(沈湯水) 포건강(炮乾姜),
진피(陳皮). 사인(砂仁) 各2.5
주치 : 結腸炎(결장염) - 복통과 설사를 하는데(腹痛泄瀉), 소화되지 않은 맑은 곡식을
설사하거나(淸谷不化), 혹 거품이나(或泡沫), 피가 섞인 변을 보 거나(血凝便), 변
을 보고 난 뒤에도 변기가 남아 있어서 뒤가 무직하며 (后重), 추우면 심하다(寒則
甚).
가감보근환(加减補筋丸)《醫宗金鑑》골상제(骨傷劑)
조성 ≒ 홍화(紅花) 백작(白芍) 당귀(當歸) 숙지(熟地) 유향(乳香) 몰약(沒葯) 골쇄보(骨碎
補) 운복령(云茯苓) 정향(丁香) 진피(陣皮). 십미약(十味葯)
주치 : 질타손상(跌打損傷)으로 뼈가 부러져 어긋났으며 근육이 뭉쳐지고(筋聚骨錯) 혈
맥이 막혀서(血脈壅滯) 퍼렇게 멍들고 붓고 아프지만(靑腫疼痛) 기혈이 모두 부
족하지 않은(氣血不虛) 환자.
가감보음익기탕(加减補陰益氣湯)《醫略六書》卷二十六
조성 ≒ 生地(생지)15, 人蔘(인삼) 白芍(백작, 醋炒) 各4.5, 黃芪(황기, 蜜炙) 阿膠(아교, 蒲
黃炒) 炒山葯(초산약) 血余炭(혈여탄) 赤石脂(적석지, 醋炒) 各9, 柴胡(시호, 鹽,
醋炒黑)1.5, 升麻(승마, 鹽, 醋炒)0.9. 水煎, 去滓溫服
효용 : 補陽氣(보양기) 益陰血(익음혈) 升淸固攝(승청고섭)
주치 : 부인(婦人)에 음정이 모이지 않고(陰不藏精) 양기가 허하여 견고하지 못함으로
(虛陽不能固密) 경혈이 쉽게 움직여(經血易動) 성교하면 출혈한다(交接出血). 맥
연삭자(脈軟數者).
가감보음환 (加减補陰丸)《心法》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熟地黃(숙지황) 八兩(팔량), 菟絲子(토사자), 牛膝(우슬) 各四兩(각사량), 白芍(백
작), 當歸(당귀), 鎖陽(쇄양), 龜板(구판) 各三兩(각삼량), 虎骨(호골), 黃柏(황백),
山葯(산약), 杜仲(두중), 人參(인삼), 黃芪(황기) 各二兩(각이량), 破故紙(파고지),
枸杞子(구기자) 各一兩半(각일량반).
用法 : 作末(작말)하여 猪脊髓(저척수)에 蜜(밀)을 넣어 和丸(화환)을 지어 空心(공심)에
鹽湯(염탕)으로 100환을 呑下(탄하)한다. - 東醫寶鑑
主治 : 陰虛(음허)를 다스리니 陰(음)을 補(보)하고 陽(양)을 扶持(부지)한다.
가감보익탕(加减補益湯)《胎産秘書》
조성 ≒ 黃芪(황기) 人蔘(인삼) 各4.5, 當歸(당귀) 焦白朮(초백출) 各3, 炙甘草(자감초) 陣
皮(진피) 各1.5, 升麻(승마) 炒吳茱萸(초오수유) 炒黃連(초황연) 各0.9, 川椒(천초)
20粒, 烏梅(오매)2枚.
- 加 生姜(생강) 大棗(대조). - 水煎服
효용 : 보기건비(補氣健脾) 淸熱燥濕
주치 : 욕정이 없는데 발설하고(情欲不得發泄) - 간경의 풍열이 아래로 내려가(肝經風
熱下注) 음문이 가려워 진다(以致陰門發痒).
가감복맥탕(加減復脈湯)《溫病條辨》보익제(補益劑)
조성 ≒ 감초(甘草), 건지황(乾地黃), 백작(白芍), 맥문동(麥門冬), 아교(阿膠), 화마인(火
麻仁).
효용 : 자음양혈(滋陰養血), 평간식풍(平肝熄風)., 자음양음청열(滋陰養陰淸熱).
주치 : 1) 온병(溫病) 열작진음(熱灼眞陰) 신음모손(腎陰耗損).- 몸에 열이 있으나 심하지
는 않지만 또한 오랜 동안 열이 떨어지지 않으며(身熱不甚, 久留不退), 손 과 발
바닥에 열감이 있고 심해지면 손등과 발등으로 전이되고(手足心熱甚于手足
背), 목구멍이 마르며 치아는 색이 검고(咽乾齒黑), 설질은 마르고 선홍색 (舌質
乾絳)이며, 심하면 검은 자주색(甚則紫晦)이 되고, 혹 정신이 피로하며(神疲),
귀가 어둡고(耳聾), 맥은 3부맥이 모두 무력한 허연맥(虛軟脈), 또는 맥이 느리
고 때로 한 번 멎는데 그 규율이 없거나 맥이 규율적으로 멎는 결대맥(結代脈)
등 증을 다스린다.
2) 춘온병(春溫病) 신열(身熱), 구간(口干), 수족심열(手足心熱) 심우수족배(甚于手
足背), 신권(神倦), 맥허(脈虛) 등이다. 만약 설조이농(舌燥耳聾)하면 이는 신정
이 크게 줄어서(腎精大虧), 신음이 모두 다 마르려는 것이다(眞陰欲竭). - 의자
보진음(宜滋補眞陰)
3) 풍온(風溫) - 음허풍동증(陰虛風動證)
가감복토탕(加减茯菟湯)《醫學探驪集》
조성 ≒ 茯苓(복령) 熟地(숙지) 各15, 黃耆(황기) 焦白朮(초백출) 各12, 五味子(오미자)6,
菟絲餠(토사병)24, 人蔘(인삼)9. - 水煎, 溫服
효용 : 補氣健脾(보기건비) 養陰滋腎(양음자신)
주치 : 양이 강해서 숙어들지 않고(陽强不倒) 겸하여 하초 신음이 소모되는 증(兼有消之
症).
가감비아환(加减肥兒丸)《幼幼集成》
조성 ≒ 인삼(人蔘) 황기(黃芪) 백출(白朮) 복령(茯苓) 진피(陣皮) 황련(黃連) 청피(靑皮)
당귀신(當歸身) 별갑(鱉甲) 목향(木香) 사군자(使君子) 섬서(蟾蜍) 감초(甘草).
가감사물탕(加减四物湯)《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생지황(生地黃), 고삼(苦蔘), 박하(薄荷), 천궁(川芎), 우방자(牛蒡子), 연교(連翹),
천화분(天花粉), 방풍(防風), 적작(赤芍), 당귀(當歸), 형개(荊芥).
주치 : 눈에 풍열사기가 막아(風熱壅目) 눈이 가려운(目痒) 증상. 눈 안이 따갑게 가려운
(眼內灼痒) 것이 따뜻한 봄철이 되면(春暖之季) 발병(發病)하며, 안검 안쪽의 색이
붉고 (瞼內有紅色) 과립(顆粒)이 생기며, 바람이 불거나(風吹) 혹은 햇빛을 쏘여
(日晒), 뜨거운 열기를 받게 되면(火熱熏灼) 병정이 가중되며(病情加重) 혀는 붉고
태는 누렇다(舌紅苔黃) 맥부삭(脈浮數)
가감사물탕(加减四物湯)《醫鈔類編》
조성 ≒ 生地(생지)30, 白芍(백작)12, 當歸(당귀) 枸杞子(구기자) 各9, 牛膝(우슬)15, 杜仲
(두중)7.5, 黃柏(황백) 酸棗仁(산조인) 各6. - 水煎服
효용 : 滋陰養肝(자음양간) 瀉熱軟堅(사열연견)
주치 : 양기가 왕성하고 음이 약해지며(陽旺陰衰) 성기가 숙어 들지 않는(强中不收) 증
가감사백산(加减瀉白散)《醫學發明》청열제(淸熱劑)
조성 ≒ 갱미(粳米) 지골피(地骨皮) 오가피(五加皮) 감초(甘草) 인삼(人蔘) 백복령(白茯
苓) 상백피(桑白皮) 청피(靑皮) 진피(陣皮).
주치 : 간화범폐(肝火犯肺) 중허기체(中虛氣滯) 인기(引起) 해수(咳嗽).- 기(氣)가 위로상
역(上逆)하여 기침이되고(上氣咳逆), 담음 적고 질이 찐득찐득하며(痰少質粘), 입
안이 쓰고 마르며(口乾而苦), 흉협이 그득하고 아프다(胸脇脹痛), 정신이 지치고
피로하며 힘이 없다(神疲乏力), 식사량이 적고(納少), 혀는 누렇고 얇으며 (舌薄
黃)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하고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
(脈弦數).
가감산화거전탕(加减散花去癲湯)《重訂通俗傷寒論》
조성 ≒ 生白芍(생백작)30, 當歸(당귀), 麥冬(맥동) 各15, 焦山梔(초산치), 玄參(현삼), 朱
茯神(주복신), 杜牛膝(두우슬) 各9, 柴胡(시호)6, 生甘草(생감초), 白芥子(백개자),
鮮石菖蒲(선석창포) 各3, 麝香(사향,冲服)0.15. - 水煎服
효용 : 청심안신(淸心安神) 화담개규(化痰開竅)
주치 : 정욕광(情欲狂).- 부인은 남자의 사모를 받지 못해(思慕男子不得), 갑자기 발광을
하고(忽然發狂), 남자를 보게 되면(見男子則) 품에 안고 놓이 못하는 정인이 되어
(抱住不放, 以爲情人). 수치스럽고 망측하다(罔識羞恥). 심하게 되면 발개 벋고 뛰
어 다닌다(甚至裸体奔走); 그 촌구에 나타난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한
데(其脈弦出寸口). 이 병명을 화전이라고 하며 속칭 발화매라 한다(此病名爲 花
癲 俗稱 發花呆).
가감삼황이향산(加减三黃二香散)《疫喉淺論》
조성 ≒ 대황(大黃), 황백(黃柏), 생포황(生蒲黃), 사향(麝香), 빙편(冰片).
가감선복화대자석탕(加减旋覆花代赭石湯) 《臨床經驗方(임상경험방)》
조성 ≒ 旋覆花(선복화), 代赭石(대자석), 半夏(반하) 各15, 生姜(생강) 10, 陳皮(진피)10,
丁香(정향), 枳實(지실), 草豆寇(초두구), 高良姜(고량강) 各7.5, 山楂(산사), 神曲
(신곡), 甘草(감초) 各5.
疼痛甚(동통심) : 加 乳香(유향), 沒葯(몰약). - 硏末分服(연말분복).
주치 : 慢性胃炎(만성위염), 胃潰瘍(위궤양) - 胃脘部刺痛(위완부자통), 胸悶(흉민), 脈緩
滑(맥완활).가감소독산(加减消毒散)《外科眞詮》
조성 ≒ 포공영(蒲公英), 은화(銀花), 현삼(玄參), 적작(赤芍), 연교(連翹), 산갑(山甲), 조각
자(皂角刺), 전호(前胡), 방풍(防風), 향부(香附), 감초(甘草).
가감양격산(加减凉膈散)
조성 ≒ 지황(地黃), 당귀(當歸), 작약(芍葯), 감초(甘草), 지실(枳實), 치자(梔子), 연교(連
翹), 황금(黃芩), 황련(黃連), 길경(桔梗), 감초(甘草), 박하(薄荷).
가감옥녀전(加减玉女煎)《溫病條辨》
조성 ≒ 석고(石膏), 지모(知母), 현삼(玄參), 생지황(生地黃), 맥문동(麥門冬).
가감용담사간탕(加减龍膽瀉肝湯)《外科發揮》
조성 ≒ 龍膽草(용담초,酒拌,炒黃), 澤瀉(택사) 各3, 炒車前子(초차전자), 木通(목통), 酒拌
生地黃(주반생지황), 酒拌當歸尾(주반당귀미), 炒山梔(초산치), 黃芩(황금), 甘草
(감초) 各1.5. 加水 200 毫升, 煎至 160 毫升, 食前溫服.
효용 : 淸肝經濕熱(청간경습열)
주치 : 1) 肝經濕熱(간경습열) 所致(소치) 陰部瘡瘍(음부창양) 陰囊腫痛(음낭종통) 便毒
懸癰(변독현옹) 婦人陰挺(부인음정) 男女腋臭(남여액취).
2) 腋臭(액취) 及(급) 腋下多汗(액하다한), 證屬(증속) 肝經濕熱(간경습열)
가감위유탕(加減葳蕤湯)《通俗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위유(萎蕤), 총백(葱白), 길경(桔梗), 백미(白薇), 두시(豆豉), 박하(薄荷), 감초(甘
草), 대조(大棗).
주치 : 음허자(陰虛者) 감수외사(感受外邪).- 두통(頭痛) 신열(身熱) 미오풍한(微惡風寒)
해수(咳嗽) 인건(咽乾) 무한(无汗) 혹 유한불다(有汗不多) 구갈(口渴) 심번(心煩)
설홍(舌紅) 맥삭(脈數).가감일음전(加減一陰煎)《景岳全書》청열제(淸熱劑)
조성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맥동(麥冬), 지골피(地骨皮), 지모(知母), 백작
(白芍), 감초(甘草).
주치 : 음허화왕(陰虛火旺).- 번갈(煩渴) 조열불퇴(潮熱不退), 맥허(脈虛), 기약(氣弱).
가감주경환(加减駐景丸)《銀海精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토사자(菟絲子), 구기자(枸杞子), 저실자(楮實子), 당귀(當歸), 숙지(熟地), 오미자
(五味子), 천초(川椒), 차전자(車前子).
주치 : 1) 간신이 부족하고(肝腎不足) 사물을 바라보는데 아득하게 혼이 나간 뜻 하다
(視瞻昏渺).- 시물이 혼몽 하며(視物昏朦) 눈 안이 말라 껄끄럽 (眼內乾澁) 혹 시
물이 변형되고(視物變形) 귀 울림이 나고 머리가 어지러우며(頭暈耳鳴) 밤잠을
잘 때 꿈을 많이 꾸고(夜眠多夢) 허리와 무릎이 시큰 거리며 연약해지고(腰膝
酸軟) 혀가 붉고 건조하며 태는 적고(舌乾紅少苔)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
다(脈細).
2) 청맹(靑盲), 근시(近視).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