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진단 1 / 동의 진단학 목록

Aktualisiert: 12. Nov. 2020


東醫 診斷學(동의 진단학)

目錄(목록)


동의진단학(東醫診斷學) 요점(要点)

1. 서론(緖論)

1.1 동의 진단학 발전간사 및 주요내용

1.2 동의 진단학의 범위와 원칙

1.2.1 내외심찰(內外審察)

1.2.2 변증구인(辨證求因)

1.2.3 사진합참(四診合參)

1.3 동의진단학(東醫診斷學)의 주요내용(主要內容)

1.4 학습요구(學習要求)와 방법(方法)


2. 사진(四診)

2.1 망진(望診) 망진(望診)의 개념(槪念)과 내용(內容)

2.1.1 신(神)의 망진(望診)

⑴ 신(神)의 개념(槪念)

⑵ 득신(得神), 실신(失神). 가신(假神)

⑶ 신기부족(腎氣不足)과 정신이상(精神異常)

2.1.2 면색(面色)의 망진(望診)

⑴ 면부색진원리(面部色診原理) 및 임상의의(臨床意義)

⑵ 면부(面部)와 장부(臟腑)의 상관부위(相關部位)

① 면부(面部)의 명칭(名稱) ② 오장(五臟)의 명칭(名稱)

⑶ 망색십법(望色十法)

⑷ 상색(常色)과 병색(病色)

⑸ 색(色), 맥(脈) 증합참(症合參)

2.1.3 형태(形態)의 망진(望診)

⑴ 망형태(望形態), ⑵ 망자태(望姿態)

2.1.4 두경(頭頸)과 발(髮), 오관(五官)의 망진(望診)

⑴ 망두면(望頭面) 경항(頸項) 두발(頭髮)

① 두면(頭面) ② 경항(頸項) ③ 두발(頭髮)

⑵ 망목(望目)

① 목부(目部)의 장부와의 상호 관계 부위 ② 진안신(診眼神)

③ 목부색진(目部色診) ④ 목형주병(目形主病) ⑤ 목태주병(목태주병)

⑶ 망이(望耳)

① 색택변화(色澤變化) ② 형태변화(形態便化) ③ 이도분비물(耳道分泌物)

⑷ 망비(望鼻)

① 오색주병(五色主病) ② 형태변화(形態便化)

⑸ 망구순(望口脣)

① 순색변화(脣色便化) ② 형태변화(形態便化)

⑹ 망치은(望齒齦)

① 망치(望齒) ② 망은(望齦)

⑺ 망인후(望咽喉)

① 변홍종궤란(辨紅腫潰爛) ② 변위막(辨僞膜) ③ 변농액(辨膿液)

⑻ 망하규(望下竅)

① 전음(前陰) ② 후음(后陰)

2.1.5 피부(皮膚)의 망진(望診)

2.1.5.1 색택(色澤)

① 피부적색(皮膚赤色) ② 피부발황(皮膚發黃) ③ 피부흑색(皮膚黑色)

2.1.5.2 윤고(潤枯)

2.1.5.3 종창(腫脹)

2.1.5.4 두창(痘瘡) ① 천화(天花, 천연두) ② 수두(水痘)

2.1.5.5 반진(斑疹) ① 반(斑) ② 진(疹)

2.1.5.6 백배(白㾦)와 수포(水泡)

① 백배(白㾦) ② 비자(痱子) ③ 열기창(熱氣瘡) ④ 전요화단(纏腰火丹)

⑤ 습진(濕疹)

2.1.5.7 옹, 저, 정, 절(癰,疽,疔,癤)

2.1.6 락맥(絡脈)의 망진(望診)

2.1.6.1 소아식지락맥(小兒食指絡脈)

① 삼관부위(三關部位) ② 락맥진찰수법(絡脈診察手法)

③ 삼관변경중(三關辨輕重) ④ 형색주병(形色主病)

2.1.6.2 어제락맥(魚際絡脈) ⑶ 지갑형색(指甲形色)

2.1.7 배설물(排泄物)과 분비물(分泌物)의 망진(望診)

2.1.7.1 담연체타(痰涎涕唾)

2.1.7.2 구토물(嘔吐物)

2.1.8 설(舌)의 망진(望診)

2.1.8.1 설진(舌診)의 임상의의(臨床意義)

① 정기(正氣)의 성쇠(盛衰)를 판단(判斷).

② 병위(病位)의 심천(深淺)을 분별(分別)한다.

③ 병사(病邪)의 성질(性質)을 구별다.

④ 병정의 진퇴를 판단한다.

2.1.8.2 설(舌)과 장부(臟腑)와의 관계 및 설진(舌診) 원리

① 설(舌)의 형태결구(形態結構)

② 설(舌)과 장부(臟腑)와의 관계 및 설진(舌診) 원리

③ 설면(舌面) 위에서의 장부분포(臟腑分布)

2.1.8.3 설진(舌診)의 방법 및 주의사항

2.1.8.4 설진(舌診)의 내용 ① 망설질(望舌質) ② 망설태(望舌苔)

2.1.8.5 설질(舌質)과 설태(舌苔)의 종합진찰(綜合診察)

① 담백설(淡白舌)에 각종 색의 설태를 겸한 것

② 담홍색(淡紅色)에 각색설태(各色 舌苔)를 겸한 것

③ 홍강설(紅絳舌)에 각색설태(各色舌苔)를 겸한 것

④ 황자색(黃紫色)에 각색설태(各色舌苔)를 겸한 것

⑤ 위중(危重)한 병(病)의 설상진법(舌象診法)

2.1.9 망진소결(望診小結)

2.2 문진(聞診)

2.2.1 성음(聲音)을 청진(聽診)

2.2.1.1 정상(正常)의 성음(聲音)

2.2.1.2 병태(病態)의 성음(聲音)

① 발성(發聲) ② 언어(言語) ③호흡(呼吸) ④ 해수(咳嗽)

⑤ 구토(嘔吐) ⑥ 애역(呃逆) ⑦ 애기(噯氣) ⑧ 태식(太息)

⑨ 분체(噴嚔) ⑩ 장명(腸鳴)

2.2.2 냄새를 맡는다(嗅氣味)

2.2.2.1병체(病體)의 기미(氣味)

① 구기(口氣) ② 한기(汗氣) ③ 비취(鼻臭) ④ 신취(身臭)

2.2.2.2 병실(病室)의 기미(氣味)

2.2.2.3 문진소결(聞診小結)

2.3 문진(問診)

2.3.1 일반정황(一般情况)의 문진(問診)

2.3.2 생활사(生活史)

2.3.3 가족병사(家族病史)와 기왕병사(旣往病史)

2.3.4 기병문진(起病問診)

2.3.5 현재증상(現在症狀)

2.3.5.1 한열문진(寒熱問診)

① 오한발열(惡寒發熱) ② 단한불열(但寒不熱)

③ 단열불한(但熱不寒) ④ 한열왕래(寒熱往來)

2.3.5.2 한(汗)의 문진(問診)

① 표증변한(表證辨汗) ② 리증변한(里證辨汗)

③ 국부변한(局部辨汗)

2.3.5.3 두신(頭身)의 문진(問診)

① 두부문진(頭部問診) ② 주신(主身)의 문진(問診)

2.3.5.4 흉협완복(胸脇脘腹)의 문진(問診)

① 흉부(胸部) ② 협부(脇部)

③ 위완부(胃脘部) ④ 복부(腹部)

2.3.5.5 이목(耳目)의 문진(問診)

① 이(耳)의 문진(問診) ② 목(目)의 문진(問診)

2.3.5.6 음식(飮食)과 구미(口味)의 문진(問診)

① 구갈(口渴)과 음수(飮水)의 문진(問診)

② 식욕(食欲)과 식량(食量)의 문진(問診)

③ 구미(口味)의 문진(問診)

2.3.5.7 수면(睡眠)의 문진(問診)

① 실면(失眠) ② 기면(嗜眠)

2.3.5.8 대소변(大小便)의 문진(問診)

2.3.5.9 부녀(婦女)의 문진(問診)

① 월경(月經) ② 대하(帶下) ③ 임신(姙娠) ④ 산후(産后)

2.3.5.10 소아(小兒)의 문진(問診)

① 출생전후(出生前后)의 정황(情况)

② 예방접종사(豫防接種史) 전염병사(傳染病史)와 전염병

접촉사(傳染 病接觸史)

③ 소아(小兒)의 질병을 쉽게 일으키는 원인(原因)

2.4 절진(切診)

2.4.1 맥진(脈診)

2.4.1.1 맥상형성(脈象形成)의 원리(原理)와 맥진(脈診)의 임상

의의(臨床意義)

① 맥상형성(脈象形成)의 원리(原理)

② 맥진(脈診)의 임상의의(臨床意義)

2.4.1.2 맥진(脈診)의 부위(部位)

① 편진법(遍診法) ② 삼부진법(三部診法)

③ 촌구진법(寸口診法)

2.4.1.3 맥진(脈診)의 방법(方法)과 주의사항(注意事項)

① 시간(時間) ② 체위(体位) ③ 지법(指法)

④ 거안심(擧按尋) ⑤ 평식(平息) ⑥ 오십동(五十動)

2.4.1.4 정상맥상(正常脈象) - 평맥(平脈)

① 사계절기후(四季節氣候) ② 지리환경(地理環境)

③ 성별(性別) ④ 연령(年齡) ⑤ 체격(体格) ⑥ 정지(情志)

⑦ 노일(勞逸) ⑧ 음식(飮食)

2.4.1.5 병맥(病脈)의 형태(形態)와 주병(主病)

① 부맥(浮脈) ② 침맥(沉脈) ③ 지맥(遲脈) ④ 삭맥(數脈)

⑤ 홍맥(洪脈) ⑥ 미맥(微脈) ⑦ 세맥(細脈) ⑧ 산맥(散脈)

⑨ 허맥(虛脈) ⑩ 실맥(實脈) ⑪ 활맥(滑脈) ⑫ 삽맥(澁脈)

⑬ 장맥(長脈) ⑭ 단맥(短脈) ⑮ 현맥(弦脈) ⑯ 규맥(芤脈)

⑰ 긴맥(緊脈) ⑱ 완맥(緩脈) ⑲ 혁맥(革脈) ⑳ 뢰맥(牢脈)

㉑ 약맥(弱脈) ㉒ 유맥(濡脈) ㉓ 부맥(浮脈) ㉔ 동맥(動脈)

㉕ 촉맥(促脈) ㉖ 결맥(結脈) ㉗ 대맥(代脈) ㉘ 질맥(疾脈)

2.4.1.6 상사맥(相似脈)의 감별(鑒別)

① 부맥(浮脈)과 허,규,산맥(虛,芤,散脈)

② 침맥(沉脈)과 복,뢰맥(伏,牢脈) ③ 지맥(遲脈)과 완맥

(緩脈) ④ 삭맥(數脈)과 활, 질맥(滑,疾脈) ⑤ 실맥(實脈)

과 홍맥(洪脈) ⑥ 세맥(細脈)과 미,약,유맥(微,弱,濡脈)

⑦ 규맥(芤脈)과 혁맥(革脈) ⑧ 현맥(弦脈)과 장, 긴맥(長

緊脈) ⑨ 단맥(短脈)과 동맥(動脈) ⑩ 결,대,촉맥(結代促

脈)

2.4.1.7 상반맥(相反脈) 附 - 대거법(對擧法)

① 부맥(浮脈)과 침맥(沉脈) ② 지맥(遲脈)과 삭맥(數脈)

③ 허맥(虛脈)과 실맥(實脈) ④ 활맥(滑脈)과 삽맥(澁脈)

⑤ 홍맥(洪脈)과 세맥(細脈) ⑥ 장맥(長脈)과 단맥(短脈)

⑦ 긴맥(緊脈)과 완맥(緩脈)

2.4.1.8 괴맥(怪脈)

① 부비맥(釜沸脈) ② 어상맥(魚翔脈) ③ 하유맥(蝦游脈)

④ 옥루맥(屋漏脈) ⑤ 작탁맥(雀啄脈) ⑥ 해삭맥(解索脈)

⑦ 탄석맥(彈石脈)

2.4.1.9 부인맥(婦人脈)

① 월경맥(月經脈) ② 임신맥(妊娠脈) ③ 태맥(胎脈)

2.4.1.10 상겸맥(相兼脈)과 주병(主病)

부긴맥(浮緊脈), 부완맥(浮緩脈), 부삭맥(浮數脈), 부활맥

(浮滑脈), 침지맥(沉遲脈), 현삭맥(弦數脈),활삭맥(滑數脈),

홍삭맥(洪數脈), 침현맥(沉弦脈), 침삽맥(沉澁脈), 현세맥

(弦細脈), 침완맥(沉緩脈), 침세맥(沉細脈),현활맥(弦滑脈).

2.4.1.11 맥증순역(脈症順逆)과 종사(從舍)

사맥종증(舍脈從症), 사증종맥(舍症從脈)

2.4.2 안진(按診)

2.4.2.1 안진(按診)의 방법(方法)과 의의(意義)

2.4.2.2 안진(按診)의 내용(內容)

① 안기부(按肌膚) ② 안수족(按手足)

③ 안흉복(按胸腹) ④ 안수혈(按兪穴)

2.4.3 절진소결(切診小結)

3. 팔강(八綱)

팔강변증(八綱辨證)의 기본개념(基本槪念) 및 임상의의(臨床意義)

3.1 표리(表裏)

3.1.1 표리(表里)의 개념(槪念),

3.1.2 임상표현(臨狀表現)과 감별요점(鑒別要点)

⑴ 표증(表證) ⑵ 리증(里證) ⑶ 반표반리(半表半里)

⑷ 표증(表證)과 리증(里證)의 구별요점(區別要点)

3.2. 한열(寒熱)

3.2.1 한열(寒熱)의 개념(槪念),

3.2.2 임상표현(臨狀表現)과 감별요점(鑒別要点)

⑴ 한증(寒證) ⑵ 열증(熱證)

3.2.3 한증(寒證)과 열증(熱證)의 구별요점(區別要点)

3.2.4 한증(寒證)과 열증(熱證)의 관계(關系)

① 한열(寒熱)의 착잡(錯雜) ② 한열(寒熱)의 전화(轉化)

③ 한열(寒熱)의 진가(眞假)

3.2.5 한열(寒熱)의 표리관계(表里關系)

① 표한증(表寒證) ② 표열증(表熱證) ③ 리한증(里寒證) ④리열증(里熱證)

3.3 허실(虛實)

3.3.1 허실(虛實)의 개념(槪念),

3.3.2 임상표현(臨狀表現)

⑴ 허증(虛證) ⑵ 실증(實證)

3.3.3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의 관계(關系)

3.3.3,1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의 감별요점

3.3.3.2 허실(虛實)의 착잡(錯雜), 전화(轉化)와 진가(眞假)

3.3.3.3 허실(虛實)과 표리한열(表里寒熱)의 관계(關系)

① 표허증(表虛證) ② 표실증(表實證) ③ 리허증(里虛證)

④ 리실증(里實證) ⑤ 허한증(虛寒證) ⑥ 허열증(虛熱證)

⑦ 실한증(實寒證) ⑧ 실열증(實熱證)

3.4. 음양(陰陽)

3.4.1 음증(陰證)과 양증(陽證)

⑴ 음증(陰證) ⑵ 양증(陽證)

3.4.2 음증(陰證)과 양증(陽證)의 감별요점(鑒別要点)

3.4.3 진음부족(眞陰不足)과 진양부족(眞陽不足),

⑴ 진음부족(眞陰不足) ⑵ 진양부족(眞陽不足)

3.4.4 망음(亡陰)과 망양(亡陽).

3.4.4 음양소결(陰陽小結)


4. 변증(辨證)

4.1 병인변증(病因辨證)

4.1.1 외인(外因) : 육음(六淫), 역력변증(疫瀝辨證)

⑴ 육음(六淫) : ① 풍음(風淫) ② 한음(寒淫) ③ 서음(暑淫)

④ 습음(濕淫) ⑤ 조음(燥淫) ⑥ 화음(火淫)

⑵ 역려(疫癘) : ① 온역(瘟疫)의 증후(證候) ② 역진병후(疫疹病候)

③ 온황병후(瘟黃病候)

4.1.2 내인(內因) : 칠정증후(七情證候)

4.1.3 내외인(內外因) : 음식노권(陰食勞倦)

⑴ 음식소상(陰食所傷) ⑵ 노일소상(勞逸所傷) ⑶ 방실소상(房室所傷)

4.1.4 외상(外傷)

⑴ 금인소상(金刃所傷) ⑵ 충수소상(虫獸所傷) ⑶ 질복소상(跌扑所傷)

4.2 기혈진액변증(氣血津液辨證)

4.2.1 기병변증(氣病辨證)

⑴ 기허증(氣虛證) ⑵ 기함증(氣陷證) ⑶ 기체증(氣滯證) ⑷ 기역증(氣逆證)

4.2.2 혈병변증(血病辨證)

⑴ 혈허증(血虛證) ⑵ 혈어증(血瘀證) ⑶ 혈열증(血熱證) ⑷ 혈한증(血寒證)

4.2.3 기혈동병변증(氣血同病辨證)

⑴ 기체혈어증(氣滯血瘀證) ⑵ 기허혈어증(氣虛血瘀證)

⑶ 기혈양허증(氣血兩虛證) ⑷ 기불섭혈증(氣不攝血證)

⑸ 기수혈탈증(氣隨血脫證)

4.2.4 진액변증(津液辨證)

4.3 장부변증(臟腑辨證)

4.3.1 심(心)과 소장병(小腸病) 변증(辨證)

4.3.1.1 심기허(心氣虛), 심양허(心陽虛)와 심양폭탈(心陽暴脫),

4.3.1.2 심혈허(心血虛)와 심음허(心陰虛)

4.3.1.3 심화항성(心火亢盛)

4.3.1.4 심맥비조(心脈痹阻)

4.3.1.5 담미심규(痰迷心竅)

4.3.1.6 담화우심(痰火扰心)

4.3.1.7 소장실열(小腸實熱)

4.3.2 폐(肺)와 대장병(大腸病) 변증(辨證)

⑴ 폐기허(肺氣虛) ⑵ 폐음허(肺陰虛) ⑶ 풍한속폐(風寒束肺)

⑷ 한사객폐(寒邪客肺) ⑸ 담습조폐(痰濕阻肺) ⑹ 한담조폐(寒痰阻肺)

⑺ 풍열범폐(風熱犯肺) ⑻ 풍사옹폐(風邪壅肺) ⑼ 조사범폐(燥邪犯肺)

⑽ 대장습열(大腸濕熱) ⑾ 대장액휴(大腸液虧) ⑿ 장허활사(腸虛滑瀉

4.3.3 비(脾)와 위병(胃病) 변증(辨證)

⑴ 비기허(脾氣虛) ⑵ 비양허(脾陽虛) ⑶ 중기하함(中氣下陷)

⑷ 비불통혈(脾不統血) ⑸ 한습곤비(寒濕困脾) ⑹ 습열온비(濕熱蘊脾)

⑺ 위기허(胃氣虛) ⑻ 위양허(胃陽虛) ⑼ 위음허(胃陰虛) ⑽ 한체위장(寒滯胃

腸) ⑾ 위열치성(胃熱熾盛) ⑿ 식체위완(食滯胃脘) ⒀ 음유위장(飮留胃腸)

⒁ 위장기체(胃腸氣滯) ⒂ 장열부실(腸熱腑實) ⒃ 장도습열(腸道濕熱)

4.3.4 간(肝)과 담병(膽病)

⑴ 간기울결(肝氣鬱結) ⑵ 간화상염(肝火上炎) ⑶ 간혈허(肝血虛)

⑷ 간음허(肝陰虛) ⑸ 간양상항(肝陽上亢)

⑹ 간풍내동(肝風內動)

① 간양화풍증(肝陽化風證) ② 열극생풍증(熱極生風證)

③ 음허동풍증(陰虛動風證) ④ 혈허생풍증(血虛生風證)

⑺ 한체간맥(寒滯肝脈) ⑻ 간담습열(肝膽濕熱) ⑼ 담울담요(膽鬱痰擾)

4.3.5 신(腎)과 방광병(膀胱病) 변증(辨證)

⑴ 신양허(腎陽虛) ⑵ 신음허(腎陰虛) ⑶ 신정부족(腎精不足)

⑷ 신기불고(腎氣不固) ⑸ 신불납기(腎不納氣) ⑹ 방광습열(膀胱濕熱)

4.3.6 장부겸증(臟腑兼證)

⑴ 심신불교(心腎不交) ⑵ 심비양허(心脾兩虛) ⑶ 심간혈허(心肝血虛)

⑷ 심신양허(心腎陽虛) ⑸ 심폐기허(心肺氣虛) ⑹ 비폐기허(脾肺氣虛)

⑺ 비신양허(脾腎陽虛) ⑻ 폐신음허(肺腎陰虛) ⑼ 간신음허(肝腎陰虛)

⑽ 간비불조(肝脾不調) ⑾ 간위불화(肝胃不和) ⑿ 간화범폐(肝火犯肺)

4.4 육경변증(六經辨證)

4.4.1 육경변증(六經辨證)의 개념(槪念)

4.4.1.1 태양병증(太陽病證)

⑴ 태양중풍증(太陽中風證) ⑵ 태양상한증(太陽傷寒證)

4.4.1.2 양명병증(陽明病證)

⑴ 양명병경증(陽明病經證) ⑵ 양명병부증(陽明病腑證)

4.4.1.3 소양병증(少陽病證)

4.4.1.4 태음병증(太陰病證)

4.4.1.5 소음병증(少陰病證)

⑴ 소음한화증(少陰寒化證) ⑵ 소음병열화증(少陰病熱化證)

4.4.1.6 궐음병증(厥陰病證)

4.4.2 육경병(六經病)의 합병(合病), 병병(幷病), 전경(傳經)과 직중(直中).

4.5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

4.5.1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의 개념(槪念)

4.5.1.1 위분증(衛分證),

4.5.1.2 기분증(氣分證),

4.5.1.3 영분증(營分證),

4.5.1.4 혈분증(血分證)

4.5.2 위기영혈(衛氣營血)의 전변규율(傳變規律)

4.6 삼초변증(三焦辨證)

4.6.1 삼초변증(三焦辨證)의 개념(槪念)

4.6.1.1 위분증후(衛分證候)

4.6.1.2 기분증후(氣分證候)

⑴ 사열옹폐(邪熱壅肺) ⑵ 열요흉격(熱擾胸膈)

⑶ 위열항성(胃熱亢盛) ⑷ 열결장도(熱結腸道)

4.6.1.3 영분증후(營分證候)

4.6.1.4 혈분증후(血分證候)

4.6.2 삼초병(三焦病)의 전변규율(傳變規律)

中醫診斷學 供中醫類專業用

上海科學技術出版社

44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진단41 附錄(부록) 舌苔圖譜(설태도보)

附錄(부록) 舌苔圖譜(설태도보) 一. 舌診(설진)의 原理(원리) 二. 舌診(설진)의 臨床意義(임상의의) 1. 正氣盛衰(정기성쇠)의 判斷(판단) 2. 病位(병위)의 深淺(심천)을 分辨(분변) 3. 病邪(병사)의 性質(성질)을 區別(구별) 4....

진단40 / 4.6 삼초변증(三焦辨證)

4.6 삼초변증(三焦辨證) 4.6.1 삼초변증(三焦辨證)의 개념(槪念) 4.6.1.1 상초변증(上焦辨證) 4.6.1.2 중초변증(中焦辨證) 4.6.1.3 하초변증(下焦辨證) 4.6.2 삼초병(三焦病)의...

진단39 / 4.5 위기영혈(衛氣營血辨證)

4.5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 4.5.1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의 개념(槪念) 4.5.1.1 위분증후(衛分證候) 4.5.1.2 기분증후(氣分證候) 4.5.1.3 영분증후(營分證候) 4.5.1.4 ...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