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초25 第四章一節 인체의기 5) 기의 분포와 분류

Aktualisiert: 13. Juli 2019


第四章一節 人体의 氣

5) 氣의 分布와 分類


전반적으로 인체의 氣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선천적인 腎의 精氣(정기 즉 腎精氣(신정기), 稟賦(품부), 脾胃(비위)의 運化(운화)로 산출된 후천적인 水谷(수곡)의 精氣(정기)와 肺의 呼吸(호흡)에 의하여 흡수된 자연계의 淸氣(청기)가 모여서 이루어진 것으로 즉 腎, 脾胃, 肺의 생리기능에 의하여 生成(생성)된 것으로써 이들이 臟腑(장부), 經絡(경락) 및 組織器官(조직기관)의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進行(진행)시키는 동력의 원천이 되며, 또 한편 발전하여 그들의 기능합작으로 相互轉化(상호전화)가 가능한 인체의 四氣(사기) 즉 元氣(원기), 宗氣(종기), 營氣(영기), 衛氣(위기)를 구성하고, 전신에 분포함으로써 유기체의 기능을 보강하고, 완성시키는 資源(자원)을 산출한다. 이것이 또한 유기체의 기의 기능이다.


四氣(사기)의 構成(구성), 分布(분포)와 機能(기능)

⑴ 元氣(원기)

원기는 原氣(원기) 또는 眞氣(진기)라고도 하는데 이는 인체의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氣

로서 인체의 생명활동의 원동력이다.

① 構成(구성) : 원기의 구성은 腎에 저장된 精氣(정기) 즉 선천의 정기와 후천에 의해 보충

받 은 정기를 위주로 化生(화생)된다. 《靈樞·三十六難》에서는 “命門(명문)

은. . 原氣(원기)에 달렸다.”고 함으로써 원기는 腎에서 나온다는 것을 밝혔다. 腎의 精氣

(정기)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선천적인 精(정)을 기반으로 하고 출생 후에 수곡의 정기

에 의하여 培 養(배양)되는 것이다. 《景岳全書》에서는 “사람이 태어나서 늙어 가는 것은

선천적으로 물 려받은 것이 부족하기 때문이지만 후세에 힘써서 배양하면 천명을 더해

주는 공이 半以上(반 이상) 될 수 있으므로 脾胃의 氣가 사람의 생명에 큰 관계가 된다.”

고 했다. 이로 미루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元氣(원기)의 盛衰(성쇠)는 전적으로 선천적

인 稟賦(품부)의 강약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脾胃의 運化(운화)에 의한 水谷(수곡)

의 精氣(정기)의 기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② 分布(분포) : 원기는 三焦(삼초)를 경유해서 전신에 분포된다. 안으로는 臟腑(장부), 밖으

로는 肌膚(기부)와 腠理(주리)에 이르기까지 유기체의 전신 각 부위에 미친

다. 《難經·六十六難》에서는 “三焦(삼초)란 原氣(원기)의 別便(별편)이다.” 고 했다. 즉 삼

초를 가리켜서 원기가 通行(통행)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는 편안한 통로다. 라는 것이

다.

③ 機能(기능) : 원기의 주요기능은 인체의 생장과 발육을 촉진하고, 각 장부, 경락 등 조직기

관 의 생리활동을 溫煦(온후)하게 誘發(유발)시킨다. 그래서 원기는 인체의

생명활 동의 원동력이며, 또 나아가 이 같은 기능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물

질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기체에 원기가 충족하면 각 臟腑(장부), 經絡(경락) 등 조

직기관의 활력 이 왕성하고 강건함으로 疾病(질병)으로부터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선천으로부터 稟 賦(품부)가 부족하거나 후천(비위의 기능)이 失調(실조)되거나 혹은 臟

器(장기)가 질환으로 병들게 되면 크게 체력을 소모시키게 됨으로서 따라서 원기의 생성

이 부족하게 된다. 이 같 이 체력 소모가 과분하게 될 경우 元氣(원기)가 虛(허)하고 衰退

(쇠퇴)됨으로 여러 가지 病變 (병변)이 발생할 수 있다.


小結(소결)

形成 : 元氣(원기)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선천의 精氣(정기, 稟賦(품부))가 腎의 생리기능에

의 하여 형성된 것이고 후천의 수곡정미에 의하여 부단히 補充(보충), 培育(배육)된

다.

分布 : 元氣(원기)는 腎에서 형성되고 三焦(삼초)를 통해 經絡系統(경락계통)과 腠理(주리)사

이 를 순행 하는데 안으로는 六臟六腑(육장육부)와 四肢百骸(사지백해) 밖으로는 皮

膚(피부, 肌膚)에 이르기까지 인체의 각 부분에 작용한다.

機能 : 元氣(원기)는 인체의 生長發育(생장발육)을 추동하고 장부와 경락등 조직기관을 溫和

(온 화)시키고 激發(격발)시키는 원동력이며 인체의 生命活動(생명활동)을 유지하는

기본물 질이다.


⑵ 宗氣(종기)

종기는 가슴에 모인 氣인데 종기가 모인 곳을 “氣海(기해)” 또는 “膻中(전중)”이라고 한다.

《靈樞·五味》에서는 “搏動(박동)하면서 흐르지 않는 大氣(대기)가 모이는데 그곳을 氣海(기

해) 라고 한다.”고 했다.

① 構成(구성) : 宗氣(종기)는 肺(폐)가 자연계에서 흡수한 淸氣(청기)와 脾胃가 음식물 가운

데 서 운화를거쳐 생성한 水谷(수곡)의 精氣(정기)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

이다. 따라서 肺(폐)의 호흡기능 및 脾胃(비위)의 운화기능은 宗氣(종기)의 盛衰(성쇠)에

영향을 미 친다.

② 分布(분포) : 胸部(흉부, 가슴)에 모인 종기는 心臟(심장)과 肺臟(폐장)의 혈맥에 들어간 뒤

위로 “肺에서 나와 咽喉(인후)에 순환하기 때문에 날숨(呼氣)을 쉬면 나가고,

들숨(吸氣)을 쉬면 들어오며” 心脈(심맥)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 丹田(단전)에 모였다가 足

陽 明(족양명)의 氣街(기가, 배의 股滿部位(고만부위)를 통해서 足으로 내려간다.《類經·

針刺類· 解結推引》에 의하면 《靈樞·邪客》에서 “종기는 胸中(흉중)에 모였다가 목으로

나오는데 心 脈(심맥)을 관통하면서 호흡을 시킨다.”고 했고,

《靈樞·刺節眞邪》에서는 또 “宗氣(종기)는 海(해)에 모였다가 아래로는 氣街(기가)에 들어

가고 위로는 息道(식도, 氣道)로 빠진다.”고 했다.

③ 機能(기능) : 宗氣(종기)의 주요 기능은 두 가지가 있다.

㉠ 息道(식도)로 빠지면서 呼吸(호흡)을 시킨다. 때문에 呼吸(호흡), 言語(언어), 音聲(음

성)의 강약은 모두 宗氣(종기)의 盛衰(성쇠)와 관련이 있다.

㉡ 心脈(심맥)을 貫通(관통)하면서 氣血(기혈)을 돕는다.

기혈의 운행, 四肢(사지)와 몸의 寒 溫(한온)과 活動機能(활동기능), 視覺(시각), 聽覺

(청각) 등의 感覺能力(감각능력), 맥박의 강약과 節律(절율) 등은 모두 宗氣(종기)의 盛

衰(성쇠)와 관련된다.

그래서 《素問·平人氣 象論》에서는 “胃의 大絡(대락)을 虛里(허리)라고 하는데 膈膜(격

막)을 관통하여 肺에 이른다. 좌측 유방아래 옷이 들먹이는 것은 脈(맥)의 宗氣(종기)

이다. 숨을 헐떡이면서 자주 멎는 것은 中焦(중초)에 병이 든 것이고. . . 그것이 멎으면

죽는 것이며, 유방아래 옷이 들먹이는 것은 宗氣(종기)가 빠지는 것이다.“라고 했다.

이것은 宗 氣(종기)가 심장의 搏動(박동)을 추동하고 心律(심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

고 있다는 것 을 잘 설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임상에서는 항상 ”虛里(허리)부분의 박동

상황과 맥상으로 宗氣(종기)기의 성쇠를 알아내도록 한다.

小結(소결)

形成 : 肺가 자연계로부터 吸收(흡수)한 淸氣(청기)와 脾胃가 형성시킨 水谷精微(수곡정미)

가 胸部(흉부)에서 결합되어 형성된것이 宗氣(종기)다.

分布 : 宗氣(종기)는 흉부에 集結(집결)되고 肺의 宣發機能(선발기능)에 의해 喉頭(후두)로

나 와 心脈(심맥)으로 들어가며, 肺의 肅降機能(숙강기능)에 의해서 丹田(단전)에 저

장되 고 氣街(기가)를 통하여 足陽明經(족양명경)으로 들어간다.

機能 : 宗氣(종기)는 肺의 呼吸運動(호흡운동)을 촉진하고 氣血(기혈)을 運行(운행)시키며 心

氣(심기)를 협조하여 심맥의 搏動(박동)을 推動(추동)하고 心律(심율)을 조절하며 三

焦 (삼초)의 傳送(전송)을 방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임상에서는 심장박

동 의 끝 부분에 해당되는 곳이고 또한 胃의 大絡(대락)이기도한 “虛里(허리)” 부분의

박동상황과 脈象(맥상)으로 宗氣(종기)의 성쇠를 알아낸다.

한편 종기는 喉頭(후두)를 나오므로 言語(언어)의 강약과도 관계가 된다.


⑶ 營氣(영기)

營氣(영기)란 血(혈)과 함께 脈管(맥관) 속을 운행하는 氣를 말한다. 營氣(영기)는 營養(영양)

이 풍부하기 때문에 榮氣(영기)라고도 한다. 營(영)과 血(혈)의 관계는 대단히 밀접하다. "營

血(영 혈)은 區分(구분)할 수는 있어도 區別(구별)할 수는 없다." 즉 營(영)과 血(혈)의 차이는

인식할 수는 있으되 이 양자를 갈라놓을 수는 없는 것이다. 때문에 흔히 營血(영혈)이라고

幷称(병칭) 한다. 한편 營氣(영기)는 衛氣(위기)와 상대적(陰陽)으로 표현해서 陰(음)에 속하

기 때문에 또 “營陰(영음)”이라고도 한다.

① 構成(구성) : 營氣(영기)는 脾胃가 水谷(수곡)을 운화하여 얻은 精氣(정기)가 흉부에서 肺

의 호흡기능에 의하여 흡입한 자연의 淸氣(청기)와 결합해서 화생된 것이다.

《素問·痺論》에서 “營이란 水谷의 精氣이다. . . .”라고 하였다.

② 分布(분포) : 營(영)은 脈(맥)으로 들어가 혈액을 구성하고 전신을 운행하며 순환한다.

《素問·痺論》에서 “. . . 營(영)은 五臟六腑(六臟六腑)에 고루 퍼지고 또 脈(맥)

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營(영)은 脈(맥)을 따라 상하로 循環(순환)하면서 五臟(六臟)과 六

腑 (육부)를 꿰뚫는다.”고 하였다.

③ 機能(기능) : 營氣(영기)의 주요한 생리기능은 유기체의 營養(영양)을 돕고 血液(혈액)으

로 化生(화생)하는 두 가지 기능을 들 수 있다. 營氣(영기)는 수곡정미 중에

서 맑 은(精專(정전)) 성분으로 臟腑(장부), 經絡(경락) 등 조직기관의 생리활동에 필수적

영양물질 인 동시에 혈액을 구성하는 기본 물질이다. 《靈樞·邪客》에서는 “營氣(영기)는

분비하는 津 液(진액)을 脈(맥)에 넣어주어 血(혈)로 化生(화생)시키고 그 영양을 四末(사

말, 사지말단 즉 손끝과 발끝까지)과 五臟六腑(오장육부)에 넣어 준다.”고 하였다. 다시

말해서 영양을 전신 에 수송 분포 한다는 뜻이다.

小結(소결)

形成 : 營氣(영기)는 脾胃에서 형성된 水谷精微(수곡정미)가 胸部(흉부)에서 淸氣(청기)와 결

합하여 心脈(심맥)으로 들어가 營氣로 轉化(전화)된다.

分布 : 營氣(영기)는 中焦에서 나와 膈과 肺를 경과하여 經脈(경맥)에 들어간 후 14 경맥을 따

라 전신을 循行(순행)한다.

機能 : 營氣(영기)는 血을 산생시키고 전신을 영양하는 두 가지 機能을 가지고 있다. 수곡정

미 중에서 精專(정전, 맑은 부분) 부분은 영기의 주요 성분으로서 臟腑(장부), 經絡(경

락) 등 조직기관의 생리활동에 불가결한 영양물질인 동시에 혈액을 구성부분이 기도

하다.

그래서《靈樞·邪客》에서는 “營氣는 분비하는 津液을 脈에 넣어주어 血을 化生시키고,

그 영양의 四味를 五臟六腑에 넣어 준다”고 하였다.



⑷ 衛氣(위기)

衛氣(위기)란 脈管(맥관)의 밖을 운행하는 氣이다. 衛氣(위기)는 營氣(영기)와 상대적(陰陽)

으로 말해서 陽(양)에 속하기 때문에 “衛陽(위양)”이라고도 한다.

① 構成(구성) : 衛氣(위기) 역시 주로 水谷(수곡)의 精氣(정기)에서 化生(화생)된 것이다.

② 分布(분포) : 衛氣(위기)의 특성은 簾疾滑利(렴질활이)하다고 했다. 다시 말해서 衛氣(위

기)는 활동력이 특히 강하고 유동이 빠르다. 그러므로 脈管(맥관)의 속박을

받지 않고 脈管(맥관) 밖으로 흐르면서 皮膚(피부)와 分肉(분육)사이를 운행

하고, 盲膜(맹 막)을 따뜻하게(熏)하면서 胸腹(흉복)에 퍼진다.

③ 機能(기능) : 衛氣(위기)의 생리적 기능은 세 가지가 있다.

㉠ 肌表(기표)를 호위하여 外邪(외사)의 침습을 방어하는 것이고

㉡ 臟腑(장부), 肌肉(기육), 皮毛(피모) 등을 溫養(온양)하는 것이고

㉢ 腠理(주리)의 開合(개합)과 汗液(한액)의 排泄(배설)을 조절하고 통제함으

로써 체온을 상대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靈樞·本臟》에서는 “衛氣(위기)는 그래서 分肉(분육, 즉 膜과 膜으로 분리된 肌肉(기육)사

이)을 따뜻이 해주고 腠理(주리)를 두텁게 튼튼히 해주며, 그 개합을 통제한다.” “衛氣(위기)

가 和(화)하면 分肉(분육)이 解利(해리, 부드럽고)하고, 피부가 매끄럽고, 腠理(주리)가 치밀

하다.” 營氣(영기)와 衛氣(위기)가 生成(생성)된 원천은 모두 동일하게 水谷(수곡)의 精氣(정

기)이지만 “營氣(영기)는 맥 안에 있고, 衛氣(위기)는 맥 밖에 있다.”하였듯이 營氣(영기)는

주로 안을 지키기 때문에 陰(음)에 속하고, 衛氣(위기)는 주로 밖을 방어하기 때문에 陽(양)

에 속한다. 때문에 이와 같은 營衛(영위) 양자의 조화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어야 만이 腠理

(주리)의 정상적인 開合(개합), 체온유지, 外邪(외사)에 대한 방어능력 등을 확보할 수 있고,

낮의 精力(정력)과 밤의 睡眠(수면) 등을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에 營衛(영위)가 불화하면 당장

① 惡寒(오한)과 發熱(발열)이 나타나고,

② 汗液(한액)이 없거나 많으며,

③ 낮에 정력이 약하고,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며,

④ 外邪(외사)에 대한 방어력이 떨어진다.


小結(소결)

形成 : 衛氣(위기)는 脾胃에서 형성된 수곡정미가 化生(화생)된 것으로 肺의 肅降機能(숙강

기 능)에 의하여 활성이 강하고 신속히 流動(유동)되는 부분이 경맥 밖으로 분포되어

형 성된다.

分布 : 肺의 肅降機能(숙강기능)에 의해 脈(맥) 밖을 따라 순행하며 인체의 組織(조직)사이와

皮膚(피부) 등에 分布되고 體內로는 胸腹部(흉복부)에까지 분포된다. 衛氣(위기)는 인

체가 활동할 때에는 體表(체표)를 따라 흐르며, 人体(인체)가 休息(휴 식) 중에는 體內

(체내)를 따라 흐른다.

機能 : ① 피부표면을 보호하여 사기의 침범을 방지하는 것이고

② 장부를 溫和(온화)시키고 皮毛(피모)를 潤澤(윤택)시키는 것이며 腠理(주리)의 開

合(개합)을 공제하여 땀의 排泄(배설)과 體溫(체온)을 조절한다.

인체의 氣로는 상술한 4 가지 중요한 氣 즉 元氣(원기), 宗氣(종기), 營氣(영기), 衛氣(위기)이

며, 이외에 또 “臟腑(장부)의 氣”, “經絡(경락)의 氣” 등이 있다. 소위 장부의 기와 경락의 기란

사실 모두 元氣(원기)에서 파생된 것으로서 어떤 장부 또는 경락에 분포된 元氣(원기)가 곧

그 장부 혹 은 경락의 氣인데 그것은 인체의 원기의 일부분으로서 각 장부와 경락을 구성하

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이며 또한 각 장부와 경락의 생리활동의 진행을 추동하고 확보하는

물질적 기초가 되는 것이다.

東醫學(동의학)에서는 氣(기)에 대한 명칭이 이밖에도 매우 많다. 예를 들면 유기체가 음식

물에서 흡수한 영양물질을 “수곡의 精氣(정기)”라하고, 병을 유발하는 물질을 “邪氣(사기)”

라 하며, 체내의 비정상적인 水液(수액)을 “水氣(수기)”라 하고, 전반적으로 유기체의 생리기

능과 抗病(항병) 능력을 “正氣(정기)”라 하며, 中葯(중약)의 寒, 熱, 溫, 凉(한,열,온, 량)의 4 가

지 성질과 작용을 “四氣(사 기)”라 하는 등이다. 이로써 짐작하듯이 東醫學(동의학)에서 “氣”

는 때로는 “性質(성질)” 때로는 “機能(기능)” 때로는 “氣候(기후)” 등등 여러 가지 함의를 가지

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이 장에서 서술한 인체를 구성하는 기본 물질인 “氣”와는 구

별된다.

14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기초55 第八章 防治原則(방치원칙)

第八章一節 預防(예방) 豫防(예방)이란 일정한 조치를 취하여 질병의 발생과 발전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예방을 위주로 하는 것은 보건위생업무의 4대 방침의 하나다. 동서의학에서는 예방을 중시해 왔다. 일찍 《內經》에서 “병에 걸리기 전에 치료하는” 예방사업을 제기하고 “미연에 병을 예방”할 것을 강조하였다. 《素問 · 四氣調神大論》에서는 “聖人(성인)은

기초54 第七章七節 장부병기 3) 기항지부 공능실조

第七章七節 臟腑病機(장부병기) 3) 奇恒之腑的功能失調(기항지부적공능실조) ⑴ 腦的功能失調(뇌적공능실조) 腦(뇌)는 인체의 극히 중요한 기관으로써 인간의 精神(정신), 意識(의식), 思維活動(사유활 동)과 눈(眼)으로 보고, 귀(耳)로 듣고, 코(鼻)로 냄새를 맡으며, 혀(舌)로 맛(味)을 알고, 言語 (언어)롤 應答(응답)하며, 身体(신체)로 활동하는 것

기초53 第七章七節 장부병기 2) 육부적 공능실조

第七章 病機(병기) 7. 臟腑病機(장부병기) 2) 六腑的功能失調(육부적공능실조) 1) 膽的功能失調(담적공능실조) 膽囊(담낭)의 주요 생리적 기능은 膽汁(담즙)을 저장하고 排泄(배설)하여 脾(비)와 胃(위)의 運化機能(운화기능)을 돕는 것이다. 膽汁(담즙)은 肝(간)의 余氣(여기)에서 生成(생성)되고 膽 汁(담즙)의 分泌(분비)와 排泄(배설)은 肝(간)의 疏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