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진단36 / 4.3.5 신(腎)과 방광병(膀胱病) 변증(辨證)

Aktualisiert: 26. Juli 2019



4.3.5 신(腎)과 방광병(膀胱病) 변증(辨證)

腎(신)은 두 개가 한 쌍으로 腰部(요부) 左右(좌우)에 居處(거처)하고 있으며 膀胱(방광)과

經脈(경맥)을 통해 相互絡屬(상호락속)된 表里關系(표리관계)를 이루고 있다. 機能(기능)

으로는 腎(신)은 精(정)을 貯藏(저장)하고 부모로부터 이어 받은 生殖機能(생식기능)을 주

관 한다 하여 先天之本(선천지본)이라고도 称(칭)한다. 또 骨(골)을 주관하고 髓(수)를 산

생하여 腦(뇌)를 보충하고 영양하며 五体(오체, 六体)에서는 骨(골)과 배합되고 耳(이)에

開竅(개규)하며 榮華(영화)는 髮(발)에서 나타난다. 이외에 水液(수액)을 주관하고 納氣機

能(납기기능)이 있다. 膀胱(방광)은 尿液(뇨액)을 貯藏(저장)하고 排泄(배설)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腎(신)은 元陰(원음,眞陰)과 元陽(원양,眞陽)을 저장하고 인체의 生長發育(생

장발육)과 臟腑(장부) 기능활동의 근본으로서 元陰(원음) 혹은 元陽(원양)이 소모되면 각

장부에 모두 發病(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끝임 없는 보충을 수행해야하는 腎(신)

은 주로 虛證(허증)이 유발 될 수 있다.

腎病(신병)으로 주로 나타나는 證候(증후)들로는 腎陽虛(신양허), 腎陰虛(신음허), 腎精不

足(신정부족), 腎氣不固(신기불고), 腎不納氣(신불납기) 등이 있고 膀胱(방광)에는 濕熱證

(습열증)이 주로 많이 나타난다.

腎病(신병)의 常見症狀(상견증상)으로는 腰膝(요슬)이 酸軟(산연)하고 痠痛(산통)이 일고

耳鳴耳聾(이명이농)하며 毛髮(모발)이 早白脫髮(조백탈발)하고 齒牙(치아)가 動搖(동요)

하며 陽萎(양위)가 생기고 遺精(유정)하며 精量(정량)이 부족해서 不育(불육)하거나 婦女

(부녀)의 經量(경량)이 적거나 經閉(경폐)가 생기고 水腫(수종), 二便異常(이변이상) 등이

있을 수 있다. 膀胱病(방광병)의 常見症狀(상견증상)으로는 尿頻(뇨빈), 尿急(뇨급), 尿痛

(뇨통), 尿閉(뇨폐)와 遺尿(유뇨), 小便失禁(소변실금) 등 주로 排尿異常(배뇨이상)을 볼

수 있다.


⑴ 신양허(腎陽虛)

腎陽虛證(신양허증)은 腎臟(신장)의 陽氣(양기)가 虛弱(허약)하여 나타나는 證候(증

후)이다. 일반적으로 素体(소체)가 陽(양)이 弱(약)하거나 高齡(고령)으로 腎(신)이 虛

衰(허쇠)하거나 혹은 久病(구병)으로 腎(신)을 傷(상)하였거나 房勞(방노)가 過度(과도)

하여 腎精(신정)을 傷(상)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임상(臨床) : 면색황백(面色晄白) 혹 여흑(黧黑), 요슬산냉(腰膝酸冷), 우이(尤以) 하지

위심(下肢爲甚), 신피핍력(神疲乏力), 남자양위(男子陽萎), 조설(早泄), 정

냉(精冷), 여자(女子) 궁한불잉(宮寒不孕), 성욕감퇴(性欲减退), 혹견(或見) 변사희당

(便瀉稀溏), 오경설사(五更泄瀉), 혹 소변빈삭(小便頻數), 청장(淸長), 야뇨다(夜尿多),

설담(舌淡), 태백(苔白), 맥침세무력(脈沉細无力) 척부우심(尺部尤甚).

분석(分析) : 腎陽虛證(신양허증)은 全身(전신)의 機能(기능)이 低下(저하)되고 寒象(한

상)을 겸한 것을 辨證要点(변증요점)으로 한다. 腰部(요부)는 腎(신)이 들

어 있는 곳이며 腎(신)은 骨(골)을 주관하므로 腎陽(신양)이 虛衰(허쇠)하면 腰部(요부)

와 骨骼(골격)을 溫養(온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腰膝(요슬)이 酸軟(산연)하고 疼痛(동

통)이 나며 肌膚(기부)를 溫煦(온후)하지 못하므로 畏寒肢冷(외한지냉)하게 된다. 腎

(신)은 下焦(하초)에 자리 잡고 있는데 腎陽(신양)이 부족하면 陰寒(음한)이 下部(하부)

에서 더욱 甚(심) 해지므로 足(발)이 찬 症狀(증상)이 보다 명확하다. 陽氣(양기)가 부

족하여 心神(심신)을 흥분시키지 못하므로 精神(정신)이 萎靡(위미)하다. 氣血運行(기

혈운행)이 무력하여 위로 面部(면부)를 영양하지 못하므로 面色(면색)이 희(白)고 腎陽

(신양)이 극도로 虛衰(허쇠)하여 濁陰(탁음)이 피부에 퍼지므로 面色(면색)은 어둡고

광택을 잃게 된다. 舌(설)이 淡胖(담반)하고 苔(태)가 희며 脈(맥)이 沉弱(침약)한 것은

모두 腎陽(신양)이 虛衰(허쇠)하고 氣血運行(기혈운행)이 无力(무력)함을 나타낸다.

精(정)은 生殖機能(생식기능)을 주관하는데 腎陽(신양)이 부족하고 命門火(명문화)가

쇠약해지면 생식기능이 減退(감퇴)됨으로 남자는 陽萎(양위)가 생기고 여자는 子宮

(자궁)이 寒(한)하여 임신하지 못한다. 命門(명문)의 火(화)가 쇠약하여 火不生土(화불

생토)하면 脾(비)의 運化機能(운화기능)이 失調(실조)되므로 泄瀉(설사)가 오래 멎지

않거나 충분히 소화되지 않은 大便(대변)을 보거나 五更泄瀉(오경설사)가 생긴다. 腎

陽(신양)이 부족하면 膀胱(방광)의 氣化機能(기화기능)이 장애되고 水液(수액)이 內停

(내정)어 肌膚(기부)로 넘쳐 나오므로 水腫(수종)이 발생한다. 水液(수액)은 아래로 흐

르는 성질이 있는데 腎(신)은 下焦(하초)에 자리 잡고 있으므로 허리 아래로 水腫(수

종)이 심하고 누르면 凹陷(요함)하나 속히 일어나지 못한다. 水濕(수습)이 泛濫(범람)

하면 氣機(기기)를 阻滯(조체)하며 腹部(복부)가 脹滿(창만)하고 水氣(수기)가 心(심)을

침범하면 心陽(심양)이 損傷(손상)되므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해지며 上逆(상역)

해서 肺(폐)를 침범하면 肺(폐)의 宣發肅降(선발숙강) 기능이 실조되므로 咳嗽(해수)가

나고 氣喘(기천)이 생긴다.

⑵ 신음허(腎陰虛)

腎陰虛證(신음허증)은 腎臟(신장)의 陰液(음액)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證候(증후)이다.

일반적으로 久病(구병)으로 腎(신)을 傷(상)하거나 稟賦(품부)가 부족하거나 房室(방

실)이 過度(과도)하거나 溫燥(온조)한 葯(약)을 過服(과복)하여 陰液(음액)을 損傷(손

상)함으로 발생된다.

임상(臨床) : 요슬산연이통(腰膝酸軟而痛), 현운이명(眩暈耳鳴), 치송발탈(齒松發脫),

남자유정(男子遺精), 조설(早泄), 여자경소(女子經少) 혹 경폐(經閉), 혹견

(或見) 붕루(崩漏), 실면(失眠), 건망(健忘), 구인간조(口咽干燥), 오심번열(五心煩熱),

조열도한(潮熱盜汗), 혹 골증발열(骨蒸發熱), 오후권홍(午后顴紅), 형체소수(形体消

瘦), 소변황소(小便黃少), 설홍소진(舌紅少津), 소태혹무태(少苔或无苔), 맥세삭(脈細

數).

분석(分析) : 腎陰虛證(신음허증)은 腎病(신병)의 주요한 증상과 陰虛內熱證(음허내열

증)이 함께 나타나는 것을 診斷(진단)의 근거로 한다. 腎陰(신음)이 부족

하면 骨髓(골수)가 모자라고 骨(골)이 영양을 보충 받지 못하면 腰膝(요슬)이 酸軟(산

연)하고 아프며 腦海(뇌해,髓海)를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頭暈(두운)하고 耳鳴(이명)한

다. 心(심)과 腎(신)은 水火(수화)가 旣濟(기제)하는 關系(관계)로서 腎水(신수)가 虧虛

(휴허)하면 心火(심화)가 失濟(실제)하여 心火(심화)가 亢盛(항성)되므로 心腎(심신)이

안정되지 못하여 失眠(실면)하고 多夢(다몽)하며 相火(상화)가 妄動(망동)하면 陽(양)

이 强(강)하여 쉽게 勃起(발기)하고 君火(군화)가 精室(정실)을 요란 시키므로 遺精(유

정)이 나타난다.

婦女(부녀)에게 血液(혈액)은 매우 중요한 작용이 있는데 陰(음)이 부족하여 經脈(경

맥)의 來源(래원)이 부족하므로 월경 량이 적어지거나 없어지며 陰(음)이 虛(허)하여

陽(양)이 亢盛(항성)하고 虛熱(허열)이 血(혈)을 逼迫(핍박)하면 崩漏(붕루)가 나타난

다. 腎陰(신음)이 虧虛(휴허)하고 虛熱(허열)이 內生(내생)하므로 形体消瘦(형체소수),

潮熱盜汗(조열도한), 五心煩熱(오심번열), 咽干顴紅(인간권홍), 溲黃便干(수황변간)

등 症狀(증상)이 나타나며 舌紅少苔(설홍소태)하고 脈(맥)은 細數(세삭)하다.

⑶ 신정부족(腎精不足)

腎精不足證(신정부족증)은 腎精(신정)이 虧損(휴손)되서 나타나는 證候(증후)이다. 일

반적으로 稟賦(품부)가 부족하거나 선천적으로 발육이 좋지 못하거나 혹은 后天的

(후천적) 營養(영양)이 失調(실조)되거나 혹은 房室(방실)이 過度(과도)하거나 久病(구

병)으로 腎(신)을 傷(상)한 등 원인에 의해 이루어진다.

임상(臨床) : 소아발육지완(小兒發育遲緩), 신체왜소(身体矮小), 신문지폐(囟門遲閉),

지력저하(智力低下), 골격위연(骨骼痿軟), 동작지둔(動作遲鈍); 남자(男

子) 정소불육(精少不育), 여자(女子) 경폐불잉(經閉不孕), 성기능저하(性機能低下); 성

인조쇠(成人早衰), 이명이농(耳鳴耳聾), 건망황홀(健忘恍惚), 양족위연(兩足痿軟), 발

탈치요(發脫齒搖), 신정매둔(神情呆鈍), 설담(舌淡), 맥세삭(脈細數).

분석(分析) : 腎精不足證(신정부족증)은 生作發育(생작발육)이 늦어지고 生殖機能(생

식기능)이 감퇴되고 早衰(조쇠)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辨證依据(변증의

거)로 한다. 腎(신)은 精(정)을 저장하고 生殖機能(생식기능)을 주관하는 生長發育(생

장발육)의 근본이다. 腎精(신정)이 부족하면 骨髓(골수)와 血(혈)을 산생시키지 못하고

뼈를 영양하지 못하면 특히 신생아의 발육이 늦어지고 키가 작다. 腦(뇌)를 보양하지

못하면 智力(지력)이 낮고 動作(동작)이 영활하지 못하고 精(정)과 髓(수)의 부족으로

골격을 영양하지 못하면 發育(발육)이 늦어지고 腦門(뇌문) 즉 囟門(신문)이 늦게 닫힌

다. 腎精(신정)은 生殖機能(생식기능)을 주관하므로 腎精(신정)이 부족하면 남자는 精

液(정액)이 적어 不育(불육)하고 여자는 經閉(경폐)로 임신하지 못하며 性機能(성기능)

이 減退(감퇴)된다. 腎(신)의 기능여하는 머리카락에서도 반영된다. 예를 들어 腎精(신

정)이 부족하면 머리카락이 자라지 않고 쉽게 빠진다. 齒牙(치아)는 골격의 한 부분으

로써 精氣(정기)의 充養(충양)을 받지 못하면 흔들리고 심지어 일찍이 빠진다. 耳(이)

는 腎(신)의 竅(규)이고 腦(뇌)는 髓海(수해)로써 精髓(정수)가 부족하면 腦海(뇌해)가

空虛(공허)하게 되므로 耳鳴耳聾(이명이농)과 健忘症(건망증)이 생긴다.

精(정)이 充足(충족)하여야만 筋骨(근골)이 튼튼해지고 動作(동작)이 영활하다. 精(정)

이 소모되면 筋骨(근골)이 영양 받지 못하여 피로해지고 동작이 영활하지 목하며 下肢

(하지)에 힘이 줄어든다. 腎精(신정)이 衰竭(쇠갈)하면 腦(뇌)를 영양하지 못하므로 精

神(정신)이 聰明(총명)하지 못하다.

⑷ 신기불고(腎氣不固)

腎氣不固證(신기불고증)은 腎氣(신기)가 부족하여 固攝機能(고섭기능)이 失調(실조)

되서 나타나는 證候(증후)이다. 일반적으로 腎氣(신기)가 虧虛(휴허)하거나 어린아이

들이 腎氣(신기)가 충실하지 못하거나 혹은 房事(방사)가 過度(과도)하거나 久病(구병)

으로 腎(신)을 損傷(손상)하는 등에 의해 형성된다.

임상(臨床) : 요슬산연(腰膝酸軟), 신피핍력(神疲乏力), 이명실총(耳鳴失聰), 소변빈삭

이청(小便頻數而淸), 혹 뇨후여력부진(尿后余瀝不盡), 혹 유뇨(遺尿), 혹

야뇨빈다(夜尿頻多), 혹 소변실금(小便失禁), 남자(男子) 활정(滑精), 조설(早泄), 여자

(女子) 월 경임리부진(月經淋漓不盡), 혹 대하청희이량다(帶下淸稀而量多), 혹 태동이

활(胎動易滑), 설담(舌淡), 태백(苔白), 맥약(脈弱).

분석(分析) : 腎氣不固證(신기불고증)은 腎(신)과 膀胱(방광)의 固攝(고섭) 기능이 실

조되어 나타나는 증상을 辨證要点(변증요점)으로 한다. 腎氣(신기)가 부

족하므로 機能活動(기능활동)이 減退(감퇴)되고 氣血(기혈)이 위로 耳(이)를 영양하지

못하므로 聽力(청력)이 감퇴되고 骨骼(골격)이 腎氣(신기)의 溫養(온양)을 받지 못하므

로 腰膝(요슬)이 酸軟(산연)하고 无力(무력)해 진다.

腎(신)과 膀胱(방광)은 表里關系(표리관계)로써 腎氣(신기)가 虛弱(허약)하면 膀胱(방

광)의 氣化機能(기화기능)이 따라서 실조되므로 小便次數(소변차수)가 많아지고 尿液

(뇨액)이 맑다. 甚(심)하면 小便(소변)을 失禁(실금)한다. 이같이 排尿機能(배뇨기능)이

무력해 지므로 소변을 본 후에도 계속 尿漏(뇨루) 증상이 나타난다. 만일 腎氣(신기)가

충실하지 못하면 腦髓(뇌수)가 부족해져서 元神(원신)의 정상적 작용이 실조되므로

어린이들과 稟賦(품부)가 부족한 청소년들에게 遺尿(유뇨)하는 현상이 다수 나타난

다. 밤에는 陰氣(음기)가 盛(성)하고 陽氣(양기)가 衰弱(쇠약)하므로 腎氣(신기)가 부족

한 者(자)는 밤에 소변차수가 늘어난다. 腎(신)이 精(정)을 貯藏(저장)하는 기능은 腎氣

(신기)의 固攝作用(고섭작용)에 의거한다. 腎氣(신기)가 精液(정액)을 固攝(고섭)하지

못하면 精液(정액)이 外泄(외설)되는데 따라서 滑精(활정) 혹은 早泄(조설)이 생기며

帶脈(대맥)을 固攝(고섭)하지 못하면 帶下(대하)가 淸稀(청희)하고, 任脈(임맥)을 영양

하지 못하면 胎氣(태기)가 온정될 수 없어 쉽게 流産(유산)된다. 舌淡苔白(설담태백)하

고 脈(맥)이 沉弱(침약)한 것은 腎氣(신기)가 虛衰(허쇠)한 徵象(징상)이다.

⑸ 신불납기(腎不納氣)

腎不納氣證(신불납기증)은 腎氣(신기)가 虛衰(허쇠)해져서 元氣(원기)를 받아들이지

못해 나타나는 徵候(징후)이다. 일반적으로 오랜 咳嗽(해수)와 肺虛(폐허)로 인해 腎

(신)을 損傷(손상)시키거나 지나친 疲勞(피로)로 腎氣(신기)의 損傷(손상)에 의해 형성

된다.

임상(臨床) : 咳喘(해천)이 장기간 지속되고 숨을 내쉬기(呼氣)는 하지만 들이 쉬기(吸

氣)가 힘들어 숨이 차고 動(동)하면 더욱 심해지고 自汗(자한)하고 疲勞

(피로)해 하며 목소리가 낮고 腰膝(요슬)이 酸軟(산연)하며 舌淡苔白(설담태백), 脈(맥)

은 沉弱(침약)하다. 혹은 喘息(천식)이 심해지고 식은땀을 줄줄 흘리며 四肢(사지)가

차고 면색이 푸르고 脈(맥)은 浮大(부대)하나 无根(무근)하다. 혹은 숨이 짧고, 面赤心

煩(면적심번)하고 口咽(구인)이 干燥(간조)하며 舌(설)이 붉고 脈(맥)이 細數(세삭)하

다.

분석(分析) : 腎不納氣證(신불납기증)은 咳喘(해천)이 오래 지속되고 呼氣(호기)는 수

월하나 吸氣(흡기)는 힘들고 숨이 차고 움직이면 더욱 심해지며 肺腎氣虛

證(폐신기허증)이 나타나는 것을 辨證要点(변증요점)으로 한다.

腎(신)이 虛(허)하면 納氣(납기)가 힘들어 지므로 숨을 내쉬기는 수월하나 들이쉬기가

바빠져서 숨이 차며 움직면 더욱 甚(심)해 진다. 骨骼(골격)이 영양을 받지 못하므로

허리와 무릎(腰膝)이 시큰시큰 하고 힘이 빠져 나른해 진다. 肺氣(폐기)가 虛(허)하면

体表(체표)를 固攝(고섭)하지 못하므로 自汗(자한)이 나고 기능활동이 감퇴됨으로 정

기가 부족하고 말소리가 낮다. 舌淡苔白(설담태백)하고 脈(맥)이 沉弱(침약)한 것은 氣

虛(기허)의 徵象(징상)이다. 만일 陽氣(양기)가 虛衰(허쇠)하고 外脫(외탈)하면 喘息(천

식)이 심해지며 식은 땀을 줄줄 흘리며 四肢(사지)가 冷(냉)하고 面色(면색)이 파랗고,

虛陽(허양)이 外浮(외부)하면 脈(맥)이 浮大(부대)하고 无根(무근)하다. 陰陽(음양)은

相互依存(상호의존)하는 것으로써 腎氣(신기)가 부족하면 陰(음)을 損傷(손상)시킨다.

陰(음)이 虛(허)한 때에는 氣陰兩虛證(기음양허증)이 나타난다. 腎(신)이 虛(허)하여 氣

(기)를 받아들이 못하면 숨이 차고 陰(음)이 虛(허)하여 內熱(내열)이 산생되면 虛熱(허

열)이 上炎(상염)하여 面赤心煩(면적심번)하고 咽干口燥(인간구조)하며 舌(설)이 붉고

脈(맥)이 細數(세삭)한 것은 陰虛內熱之象(음허내열지상)이다.



⑹ 방광습열(膀胱濕熱)

膀胱濕熱證(방광습열증)은 膀胱(방광)에 濕熱(습열)이 蘊結(온결)되어 나타나는 것이

다. 濕熱(습열)을 感受(감수)하거나 或(혹)은 飮食不節(음식불절)로 濕熱(습열)이 內生

(내생)하여 膀胱(방광)을 침습해서 일으킨 證象(증상)이다.

證候(증후) : 뇨빈뇨급(尿頻尿急), 소복창통(小腹脹痛), 뇨도작통(尿道灼痛), 소변황적

단소(小便黃赤短少), 혹 혼탁(渾濁), 혹 뇨혈(尿血), 혹유(或有) 사석(砂石),

가반유발열(可伴有發熱), 요부창통(腰部脹痛), 설홍(舌紅), 태황니(苔黃膩), 맥활삭(脈

滑數).

分析(분석) : 膀胱濕熱證(방광습열증)은 尿頻(뇨빈), 尿急(뇨급), 尿痛(뇨통), 尿黃(뇨황)

등 症狀(증상)을 辨證要点(변증요점)으로 한다. 濕熱(습열)이 膀胱(방광)

을 침습하여 熱(열)이 尿道(뇨도)를 압박하므로 小便次數(소변차수)가 잦고 급하며 灼

熱疼痛感(작열동통감)이 있고 濕熱(습열)이 內蘊(내온)해서 膀胱(방광)의 氣化機能(기

화기능)이 실조되므로 소변이 적고 黃赤色(황적색)을 띠며 小腹(소복)이 脹悶(창민)하

다. 濕熱(습열)이 鬱蒸(울증)하면 熱(열)이 体表(체표)로 침습하여 열이 나고 腎臟(신

장)에 미치면 허리가 아프고 陰絡(음락)을 灼傷(작상)하면 尿血(뇨혈)이 생기는 것이

다. 또한 濕熱(습열)이久鬱不解(구울불해)하면 소변 안에 雜質(잡질)을 달여 砂石(사

석)을 형성하므로 소변을 통해 砂石(사석)이 나온다. 舌(설)이 붉고 苔(태)가 黃膩(황

니)하며 脈(맥)이 數(삭)한 것은 濕熱(습열)이 內蘊(내온)한 徵象(징상)이다.

15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진단41 附錄(부록) 舌苔圖譜(설태도보)

附錄(부록) 舌苔圖譜(설태도보) 一. 舌診(설진)의 原理(원리) 二. 舌診(설진)의 臨床意義(임상의의) 1. 正氣盛衰(정기성쇠)의 判斷(판단) 2. 病位(병위)의 深淺(심천)을 分辨(분변) 3. 病邪(병사)의 性質(성질)을 區別(구별) 4....

진단40 / 4.6 삼초변증(三焦辨證)

4.6 삼초변증(三焦辨證) 4.6.1 삼초변증(三焦辨證)의 개념(槪念) 4.6.1.1 상초변증(上焦辨證) 4.6.1.2 중초변증(中焦辨證) 4.6.1.3 하초변증(下焦辨證) 4.6.2 삼초병(三焦病)의...

진단39 / 4.5 위기영혈(衛氣營血辨證)

4.5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 4.5.1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의 개념(槪念) 4.5.1.1 위분증후(衛分證候) 4.5.1.2 기분증후(氣分證候) 4.5.1.3 영분증후(營分證候) 4.5.1.4 ...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