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진단23 / 2.4.1.6 상사맥(相似脈)의 감별(鑒別)

Aktualisiert: 23. Juli 2019


2.4.1.6 상사맥(相似脈)의 감별(鑒別)

2.4.1.7 상반맥(相反脈) 附 - 대거법(對擧法)

2.4.1.8 괴맥(怪脈)


2.4.1.6 상사맥(相似脈)의 감별(鑒別) 135

이미 소개한 맥들은 비슷한 맥이 많으므로 혼돈되기 쉽다. 때문에 예로부터 맥상의 감

별을 중요시 해왔다. 예를 들어 왕숙화(王淑和)는 상류맥상(相類脈象)의 개념을 제출하

였고 이시진(李時珍)은 상세한 맥가(脈歌)를 썼으며 서령태(徐靈胎)는 맥상을 감별하는

상세한 방법을 제출하였다. 즉 비류법(比類法, 비슷한 맥을 비교)과 대거법(對擧法, 상

대되는 맥)을 내놓았는데 이들은 맥상을 비교하는 좋은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상사맥(相似脈)의 감별

① 부맥(浮脈)과 허, 규, 산맥(虛,芤,散脈) :

이 4가지 맥은 매우 비슷하며 피부 표면에 자리 잡고 있다. 부동한 점으로는 부맥은

가볍게 눌러도 잘 짚이고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지만 속은 비지 않으며 맥의 크기도

적당하다. 그러나 허맥(虛脈)인 경우는 맥이 크지만 무력하며 힘주어 누르면 공허

(空虛)하고, 규맥(芤脈)은 부대(浮大)하고 무력하며 파를 누르는 것처럼 중간층이 공

허하고, 산맥(散脈)은 무력하고 맥의 끝(根)을 알 수 없으며 조금만 힘을 주어도 맥

기가 흩어져서 짚이지 않는다.

② 침맥(沉脈)과 복, 뢰맥(伏,牢脈) :

이 3가지 맥은 모두 심부(深部)에 자리잡고 있으며 가볍게 눌러서는 모두 짚이지 않

는다. 부동점(不同点)은 침맥(沉脈)은 힘주어 누르면 짚이나, 복맥(伏脈)은 침맥보다

더욱 깊고 근골에 붙어있으므로 뼈 틈 사이까지 꾹눌러야 짚이며 심한 경우는 짚이

지 않는 때도 있다. 뢰맥(牢脈)은 침취(沉取)하면 실, 대, 현, 장(實,大,弦,長)하며 이동

하지는 않는다.

③ 지맥(遲脈)과 완맥(緩脈) :

한 번 호흡하는 사이에 지맥(遲脈)은 4번 이하를 뛰는 것이고, 완맥(緩脈)은 지맥보

다 좀 빠르게 4번을 뛰지만 느리고 힘이 있는 것이다.

④ 삭맥(數脈)과 활, 질맥(滑,疾脈) :

활맥(滑脈)과 삭맥(數脈)은 비슷하다. 활맥은 맥이 순조롭고 원활하여 삭맥(數脈) 같

으나 활맥은 형태와 력량을 가리키고, 삭맥(數脈)은 차수를 가리키며 한 번 호흡하

는 사이에 5번 이상 뛴다. 질맥(疾脈)은 삭맥(數脈)보다 더 발리 7~8번 뛰는 것으로

매분간 140차 이상 뛰는 것을 가리킨다.

⑤ 실맥(實脈)과 홍맥(洪脈) :

맥은 모두 충실하고 유력하지만 홍맥(洪脈)은 파도와 같이 온 손가락 끝에 짚이며

오는 맥이 강하고 가는 맥이 약해지며 가볍게 눌러도 잘 짚이는 맥이다. 그어나 실

맥(實脈)은 길고 크며 견실하고 맥이 힘이 있는데 누르는 힘이 크거나 작거나 한가

지며 오고갈 때 모두 왕성한 것이다.

⑥ 세맥(細脈)과 미, 약, 유맥(微,弱,濡脈) :

이 4가지 맥은 모두 맥의 형태가 세소(細小)하고 연약(軟弱)하며 무력(无力)하다. 그

러나 3맥은 세소(細小)하지만 똑똑히 짚이는 것이고, 미맥(微脈)은 가늘고 연한 것

으로 맥이 사라질 듯하고 차수와 형태가 똑똑하지 못한 것이며, 약맥(弱脈)은 침세

하고 무력하며, 유맥(濡脈)은 부세(浮細)하고 무력한 것으로 맥위(脈位)가 약맥(弱

脈)과 반대되며 가볍게 눌러야 짚이며 힘주어 누르면 도리어 짚이지 않는 것이다.

⑦ 규맥(芤脈)과 혁맥(革脈) :

이 두 맥은 모두 속이 빈 것 같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규맥(芤脈)은 파를 누르는

것처럼 부대(浮大)하고 무력하면서 중간이 빈 감을 주며 맥관이 연결을 형성하고,

혁맥(革脈)은 북 가죽을 누르는 것처럼 부대하고 겉이 뜬뜬하면서 속이 빈 감을 주

는데 맥관이 비교적 굳은 감을 준다.

⑧ 현맥(弦脈)과 장, 긴맥(長緊脈) :

현맥(弦脈)과 장맥(長脈)은 비슷하다. 그러나 장맥(長脈)은 맥의 위치를 초과하여 장

대처럼 길고 긴장하지 않은 것이고, 현맥(弦脈)은 가야금 줄을 누르는 것처럼 긴장

되었으나 뺑뺑하지는 않은데 긴맥(緊脈)은 뺑뺑하게 꼬인 줄을 누르는 것처럼 긴장

한다. 맥의 형태에서는 긴맥(緊脈)이 현맥(弦脈)보다 크다.

⑨ 단맥(短脈)과 동맥(動脈) :

모두 짧은 맥이다. 그러나 단맥(短脈)은 짧은 동시에 삽(澁)하고, 지맥(遲脈)과 겹칠

때가 많다. 동맥(動脈)은 콩알이 구르는 것 같은데 흔히 활맥(滑脈)과 유력한 맥하고

겹친다.

⑩ 결, 대, 촉맥(結,代,促脈) :

모두 맥이 때로 멎는 것이 공통된 특징이다. 그러나 촉맥(促脈)과 결맥(結脈)은 규율

이 없이 멎고 멎는 간격이 짧으며 대맥(代脈)은 규율적으로 멎으며 멎는 시간이 비

교적 길다. 촉맥(促脈)과 결맥(結脈)은 규율없이 맥이 멎으며, 촉맥(促脈)은 빠르고

결맥(結脈)은 늦는 것이다.


2.4.1.7 상반맥(相反脈) 附 - 대거법(對擧法)

① 부맥(浮脈)과 침맥(沉脈) :

맥이 나타나는 부위가 상반되는 맥상이다. 부맥(浮脈)은 얕고 가볍게 눌러도 짚이

며 표증을 나타내고 양(陽)에 속한다. 침맥(沉脈)은 깊고 가볍게 누르면 짚이지 않고

힘주어 눌러야만 짚이며 리증(里證)을 나타내고 음(陰)에 속한다.

② 지맥(遲脈)과 삭맥(數脈) :

맥박의 속도가 상반되는 맥상이다. 지맥(遲脈)은 정상보다 늦고 한 번 호흡하는 동

안에 4번 이하로 뛰지만, 삭맥(數脈)은 정상맥 보다 빠르고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

번 이상 뛰는 것이다. 지맥(遲脈)은 한증(寒證)을 나타내고, 삭맥(數脈)은 열증(熱證)

을 나타낸다.

③ 허맥(虛脈)과 실맥(實脈) :

맥박의 강약이 상반되는 맥상이다. 허맥(虛脈)은 삼부맥이 거, 안(擧,按)을 불문하고

모두 무력한 것이고, 실맥(實脈)은 삼부맥이 거, 안(擧,按)을 불문하고 모두 유력한

것이다. 각각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을 나타낸다.

④ 활맥(滑脈)과 삽맥(澁脈) :

맥의 순조로움이 상반되는 맥상이다. 활맥(滑脈)은 맥이 순조롭고 원활하지만 삽맥

(澁脈)은 맥이 어체되어 순조롭지 못하고 칼로 대나무를 긁은 감이 든다. 즉 손가락

끝 밑(指腹)이 평활(平滑)하지 못하다는 뜻이다.

⑤ 홍맥(洪脈)과 세맥(細脈) :

맥의 크기와 기세(氣勢)가 상반되는 맥상이다. 홍맥(洪脈)은 맥이 크고 충실하며 유

력하고 오는 맥이 왕성하고 가는 맥은 쇠약한데 세맥(細脈)은 맥이 실처럼 가늘고

작으며 연약하고 무력하지만 똑똑하게 짚이는 것이다.

⑥ 장맥(長脈)과 단맥(短脈) :

맥기(脈氣)의 장단(長短)이 상반되는 맥상이다. 장맥(長脈)은 맥기의 박동 범위가 본

위를 초과한 것이고 단맥(短脈)은 맥기의 박동범위가 본위에 미달하는 것이다.

⑦ 긴맥(緊脈)과 완맥(緩脈) :

맥의 긴장도가 상반되는 맥상이다. 긴맥(緊脈)은 뺑뺑한 줄을 누르는 것처럼 긴장하

고 유력한 것이고, 완맥(緩脈)은 완화하여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4번 뛰는 것이다.


2.4.1.8 괴맥(怪脈)

무릇 맥(脈)에 위, 신, 근(胃,神,根)이 없는 것은 괴맥(怪脈)이라 부르고 진장맥(眞臟脈),

패맥(敗脈), 사맥(死脈), 절맥(絶脈)이라고도 부른다. 병맥(病脈)의 후기, 장부의 기(氣)

가 쇠갈되고 위기(胃氣)가 패절(敗絶)한 병증에 나타난다. 원대(元代)의 위역림(危亦林)

이 쓴 《世醫得效方》에는 10가지 괴맥(怪脈)을 적었는데 이를 “십괴맥(十怪脈)”이라 불

렀다.후세의 의학가들은 10괴맥중에 x도( 刀), 전두(轉豆), 마촉(麻促)을 제외하여 남은

7가지를 “칠절맥(七絶脈)”이라 불렀다. 7절맥은 임상에서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맥의

형태와 임상의의를 소개한다.

① 부비맥(釜沸脈) :

맥이 체표로 나타나고 몹시 빠르고 가마에 물이 끓는 듯이 수없이 짤막짤막하게 뛰

는 맥이다. 삼음(三陰)의 열(熱)이 매우 심하고 음액(陰液)이 고갈(枯竭)된 증후(證候)

에 나타나며 절맥(絶脈)으로서 임종전의 맥상이다.

② 어상맥(魚翔脈) :

맥이 피부에 나타나고 고기가 물위에 떠서 꼬리를 치듯이 떨면서 뛰는 것이며 어떤

때는 없어진다. 이는 삼음(三陰)에 한(寒)이 몹시 심하여 양(陽)이 외설(外泄)되고 소

실(消失)되는 병증에 나타난다.

③ 하유맥(蝦游脈) :

새우가 물에서 놀듯이 맥이 피부에서 한번 힘 있게 왔다가 뚝 끊어지며 한 참 만에

다시 뛰는 맥으로 앞의 어상맥과 같이 조동(躁動)하는 맥상을 나타낸다. 고양(孤陽)

이 의존할 곳이 없어 조동불안(躁動不安)해 하는 증후에서 볼 수 있다.

④ 옥루맥(屋漏脈) :

비가 멎은 후 지붕처마에서 물이 한 참 만에 한 방울씩 떨어지듯이 살짬에서 이따금

한번씩 뛰는 맥이다. 이것은 위기(胃氣)와 영위(營衛)가 사라지는 증후(證候)이다.

⑤ 작탁맥(雀啄脈) :

참새가 모이를 쪼듯이 맥이 뼈짬에서 3~5번씩 규율이 없이 반복적으로 뛰는 맥이

다. 이는 비(脾)의 곡기(谷氣)가 없어졌음을 나타낸다.

⑥ 해삭맥(解索脈) :

노끈을 플어 헤친 것처럼 살짬에서 한때는 빨라지고, 한때는 늦어지며 규율이 없이

산란하게 뛰는 맥이다. 이는 신(腎)과 명문(命門)의 기가 망실(亡失) 되었음을 나타낸

다.

⑦ 탄석맥(彈石脈) :

근육(筋肉) 밑에서 뛰는 맥인데 돌멩이가 와서 치듯이 딱딱하게 지복(指腹)에 짚이

고 조금도 완화되는 기운이 없는 맥이다. 이는 위기(胃氣)가 이미 쇠갈(衰竭)된 맥상

이다. 이전의 문헌에 의하면 진장맥(眞臟脈)이 나타나면 치료할 수 없는 병으로 인

정되었으나 현대의 의학기술에서는 꼭 치료할 수 없는 병으로 보지 않는다. 즉 이러

한 맥들은 대부분 심율실상(心律失常)의 맥상으로써 보통 심장의 기질성병변(器質

性病變)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일부는 기능성 병변(機能性病變)) 때문에 기능

성적(機能性的)인 것을 제외한 괴맥(怪脈)의 출현은 질병이 엄중한 단계로 발전하였

음을 설명하고 있으나 모두 치료할 수 없는 질병이 아니므로 반드시 적극적인 치료

가 요구되는 것이다.

11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진단41 附錄(부록) 舌苔圖譜(설태도보)

附錄(부록) 舌苔圖譜(설태도보) 一. 舌診(설진)의 原理(원리) 二. 舌診(설진)의 臨床意義(임상의의) 1. 正氣盛衰(정기성쇠)의 判斷(판단) 2. 病位(병위)의 深淺(심천)을 分辨(분변) 3. 病邪(병사)의 性質(성질)을 區別(구별) 4. 病情(병정)의 進退(진퇴)를 推斷(추단) 三. 舌質(설질)과 舌苔(설태)의 關系(관계) 四. 舌診方法(설진방법) 및

진단40 / 4.6 삼초변증(三焦辨證)

4.6 삼초변증(三焦辨證) 4.6.1 삼초변증(三焦辨證)의 개념(槪念) 4.6.1.1 상초변증(上焦辨證) 4.6.1.2 중초변증(中焦辨證) 4.6.1.3 하초변증(下焦辨證) 4.6.2 삼초병(三焦病)의 전변규율(傳變規律) 4.6 삼초변증(三焦辨證) 청(淸)나라 오국통(吳鞠通)이 쓴《온병조변(溫病條辨)》에서 상, 중, 하(上中

진단39 / 4.5 위기영혈(衛氣營血辨證)

4.5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 4.5.1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의 개념(槪念) 4.5.1.1 위분증후(衛分證候) 4.5.1.2 기분증후(氣分證候) 4.5.1.3 영분증후(營分證候) 4.5.1.4 혈분증후(血分證候) 254 4.5.2 위기영혈(衛氣營血)의 전변규율(傳變規律) 4.5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 위기영혈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