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초38 第五章四節 기경팔맥

Aktualisiert: 16. Juli 2019




第五章四節 奇經八脈


奇經八脈(기경팔맥)은 任脈(임맥), 督脈(독맥), 冲脈(충맥), 帶脈(대맥), 陰蹺脈(음교맥), 陽蹺脈(양교맥),陰維脈(음유맥), 陽維脈(양유맥) 등 8 脈(맥)을 일컫는다. 이 8 맥은 12 경맥과는 달리 그 분포가 규칙적이지 못하고 臟腑(장부)와도 직접적으로 絡屬(聯絡, 연락) 관계가 없으며, 상호간에 표리관계가 없으므로 “奇經(기경)” 이라고 한다.

奇經八脈(기경팔맥)은 12 經脈(경맥)과 縱橫(종횡)으로 교차되어 다음과 같이 3 가지 작용을 한다.


1. 12 經脈(경맥) 사이의 연관관계를 더욱 밀접히 한다.

① “陽維(양유)는 陽(양)을 연계하여” 모든 陽經(양경)을 組合(조합)하고

② “陰維(음유)는 ”陰(음)을 연계하여“ 모든 陰經(음경)을 組合(조합)한다.

③ 帶脈(대맥)은 諸經(모든 경맥)을 約束(약속, 묶다)하고” 腰腹部(허리와 배)의 경맥을 소통

하고

④ 冲脈(충맥)은 상하를 통하여 三陰(삼음), 三陽(삼양)에 滲灌(스며들게)하고

⑤ 督脈(독맥)은 “諸陽(모든 양)을 總督(총독)하며

⑥ 任脈(임맥)은 諸陰(모든음)이 모이는 海(바다)이다.


2. 12 經脈(경맥)의 氣血(기혈)을 조절한다.

12 經脈(경맥)의 氣血(기혈)이 남아돌 때는 奇經八脈(기경팔맥)에 流注(유주)하여 예비를 위

해 저장 되고, 12 경맥에 氣血(기혈)이 부족할 때는 奇經(기경)에서 보충해 준다.


3. 상호 관계를 통한다.

奇經(기경)은 肝(간), 腎(신) 등 臟(장)과 腦(뇌), 髓(수), 子宮(자궁) 등 奇恒之府(기항지부 - 膽

(담, 쓸개), 骨(뼈골), 髓(골수), 腦(뇌수), 脈(맥관), 子宮(자궁))와 관계가 비교적 밀접하며, 生

理(생리), 病理(병리) 면에서도 상호 일정한 연관관계가 있다.

1) 督脈(독맥)

⑴ 穴名(혈명) : 長强 → 齦交 28個穴

長强(장강), 腰兪(요수), 腰陽關(요양관), 命門(명문), 懸樞(현추), 脊中(척

중), 中極 (중극), 筋縮(근축), 至陽(지양), 靈台(령태), 神道(신도), 身柱(신

주), 陶道(도도), 大椎(대추), 啞門(아문), 風府(풍부), 腦戶(뇌호), 强間(강

간). 后頂(후정), 百會(백회), 前頂(전정), 囟會(신회), 上星(상성), 神庭(신

정), 素髎(소료), 水泃(수구), 兌端(태단), 齦交(은교).

⑵ 順行部位(순행부위) 督脈(독맥)은 背部(배부, 등어리)의 脊椎(척추)를 행하고, 主干(주

간) 이외에 또 3개의 分支(분 지)가 있다.

① 主干(주간) : 胞宮(포궁)으로부터 起始(기시)하여 會陰穴(회음혈)로 나와 長强穴(장

강혈)을 거쳐 脊椎(척추)속을 따라 위로 향하여 腰兪穴(요수혈), 腰陽

關穴(요양관혈), 命門穴(명문혈), 懸樞(懸樞穴(현추혈), 脊中穴(척중혈), 中樞穴(중

추혈), 筋縮穴(근축혈), 至陽穴(지양혈), 靈臺穴(령대혈), 神道穴(신도혈), 身柱穴(신

주혈), 陶道穴(도도혈)에서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의 風門穴(풍문혈)에 會

(회)하고, 大椎穴(대추혈), 啞門穴(아문혈), 風府穴(풍부혈)를 거쳐 腦(뇌)안에 들어

가며 腦戶(腦戶穴(뇌호혈)과 强間穴(강간혈)을 지나 머리꼭대기 巓頂(전정, 頭頂)

에 올라와서 后頂穴(후정혈), 百會穴(백회혈), 前頂穴(전정혈), 囟會穴(신회혈), 上

星穴(상성혈), 神庭穴(신정혈)을 거쳐 이마를 따라 코끝(鼻尖(비첨) 素髎穴(소료혈)

에 내려온 다음 밑으로 입술을 향해 水溝穴(수구혈), 兌端穴(태단혈), 齦交穴(은교

혈)에 이르러 任脈(임맥)의 承漿穴(승장혈)과 서로 연접된다.

② 后行分支 : 冲(충), 任(임) 2 脈(맥)과 함깨 胞中(포중, 자궁)에서 시작되어 會陰部(회

음부)로 나온 후 尾骶骨端(미저골단, 꼬리뼈 끝)에서 足少陰腎經(족소

음신경)의 大腿內側(대퇴내측)에 主干(주간) 및 足太陽經(족태양경)의 맥과 서로

회합되어 함께 脊椎(척추)속을 꿰뚫고 위로 올라가 腎(신)에 속한다.

③ 前行分支 : 아랫배에서 곧 바로 배꼽에 올라와서 위로 향하여 心(심)을 꿰뚫고 咽

喉(인후)에 도달한 후 冲脈(충맥), 任脈(임맥)과 서로 회합되어 아래턱

에 올라와서 입술을 감돌아 양쪽눈 아래 중앙에 이른다.

④ 下行分支 : 足太陽經(족태양경)과 함께 눈 내각(內眦(내자)에서 시작되어 이마에

올라온 다음머리꼭대기 頭頂(두정)에 교회 되고 腦(뇌)에 入絡(입락)하

며 또 갈라져서 목에 내려와 肩胛骨內側(견갑골내측), 脊椎(척추) 양옆을 따라, 허

리에 도달한 후 척추 양측의 筋肉(근육)에진입되어 腎(신)과 서로 연락된다.

⑤ 交會(교회) : 任脈(임맥)의 會陰穴(회음혈), 足太陽(족태양)의 風門穴(풍문혈), 手太

陽(수태양)의 后溪穴(후계혈)는 督脈(독맥)에 통합되는 모두 3 개의

穴(혈)이다.

⑶ 機能(기능)

督(독)이란 總管(총관), 統摔(통솔)의 뜻이 있다. 督脈(독맥)은 등과 허리 복판을 지나

며, 手足三陽經(수족삼양경) 및 陽維脈(양유맥)과 여러 차래 회합하여 온몸의 陽經

(양경)을 總督(총독)한다.

따라서 이를 “陽脈之海(양맥지해)”라고 한다. 그밖에 督脈(독맥)은 脊里(척리)를 지나

위로 腦(뇌)에 들어가고, 또 脊里(척리)에서 갈라져 나와 腎臟(신장)에 속한다. 그러므

로 이는 腦(뇌), 脊髓(척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⑷ 小結(소결)

胞中(포중)으로부터 起始(기시)해서 會陰穴(회음혈)로 나와 脊椎(척추) 안을 따라 상

행하여 목뒤 風府穴(풍부혈)에서 顱內(노내, 두개골 안)으로 들어가 腦(뇌)에 絡(락)

하고, 목으로부터 머리 중간선을 따라 頭頂(두정, 百會穴(백회혈)), 額部(액부, 印堂穴

(인당혈)), 鼻部(비부, 素髎穴(소료혈)), 上脣(상순, 水溝穴(수구혈))과 兌端穴(태단혈))

을 거쳐 上脣系帶(상순계대)에 이른다.

分枝(분지) : 下腹(하복) 내부에서 상행하여 腹中央(복중앙)을 관통하고, 위로 心(심)

을 관통하여喉部(후부)에 이른 다음 下頜部(하합부, 아래턱)로 올라와

입술을 돈 다음 양쪽눈 하부 중앙에 이르러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承泣穴(승읍

혈)에 이른다.

病候(병후) : 督脈(독맥)의 脈氣(맥기)가 실조되면, 허리 脊椎(척추)가 뻣뻣하며, 아픈

증상, 成人(성인) 精神病(정신병), 小兒驚風(소아경풍), 頭痛(두통), 머리

가 무겁고(頭重), 머리가 어지러우며(頭暈), 또 氣(기)가 아랫배에서 心臟(심장)으로

치밀어 올라와 心臟(심장)이 아픈 奔豚證(분돈증) 증상, 대소변 불능, 여성 불임증, 소

변이 막혀 불통(尿閉)하며, 痔疾(치질), 오줌을 싸는 遺尿(유뇨) 등 이다.


2) 任脈(임맥)

⑴ 穴名(혈명) : 會陰 → 承漿 24 個穴

會陰(회음), 曲骨(곡골), 中極(중극), 關元(관원), 石門(석문), 氣海(기

해), 陰交(음 교), 神闕(신궐), 水分(수분), 下脘(하완), 建里(건리), 中脘

(중완), 上脘(상완), 巨闕(거궐), 鳩尾(구미), 中庭(중정), 膻中(전중), 玉

堂(옥당), 紫宮(자궁), 華盖(화개), 璇璣(선기), 天突(천돌), 廉泉(렴천),

承漿(승장).

⑵ 順行部位(순행부위)

任脈(임맥)은 가슴 복부의 정중선을 따라 순행하는 맥으로서 胞中(포중)에서 시작되어

아래로 兩陰(二陰, 성기와 항문) 사이 會陰穴(회음혈)로 나와서 위로 陰毛部(음모부)에

曲骨穴(곡골혈), 中極穴(중극혈)을 지나 복부 속을 따라 關元穴(관원혈)에 상행되어 石門

穴(석문혈), 氣海穴(기해혈), 陰交穴(음교혈), 神闕穴(신궐혈), 水分穴(수분혈), 下脘穴(하

완혈), 建里穴(건리혈), 中脘穴(중완혈), 上脘穴(상완혈), 巨闕穴(거궐혈), 鳩尾穴(구미혈),

中庭穴(중정혈), 膻中穴(전중혈), 玉堂穴(옥당혈), 紫宮穴(자궁혈), 華盖穴(화개혈), 璇璣穴

(선기혈), 天突穴(천돌혈)에 이르러 咽喉部(인후부)의 廉泉穴(렴천혈)에 도달하며 또 위로

아래턱 입술 泃(구)의 承漿穴(승장혈)에 이르러입 옆 面部(면부)를 따라 눈 아래에 진입된

다.

상행되는 분지는 冲脈(충맥)과 함께 胞中(포중)에서 會陰(회음)으로 나온 후 背部(배부)

脊椎(척추) 속을 따라 꿰뚫어 간다.

交會 : 督脈(독맥)의 齦交穴(은교혈), 足陽明經(족양명경)의 承泣穴(승읍혈), 手太陰經(수

태음경)의 列缺穴(열결혈)은 任脈(임맥)에 통합되는 3 개의 穴(혈)이다.

⑶ 機能(기능)

任(임)이란 담당하다. 즉 받는다는 뜻이 있다. 任脈(임맥)은 복부 정중선을 따라 行(행)하

며, 手足三陰(수족삼음) 및 陰維脈(음유맥)과 여러 차래 회합하게 됨으로 陰脈(음맥)을 總

任(총임)한다. 따라서 “陰脈之海(음맥지해)”라고 한다. 任(임)은 또 “妊(임, 胚胎(배태))”과

통한다. 妊脈(임맥)은 胞中(포중, 자궁)으로부터 起始(기시)함으로 婦女子(부녀자)의 妊娠

(임신)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任(임)이 胞胎(포태)를 主管(주관)한다.”고도 한다.

⑷ 小結(소결)

胞中(포중, 자궁)으로부터 시작하여 會陰(회음)으로 나와서 陰阜(음부)를 지난 다음 복부

와 흉부를 향해 正中線(정중선)을 따라 상행하여 목구멍에 이르고, 下頜部(하합부)에 이

르러 입술을 돌고 볼을 따라 양쪽으로 갈라져 양쪽 눈의 目眶(목광) 아래에 이른다.

病候 : 任脈(임맥)의 脈氣(맥기)가 失調(실조)되면 疝氣(산기), 白帶(백대), 月經異常(월경

이상), 不姙症(불임증), 小便不利(소변불리), 遺尿(유뇨), 遺精(유정), 外生殖器(외생

식기) 痛症(통증), 허리와 등어리가 당기어 屈伸(굴신)이 불리한 증상이 나타난다.


3) 衝脈(충맥)

⑴ 順行部位(순행부위)

下腹部(하복부) 안에서 시작되어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과 함께 상행하면서 橫橫骨穴

(횡골혈), 大赫穴(대혁혈), 氣穴(기혈), 四滿穴(사만혈), 中注穴(중주혈)에 이르러 任脈(임

맥)의 陰交穴(음교혈)에 交會(교회)되고, 배꼽을 끼고 상행한 후 또 足少陰腎經(족소음신

경)과 교회된 후 肓兪穴(황유혈), 商曲穴(상곡혈), 石關穴(석관혈), 陰都穴(음도혈), 腹通谷

穴(복통곡혈), 幽門穴(유문혈)을 지나 가슴속에 이르러 퍼진다. 또 위로 咽喉部(인후부)에

진입되어 鼻咽腔(비인강)으로 나와 서 面部(면부)에 이르러 입술을 감돌고 끝마친다.

⑵ 機能(기능)

衝(충)은 要冲(요충)의 뜻이 있다. 冲脈(충맥)은 머리로부터 발까지 온몸을 관통하고, 氣

血(기혈)의 要冲(요충)으로서 12 경의 기혈(十二經氣血)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십이경맥

의 바다(十二經脈之海)” 라고 하였다. 冲脈(충맥)은 또한 “血海(혈해)” 라고도 하는데 이는

부녀자의 월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⑶ 小結(소결)

胞中(포중)으로부터 起始(기시)해서 會陰穴(회음혈)로 나온 후 氣街部(기가부)에서부터

足少陰經 (족소음경)과 합하여 臍(제)를 끼고 상행한 후 가슴에 퍼진다. 다시 상행하여 목

구멍을 끼고 입술을 돈 후 目眶(목광) 밑에 이른다. 分枝(분지)는 足少陰(족소음)의 大絡

(대락)과 함께 腎臟(신장)으로부터 氣街(기가)로 下行(하행) 하여 體表(체표)로 얕게 나온

후 허벅다리(大腿部) 내측을 따라 窩(와, 우묵한 엉덩이)에 들어갔다가 胳骨(각골, 脛骨

(경골)) 내연을 따라 발바닥까지 하행 한다. 다른 한 지맥은 內踝(내과, 안쪽 복사뼈) 뒤에

서 갈라져 발등으로 비껴들어 엄지발가락으로 들어간다. 分枝(분지)는 膻中穴(전중혈)로

나온 후 등 뒤 척추 중앙을 지나는 督脈(독맥)과 상통한 후 척추 안쪽으로 들어가 상행한

다.

病候(병후) : 脈氣(맥기)의 조절이 상실되면 月經異常(월경이상), 不姙症(불임증), 胎漏(태

루), 小 産(소산), 胸腹部疼痛(흉복부동통)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主治(주치) : 冲脈(충맥)의 질병을 치료하는 외에 心臟(심장), 胃病(위병)과 胸腹部脹滿(흉

복부창 만),惡心嘔吐(오심구토), 腹部積(복부적), 腸鳴(장명), 泄瀉(설사), 脇

脹滿(협창만), 臍腹部疼痛(제복부동통), 大便出血(대변출혈), 功能性子宮出

血(공능성자궁출혈), 虐疾(학질), 昏迷(혼미) 등의 질환을 다스린다.


4) 帶脈(대맥)

⑴ 穴名(혈명) : 帶脈穴(대맥혈)

⑵ 順行部位(순행부위) 腰部(요부) 와 腹部(복부)를 감돌아 行(행)하며, 第二 腰椎(제이요추)

에서 시작되어 옆구리(옆구 리아래의 연공 肋骨部位(늑골부위)의 아래 방향을 따라 帶脈

穴(대맥혈), 五樞穴(오추혈), 維道穴(유도혈)를 만난 후 허리와 복부주위를 마치 環狀(환

상)을 이루며 감돌기 때문에 허리띠를 두른것 같다하여 帶脈(대맥)이라 칭한 것이다.

⑶ 機能(기능) : 縱橫(종횡)하는 모든 脈(맥)을 約束(약속, 띠로 다발을 묶듯, 또는 동여매듯)

한다.

⑷ 小結(소결)

季脅(계협, 옆구리 늑골)로부터 起發(기발, 일어나)해서 帶脈穴(대맥혈)을 거친 후 비껴내

려 가며 허리를 에워싸고 돈다. 그 脈(맥)의 형상이 마치 허리띠를 두른 뜻 하다 하여 帶脈

(대맥)이라 부른다.

病候(병후) : 脈氣(맥기)의 조절이 상실되면 복부가 膨脹(팽창)하고, 허리가 차며(冷), 下肢

(하지)가 无力(무력)하고, 배꼽주위를 감도는 통증이 있으며, 부녀자의 月經

不調(월경불조), 赤白帶下(적백대하) 등과 같은 질환이 생긴다.

主治(주치) : 본경의 疾病(질병)을 치료하는 外에 半身不遂(반신불수), 四肢麻木(사지마

목), 痙攣 (경련), 發熱(발열), 頭痛(두통), 齒痛(치통), 目赤(목적), 咽腫(인종),

頭暈(두훈), 耳聾(이농), 皮膚瘙痒(피부소양), 下肢(하지) 및 옆구리 疼痛(동

통).


5) 陰蹺脈(음교맥), 陽蹺脈(양교맥)

⑴ 穴名(혈명)

陰蹺脈(음교맥) : 陰蹺脈(음교맥)의 交會穴(교회혈)인 照海穴(조해혈)을 가리킨다.

陽蹺脈(양교맥) : 陽蹺脈(양교맥)의 交會穴(교회혈)인 申脈穴(신맥혈)이다.

⑵ 順行部位(순행부위)

① 陰蹺脈(음교맥) : 照海穴(조해혈)로부터 시작되어 內踝(내과) 위로 상행하여 交信穴(교

신혈) 을 거친 뒤 大腿(대퇴) 內側面(내측면)을 따라 계속 上行(상행)

하여 胸中(흉중)에 올라온 후, 鎖骨(쇄골)위 陷凹部(함요부, 움푹 들어간 곳)에 進入(진

입) 되어 목 부위로 올라와 人迎穴(인영혈)의 앞면으로 나오며 咽喉部(인후부)에 이르

러 冲脈(충맥)과 서로 通하고, 다시 顴骨(권골, 광대뼈) 內側面(내측면)에서 목 내각으

로 와서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正營穴(정영혈)에 이르러 끝마친다.

② 陽蹺脈(양교맥) : 발뒤축 중간에서 시작되어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을 따라 申

脈穴(신맥혈) 僕參穴(복삼혈) 외측 踝骨(과골)에서 상행되어 跗陽穴

(부양혈)을 지나서, 大腿(대퇴) 外側(외측)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居髎穴(거료혈)

을 지나, 옆구리 후면을 통해 어깨에 올라와서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의 臑兪穴

(노수혈),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의 肩髃穴(견우혈), 巨骨穴(거골혈)을 경과하여

목에 上行(상행)되며, 입술 옆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地倉穴(지창혈)과 巨髎穴(거

료혈)을 경과한 후 눈 아래에 이르러 承泣穴(승읍혈)에서 陰蹺脈(음교맥)과 합깨 눈 내

각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의 起始穴(기시혈)인 睛明穴(정명혈)에 交會(교회)되

며 정수리를 따라 아래로 風池穴(풍지혈)을 지나 목덜미 두 힘줄 중간에 啞門穴(아문

혈)과 風府穴(풍부혈)을 경유해서 腦(뇌)에 들어간다.

⑶ 機能(기능)

眼目(안목, 눈)을 濡養(유양)하고, 眼瞼(안검, 눈꺼풀)의 開合(개합, 뜨고 감는)과 下肢運動

(하지운동)을 主管(주관)한다. 옛 醫人(의인) 들은 陰蹺脈(음교맥)은 “身体(신체)의 좌우

陰陽(음양)을 주관한다” 고 하였다.

⑷ 小結(소결)

蹺脈(교맥)은 좌우로 쌍을 이루고 있는 陰蹺脈(음교맥)과 陽蹺脈(양교맥)으로써 모두 발

목에서 복사뼈(踝骨) 밑에 안과 밖에서 起始(기시)되고 있다.

① 陰蹺脈(음교맥)은 內踝(내과)로부터 照海穴(조해혈)에 내려갔다가 갈라져 나와 內踝

(내과) 뒤를 따라 下肢(하지) 내측으로 상행하여 前陰(전음)을 거쳐,

腹部(복부)와 胸部(흉부)를 따라올라가 缺盆穴(결분혈)에 도달한다. 그런 다음 人迎穴

(인영혈) 앞으로 나와 코 옆을 거쳐서 目內眦(목내자, 눈 안각)에 이르고 手足太陽(수

족태양) 및 陰蹺脈(음교맥)과 회합한다.

② 陽蹺脈(양교맥)은 外踝(외과)로부터 申脈(신맥)에 내려갔다가 갈라져 나와 外踝(외과)

뒤를 따라서 상행하여 腹部(복부)를 거치고 胸背部(흉배부) 외측을

따라 어깨, 목 외측을 거쳐 口角(구각)을 돌고, 目內眦(목내자)에 이르러 手足太陽(수

족태양) 및 陰蹺脈(음교맥)과 회합한다. 그 다음 髮際(발제)로 상행했다가 귀(耳) 뒤에

이르러 목 뒤에서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과 회합한다.

病候(병후)

① 陰蹺脈(음교맥) : 脈氣調節(맥기조절)이 상실되면 발이 內側(내측)으로 뒤틀어지는 증

상 嗜眠(기면, 잠자기를 즐기는 증상), 目痛(목통), 癎疾證(간질증), 疝

氣證(산기증, 복부의 적), 下腹疼痛(하복동통), 小便不利(소변불리),

功能性子宮出血 (공능성자궁출혈), 硬皮病(경피병, 피부가 굳어 뻣뻣

해지는 병).

主治(주치) : 本經(본경)의 질병을 치료하는 이외에 梅核氣(매핵기), 트림, 小便淋

漓(소변임리), 腸鳴(장명, 배에서 물이 흐르는 듯한 소리가 나는), 大

便出血(대변출혈), 吐瀉(토사), 便秘(변비), 黃疸(황달), 腹部(복부)의

積(적).

② 陽蹺脈(양교맥) : 脈氣調節(맥기조절)이 상실되면 발이 外側(외측)으로 뒤틀어지는 증

상 失眠(실면, 밤잠을 이루지 못하며), 眼病(안병), 癎疾證(간질증), 腰

痛(요통), 半身不遂(반신불수), 頑固性(완고성) 關節炎(관절염).

主治(주치) : 本經(본경)의 질병을 치료하는 외에, 腰背强直(요배강직), 下肢浮腫

(하지부종), 惡風(오풍, 바람 쏘이는 것을 싫어하고), 自汗(자한, 저절

로 땀이 흐르며), 頭痛(두통), 手足麻木(수족마목), 痙攣(경련), 耳聾(이

농, 귀가 어두워지고), 衄血(뉵혈, 코피), 骨關節腫痛(골관절종통) 등

을 다스린다.


6) 陰維脈(음유맥), 陽維脈(양유맥)

⑴ 穴名(혈명)

陰維脈(음유맥) : 筑賓穴(축빈혈) -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

陽維脈(양유맥) : 金門穴(금문혈) -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

⑵ 順行部位(순행부위)

① 陰維脈(음유맥) : 陰維脈(음유맥)의 郄穴(극혈)인 筑賓穴(축빈혈)에서 시작되며 足太陰

脾經(족태음비경)의 冲門穴(충문혈), 府舍穴(부사혈) 및 大橫穴(대횡

혈)과 交會(교회)하고 腹哀穴(복애혈)에서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의 期門穴(기문혈)

과 交會(교회)하고 任脈(임맥)과 交會(교회)하여 天突穴(천돌혈)을 지나 廉泉穴(렴천

혈)에서 끝친다.

② 陽維脈(양유맥) :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의 金門穴(금문혈)에서 시작되어 위로

陽維脈 (양유맥)의 郄穴(극혈)인 陽交穴(양교혈)을 따라 行하고 手太

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 및 陽蹺脈(양교맥)과 어깨의 臑兪穴(노유혈)에서 만나, 足少

陽膵經(족소양췌족족족경)의 本神 陽白穴(양백혈)과 交會(교회)되고 위로 頭臨泣穴

(두림읍혈), 目窗穴(목창혈), 正營穴(정영혈), 承靈穴(승령혈)에 이르며 아래로 腦空穴

(뇌공혈), 風池穴(풍지혈)에 이르러 督脈(독맥)의 風府穴(풍부혈)과 啞門穴(아문혈)에

交會(교회)되어 끝마친다.

⑶ 機能(기능)

維(유)는 연계를 맺는 다는 뜻이 있다. 陰維脈(음유맥)의 기능은 “諸陰(제음, 모든 음)을 維

絡(유락)하는 것”이고, 陽維脈(양유맥)의 기능은 “諸陽(제양, 모든 양)을 維絡(유락)하는

것”이다.

⑷ 小結(소결)

① 陰維脈(음유맥)은 下肢(하지) 내측의 足三陰經(족삼음경)이 회합하는 부위로부터 시

작해서 下肢內側(하지내측)을 따라 腹部(복부)에 이른 후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과

동행하여 脅部(협부)에 이른 후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과 회합환다. 그 다음 목구멍

으로 상행해서 任脈(임맥)과 만난다.

② 陽維脈(양유맥)은 外踝(외과) 아래에서 시작되어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과 병행하여

下肢外側(하지외측)을 따라 상행하여 등뒤 외측을 지나서 겨드랑이 밑을 거쳐 어깨에

오른다. 그런 다음 목, 귀, 뒤를 거쳐 이마에 이르러 側頭(측두) 및 頭頂(두정, 巓頂(전

정))에 분포되며 督脈(독맥)과 회합한다.

病候(병후)

① 陰維脈(음유맥) : 脈氣調節(맥기조절)이 상실되면 주요하게 心脹痛(심창통), 胃痛(위

통), 腹痛 (복통), 胸痛(흉통), 등 증상이 나타난다.

主治(주치) : 本經(본경)의 질병을 치료하는 외에 心臟(심장), 胸部脹滿(흉부창만),

腸鳴(장명), 泄瀉(설사), 脫肛(탈항), 음식을 삼키기 困難(곤난)한 증상,

腹部(복부)의 積(적), 脇疼痛(협동통), 虐疾(학질) 등을 다스린다.

② 陽維脈(양유맥) : 陽維脈(양유맥)의 功能(공능)을 상실하면 주요하게 惡寒發熱(오한발

열), 感氣(감기), 熱病(열병) 등 주로 表證(표증)을 나타낸다.

主治(주치) : 本經(본경)의 질병을 치료하는 외에, 四肢(사지) 關節腫痛(관절종통),

手足 麻木(수족마목), 足根腫大(족근종대, 발뒤꿈치가 붓는 증상), 目

赤(목적), 自汗(자한), 破傷風(파상풍) 등을 다스린다.

14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기초55 第八章 防治原則(방치원칙)

第八章一節 預防(예방) 豫防(예방)이란 일정한 조치를 취하여 질병의 발생과 발전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예방을 위주로 하는 것은 보건위생업무의 4대 방침의 하나다. 동서의학에서는 예방을 중시해 왔다. 일찍 《內經》에서 “병에 걸리기 전에 치료하는” 예방사업을 제기하고 “미연에 병을 예방”할 것을 강조하였다. 《素問 · 四氣調神大論》에서는 “聖人(성인)은

기초54 第七章七節 장부병기 3) 기항지부 공능실조

第七章七節 臟腑病機(장부병기) 3) 奇恒之腑的功能失調(기항지부적공능실조) ⑴ 腦的功能失調(뇌적공능실조) 腦(뇌)는 인체의 극히 중요한 기관으로써 인간의 精神(정신), 意識(의식), 思維活動(사유활 동)과 눈(眼)으로 보고, 귀(耳)로 듣고, 코(鼻)로 냄새를 맡으며, 혀(舌)로 맛(味)을 알고, 言語 (언어)롤 應答(응답)하며, 身体(신체)로 활동하는 것

기초53 第七章七節 장부병기 2) 육부적 공능실조

第七章 病機(병기) 7. 臟腑病機(장부병기) 2) 六腑的功能失調(육부적공능실조) 1) 膽的功能失調(담적공능실조) 膽囊(담낭)의 주요 생리적 기능은 膽汁(담즙)을 저장하고 排泄(배설)하여 脾(비)와 胃(위)의 運化機能(운화기능)을 돕는 것이다. 膽汁(담즙)은 肝(간)의 余氣(여기)에서 生成(생성)되고 膽 汁(담즙)의 分泌(분비)와 排泄(배설)은 肝(간)의 疏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