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초37 第五章三節 경락의 순행부위

Aktualisiert: 16. Juli 2019



第五章三節 經絡(경락)의 순행부위


1)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

穴名(혈명) : 中府 → 小商 11個穴

中府(중부, 募(모)), 云門(운문), 天府(천부), 俠白(협백), 尺澤(척택), 孔最(공최,

郄(극)), 列缺(열결, 格(낙)), 經渠(경거), 太淵(태연, 原), 魚際(어제), 少商(소상).

循行(순행) : 人体(인체)의 上肢(상지) 內側(내측) 앞쪽에 있다.

① 中焦(중초, 胃部(위부))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내려가 大腸(대장)에 연락되고

되돌아 올라와서 胃上口(위상구, 賁門(분문))을 따라

② 膈肌(격기, 횡격막)를 뚫고 지나서 肺 (폐)에 들어가 肺臟(폐장)에 속한다.

③ 肺系(폐계, 氣管(기관), 喉(후))에서 옆으로 겨드랑이로 나와서(中腑穴(중부

혈문혈))

④ 팔 아래로 향하여 팔의 內側(내측)을 따라 手少陰經(수소음경), 手厥陰經(수

궐음경) 앞쪽으로(天府穴(천부혈), 俠白穴(협백혈))해서

⑤ 팔급 오금에 내려와 (尺澤穴(척택혈)) 아래팔 내측 橈骨(요골)을 따라(孔最穴

(공최혈))계속 내려오다가

⑥ 寸口(촌구) 橈動脈(요동맥)이 뛰는 곳에 진입되어 經渠穴(경거혈), 太淵穴(태

연혈)을 거쳐 大魚際(대어제)를 향하여 魚際穴(어제혈)을 따라 大指橈側(대

지요측) 끝에 少商穴(소상혈)에 나온다.

支脈(지맥) : ⑦ 팔목뒤에서 列缺(열결) 식지내측(橈側(요측))으로 향하여 끝에 나와서 手陽

明大腸經(수양명대수양장경)에 접속한다.

病候(병후) : ① 手太陰經(수태음경)의 病理變化(병리변화)는 폐가 꽉 막히고(氣閉(기폐), 숨

이 차며(氣短(기단)), 기침(咳嗽)을 하고, 쇄골 위 오목한 곳(缺盆穴(결분혈)에

疼痛(동통)이 생기며, 가슴이 답답하고(胸悶), 視覺(시각)이 모호하기도 하

고, 아래팔이 冷(냉)하며 저리고 疼痛(동통)이 생긴다.

② 手太陰經(수태음경)에 속하는 腧穴(수혈)은 肺(폐)와 관계되는 病證(병증)을

主治 (주치)한다.

예를 들면 기침, 氣上逆(기상역), 숨이 가쁘고 호흡이 거칠며, 마음이 성급해

지고 괴롭워 초조해(煩躁)지고 불안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팔 내측 앞 가 변

(변두리)을 따라 經脈(경맥)이 지나가는 곳에 疼痛(동통) 혹은 손끝으로부터

차가워져 오르는 厥冷(궐냉)이 있거나, 손바닥에 열이 나는(手心熱(수심열))

등이다.

③ 手太陰經(수태음경)에 흐르는 氣(기)가 왕성하여 남음이 있으면 實證(실증)

이다. 어깨, 잔등이 아프고(肩背痛(견배통)), 風寒(풍한, 찬바람)에 傷(상)하

면 자연히 땀 (自汗)이 나며, 小便(소변)의 횟수는 많으나 量(량)은 적다. 숨을

입과 코로 천천히 내쉬게 된다.

④ 手太陰經(수태음경)에 흐르는 氣(기)가 虛(허)하면 虛證(허증)인데 어깨 등어

리가 아프며(背痛(견배통)), 춥고 한기가 들며 숨이 가쁘고(氣短(기단) 急(급)

하다. 小便色(소변색)이 변한다.


2)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

穴名(혈명) : 商陽 → 迎香 20個穴

商陽(상양), 二間(이간), 三間(삼간), 合谷(합곡), 陽溪(양계), 偏歷(편력), 溫溜(온

유), 下廉(하렴), 上廉(상렴), 手三里(수삼리), 曲池(곡지), 肘髎(주료), 手五里(수

오리), 臂臑(비노), 肩髃(견우), 巨骨(거골), 天鼎(천정), 扶突(부돌), 口禾髎(구화

료), 迎香(영향).

循行(순행) : 주요 분포는 人体(인체)의 上肢(상지) 外側(외측) 앞쪽이다.

① 食指(식지) 끝 商陽穴(상양혈)에서 시작되어 食指(식지) 橈側(요측) 옆 二間

穴(이간 혈)과 三間穴(삼간혈)을 따라 第一二掌骨(제일이장골)사이 合谷穴

(합곡혈)을 나와서

② 두 힘줄 사이에 진입하여 陽溪穴(양계혈) 아래 손목 橈側(요측), 偏歷(편력),

溫溜(온유), 下廉(하렴), 上廉(상렴), 手五里(수오리) 등 穴(혈)을 따라

③ 팔굽 외측에 진입되어 (曲池(곡지), 肘髎(주료)), 上肢(상지) 외측 앞쪽에 手五

里穴(수오리혈)과 臂臑穴(비노혈)을 지나

④ 어깨에 올라와서 肩峰(견봉) 부위의 앞면에 肩髃穴(견우혈)과 巨骨穴 (거골

혈)을 지나서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의 秉風穴(병풍혈)에 交會(교회)

하고 나와서 계속 위로 향하여 督脈(독맥)의 大椎穴(대추혈)에서 交會(교회)

되고

⑤ 아래로 쇄골 오목한 곳 缺盆穴(결분혈)으로 내려와서

⑥ 肺(폐)에 絡(락)하고 橫膈膜(횡격막)을 통과하여 大腸(대장)에 屬(속)한다.

支脈(지맥) : ⑦ 缺盆穴(결분혈)에서 목옆까지 상행하여 天鼎穴(천정혈) 및 扶扶突穴(부돌혈)

과 면 부 아래 뺨을 통과하여 아래 잇몸을 거쳐서 입 주위를 끼고 地倉穴(지

창혈)에 會(회)하는데 왼쪽 經脈(경맥)은 오른쪽으로, 오른쪽 경맥은 왼쪽으

로 향하여 콧구멍 옆 髎穴(화료혈)과 迎香穴(영향혈)에 이르러서 足陽明胃經

(족양명위경)과 接(접)한다.

⑧ 이 외에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은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上巨虛

穴(상거허혈)과 脈氣(맥기)가 통한다.

病候(병후) : ① 手陽明經(수양명경)에 病理變化(병리변화)가 생기면 齒痛(치통)이 생기며,

목이 붓는다.

② 본경의 腧穴(수혈)은 津(진) 방면에 발생된 병증을 主治(주치) 하는데 눈이

노랗고(目黃), 입이 마르며(口乾), 코가 막히고(鼻塞), 콧물(流涕)이 흐르거나

혹은 코피(衄血)가 나며, 목구멍이 아프고(咽痛), 어깨와 상지에 통증(肩臂

痛) 및 食指疼痛(식지동통)으로 인한 식지 활동장애가 생기는 등이다.

③ 본경의 氣(기)가 盛(성)하면 實證(실증)으로서 經脈(경맥)이 지나가는 부위에

熱 (열)이 나며 붓는다.

④ 본경의 氣(기)가 虛(허)하면 추워서 떨며 용이하게 다시 復溫(복온)되지 않는

다.


3)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

穴名(혈명) : 承泣 → 廬兌 45個穴

承泣(승읍), 四白(사백), 巨髎(거료), 地倉(지창), 大迎(대영), 頰車(협거), 下關(하

관), 頭維(두유), 人迎(인영), 水突(수돌), 氣舍(기사), 缺盆(결분), 氣戶(기호), 庫

房(고방), 屋翳(옥예), 𥊹窗(응창), 乳中(유중), 乳根(유근), 不容(불용), 承滿(승

만), 梁門(양문), 關門(관문), 太乙(태을), 滑肉門(활육문), 天樞(천추), 外陵(외

능), 大巨(대거), 水道(수도), 歸來(귀래), 氣冲(기충), 髀關(비관), 伏兎(복토), 陰

市(음시), 梁丘(양구), 犢鼻(독비),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條口(조구),

下巨虛(하거허), 豊隆(풍륭), 解溪(해계), 冲陽(충양), 陷谷(함곡), 內庭(내정), 厲

兌(려태).

循行(순행) :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주요 분포는 頭面部(두면부)와 胸部(흉부)의 第二側

線(제이 측선) 및 下肢外側(하지외측) 앞면이다.

① 코 옆 迎香穴(영향혈)에 會(회)하고

② 코 뿌리에서 옆으로 交會(교회)하여 足太陽 膀胱經(족태양방광경)에 이르고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의 睛明穴(정명혈)에 會(회)한 후

③ 아래로 향하여 코 외측을 따라 承泣穴(승읍혈)과 四白穴(사백혈)을 거쳐위

치아에 들어가서 (巨髎穴(거료혈)), 되돌아 나와 구각에 있는 地倉穴(지창혈)

을 끼고 입 주위를 돌아 위로 향하여 人中泃(인중구)에서 交會(교회)되고, 아

래로 향하여 턱의 오목한 承漿穴(승장혈)에서 다시 교회되어 되돌아서 아래

턱 뒤 하방을 따라(大迎穴(대영혈)) 내려가고, 또 아래 턱각에 있는 頰車穴

(협거혈)를 따라 위로 향하여 귀 앞 下關穴(하관혈)에 도달한 후 顴弓上緣(관

궁상연)을 지나서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上關穴(상관혈), 懸厘穴(현리

혈), 懸顱穴(현로혈), 頷厭(頷厭穴(함염혈))

④ 頭角(두각)의 髮際(발제)에 있는 頭維(頭維穴(두유혈)을 따라 이마 정중에서

神庭穴(신정혈)에 이르러 會(회) 한다.

支脈(지맥) ⑴ : ⑤ 大迎穴(대영혈)에서 아래로 향하여 頸動脈(경동맥) 부위에 人迎穴(인영

혈)을 경과하여, 목구멍(食道)을 따라 水突穴(수돌혈), 氣舍穴(기사혈)를 거

⑥ 缺盆穴(결분혈)에 들어가서(쇄골위 오목한 곳)

⑦ 橫膈膜(횡격막)을 통과하여 胃(위)에 속하고 上脘穴(상완혈)과 中脘穴(중완

혈)에 會(회)하여 脾(비)에 絡(락)한다. 外行(외행)의 主干(주간)은 缺盆穴(결

분혈)에서부터 아래로 향하여 乳中(유중)을 경과하며 (氣戶(기호), 庫房(고

방), 屋翳(옥예), 𥊹窗(응창), 乳中(유중), 乳根(유근) 등혈)) 아래로 배꼽 양옆

으로 내려가서(不容(불용), 承滿(승만), 梁門(량문), 太乙(태을), 滑肉門(활육

문), 天樞(천추), 外陵(외능), 大巨(대거), 水道(수도), 歸來(귀래) 등 穴(혈)을

지나서) 氣街(기가, 鼠蹊部(서혜부, 腹股泃(복고구)) 氣冲穴(기충혈))에 진입

된다.

支脈(지맥) ⑵ : ⑧ 胃口(위구)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배 속을 따라 내려가서

⑨ 鼠蹊部(서혜부) 動脈(동맥) 부위에서 前者(전자)와 회합된 후 여기서부터 아

래로 계속내려가서 髖關節(관관절) 앞 髀關穴(비관혈)을 경과하여 股四頭肌

(고사두기) 높은 곳에 伏兎穴(복토혈), 陰市穴(음시혈), 梁丘穴(량구혈)에 이

르러 아래로 향하여 膝蓋骨(슬개골) 犢鼻穴(독비혈)에 와서

⑩ 脛骨(경골) 외측을 따라 足三里穴(족삼리혈), 上巨虛穴(상거허혈), 條口(條口

穴(조구혈), 下巨虛穴(하거허혈)을 거쳐 발등에 내려와서 解溪穴(해계혈)과

冲陽穴(충양혈)을 지나 中趾內側(중지내측) 발가락 사이에 진입되어 陷谷穴

(함곡혈)과 內庭穴(내정혈)을 지나 둘째 발가락 끝에 있는 厲兌穴(려태혈)로

나온다.

支脈(지맥) ⑶ : ⑪ 무릎아래 3 촌(膝下三寸)에 있는 足三里穴(족삼리혈)에서 갈라져 中趾外

側(중지 외측) 발가락 사이에 진입되어 중지 끝으로 나온다. 다른 한 支脈(지

맥)은

⑫ 발등 冲陽穴(충양혈)에서 갈라져 엄지발가락 사이로 들어가서 엄지발가락

끝으로 나온 후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과 접한다.

病候(병후) : ① 足陽明經(족양명경)에 병리변화가 생기면 惡寒(오한)이 나서 떠는 증세, 하

품을 자주하며, 안면과 이마에 검은색을 띠며, 때로는 타인과 불빛을 싫어하

고, 겁이 나고 두려운 驚惶心(경황심)이 생기고, 심장이 두근거리고, 문을 닫

고 방안에 혼자있기를 좋아하며, 창문을 막아 놓고 잠을 자며, 엄중할 때는

옷을 벗고 노래를 부르기도 하고, 높은 곳으로 뛰어다닌다. 딸꾹질(呃逆(애

역)하며 배가 부르고, 小腿(소퇴)가 차고 저리며, 시큰시큰한 酸痛 (산통)등

의 증상이 있다.

② 본경수혈의 주치는 血(혈) 방면에 관계되는 병증 발생으로서 發狂(발광), 虐

疾(학 질), 溫熱病(온열병), 自汗(자한), 鼻塞流涕(비색류체), 衄血(뉵혈, 코피),

口麻痹(구마비), 口瘡(구창), 咽喉腫痛(인후종통), 咽喉炎(인후염), 腹部脹滿

(복부창만), 膝關節痛(슬관절통), 胸痛(흉통), 乳房痛(유방통), 사타구니 통증,

大腿(대퇴) 앞과 小腿外側(소퇴외측), 足背(발등) 등이 모두 아프며 中趾(중

지, 가운데 발가락)를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이다.

③ 본경의 氣(기)가 盛(성)하면 實證(실증)인데 신체 앞면이 모두 열이 나고 胃

(위)의 消化功能(소화공능)이 왕성하여 배가 잘 고프며 소변이 누런색이다

(尿黃).

④ 분경의 氣(기)가 虛(허)하면 虛證(허증)인데 신체앞면이 모두 차갑고 추워서

떨며 胃部位(위부위)에 寒氣(한기)가 들어 배부른 감을 느낀다.


4)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穴名(혈명) : 隱白 → 大包 21個穴

隱白(은백), 大都(대도), 太白(태백), 公孫(공손), 商丘(상구), 三陰交(삼음교), 漏

谷(루 곡), 地機(지기), 陰陵泉(음능천), 血海(혈해), 箕門(기문), 冲門(충문), 府舍

(부사), 腹結(복결), 大橫(대횡), 腹哀(복애), 食竇(식두), 天溪(천계), 胸鄕(흉향),

周榮(주영), 大包(대포).

循行(순행) : 胸部(흉부) 第三側線(제삼측선)과 下肢內側(하지내측)의 前緣(전연)에 분포되

다.

① 大趾(대지, 엄지 발가락)끝 隱白穴(은백혈)에서 시작되어 大趾(대지) 내측 赤

白肉際(적백육제, 발등과 발바닥 경계선)를 따라 第一蹠骨頭(제일척골두)에

大都穴(대도혈)을 경과한 후

② 위로 향하여 太白穴(태백혈)과 公孫穴(공손혈)을 지나 내측 복사뼈앞 商丘穴

(상구혈)을 지나서

③ 小腿(소퇴) 내측을 따라 올라간 후 三陰交穴(삼음교혈)과 漏谷穴(루곡혈)을

거쳐 脛骨(경골) 뒤를 따라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앞에 交出(교출)된 뒤 地

機穴(지기혈)과 陰陵泉穴(음능천혈)을 지나

④ 膝股(슬고, 무릎과 다리) 내 측 앞에 올라와서 血海穴(혈해혈)과 箕門穴(기문

혈)을 지난다.

⑤ 腹部(복부)에 진입되고 冲門穴(충문혈), 府舍穴(부사혈), 腹結穴(복결혈), 大

橫(大橫穴(대횡혈)을 거치는 사이에 任脈(임맥)의 中極穴(중극혈)과 關元穴

(관원혈)에 會(회)하며,

⑥ 脾(비)에 屬(속)하고, 胃(위)에 絡(락)하며

⑦ 橫膈膜(횡격막)을 통과한 후 食道(식도)옆을 끼고 食竇穴(식두혈), 天溪穴(천

계혈), 胸鄕穴(흉향혈)을 지나 周榮穴(주영혈)과 大包穴(대포혈)에 絡(락)하

고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의 中府穴(중부혈)에 會(회)하며

⑧ 舌根(설근)에 연계되어 혀 아래에서 퍼진다.

支脈(지맥) : ⑨ 胃(위)에서 분출되어 橫膈膜(횡격막)을 지나서 心(심)에 도달해서 手少陰心

經(수 소음심경)에 接(접)한다.

病候(병후) : ① 足太陰經(족태음경)에 병리변화가 발생되면 舌根(설근)이 영활하지 못하고,

食后(식후)에 곧 토하고 胃(위)가 아프며 脹滿(창만)하며 트림을 잘하고 전신

이 무겁고 氣力(기력, 힘)이 없다.

② 본경 수혈은 脾(비) 방면에 관계되는 병증을 주치 하는데 舌根痛(설근통), 身

体(신체) 運動不利(운동불리), 飮食不思(음식불사) 등의 증상이다. 心胸煩悶

(심흉번민), 명치아래 급통, 대변이 무른(便溏) 증상, 泄瀉(설사), 小便不通(소

변불통), 黃疸(황달), 不眠(불면), 大腿(대퇴)와 小腿(소퇴) 내측이 붓고, 冷

(냉)하며, 엄지발가락을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이다.


5)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

穴名(혈명) : 極泉 → 少沖 9個穴

極泉(극천), 靑靈(청령), 小海(소해),  靈道(령도), 通里(통리), 陰郄(음극), 神門(신

문), 少府(소부), 少冲(소충).

循行(순행) : 上肢內側(상지내측) 后緣(후연)에 분포 되였다.

① 心臟(심장)에서 시작되어 기타 臟(장)과 상호 연계된 系列(계열)에 속하며

② 아래로 橫膈膜(횡격막)을 지나서

③ 小腸(소장)에 絡(락) 한다.

支脈(지맥) : ④ 心系(심계)에서 상행하여 肺(폐)에 도달한 후 아래로 향하여 겨드랑이로 나

와서 極泉穴 (극천혈)

⑤ 上臂(상비) 즉 上腕(상완) 내측 后緣(후연)을 따라 手太陰(수태음)으로 가고,

또 手厥陰(수궐음)의 뒤 靑靈穴(청령혈)로 가며

⑥ 아래로 팔굽 少海穴(소해혈)에 와서 下臂(하비 즉 下腕(하완)) 내측 후연을

따라 靈道(靈道穴(령도혈), 通里穴(통리혈), 陰郄穴(음극혈), 神門穴(신문혈)

로 이어져서

⑦ 손바닥 뒤에 腕豆骨(완두골)에 도달한 후 손바닥 후변에 있는 少府穴(소부

혈)에 진입된 다음 새끼손가락의 橈側(요측)을 따라 말단 少冲穴(소충혈)에

나와서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과 접한다.

病候(병후) : ①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의 병리변화는 咽部(인부)가 마르고 心臟(심장)에 통

증이 생기며, 입이 마르고 물을 많이 마시는 증상과 또 下腕(하완)이 차고 저

리며 시큰시큰한 통증(酸痛)이 생기는 등 한다.

② 본경수혈은 心(심)에 유관되는 병증을 주치한다. 즉 눈이 누렇고 가슴과 옆

구리에 동통(胸脇痛(흉협통))이 생기고, 팔 내측 후변에 통증 혹은 차가운 증

상, 손바닥에열(手心熱)이 나며 뜨거운 증상 등이다.


6)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

穴名(혈명) : 少澤 → 聽宮 19個穴

少澤(소택), 前谷(전곡), 后溪(후계), 腕骨(완골), 陽谷(양곡), 養老(양노), 支正(지

정), 小海(소해), 肩貞(견정), 臑兪(노유), 天宗(천종), 秉風(병풍), 曲垣(곡원), 肩

外兪(견외유), 肩中兪(견중유), 天窗(천창), 天容(천용), 觀髎(관료), 聽宮(청궁).

循行(순행) : 주요분포는 上肢外側(상지외측) 后緣(후연)에 있다.

① 새끼손가락 외측 끝 少澤穴(소택혈)에서 시작되어 손바닥 尺側(척측)을 따라

前谷穴(전곡혈)과 后溪穴(후계혈)을 거쳐 팔목을 향하여 腕骨穴(완골혈)과

陽谷穴(양곡혈)에 이른다. 그 후 尺骨小頭(척골소두)의 養老穴(양노혈)에 나

와서 곧게 올라와 척골아랫면 支正穴(지정혈)을 따라

② 팝굽 내측 肱骨內上髁(굉골내상과)와 尺骨鷹嘴(척골응취)사이 少海穴(소해

혈)에 나와서 위로 향하여 上腕穴(상완혈) 外后側(외후측)을 따라

③ 견관절의 肩貞穴(견정혈)과 臑兪(臑兪穴(노유혈)에 나오고 肩胛(견갑)을 돌

아서 天宗穴(천종혈), 秉風穴(병풍혈) 및 曲垣穴(곡원혈)에 이르러 어깨 위에

교회 된 후 肩外兪穴(견외수혈)과 肩中兪穴(견중수혈)를 거치는 동안 膀胱經

(방광경)의 附分穴(부분혈)과 督脈(독맥)의 大椎穴(대추혈)에 會(회)하고

④ 缺盆穴(결분혈)에 진입되어 心(심)에 絡(락)하고, 식도를 따라 橫膈膜(횡격

막)을 통과한 후 胃(위)에 도달한 다음 任脈(임맥)의 上脘穴(상완혈)과 中脘

穴(중완혈)에 會(회)하고 小腸經(소장경)에 속한다.

支脈(지맥) : ⑤ 鎖骨(쇄골)에서 위로 목옆을 따라 天窗(天窗穴(천창혈), 天容(天容穴(천용혈)

을 거쳐 뺨의 觀髎穴(관료혈)를 향하여 뻗어나간 후 눈 외각에서 足陽明胃經

(족양명위경)의 瞳子髎穴(동자료혈)에 會(회)하고 뒤로 향하여 手少陽三焦

經(수소양삼초경)의 和髎穴(화료혈)에 會(회)한 후 聽宮穴(청궁혈)을 거쳐 귀

속에 진입된다.

病候(병후) : ① 手太陽經(수태양경)의 病理變化(병리변화)는 咽喉痛(인후통), 턱이 부어서

고개를 돌리지 못하고, 어깨가 당기는 동통, 上腕(상완)이 끊어지는 뜻한 疼

痛(동통)이 있다.

② 본경수혈은 液(액) 방면에 유관되는 병증 발생을 주치한다. 예를 들면 耳聾

(이농), 目黃(목황),面頰浮種(면협부종), 목과 아래 뺨의 동통, 肩胛(견갑), 下

腕外側(하완외측) 后面(후면)의 痛症(통증)이다.


7)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

穴名(혈명) : 晴明 → 至陰 69個穴

睛明(정명), 攢竹(찬죽), 眉冲(미충), 曲差(곡차), 五處(오처), 承光(승광), 通天(통

천), 絡却(락각), 玉枕(옥침), 天柱(천주), 大杼(대저), 風門(풍문), 肺兪(폐수), 厥

陰兪(궐음수), 心兪(심수), 督兪(독수), 膈兪(격수), 膵兪(췌수,舊 胃管下兪), 肝兪

(간수), 膽兪(담수), 脾兪(비수), 胃兪(위수), 三焦兪(삼초수), 腎兪(신수), 氣海兪

(기해수), 大腸兪(대장수), 關元兪(관원수), 小腸兪(소장수), 膀胱兪(방광수), 中

膂兪(중려수), 白環兪(백환수), 上髎(상료), 次髎(차료), 中髎(중료), 下髎(하료),

會陽(회양), 承扶(승부), 殷門(은문), 浮郄(부극), 委陽(위양).,- 附分(부분), 魄戶

(백호), 膏肓(고황), 神堂(신당), 譩譆(의희), 膈關(격관), 膽管(담관, 新), 魂門(혼

문), 陽綱(양강), 意舍(의사), 胃倉(위창), 肓門(황문), 志室(지실), 胞肓(포황), 秩

邊(질변), 合陽(합양), 承筋(승근), 承山(승산), 飛 揚(비양), 跗陽(부양), 崑崙(곤

륜), 仆參(복삼), 申脈(신맥), 金門(금문), 京骨(경골), 束骨(속골), 足通谷(족통곡),

至陰(지음).

循行(순행) : 주로 허리와 등어리 제일, 제이측선 및 下肢外側(하지외측) 后緣(후연)에 분포

되었다.

① 內眼角(내안각) 睛明穴(정명혈)에서 시작되어 이마로 올라와 攢竹穴(찬죽

혈), 眉冲穴(미충혈), 曲差穴(곡차혈)을 지나면서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頭臨泣(頭臨泣穴(두림읍혈)에 會(회)하고, 五處穴(오처혈), 承光穴(승광혈)

및 通天穴(통천혈)을 거친 뒤에정수리에 있는 督脈(독맥)의 百會穴(백회혈)

에 교회된다.

支脈(지맥) : ② 정수리에서 분출되어 耳上角(이상각)에 도달하게 되는데 여기에 분포된 足

少陽膵 經(족소양췌경)의 曲鬢穴(곡빈혈), 率谷穴(솔곡혈), 浮白穴(부백혈),

頭竅陰穴(두규음혈), 完骨穴(완골혈)을 만나게 된다. 直行(직행)하는 주간은

③ 정수리에서 안으로 腦(뇌)에 들어가 絡(락)하며 한편 絡却穴(락각혈), 玉枕穴

(옥침혈)을 지나서 독맥의 腦戶(뇌호)와 風府穴(풍부혈)에 會(회)한다. 다시

목(后頭髮際) 위에 있는 天柱穴(천주혈)에서 나와 두 갈래로 갈라져 하행하

는데

④-㉠ 그 한 갈래는 肩胛內側(견갑내측)을 따라 척추를 옆으로 끼고 督脈(독맥)

의 大椎穴(대추혈)과 陶道穴(도도혈)에 會(회)하고, 大杼(大杼穴(대저혈), 風

門穴(풍문혈), 肺兪(폐수), 厥陰兪(궐음수), 心兪(심수), 督兪(독수), 膈兪(격

수), 膵兪(췌수)를 지나서 허 리(腰)를 향하여 肝兪(간수), 脾兪(비수), 胃兪(위

수) 三焦兪(삼초수), 腎兪(신수)에 이르러 척추 옆 근육에 진입한 후

⑤ 腎(신에 絡(락) 하고 膀胱(방광)에 屬(속)하며 이어 서 氣海兪(기해수), 大腸兪

(대장수), 關元兪(관원수), 小腸兪(소장수) 膀胱兪(방광수), 中膂兪(중려수),

白環兪(백환수)에 이르게 된다.

⑥ 허리에서 갈라진 한 갈래는 척추옆을 끼고 엉덩이를 지나 上髎(上髎穴(상료

혈), 次髎穴(차료혈), 中髎穴(중료혈), 下髎穴(하료혈), 會陽穴(회양혈), 承扶

穴(승부혈)에 이르는 동안 엉덩이를 지나 殷門穴(은문혈)을 거쳐 오금에 있

는 委中穴(위중혈)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위에서

④-㉡ 天柱穴(천주혈)에서 나와 갈라진 다른 한 支脈(지맥)은 肩胛內側(견갑내

측)으로 분리 하행하여 肩胛(견갑)을 통과하여 附分穴(부분혈), 魄戶穴(백호

혈), 膏肓穴(고황혈), 神堂穴(신당혈), 議譆穴(의희혈), 膈關(膈關穴(격관혈),

膽管(膽管穴(담관혈), 魂門(魂門穴(혼문혈), 陽綱穴(양강혈), 意舍穴(의사혈),

胃倉穴(위창혈), 肓門穴(황문혈), 志室穴(지실혈), 胞肓穴(포황혈), 秩邊穴(질

변혈)에 이르는 한편

⑧ 髖關節(관관절)을 지나면서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還跳穴(환도혈)에 會

(회)하고, 大腿外側面(대퇴외측면)을 따라 하행하면서 浮郄穴(부극혈)과 委

陽(委陽穴(위양혈)을 거쳐서 오금에 있는 委中穴(위중혈)에서 회합되고

⑨ 그 아래로 腓腸肌(비장기)를 통과하면서 合陽穴(합양혈), 承筋穴(승근혈), 承

山穴(승산혈)을 거쳐 外下方(외하방)으로 飛揚穴(비양혈), 跗陽穴(부양혈)로

해서 외측복사뼈의 후방 崑崙穴(곤륜혈)에 나와서

⑩ 第五跖骨(제오척골) 粗隆(조륭)을 따라 僕參穴(복삼혈), 申脈穴(신맥혈), 金

門穴(금문혈), 京骨(京骨穴(경골혈)을 지나 새끼발가락 외측에 束骨穴(속골

혈), 足通谷穴(족통곡혈), 至陰穴(지음혈)에 도달하여 아래로 足少陰腎經(족

소음신경)에 接(접)한다.

病候(병후) : ① 足太陽經(족태양경)의 병리변화는 머리가 무겁고 아프며, 눈알이 빠지는 뜻

한 증상, 목이 당기고, 척추와 등어리 통증, 허리가 끊어지는 뜻한 痛症(통

증), 髖關節 (관관절) 屈伸不利(굴신불리), 오금이 얼어붙는 감각, 腓腸肌(비

장기)가 터지는 뜻한 통증, 발목 외측이 冷(냉)하고 麻木(마목), 疼痛(동통) 등

이다.

② 본경수혈은 筋(근) 방면에 발생한 병증을 주치한다. 痔疾(치질), 虐疾(학질),

發狂(발광), 精神病(정신병), 癎疾病(간질병), 頂頭痛(정두통), 項强痛(항강통,

목덜미 통증), 目暗(목암, 눈이 어둡고), 流淚(유루), 鼻塞(비색) 혹은 콧물이

많거나(涕多), 衄血(뉵혈, 코피), 목뒤에 선골 부위, 무릎, 腓腸肌(비장기), 발

의 모든 통증, 새끼발가락 운동장애 등을 다스린다.


8)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

穴名(혈명) : 湧泉 → 兪府 27個穴 湧泉(용천), 然谷(연곡), 太溪(태계), 大鍾(대종), 水泉(수천),

照海(조해), 復溜(복류), 交信(교신), 筑賓(축빈), 陰谷(음곡), 橫骨(횡골),

大赫(대혁), 氣穴(기혈), 四滿(사만), 中注(중주), 肓兪(황유), 商曲(상곡),

石關(석관), 陰道(음도), 腹通谷(복통곡), 幽門(유문), 步廊(보랑), 神封(신

봉), 靈墟(령허), 彧中(욱중), 兪府(유부).

循行(순행) : 주로 하지내측 후연 및 가슴 복부 第一側線(제일측선)에 분포되었다.

① 足小趾(족소지) 말단에서 시작하여

② 옆으로 비껴서 발바닥 중심 湧泉穴(용천혈) 에 내려 와서 舟狀骨(주상골) 쪽

으로 나와 然谷穴(연곡혈), 照海穴(조해혈), 水泉穴(수천혈)을 따라 내측 복

사뼈 뒤 太溪穴(태계혈)를 따라 가고 分支(분지)는 발꿈치에 大 鍾穴(대종혈)

에 진입되어

③ 위로 小腿(소퇴) 내측을 향하여 復溜穴(복류혈), 交信穴 (교신혈)을 거쳐 足

太陰脾經(족태음비경)의 三陰交穴(삼음교혈)에 會(회)하고 오금 내 측을 향

해 筑賓穴(축빈혈)을 지나 오금의 陰谷穴(음곡혈)에 이른 뒤에 大腿(대퇴) 내

측 뒷면에 올라와서

④ 脊柱(척주)를 통과하여 督脈(독맥)의 長强(장강)에 會(회)하고 腎신)에 속하

며 膀胱(방광)에 絡(락)한다. 橫骨穴(횡골혈), 大赫穴(대혁혈), 氣穴(기혈), 四

滿穴(사만혈), 中注穴(중주혈), 肓兪穴(황수혈)을 지나는 동안에 任脈(임맥)

의 關元穴 (관원혈), 中極穴(중극혈)에 會(회)한다. 직행 맥은

⑤ 腎(신)에서 앞을 향하여 商曲穴(상곡혈), 石關穴(석관혈), 陰都穴(음도 혈), 腹

通谷穴(복통곡혈)), 幽門穴(유문혈)을 지나 肝(간)과 橫膈膜(횡격막)을 통과

하여 肺(폐)에 진입되고 步廊(步廊穴(보랑혈), 神封穴(신봉혈), 靈墟穴(령허

혈), 神藏穴(신장혈), 彧中穴(욱중혈), 輸府穴(수부혈)에 이른다.

⑥ 喉部(후부)를 따라 혀뿌리 옆 廉泉(廉泉穴(렴천혈)을 통과한다.

支脈(지맥) : ⑦ 肺(폐)에서 나와 心(심)에 絡(락)하고 가슴에 流注(유주)되어 手厥陰膈經(수

궐음격경)과 接(접) 한다.

病候(병후) : ① 足少陰經(족소음경)에 병리변화가 생기면 배는 고프나 음식생각이 없고, 얼

굴색이마치 석탄 같이 검으며, 기침하면서 가래와 피가 섞인 담을 토하고,

숨이 차서 앉지 못하며, 두 눈은 잘 보이지 않고, 마음이 공중에 뜬 감이며 불

안하고, 腎氣(신기)가 虛(허)하면 恐怖感(공포감)을 느끼며 가슴이 두근거려

마치 누가 붙잡는 감이 들어, 두렵고 불안하다. 또 骨病(골병)도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厥冷(궐냉), 麻木(마목), 酸痛(산통) 등이다.

② 本經穴(본경혈)은 腎臟(신장)방면의 病證(병증)을 主治(주치) 한다. 예를 들

면 입 안에 熱(열)이 나고 혀가 마르며, 咽部(인부)가 붙고, 숨이 차고, 咽喉

(인후)가 마르고 아픈 증상 마음이 번거롭고, 가슴이 아픈 증상, 黃疸(황달),

泄瀉(설사), 脊柱(척주) 大腿內側(대퇴내측) 后面(후면)의 痛證(통증)과 맥이

없고 厥冷(궐냉)한 증상, 눕기 좋아하는 증상, 발바닥에 열나며 아푼 증상이

다.


9) 手厥陰膈經(수궐음격경)

穴名(혈명) : 天池 → 中衝  9 個穴

天地(천지), 天泉(천천), 曲澤(곡택), 郄門(극문), 間使(간사), 內關(내관), 大陵(대

능), 勞宮(노궁), 中冲(중충).

循行(순행) : 주로 上肢內側(상지내측) 중간에 분포되었다.

① 가슴속에서 시작되어 낮게 나온 후 膈(격)에 속하며 膈肌(격기)를 통과하여

가슴, 上腹部(상복부), 下腹部(하복부)를 지나서 三焦(삼초)에 絡(락)한다.

支脈(지맥) : ② 胸部內側(흉부내측)을 따라 옆구리에 나와서

③ 겨드랑이 아래 三寸(삼촌) 天池穴(천지혈)에 이르러 다시 위로 겨드랑이 위

로 향하여

④ 팔 내측을 따라 天泉穴(천천혈)을 지나 手太陰經(수태음경)과 手少陰經(수소

음경) 사이로

⑤ 팔 중간에 진입되어 팔오금 曲澤穴(곡택혈)을 지나 아래팔로 향하여 橈側腕

骨肌腱(요측완골기건)과 掌長肌腱(장장기건) 사이를 지나 郄門穴(극문혈),

間使穴(간사혈), 內關穴(내관혈), 大陵穴(대능혈)을 지나

⑥ 손바닥에 들어가서 勞宮穴(노궁혈)에 이른후 中指橈側(중지요측)을 따라 말

단 中冲穴(중충혈)에 나온다.

支脈(지맥) : ⑦ 손바닥에서 갈라져 무명지를 따라 말단에 나와서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

경)에 접한다.

病候(병후) : ① 手厥陰經(수궐음경)에 病理變化(병리변화)가 발생하면, 心中熱(심중열), 아

래팔과 팔굽이 당기며 졸아들고, 겨드랑이가 붙고 심지어 가슴이 그득하고

번민하게 되며(胸中滿悶), 가슴이 두근거리고 마음이 편안하지 못하며(心悸

不寧), 얼굴이 붉고, 눈이 누렇고, 웃음을 끊지 못하는(喜笑不止) 증상이다.

② 본경수혈은 血脈(혈맥) 방면에 관계되는 病證(병증)을 主治(주치) 한다. 예를

들면 心胸煩悶(심흉번민), 心痛(심통), 손바닥에 열나는(手心熱) 등이다.


10)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

穴名(혈명) : 關衝 → 絲竹空 23個穴

關冲(관충), 液門(액문), 中渚(중저), 陽池(양지), 外關(외관), 支泃(지구), 會宗(회

종), 三陽絡(삼양락), 四瀆(사독), 天井(천정), 淸冷淵(청냉연), 消濼(소락), 臑會

(노회), 肩髎(견료), 天髎(천료), 天牖(천유), 翳風(예풍), 瘈脈(계맥), 顱息(로식),

角孫(각손), 耳門(이문), 耳和髎(이화료), 絲竹空(사죽공).

循行(순행) : 주로 上肢外側(상지외측) 중간에 분포되었다.

① 无名指(무명지) 말단 關冲穴(관충혈)에서 시작되어 작은 손가락과 무명지 사

이에 있는 液門穴(액문혈)에 올라와

② 손등을 따라 中渚穴(중저혈)를 거쳐 腕骨(완골)의 陽池穴(양지혈)에 이르러

尺骨(척골)과 橈骨(요골) 두 뼈 사이로 나와서 위로 향하여 外外關穴(외관

혈), 支支溝穴(지구혈), 會宗穴(회종혈), 三陽絡穴(삼양락혈)과 四凟穴(사독

혈)을 지나

③ 팔굽의 天井穴(천정혈)을 통과한 후 上臂外側(상비외측)을 따라 淸冷淵穴(청

냉연혈), 消濼穴(소락혈), 臑會穴(노회혈)을 거쳐 위로 어깨를 통과하여 肩髎

穴(견료혈)에 이르러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 후면에서 天髎穴(천료혈)에

이르는 사이에서

④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의 秉風穴(병풍혈)과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

의 肩井穴(견정혈), 督脈(독맥)의 大椎穴(대추혈)에 會(회)하고

⑤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缺盆穴(결분혈)에 진입되어 膻中(전중)에 분포되

고, 흩어져서 膈(격)에 絡(락)하며

⑥ 橫膈(횡격)을 통과 한 후 광범위하게 上中下(상중하) 三焦(삼초)에 屬(속)한

다.

支脈(지맥) : ⑦ 膻中(膻中穴(전중혈)에서 상행하여 鎖骨(쇄골) 위 오목한 곳 缺盆穴(결분혈)

로 나와서

⑧ 목옆으로 향한 후 귀 뒤로 연계되는 天牖穴(천유혈), 翳翳風穴(예풍혈), 瘈脈

穴(계맥혈), 顱息穴(로식혈)을지나

⑨ 귀 위 角孫穴(각손혈)에 올라와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頷厭穴(함염혈),

懸厘穴(현리혈), 上關穴(상관혈)에 會(회)하고 아래로 굽혀져서 뺨과 눈 아래

에 觀髎(觀髎穴(관료혈)에 나온다.

支脈(지맥) : ⑩ 귀 뒤에서 귀속으로 들어가며 다시 귀 앞으로 나와 耳門穴(이문혈)에서 足

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聽會穴(청회혈)과 會(회)하고 和髎穴(화료혈)과 上

關穴(상관혈)앞을 경과한 후 눈 외각의 絲竹空穴(사죽공혈)에서 足少陽膵經

(족소양췌경)의 瞳子髎穴(동자료혈)에 會(회)하며 接(접)한다.

病候(병후) : ① 手少陽經(수소양경)에 병리변화가 생기면 耳聾(이농), 耳鳴(이명), 목구멍이

붓고아픈 증상이 나타난다.

② 본경의 수혈은 氣(기)와 관계되는 病證(병증)의 발생을 주치한다. 예를 들면

땀 이 흐르는 증상, 눈 외각의 통증, 뺨이 붓는 증상, 귀 뒤, 어깨, 팔과 팔 굽

외측에 발생하는 모든 통증, 小指(소지)와 无名指(무명지) 활동장애 등이다.


11)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

穴名(혈명) : 瞳子髎 → 足竅陰 44個穴

瞳子髎(동자료), 聽會(청회), 上關(상관), 頷厭(함염), 懸顱(현로), 懸厘(현리), 曲

鬢 (곡빈), 率谷(솔곡), 天冲(천충), 浮白(부백), 頭竅陰(두규음), 完骨(완골), 本神

(본신), 陽白(양백), 頭臨泣(두림읍), 目窗(목창), 正營(정영), 承靈(승령), 腦空(뇌

공), 風池(풍지), 肩井(견정), 淵腋(연액), 日月(일월), 京門(경문), 帶脈(대맥), 五

樞(오추), 維道(유도), 巨髎(거료), 還跳(환도), 風市(풍시), 中瀆(중독), 膝陽關(슬

양관), 陽陵泉(양능천), 陽交(양교), 外丘(외구), 光明(광명), 陽輔(양보), 懸鍾(현

종), 丘墟(구허), 足臨泣(족림읍), 地五會(지오회), 俠溪(협계), 足竅陰(족규음).

循行(순행) : 주로 下肢外側(하지외측) 중간에 분포되었다.

① 눈 외각 瞳子髎(瞳子髎穴(동자료혈)에서 시작되어 이마 각에 足陽明胃經(족

양명위경)의 頭維穴(두유혈)에 會(회)하고 頷厭穴(함염혈), 懸厘穴(현리혈),

曲鬢穴(곡빈혈)을 지나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의 禾髎穴(和髎穴(화료

혈)과 角孫穴(각손혈)에 會(회)하고 다시 率谷(率谷穴(솔곡혈)에서 귀 뒤를

따라 天冲穴(천충혈), 浮白穴(부백혈), 頭竅陰穴(두규음혈), 腕骨穴(완골혈)

에 내려온 뒤 되돌아 앞이마 발제에서 本神穴(본신혈)과 좌우 동자 위쪽 이

마 중간에 자리한 陽白穴(양백혈)에 도달한 뒤 다시 되돌아 頭臨泣穴(두림읍

혈), 目窗穴(목창혈), 正營穴(정영혈) 承靈穴(승령혈), 腦空穴(뇌공혈), 風池穴

(풍지혈)에 이르러 목옆을 따라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 앞 天牖穴(천유

혈)을 지나서

② 어깨 위로 내려와 후퇴한 후 督脈(독맥)의 大椎穴(대추혈)에 會(회)하고, 手

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에 교차되어 나온 뒤에 肩井穴(견정혈)을 지나 手

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의 秉風穴(병풍혈)에 會(회)하고

③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缺盆穴(결분혈)에 진입된다.

支脈(지맥) : ④ 귀 뒤 完骨穴(완골혈)에서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의 翳風穴(예풍혈)로

會하 고 귀속에 진입되었다가 눈 외각에 이른다.

支脈(지맥) : ⑤ 눈 외각에서 갈라져서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大迎穴(대영혈)에 내려와

서 手少陽三 焦經(수소양삼초경)에 회합되어 눈 아래에 이르러서

⑥ 아래로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頰車穴(협거혈)을 지나고 頸部(경부)를 지

나며 하행하여

⑦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缺盆穴(결분혈)에 회합된다. 여기서부터 아래로

가슴에 이른 후 橫膈(횡격)에 續(속)하고 肝(간)에 絡(락)하며, 옆구리를 따라

내려와서 腹股泃(복고구)의 氣街(기가)에 이르러서 陰毛(음모)를 돌은 후

⑧ 옆으로 髖關節(관관절)에 진입된다.

직행주간 : ⑨ 缺盆穴(결분혈)에서 겨드랑이 淵腋穴(연액혈)로 내려와서 手厥陰膈經 (수궐

음격경)의 天池穴(천지혈)에 會(회)하고

⑩ 胸側(흉측)을 따라 옆구리의 日月穴(일월혈), 京門穴(경문혈)을 지나서 足厥

陰肝經(족궐음간경)의 章門穴(장문혈)에 會(회)하고 아래로 帶脈穴(대맥혈)

을 지나 五樞穴(오추혈), 維道穴(유도혈)을 거쳐 髖關節部(관관절부)에 회합

되고,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의 上髎穴(상료혈), 下髎穴(하료혈)에 會

(회)한 후 還跳穴(환도혈)에 이른다.

⑪ 여기서 아래로 향하여 대퇴 외측을 따라 風市穴(풍시혈), 中瀆穴(중독혈)을

지나 무릎 외측 膝陽關穴(슬양관혈)에 나와서 아래로 腓骨頭(비골두) 앞 陽

陵泉穴(양능천혈)을 지나 계속 내려와 陽交穴(양교혈), 外丘穴(외구혈), 光明

穴(광명혈), 陽輔穴(양보혈), 懸鍾穴(현종혈)을 거쳐 腓骨下端(비골하단)의

외측 복사뼈(外踝) 앞 丘墟穴(구허혈)에 나와서

⑫ 발등을따라 足臨泣穴(족림읍혈), 地五會穴(지오회혈), 俠溪穴(협계혈)에 이

르러 第四趾(제사지, 넷째발가락) 外側(외측) 足竅陰穴(족규음혈)에 진입된

다.

支脈(지맥) : ⑬ 발등에서 분출되어 큰 발가락 사이에 진입되어 第一二跖骨(제일이척골) 사

이를따라 발가락 끝에 나와서 되돌아 발톱을 통과한 후 발가락 위로 나와서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과 接(접)한다.

病候(병후) : ① 足少陽經(족소양경)에 병리변화가 발생하면 입 안이 쓰고, 한숨을 잘 쉬며,

가슴 과 옆구리통증으로 돌아눕지 못하고, 심지어 얼굴에 먼지가 낀 것 같이

어지럽고, 전신에 피부는 윤기가 없으며, 무릎 외측에선 熱(열)이 나기도 하

고, 또 足少陽經(족소양경) 부분의 하지가 차(冷)고 저리며 시큰거리는 통증

(酸痛)이 발생한 다.

② 본경 수혈은 骨(골) 방면에 발생된 병증을 주치 하는데 예를 들면 頭痛(두

통), 偏頭痛(편두통), 눈 외각 통증, 缺盆穴(결분혈)이 붓고 아픈 증상, 겨드랑

이가 붓는 증상, 식은 땀 흘리는 증상, 추워서 떨고, 虐疾(학질), 가슴 옆구리

대퇴 무릎 외 측 小腿(소퇴)에 동통, 외측 복사뼈 및 각 관절의 시큰거리는 통

증, 새끼발가락, 无名趾(무명지) 활동장애 이다.


12)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

穴名(혈명) : 大敦 → 期門 14個穴

大敦(대돈), 行間(행간), 太冲(태충), 中封(중봉), 蠡泃(려구), 中都(중도), 膝關(슬

관), 曲泉(곡천), 陰包(음포), 足五里(족오리), 陰廉(음렴), 急脈(급맥), 章門(장문),

期門(기문).

循行(순행) : 주로 下肢內側(하지내측)의 중간에 분포되었다.

① 엄지발가락 위의 毫毛部(호모부)에 大敦穴(대돈혈)에서 시작되어 발등 내측

을 따라 行間穴(행간혈), 太冲穴(태충혈)을 지나 위로 향하여 내측 복사뼈

(內踝)로부터 一寸(일촌) 쯤 전면 쪽에 자리하고 있는 中封穴(중봉혈)에 이르

러 小腿內側(소퇴내측)으로 상행하여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의 三陰交穴

(삼음교혈)에 會(회)하고 蠡泃穴(려구혈), 中都穴(중도혈) 및 膝關穴(슬관혈)

을 지나 내측 복사뼈 위 八寸(팔촌)에 서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의 뒤로 교

차된 후 계속 상행하여

② 무릎오금 내측 曲泉穴(곡천혈)을 지나 계속 상행한 후 大腿內側(대퇴내측)을

따라 陰包穴(음포혈), 足五里穴(족오리혈) 및 陰廉穴(음렴혈)을 거쳐서

③ 陰毛(음모)에 진입되고 陰部(음부)를 돌아 急脈穴(급맥혈)로 나와서

④ 하복부에 이르러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의 冲門穴(충문혈), 府舍穴(부사혈)

과 任脈(임맥)의 曲骨穴(곡골혈), 中極穴(중극혈), 關元穴(관원혈)에 會(회)하

고 胃(위) 옆을 끼고 肝(간)에 屬(속)하며 膵(췌)에 絡(락)하고 章門穴(장문혈)

과 期門穴(기문혈)에 도달한 후

⑤ 계속 위로 향해 膈肌(격기)를 통과하 고 옆구리에 분포되며

⑥ 氣管(기관)을 따라 위로 목에 진입되고 鼻咽部(비인부)와 目系(목계)를 연접

하며 眼球后(안구후)의 脈絡(맥락)에

⑦ 상행되어 이마에 나온 후督脈(독맥)과 정수리에서 交會(교회)된다.

支脈(지맥) : ⑧ 目系에서 아래로 뺨을 향한 후 입술을 감돈다.

支脈(지맥) : ⑨ 肝(간)에서 갈라져 膈肌(격기)를 통과한 후 肺(폐)에 流注(류주)되며 手太陰

經(수 태음경)과 상호 연접한다.

病候(병후) : ① 足厥陰經(족궐음경)에 病理變化(병리변화)가 발생되면 허리의 통증으로 屈

伸(굴 신)하지 못하고, 남자는 小腸疝氣(소장산기)가 생기며, 여자는 아랫배

가 붓고 엄중한 환자는 목구멍이 마르며, 얼굴에 먼지 낀 듯하고 얼굴색은

어둡다(晦黯).

② 본경의 輸穴(수혈)은 肝(간)에 관계되는 병증을 主治(주치) 하는데 가슴이 꽉

찬감(胸滿), 嘔逆(구역), 대변이 묽으며(便溏), 消化不良(소화불량), 遺尿(유

뇨), 疝氣(산기), 小便不利(소변불리) 등 증상이다.

19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기초55 第八章 防治原則(방치원칙)

第八章一節 預防(예방) 豫防(예방)이란 일정한 조치를 취하여 질병의 발생과 발전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예방을 위주로 하는 것은 보건위생업무의 4대 방침의 하나다. 동서의학에서는 예방을 중시해 왔다. 일찍 《內經》에서 “병에 걸리기 전에 치료하는” 예방사업을 제기하고 “미연에 병을 예방”할 것을 강조하였다. 《素問 · 四氣調神大論》에서는 “聖人(성인)은

기초54 第七章七節 장부병기 3) 기항지부 공능실조

第七章七節 臟腑病機(장부병기) 3) 奇恒之腑的功能失調(기항지부적공능실조) ⑴ 腦的功能失調(뇌적공능실조) 腦(뇌)는 인체의 극히 중요한 기관으로써 인간의 精神(정신), 意識(의식), 思維活動(사유활 동)과 눈(眼)으로 보고, 귀(耳)로 듣고, 코(鼻)로 냄새를 맡으며, 혀(舌)로 맛(味)을 알고, 言語 (언어)롤 應答(응답)하며, 身体(신체)로 활동하는 것

기초53 第七章七節 장부병기 2) 육부적 공능실조

第七章 病機(병기) 7. 臟腑病機(장부병기) 2) 六腑的功能失調(육부적공능실조) 1) 膽的功能失調(담적공능실조) 膽囊(담낭)의 주요 생리적 기능은 膽汁(담즙)을 저장하고 排泄(배설)하여 脾(비)와 胃(위)의 運化機能(운화기능)을 돕는 것이다. 膽汁(담즙)은 肝(간)의 余氣(여기)에서 生成(생성)되고 膽 汁(담즙)의 分泌(분비)와 排泄(배설)은 肝(간)의 疏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