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사하제 (瀉下劑)
대체로 瀉下葯을 위주로 造成됨으로써 大便을 通하게 하고, 胃腸의 積滯를 排除토록 하며
實熱을 除祛한다. 혹은 水飮(주로 胃內停水)과 寒積 등을 몰아내는 작용을 함으로써 裏實證
을 치료하는 方劑라고 해서 瀉下劑라고 通稱하며 八法 중에서 下法의 범주에 속한다.
裏實證의 病因이 모두 같지 않은데 그것은 熱結, 寒結, 燥結과 水結의 구별이 있다. 동시에
또 虛實의 차이가 있다. 이로 말미암아 立法에 쓰이는 葯도 역시 같지 않다. 瀉下劑의 각기
不同한 作用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寒下, 溫下, 潤下, 逐水와 攻補를 겸한 5 種類로 分類
한다. 注意를 要하는 点은 瀉下劑는 里實證을 위하여 마련된 葯이다. 만약 表證이 풀어지지
않으면 里實은 이미 이루어 졌으므로 表里의 輕重을 고려해서 先表后里나 혹은 表里雙解法
을 쓰게되는 것이다. 老年體虛이거나 産后血虧, 病后津傷 그리고 亡血 등에 대해서는 大便
秘結症이 있더라도 攻下劑를 전용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이르기를 虛實緩急에 근거하
여 혹은 먼저 攻下劑를쓰게되면 동시에 그 虛를 보살펴야한다. 또는 攻補劑를 함께 시도하
여 虛實을 함께 보살핀다. 峻下劑를 孕婦에게 쓰는 것은 삼가야 한다. 이밖에 瀉下劑는 대체
로 胃氣가 損耗되기가 쉬우므로 효과가 나타나면 즉시 服葯을 멈추어야 하며, 지나치게 쓰
는 것은 삼가야 한다. 그리고 또 음식물에 주의를 요한다. 특히 기름진 것이나, 소화가 잘 되
지 않는 음식물은 가급적 삼가 함으로써 胃氣가 傷하지 않도록 한다.
1) 寒下劑(한하제) - 熱結(열결)
⑴ 槪念 : 寒下劑(한하제)는 裏熱(리열)과 積滯(적체)가 서로 맺힌 實證(실증)에 適用(적용)
된다. 症勢(증세)는 大便秘結(대변비결), 腹部滿(복부만) 또는 붓거나 아프고 심
하면 潮熱(조열), 黃苔(황태), 實脈(실맥) 등으로 나타난다. 이 종류의 方劑(방제)
로써 積滯(적체)를 攻下(공하)하고 實熱(실열)을 제거할 목적으로 寒下葯(한하
약)을 쓴다.
⑵ 常用葯 : 大黃(寒), 芒硝(寒).
⑶ 葯의 歸經 大黃 : 脾, 胃, 大腸, 肝, 心. 芒硝 : 胃, 大腸.
⑷ 代表方에는 承氣湯(승기탕) : 大承氣湯(대승기탕), 小承氣湯(소승기탕), 調胃承氣湯(조
위승승기탕)과 大陷胸湯이(대함흉탕) 있다.
承氣湯(승기탕) :
① 대승기탕 (大承氣湯)
≒ 大黃9대황)12, 芒硝(망초)9, 枳實(지실)12, 厚朴(후박)15.
大黃 : 사하열결(瀉下熱結), 탕척장위(蕩滌腸胃) (實)
芒硝 : 연견윤조(軟堅潤燥), 통도대변(通導大便) (燥)
枳實 : 행기소창(行氣消脹)(痞)
厚朴 : 파적제만(破積除滿)(滿)
效能 : 준하열결(峻下熱結)
主治 ㉠ 양명부실증(陽明腑實證) : 大便이 不通하고, 방귀(失氣)가 빈번하게 나
오며 胃脘部가 답답하고 그득한 것 같은 脘腹痞滿과 또는 腹痛이 심해
서 손을 대는 것이 괴롭고, 쓰다듬으면 딱딱하다. 증세가 심하면 潮熱
이 일고, 헛소리를 친다. 手足에서 땀이 많이 나며, 舌苔가 黃燥하고, 혓
바늘이 돋거나 혹은 검게 타고 바싹 마른 熱이 나는 焦黑燥熱하고, 脈
은 沉實하다.
㉡ 열결방류(熱結旁流) : 純靑色의 淸水를 下痢하고, 배와 배꼽주위에 疼
痛이 있고, 손을 대면 딱딱한 덩어리가 짚인다. 입과 혀가 건조한 口舌
乾燥이고 脈은 滑實하다.
㉢ 리열실증(裏熱實證) : 裏熱實證의 熱厥이거나 힘줄이 당기는 痙病, 혹
은 미친 듯 날뛰는 發狂 등이다.
② 소승기탕 (小承氣湯)
≒ 大黃(대황)12, 炙枳實(자지실)9, 厚朴(후박)6.
效能 : 輕下熱結(경하열결)
主治 : 胃(위)와 腸(장)에 熱(열)이 盛(성)한 陽明腑實證(양명부실증)으로 헛소리
를 치는 譫語(섬어)와, 오후에 身熱(신열)이 조수처럼 밀려드는 潮熱(조
열)이 있고, 大便秘結(대변비결), 胸腹痞滿(흉복비만), 舌苔老黃(설태노
황) 滑脈(활맥) 등을 치료한다. 痢疾(이질)의 初期(초기)라면 腹中脹痛(복
중창통)이나 脘腹脹滿(완복창만)하고, 변을 보았는데도 뒤가 묵직한 것
이 변기가 남아 있는 里急后重(리급후중)도 역시 이 方을 쓴다.
③ 조위승기탕 (調胃承氣湯)
≒ 大黃(대황)12, 芒硝(망초)12, 甘草(감초)6.
效能 : 緩和熱結(완화열결)
主治 : 陽明病(양명병)의 胃腸燥熱(위장조열)로서 大便不通(대변불통), 口渴
心煩(구갈심번), 發熱(발열)이 甚(심)하고, 혹은 腹中脹滿 (복중창만)또
는 譫語(섬어), 舌苔黃(설태황), 脈滑數(맥활삭) 등이다. 그리고 胃腸위
장)의 熱(열)이 盛(성)한 것과 그로 인하여 皮膚(피부)에 癍疹(반진)이
돋거나, 嘔吐(구토) 하거나, 코피를 흘리는(發斑吐衄) 등과 口齒咽腫痛
(구치인종통) 등도 역시 治療(치료)가 가능하다.
④ 대함흉탕 (大陷胸湯)
≒ 大黃10, 芒硝10, 甘遂1.
效能 : 瀉熱, 逐水.
主治 : 結胸證 - 邪熱이 胸部에 鬱結되고 胸部疼痛, 胸部가 돌처럼 굳어지고 아
프며, 脈은 沈緊, 口舌이 干燥하여 口渴, 숨이 가쁜 등의 症候群이 나타나
는 病症이다. 肺炎, 肋膜炎, 胃潰瘍, 穿孔性腹膜炎, 急性膵臟炎, 膽石症,
膽囊炎 등의 증상으로 心下에서 少腹까지 硬滿하고 아파서 접근을 거부
하며 大便秘結과 오후 潮熱이 약간 있다.
2) 溫下劑(온하제) - 寒結(한결)
⑴ 槪念 : 溫下劑는 寒으로 말미암아 結成되는 里實證에 적용되는 것으로 大便秘結, 脘腹
脹滿, 腹痛喜溫, 手足不溫, 심지어는 厥冷, 脈沉緊 등의 證에 사용된다. 寒凝者는
非溫不散이고, 積滯者는 非下不除이므로 本方과 같은 溫散寒結과 그 里實을 내
리게 하는데 쓰여진다.
⑵ 常用葯은 寒下葯과 溫里葯이 方劑에 배합된다.
溫里葯 : 附子, 乾姜, 肉桂, 吳茱萸, 花椒, 蓽撥, 蓽澄茄, 丁香, 高良姜, 小茴香, 胡椒.
⑶ 葯의 歸經 肝經 : 肉桂, 吳茱萸, 小茴香.
心經 : 附子, 乾姜, 肉桂.
脾經 : 附子, 乾姜, 肉桂, 吳茱萸, 小茴香, 高良姜, 花椒, 丁香, 蓽登茄, 胡椒
胃經 : 乾姜, 吳茱萸, 小茴香, 高良姜, 花椒, 丁香, 蓽撥, 蓽登茄.
肺經 : 乾姜.
大腸經 : 蓽撥, 胡椒.
腎經 : 附子, 肉桂, 吳茱萸, 小茴香, 花椒, 丁香.
膀胱經 : 蓽登茄.
⑷ 代表方에는 溫脾湯, 大黃附子湯등이 있다. 그러나 만약 暴病으로 邪가 盛하여 진다면
寒實壅積이 된다. 이런 때는 辛熱峻下葯인 巴豆를 위주로 써서 猛攻急下시킨다. 이에
대표적인 方으로는 三物備急丸이 있다.
① 온비탕 (溫脾湯)
≒ 大黃12, 炮附子9, 乾姜6, 人蔘9, 炙甘草3. - 水煎服 大黃后下
效能 : 溫補脾陽, 攻下冷積
主治 : 脾陽不足으로 인한 冷積便秘 혹은 久痢赤白, 腹痛, 手足不溫 脈沉弦등을 다
스린다.
② 대황부자탕 (大黃附子湯)
≒ 大黃3, 炮附子9, 細辛3.
물 四升으로 달여 二升에서 取하여 三回로 나누어 溫服한다. 만약 强
한 사람이면 二升半에서 取하여 역시 三回로 나누어 溫服한다.
效能 : 溫陽散寒 瀉結行滯
主治 : 寒積里實로서 腹痛이 있고 便秘하며, 한쪽 옆구리가 아픈 脇下偏痛,
發熱, 手足厥逆, 舌苔白膩, 脈緊弦 등이다.
③ 삼물비급한 (三物備急丸)
≒ 大黃30, 乾姜30, 巴豆(熬乾煎, 如脂硏)30.
우선 大黃을 찧고, 乾姜을 粉末로 하고, 巴豆를 갈아서 속에 넣는다. 모
두 함께 다시 일천 번을 절구공이로 찧어 散으로 만들고 꿀로 반죽해
서 콩알크기로 환약을 만든다. 密閉된 그릇에 넣어 보관한다. 暖水나
苦酒로 3~5 환을 服用한다. 머리를 들고 服用하면 목으로 내려가서
곧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만약 효과가 없으면 3 환을 더 복용하면 복중
에서 소리를 내며 즉시 吐下가 되고 효과가 나타난다. 만약 散劑로 복
용할 경우 성인은 0.6~1.5g을 복용하고 小兒는 적절히 줄인다.
效能 : 攻逐寒積
主治 : 寒實冷積으로 별안간 心腹脹痛, 송곳으로 찌르듯이 아픈 刺痛, 氣急口
噤 大便不通 등을 主治한다.
3) 윤하제(潤下劑) - 조결(燥結)
⑴ 槪念 : 潤下劑는 腸燥便秘證에 적용되어 潤燥滑腸케 하여서 大便의 排出을 促進시키
는 것이다. 만약에 腸燥便秘가 熱邪에 의하여 傷津하게 되어서 便秘가 생기거나
혹은 平素에 火氣가 盛한 体質이어서 腸과 胃가 燥한 者는 便秘가 떠날 날이 없
어 潤下葯을 常用하게 된다.
⑵ 常用葯으로는 麻仁, 杏仁, 肉蓗蓉, 當歸와 寒下葯인 大黃 등이 있다.
⑶ 葯의 歸經 肝經 : 當歸.
心經 : 當歸.
脾經 : 麻仁, 當歸.
肺經 : 杏仁
腎經 : 肉蓗蓉
大腸經 : 麻仁, 杏仁, 肉蓗蓉.
⑷ 代表方으로는 麻子仁丸이 있다. 腎陽不足과 혹은 病后의 腎臟이 虛해져서 腎의 氣化
機能에 障害를 주어 小便不利나 水腫이 발생되는 關門不利證 患者는 溫補 腎陽하고,
潤腸通便하는 葯을 常用하도록 한다. 肉蓗蓉, 當歸 등이 그 常用葯이 되고 代表方으로
는 濟川煎이 있다.
① 마자인환 (麻子仁丸)
≒ 麻子仁500, 芍葯250, 炙枳實250, 大黃500, 炙厚朴250, 杏仁250.
上六味를 梧桐子大의 蜜丸으로 하여 10 丸(9g)씩 一日三回 飮服(溫水送
服)한다. 혹은 原方의 用量을 참자해서 湯劑로 해서 煎服한다.
效能 : 潤腸泄熱 行氣通便
主治 : 腸과 胃가 乾燥하고 熱이 있으므로 津液이 不足하게 되어 大便이 乾結하
게 되고, 小便을 빈번히 보게 되는 것을 治療한다.
② 윤장환 (潤腸丸)
≒ 大黃, 當歸梢, 羌活 各15, 桃仁30, 麻仁37.5.
上五味를 갈아서 사용하되 麻仁을 진흙처럼 細末로 갈아서는 안 된다. 이들
을 梧子大로 蜜丸을 만들어 每番 50 丸을 空腹에 맹물로 送下한다. 혹은 매
번 12ㅎ을 空腹에 溫水나 葯液으로 送服한다.
效能 : 潤腸通便, 活血祛風
主治 : 飮食勞倦 大便秘結이다. 또는 乾燥秘結不通이거나 전혀 飮食 생각이 없고,
風結, 血結 등의 증이다.
③ 제천전 (濟川煎)
≒ 當歸9~15, 牛膝6, 肉蓗蓉6~9, 澤瀉4.5, 升麻3~7, 枳殼3. 上六
味를 물 300ml로 달여서 150ml에서 取해 食前에 服用한다. 效能 : 溫腎益精
潤腸通便
主治 : 老年에 腎虛로 인한 大便秘結과 맑은 소변을 매번 많은 량을 보는 小便淸長,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앗찔 해지는 頭目眩暈, 허리와 무릎이 저린 듯, 아픈
듯 하며 맥없이 힘이 빠지는 듯한 腰膝痠軟 등을 治療 한다.
4) 축수제(逐水劑) - 수결(水結)
⑴ 槪念 : 逐水劑는 全身 혹은 體內의 일정한 곳에서 水 또는 飮이 막혀 몰려있는 水飮壅
盛의 里實證에 적용된다. 이런 종류의 방제에는 水飮을 攻逐하는 작용이 있어
體內의 積水를 通하게 하고, 大小便을 배출시킬 수가 있어 積水腫脹을 除祛시킬
목적으로 쓰여진다.
⑵ 常用되는 峻瀉逐水葯으로는 芫花, 甘遂, 大戟, 牽牛子 등이 있다.
⑶ 葯의 歸經 肺經 : 芫花, 甘遂, 大戟, 牛蒡子.
腎經 : 芫花, 甘遂, 大戟.
大腸經 : 芫花, 甘遂, 大戟, 牛蒡子.
⑷ 代表方으로는 十棗湯, 舟車丸 등이 있다.
① 십조탕 (十棗湯)
≒ 芫花, 甘遂, 大戟 各等分, 大棗十枚.
上四味 중에서 大棗를 제외한 三味를 각각 따로 빻아서 가루로 만들고, 大
棗10枚를 물 一升半으로 달여 八合에서 취하여 去滓하고 三味의 葯末을 풍
어 넣는다. 强한 사람은 一錢匕를 服用하고, 弱한 사람은 半錢을 服用하는
데 早朝의 空腹時에 服用한다. 이것을 平旦服이라고 한다. 만약 복용후에도
병이 낫지 않으면 이튼날 다시 복용하되 半錢을 더 添加한다. 下痢가 나아
지면 粥으로 滋養한다. 혹은 三味의 분말을 0.5~1g을 켑슬에 넣어 大棗湯
으로 첫새벽 空腹에 送下한다. 下痢가 쾌유된 후에는 미음으로 滋養한다.
效能 : 攻逐水飮
主治 : ㉠ 현음(懸飮)은 사음(四飮 즉 痰飮, 懸飮, 溢飮, 支飮)의 하나로 벽음(癖飮) 이
라고도 한다. 음사(陰邪)가 흉협(胸脇)에 정류(停留)되는 병(病)을 말한다.
기침하며 가래를 뱉는 咳唾와 가슴과 옆구리가 당기고 아픈 胸脇引痛, 心
下가 답답하고, 단단한 것이 觸指되며 아픈 心下痞硬, 헛구역질을 하며
숨이 찬 乾嘔氣短(心臟性呼吸困難), 머리가 아프고 눈앞이 캄캄해지는 頭
暈目眩, 또는 가슴과 등이 끌어당기듯이 아픈 胸背牽으로 숨을 제대로 못
쉬고 脈이 沉弦한 것을 治療한다.
㉡ 실수(實水)로 全身이 붓고 특히 下半身이 더욱 甚하며, 배가 팽창하고 기
침하며 숨을 몰아 쉬는 腹脹喘滿에 大小便이 순조롭지 못한 二便不利 등
을 治療한다.
② 주차횐(舟車丸)
≒ 牽牛子(黑丑, 硏末)12, 煨甘遂, 芫花, 炒大戟 各30, 大黃60, 靑皮, 陣皮, 木香,
檳榔 各15, 輕粉3.
上十味를 細末로 하여 水糊丸 小豆大로 만들어 空腹에 溫水로 服用한다.
初服은 5丸을 一日三服하면 快利하는 瘥度를 보게 된다.
現代用法은
細末로 갈아 丸을 지어서 每番 3~6g씩 每日一回 空腹時에 溫水로 送下한
다.
效能 : 行氣逐水.
主治 : 水熱內壅, 臟腑의 機能인 氣機가 험하게 막히게 되어(阻滯) 水腫 또는 水脹
이 생기고 口渴이 있고, 體內의 氣가 일정한 활동을 하지 못하는 氣粗와, 腸
의 活動이 굳어진(腹堅)으로 말미암아 大小便이 순조롭지 못한 大小便秘가
생기고, 脈은 沈數하고 有力한 것 등을 다스린다. ※ 氣機 : 臟腑之氣 즉 臟
腑의 機能活動을 말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서 臟腑器官의 生理, 혹은 病
理性의 活動을 말한다. 廣義로는 臟腑의 機能活動을 말하며, 狹義로는 三
焦의 昇降機能을 말하고, 胸膈도 포함된다.
§ 이러한 種類의 方劑에는 毒性이 있고, 逐水의 힘이 峻猛하기 때문에 虛弱
한 사람에게는 愼重히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5) 공보겸시제(攻補兼施劑) - 리실정허(里實正虛)
⑴ 槪念 : 攻補兼施劑는 裏實正虛의 大便秘結者에게 적용된다. 이럴 때 공격하지 않으면
그 實을 除祛하지 못하고, 實을 공격하는 것이 곧 正氣가 다시 虛해지는 正氣更
虛가 된다. 補하지 않으면 그 虛를 救할 수 없고, 補가 虛하면 裏實이 愈壅이 된
다. 오로지 攻補兼施劑를 써서 攻으로 正을 傷하지 않게 하고, 補로써 邪를 돕지
않게 하는 양쪽이 다 원만한 대책을 쓴다. 가령 里實便秘에 겸하여 氣血兩虛이
면 陰液이 많이 모자라는 虧虛한 患者에게는 瀉下葯을 常用한다. 예컨대 大黃,
芒硝 등으로 氣血을 補하고, 人蔘, 當歸, 生地黃, 玄參 등의 養陰液葯으로 방제를
構成한다.
⑵ 常用葯으로는 大黃(苦寒), 芒硝(苦寒), 人蔘(甘溫), 當歸(甘辛溫), 生地黃(甘寒), 玄參(苦
甘鹹寒) 등이 있다.
⑶ 葯의 歸經 肝經 : 大黃, 當歸, 生地黃.
心經 : 大黃, 當歸, 生地黃.
脾經 : 大黃, 人蔘, 當歸.
胃經 : 大黃, 芒硝, 玄參.
肺經 : 人蔘, 玄參.
大腸經 : 大黃, 芒硝.
腎經 : 生地黃, 玄參.
⑷ 代表方으로는 新加黃龍湯과 增液承氣湯이 있다. 이 두 方劑는 모두 瀉熱通便과 扶正
즉 正氣를 도와준다. 다만 전자는 中焦를 攻下하고 補氣益血, 滋陰增液作用이 있어 陽
明腑實로 正氣가 이미 虛하고 陰血이 크게 상한 者를 主治하고, 후자는 中焦를 攻下하
고 滋陰하여 增液하는 作用이 있어서 陽明熱結, 燥實難下와 陰液이 크게 傷한 證狀을
治療한다.
① 신가황용탕 (新加黃龍湯)
≒ 細生地黃15, 生甘草6, 人蔘4.5, 生大黃9, 芒硝3, 玄參15, 麥門冬15, 當
歸4.5, 海蔘二條, 姜汁六匙.
人蔘, 姜汁과 芒硝를 除外한 나머지 葯을 물 八杯로 달여 三杯에서 去
滓하고 芒硝를 넣고 다시 달여 다 녹인 후에 一杯의 량에 別煎한 人參
汁 五分과 姜汁 二匙를 넣고 頓服한다. 가령 腹中에서 소리가 나거나
失氣가 나오는 者가 便이 나오기를 원하는데 1~2시간 기다려도 便을
보지 못했다면 다시 전과 같이 一杯를 또 복용한다. 24시간이 지나도
便이 나오지 않는 다면 다시 三杯를 服用한다. 그래서 가령一杯에 便이
나왔다면 복용을 중단하고 益胃湯 一劑를 服用한다. 用量과 가감을 적
절히 조절하고 나머지 人蔘을 첨가하는 것도 좋다.
익위탕 (益胃湯)
≒ 沙蔘, 麥門冬, 氷糖, 細生地黃, 玉竹.
效能 : 滋陰益氣, 瀉結泄熱
主治 : 熱結里實 氣陰不足으로 大便秘結, 腹中脹滿과 硬, 神疲少氣 口乾 咽燥 脣裂
舌焦 苔焦黃 또는 焦黑燥熱 등을 治療한다.
② 증액승기탕 (增液承氣湯)
≒ 玄參30, 麥門冬25, 細生地黃25, 大黃9, 芒硝5.
大黃과 芒硝를 제외한 三味의 葯을 물 八杯로 달여 二杯에서 取하는데
종료전 15~20 分前에 大黃을 넣고 달인다. 이렇게 하여 얻은 2 杯의
약물에 芒硝를 넣고 녹인 후에 一杯를 服用하고 효과가 없으면 나머지
약을 마저 복용한다. 效能 : 滋陰增液, 泄熱通便. 主治 : 胃와 腸에 熱이
盛한 陽明溫病으로 熱의 結集으로 陰을 損傷받은 熱結陰虧로 腸道에
서 便이 말라 移行되지 않는 燥屎不行과 下焦 不通者를 치료한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