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方劑 19. 구충제 (驅虫劑)

Aktualisiert: 21. Aug. 2019


19. 구충제 (驅虫劑)

⑴ 槪念

대체로 구충약물(驅虫葯物)을 위주로 방이 구성되어 인체의 기생충병(寄生蟲病)을 치료

하는데 쓰이는 방제(方劑)를 가리켜서 구충제(驅虫劑)라고한다.

인체의 기생충병에는 종류가 상당히 많고 치법(治法) 또한 각기 다르다. 본제(本劑)는 소

화도(消化道)의 회충(蛔虫)과 요충(蟯虫), 조충(條虫 : 寸虫), 구충(鉤虫)등의 기생충(寄生

蟲)을 없애는 것을 위주로 한다.

소화도(消化道) 기생충병(寄生蟲病)의 공통적인 증상표현은 대부분 배꼽주위를 위주로

배가 아픈데(臍腹疼痛) 때로는 발생하고 때로는 멎으며, 아프나 식사는 할수 있고, 얼굴

색이 초라하고 누렇게 뜨거나 청색 혹은 백색이고, 또 백반이 생기기도 하고, 적사(赤絲,

실 같이 가는 핏줄)가 보이기도 하며, 잠잘 때 이를 갈거나, 혹은 위(胃)가 쓰리고 아픈 것

같기도 하고 배가 고픈 것 같기도 하며(胃脘嘈雜), 맑은 물을 토하고(嘔吐淸水), 설태(舌

苔)가 벗겨지거나 맥상(脈象)이 갑자기 커지거나 작아지는 등 증상이 나타난다.

만약 치료시기를 놓치거나 잘못 치료하여 시일을 오래 끌면 몸에 살이 빠져 여위게 되고

(肌肉消瘦), 음식 생각이 없으며(飮食不思), 정신이 시들어 빠진 듯하고(精神萎靡), 눈이

어둡고 시력이 약해지며(目暗視弱), 머리털이 바싹 마르고(毛發枯槁), 위(胃)와 배가 크

게 부어오르며(肚腹脹大), 복부 표면에 푸른 근육이 나타나는(靑筋暴露) 감적증(疳積證,

脾疳證) 등으로 나타난다.

이 밖에 충(虫)의 종류가 같지 않아 증상으로도 각각 특수한 표현이 있다.

예컨대

① 눈과 귀가 가렵거나 입술 안에 홍백점(紅白點)이 있는 것은 회충(蛔虫)의 증상이 나타

난 것이다.

② 항문(肛門)이 가려운 것은 요충(蟯虫) 특유의 증상이다.

③ 변하(便下)에 백색충체(白色虫體)의 절편(節片)이 있는 것은 조충(條虫 : 寸虫)의 특성

이다.

④ 특이한 물질(異物)을 먹는 것을 좋아하며(嗜食), 얼굴색이 누렇게 시들고(面色萎黃),

부종(浮腫)이 있는 환자는 구충(鉤虫)의 결과이다.

기생충병은 인체 내부에 있기 때문에 증을 판별하자면 한열허실(寒熱虛實)이 달라서 구

충제 배합역시 증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① 한(寒) 속하는 충병(虫病)의 구충약(驅虫葯)으로는 건강(乾姜), 천초(川椒) 등의 온중

거 한약(溫中祛寒葯)을 배합한 리중안회탕(理中安蛔湯) 같은 것이 있다.

② 병정(病情)이 열(熱)에 속하는 구충약(驅虫葯)에는 황연(黃連), 황백(黃柏) 등의 고한

청열약(苦寒淸熱葯)을 배합한 연매안회탕(連梅安蛔湯)이 있다.

③ 병정(病情)이 한열(寒熱)에 뒤섞인 것의 구충약으로는 고한(苦寒)한 황연(黃連), 황백

(黃柏)과 신온(辛溫)한 건강(乾姜), 부자(附子) 등을 배합한 한열겸시(寒熱兼施)의

매환(烏梅丸)이 있다.

④ 충적(虫積)이 감(疳)을 이루어 비운실건(脾運失健)한 환자의 구충약(驅虫葯)으로는 신

곡(神曲), 맥아(麥芽)등의 건운화중약(健運和中葯)과 육두구(肉荳蔲), 목향(木香) 등의

리기성위약(理氣醒胃葯)과 황연(黃連), 저담즙(猪膽汁) 등의 사충감적열약(瀉虫疳積

熱葯)을 배합한다. 방으로는 비아환(肥兒丸)이 있다.

충감(虫疳)으로 비장이 허하게 된(虛脾) 환자에게는 인삼(人參), 백복령(白茯苓), 백출(白

朮), 감초(甘草) 등의 보양비기약(補陽脾氣葯)을 배합한 포대환(布袋丸)과 같은 방이 있

다.

구충제(驅虫劑)를 복용하는데 주의해야할 점은

1) 약을 복용할 때는 기름기 있는 음식섭취를 금하고 아울러 공복에 약을 먹는 것이 좋

다.

2) 일부 구충약에는 독성이 함유된 것이 있으므로 사용할 때에는 제량(劑量)과 용량과다

에 주위하지 않으면 정기(正氣)가 상하거나 혹은 중독(中毒)되기가 쉽다. 또 용량이

부족하면 효력이 나기 어렵다.

3) 일부 구충약에는 공벌작용(攻伐作用)이 있어 노인이나 허약자, 임산부 등은 신중을

기해서 사용하거나 가급적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4) 구충제(驅虫劑)를 복용한 후에 비위허약자(脾胃虛弱者)는 적당히 비위(脾胃)를 보(補)

하는 약을 내복하는 것이 뒤에 탈이 없어서 좋다.

5) 대체로 기생충병(寄生蟲病)의 중상에서는 먼저 변을 검사하여 충란(虫卵)의 유무를

살펴서 충란이 발견 되면 변증(辨證)에 결합되는 구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고도

확실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⑵ 常用葯 : 오매(烏梅), 천초(川椒), 뇌환(雷丸), 빈낭(檳榔), 학슬(鶴蝨), 사군자(使君子), 고

련피(苦煉皮), 관중(貫衆), 남과자(南瓜子), 비자(榧子) 등이다.

⑶ 葯의 歸經 肝經 : 오매(烏梅), 고련피(苦煉皮), 관중(貫衆).

脾經 : 오매(烏梅), 학슬(鶴蝨), 사군자(使君子), 고련피(苦煉皮), 관중(貫衆).

胃經 : 호초(胡椒), 뢰환(蕾芄), 빈낭(檳榔), 학슬(鶴蝨), 사군자(使君子), 고련피

(苦煉皮), 남과자(南瓜子).

肺經 : 오매(烏梅), 비자(榧子). 大腸 : 오매(烏梅), 호초(胡椒), 뢰환(蕾芄), 빈낭

(檳榔), 남과자(南瓜子), 비자(榧子).

⑷ 代表方 : ① 오매환(烏梅丸), ② 리중안회탕(理中安蛔湯), ③ 연매안회탕(連梅安蛔湯),

④ 비아환(肥兒丸), ⑤ 포대환(布袋丸), ⑥ 화충환(化虫丸).

① 오매환 (烏梅丸)

≒ 오매(烏梅)480, 세신(細辛)180, 건강(乾姜)300, 황연(黃連)480, 당귀(當歸)

120, 포부자(炮附子)180, 초촉초(炒蜀椒)120, 계지(桂枝)180, 인삼(人參)

180, 황벽(黃蘗)180.

效能 : 온장안회(溫臟安蛔)

主治 : 회궐증(蛔厥證)으로 인한 마음이 괴롭고 답답하며 구토(心煩嘔吐)가 때로는

생겼다가 때로는 멎고 음식을 먹으면 회충을 토하며(食入吐蛔), 수족이 말단

으로부터 차가워져 오르고(手足厥冷), 복통(腹痛)이 나는 것과 또한 오랜 이

질(久痢), 오랜 설사(久瀉)를 치료하기도 한다.

② 리중안회탕 (理中安蛔湯)

≒ 인삼(人參)2, 백출(白朮)3, 복령(茯苓)3, 천초(川椒)8, 오매(烏梅)9, 초흑

건강(炒黑乾姜)1.5. - 수전복(水煎服)

效能 : 온중안회(溫中安蛔)

主治 : 비위의 양기가 떨치고 일어나지 못함으로(中陽不振), 비위에 양기가 허

(虛)하고 음한(陰寒)이 내성(內盛)하여(脾胃虛寒), 대변이 묽고 오줌이 맑

으며(便溏尿淸), 배가 아프고 물이 흐르는 듯 음식물이 흘러가는 소리가

나며(腹痛腸鳴), 팔다리가 따뜻하지 못하고(四肢不溫), 설태는 박백(舌

苔薄白)하고, 맥은 허완(脈虛緩)한 증상을 다스린다. 회충이 구강에서 토

출되거나 대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다스린다.

③ 연매안회탕 (連梅安蛔湯)

≒ 황련(黃連)3, 초천초(炒川椒)1.5, 백뢰환(白雷丸)10, 오매육(烏梅肉)5, 생

천백(生川柏)2.5, 첨빈랑(尖檳榔)10.

效能 : 청열안회(淸熱安蛔)

主治 : 내장에 충이 쌓여 배가 아프고(虫積腹痛), 음식 생각이 없으며(不思飮

食), 음식을 먹으면 곧 회충을 토하게(食則吐蛔)되고 심하면 마음이 괴롭

고 초조히 성급해(煩躁) 하거나, 궐역(厥逆)에 또한 면적(面赤), 구조(口

燥), 설홍(舌紅), 신열(身熱), 맥삭(脈數).

④ 비아환 (肥兒丸)

≒ 초신곡(炒神曲)300, 황연(黃連)300, 육두구(肉荳蔲)150, 사군자(使君子)150,

초맥아(炒麥芽)150, 빈낭(檳榔)150, 목향(木香)60.

效能 : 살충소적(殺虫消積), 건비청열(健脾淸熱)

主治 : 장에 충이 쌓여 배가 아프며(虫積腹痛), 소화불량(消化不良)으로 인한 얼굴색

이 누렇고 몸은 여위고(面黃体瘦), 위(胃)와 배가 불러그득 하며(肚腹脹滿),

열이 나고 입에서는 흉한 냄새가 나며(發熱口臭), 대변이 묽고 잘 나가는(大

便稀溏) 등 증상을 다스린다.

⑤ 포대환 (布袋丸)

≒ 야명사(夜明砂)60, 무이(蕪荑)60, 사군자(使君子)60, 백복령(白茯苓)15, 백출

(白朮)15, 인삼(人參)15, 감초(甘草)15, 노회(蘆薈)15.

效能 : 구회소감(驅蛔消疳), 보양비위(補養脾胃)

主治 : 소아충감(小兒虫疳)으로 인해 몸에는 열이 있고 얼굴색이 누른색이며(体熱

面黃), 사지가 가늘고 배가 부르며(肢細腹大), 몸이 지쳐 열이 나게 되면 눈이

어두워지는(發焦目暗) 등 증상을 다스린다.

⑥ 화충환(化虫丸)

≒ 호분(胡粉, 즉 炒鉛粉)1500, 학슬(鶴蝨)1500, 빈낭(檳榔)1500, 고련근(苦楝根

: 去浮皮)1500, 고백반(枯白礬)370.

效能 : 모든 장충(腸虫)을 구살(驅殺)한다.

主治 : 장중(腸中)의 모든 충(諸虫)이 발작할 때에 상하로 왕래하며 극심하게 배가

아프고(腹中疼痛), 맑은 물을 토하거나 회충(蛔虫)을 토하는 것을 다스린다.

註 ① 감적(疳積)

연약한 어린이 에게 잘 발생하는 영양 장애성 질환으로 굴색이 누렇고, 여위며 배

가 창만하고, 만성 소화불량이 동반하여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임상표현은 머리카락이 누렇고 드물며, 성을 잘 내고, 손가락을 빨며, 기호증이 생

기고, 시큼한 냄새가 나는 설사를 하는 것 등이다. 발병 원인은 대체로 젖을 너무

일찍 떼었거나 음식물을 조절하지 않았거나, 병후에 조리를 잘하지 못하였거나

충적(虫積) 등 요소와 관련되며 비위(脾胃)가 손상을 받아 영양 흡수장애가 생기

는데서 병에 걸리며 병이 오래 지속되면 기타 장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오감(五疳)

감증(疳證)을 위주로 장부병변에 따라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즉 심감(心

疳), 간감(肝疳), 비감(脾疳), 폐감(肺疳), 신감(腎疳)이다.

㉠ 심감(心疳) : 젖과 음식물을 잘 섭취하지 못하여 심경(心經)에 열이 울체됨으로

해서 발생한다. 주요증상은 신열이 나고 뺨이 붉으며 얼굴이 누렇

고 입과 혀에 창이 생기며 가슴에 번민이 일고, 구갈이 나고 찬물을 마시며, 농

혈이 섞인 설사를 하고 식은땀이 나고 잠잘 때 이(牙)를 갈고, 잘 놀라는 등이

다.

㉡ 간감(肝疳) : 젖과 음식물을 잘 섭취하지 못하여 간경(肝經)이 열을 받으므로해

서 발병한다. 주요증상은 여위고, 배가 그득하며, 얼굴색이 청황색

이고 땀이 많이 나며, 설사 횟수가 많고 대변에 피 또는 점액이 섞이어 나오며,

머리가 흔들리고, 눈을 비비며 야맹증이 생기고 심지어 눈을 뜨려고도 하지 않

는 등이다.

㉢ 비감(脾疳) : 젖과 음식물을 잘 섭취하지 못함으로 해서 비위(脾胃)가 손상 받아

발생한다.

주요증상은 얼굴색이 누렇고 배가 북과 같이 크며복부 표면에 푸른 힘줄이 나

타나는 청근폭로(靑筋暴露)가 생기고, 구역질이 나며 식욕이 떨어지고 흙을 잘

먹으며 번갈아 물을 마시고 수곡이 소화되지 않으며 시쿰한 냄새가 나는 설사

를 하고, 기침이 나며, 숨이 차고, 가슴이 그득하며입과 코가 마르고 눈에 백막

이 생기며 어두운 것을 좋아하고 밝은 것을 싫어하며 입술이 검붉게 타고 사지

가 무력한 등이다.

㉣ 폐감(肺疳) : 젖과 음식물을 잘 섭취하지 못함으로 해서 열이 울체되어 폐를 상

한 데서 생긴다. 주요증상은 기침이 나고 기가 상역하며 인후가잘

통하지 않고 콧물을 많이 흘리며 잘 울고 추워하며 배가 붓고 쌀뜨물과 같은

설사를 하며 젖을 적게 먹고 입에서 냄새가 나며 피모가 거칠고 사지가 여위는

등이다.

㉤ 신감(腎疳) : 젖과 음식물을 잘 섭취하지 못함으로 해서 열이 안으로 잠복되고

막히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주요증상은 사지가 여위고 얼

굴색이 검으며 치흔(齒痕)이 생기고 창(瘡)이 생기거나 혹은 곪아터져 피가나

고, 상부(上部)는 열이 나고, 하부(下部)는 차며, 한열이 수시로 발작하고 구역

질을 하며, 젖과 음식물을 젖게 먹고, 물과 같은 설사를 하며, 심지어 탈항이 생

기며 항문이 궤란되며 습에 의하여 창이 생기고 가려워하는 등이다. 흔히 해

로(解顱), 이발이 더디 나고, 행동이 늦은 등 신기(腎氣)가 부족한 증상에서 나

타난다.

회궐증(蛔厥證)

회충(蛔虫)에 감염되어 일어나는 급성복통과 사지궐냉(四肢厥冷)의 병증이다. 배

가 극심하게 아프고 팔다리(四肢)가 차며 배가 아픈 것이 심하면 땀이 나거나 혹

은 냉침(冷涎)을 토하거나 회충(蛔虫)을 토하며 수시로 발작하고 멎으며 혹은 한

열(寒熱)이 있고 위장기능(胃腸機能)이 문란한 등증후가 동반하여 나타난다. 담

도회충증(膽道蛔虫症) 혹은 회충성장불통증(蛔虫性腸不通證)과 비슷하다.

3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方劑 21. 옹양제(癰瘍劑)

21. 옹양제(癰瘍劑) ⑴ 개념(槪念) 등창, 종기, 부스럼 같이 피부가 헐은 옹저창양(癰疽瘡瘍)을 치료하기 위해 쓰이는 방제 를 옹양제(癰瘍劑)라고 한다. 이런 종류의 방제는 주로 환부의 독을 해소하고 부은 것을 내리게 하는 해독소종(解毒消腫)과 안으로 곪은 농을 제거하는 탁리배농(託裏排膿) 및 새살이 돋아나고 상처가 아물게 하는 생기렴창(生肌斂瘡)의 작

方劑 20. 용토제 (湧吐劑)

20. 용토제 (湧吐劑) ⑴ 槪念 : 대체로 담연(痰涎), 숙식(宿食), 독물(毒物) 등을 용토(湧吐)하게 하는 작용을 가진 약제로 구성해서 담궐(痰厥), 식적(食積) 및 독물(毒物)을 오식(誤食)한 것 등을 치 료하는 방제를 통칭 용토제(湧吐劑)라 부르는 것이며 팔법(八法)중 토법(吐法)에 속한 다. 용토제의 작용은 주로 인후(咽喉)와 흉격(胸膈)에 정축

方劑 18. 소도화적제(消導化積劑)

18. 소도화적제(消導化積劑) 소도화적제(消導化積劑)는 주로 장도에 음식물이 적체된 것을 소화시키는 소도약(消導葯) 을 위주로 구성되는 방제로써 즉 다시 말해서 소식도체(消食導滯)하고, 화적소징(化積消癥) 하는 작용이 있어서 소화되지 못한 음식이 뱃속에 체한 덩어리로 되어(食積痞塊) 있거나 또 는 오랜 체증으로 쌓인 뱃속에 덩어리(癥痂積聚)를 치료하는데 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