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方劑 12. 리기제 (理氣劑)

Aktualisiert: 20. Aug. 2019



12. 리기제 (理氣劑)

리기제(理氣劑)는 리기약(理氣葯)을 위주로 구성하게 되는데 리기약은 행기(行氣)와 강기

작용(降氣作用)을 하게 된다. 때문에 기체(氣滯)와 기역(氣逆) 병증을 치료하는 방제가 되는

것이다.

기(氣)는 인체(人体)를 승강출입(升降出入)하며 전신(全身)을 주행(周行)함으로써 내외(內

外)를 온양(溫養)하여 사지백해(四肢百骸)를 고르게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과도하게 피로하거나, 혹은 정지실조(情志失調), 음식실절(飮食失節), 한온부적(寒溫不適)

등이 생기게 되면 기(氣)의 승강(升降)을 항상 잃게 되고, 기기울결(氣機鬱結)이 되거나 혹

은 기역(氣逆)으로 하강(下降)하지 않게 되는 등 병증이 나타나게 된다.

기기울결(氣機鬱結)로 병증이 초래된 것은 기(氣)를 행(行)하게 하고, 해울산결(解鬱散結)

을 위주로 치료해야 한다. 기역상충(氣逆上冲)자는 강기(降氣) 시킴으로써 강역평충(降逆

平冲)토록 치료해야 한다.

이상의 기기울결(氣機鬱結)과 기역상충(氣逆上冲)은 항상 서로 함께 발생하는 병이므로 행

기(行氣)와 강기(降氣)는 항상 서로 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밖에 병에는 허실(虛實)이

있다. 행기(行氣)와 강기(降氣)의 약(葯)은 또 상기모기(傷氣耗氣)하기가 쉬우므로 적당량의

보기약(補氣葯)을 또 배합하게 된다.

병(病)에는 주(主)와 차(次)가 있고, 방(方)에도 전공(專攻)이 있다. 그래서 본제는 방제를 선

택하는 주요한 효용을 근거로 분별하여 행기(行氣)와 강기(降氣)의 2종류로 귀납하여 분류

하였다.

리기제(理氣劑)를 사용할 때는 증상의 한열허실(寒熱虛實)과 겸병(兼病)의 유무를 활실히

판별해야 함을 주의하고 상호 일치하지 않은 배합을 미리 분별하여 방약(方葯)과 병증(病

證)이 서로 일치하도록 해야 한다.

리기약(理氣葯)은 대부분 방향신조제(芳香辛燥劑)에 속하여 상진모기(傷津耗氣)되기가 쉬

우므로 적절히 응용하고 멈추어야 하며 과도하게 사용해서는 않된다. 더욱이 신체가 허약

한 노약자나 임산부 그리고 본래 붕루토뉵(崩漏吐衄) 환자는 사용을 삼가야 한다.


1) 행기제(行氣劑)

⑴ 槪念 : 행기제(行氣劑)는 기기(氣機)를 소창(疏暢)하는 작용을 함으로 기기울체증 (氣

機鬱滯證)에 적용된다. 기체(氣滯) 현상은 대체로 비위(脾胃)의 기체(氣 滯)와

간기(肝氣)의 울체(鬱滯)로 나타난다. 임상(臨床)에서 볼 수 있는 증상은

① 비위기체(脾胃氣滯) : 위완부(胃脘部)가 붙고 그득하며(脘腹脹滿), 트림하며

신 물이 목으로 올라 왔다가 다시 내려가고(噯氣呑

酸), 토할 뜻이 왴왴 소리 내며, 식사량이 적고(嘔噁食少), 대변을 보던 것이

전과는 다르 게 이상(大便失常) 있는 등 증상이 나타난다.

② 간기울체(肝氣鬱滯) :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아프며(胸脇脹痛) 혹은 산

기통 (疝氣痛), 월경불순(月經不順), 통경(痛經) 등이

다.

⑵ 常用葯

상용되는 행기통체(行氣通滯), 소간해울(疏肝解鬱)하는 약(葯)으로는 진피(陳皮), 후

박(厚朴), 목향(木香), 지실(枳實), 천련자(川楝子), 오약(烏葯), 향부자 (香附子), 소회향

(小茴香), 귤핵(橘核) 등이다.

⑶ 葯의 歸經 肝膽 : 목향(木香), 천련자(川楝子), 향부자(香附子), 소회향(小茴香).

小腸 : 천련자(川楝子).

脾經 : 진피(陳皮), 후박(厚朴), 목향(木香), 지실(枳實), 오약(烏葯), 소회향

(小 茴香), 귤핵(橘核).

胃經 : 후박(厚朴), 목향(木香), 지실(枳實), 천련자(川楝子), 소회향(小茴香).

肺經 : 진피(陳皮), 후박(厚朴), 오약(烏葯), 귤핵(橘核).

大腸 : 후박(厚朴), 목향(木香), 지실(枳實). 腎臟 : 오약(烏葯), 소회향(小茴

香).

膀胱 : 천련자(川楝子), 오약(烏葯). 三焦 : 목향(木香), 향부자(香附子).

⑷ 代表方

① 월국환(越鞠丸), ② 금령자산(金鈴子散), ③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④ 지실해 백

계지탕(枳實薤白桂枝湯), ⑤ 귤핵환(橘核丸), ⑥ 천태오약산(天台烏葯散), ⑦ 난간 전

(暖肝煎), ⑧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 등이 있다.

① 월국환 (越鞠丸)

≒ 창출(蒼朮), 향부자(香附子), 천궁(川芎), 신곡(神曲), 치자(梔子) 각등 분(各

等分)

效能 : 행기해울(行氣解鬱)

主治 : 기가 울체(氣鬱)됨으로 가슴과 격막이 체한 듯이 답답하여 번민하고 (胸膈

痞悶), 위완부와 배가 그득하고 아프며(脘腹脹痛), 드림하며 시 큼하고 부

패한 식물이 목으로 올라왔다가 다시 삼키게 되고(噯腐呑 酸), 속이 울렁

거리고 구토하며(惡心嘔吐), 소화불량(消化不良) 등 증 상을 다스린다.

② 금령자산 (金鈴子散)

≒ 금령자(金鈴子), 현호(玄胡, 延胡索) 各30.

效能 : 행기소간(行氣疏肝), 활혈지통(活血止痛)

主治 : 간기 울결(肝鬱)에 열(熱)이 있어 심복과 옆구리 및 갈비뼈(心腹脇 肋) 부

위가 모두 아프고 때로는 발생하고 때로는 멎으며, 입 안이 쓰고(口苦),

혀는 붉으며 태는 누렇고(舌紅苔黃), 맥은 현삭(脈弦數) 한 등을 다스린

다.

③ 반하후박탕 (半夏厚朴湯)

≒ 반하(半夏)12, 후박(厚朴)9, 복령(茯苓)12, 생강(生姜)9, 소엽(蘇 葉)6.

效能 : 행기산결(行氣散結), 강역화담(降逆化痰)

主治 : 매핵기(梅核氣)로 인하여 인중(咽中)에 물체가 막혀있는 것 같아 토

(吐)하여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呑咽)해도 내려가지 않으 며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답답하여 번민(胸脇滿悶)하고 혹 은 기침을 하며,

혹은 구역질을 한다.

④ 지실혜백계지탕 (枳實薤白桂枝湯)

≒ 지실(枳實)12, 후박(厚朴)12, 해백(薤白)9, 계지(桂枝)6, 과루 (瓜

蔞)12.

效能 : 통양산결(通陽散結), 거담하기(祛痰下氣)

主治 : 가슴이 저림(胸痹)으로 인해 가슴이 꽉 막인 듯 그득(胸滿) 하고

아프며, 심할 때면 흉통(胸痛)이 잔등과 척추(背脊)에 까지 미치

거나, 숨을 몰아쉬면서 기침하고 가래를 뱉고(喘 息咳唾), 숨 가

쁜(短氣) 기(氣)가 협하(脇下)에서 심(心)을 벗어나 위로 오르며,

설태는 희고 찐득하며(舌苔白膩), 맥은 침현(脈沉弦)하나 긴맥

(緊脈)인 것을 다스린다.

⑤ 귤핵환 (橘核丸)

≒ 초귤핵(炒橘核), 세해조(洗海藻), 세곤포(洗昆布), 세해대(洗海帶), 초천련

자(炒川楝子), 부초도인(麩炒桃仁) 各30, 강즙초후박(姜汁炒厚朴), 목통(木

通), 부초지실(麩炒枳實), 초연호색(炒延胡索), 계심(桂心,不見火), 목향(木

香, 不見火) 各15.

效能 : 행기제습(行氣除濕), 온경지통(溫經止痛)

主治 : 독산(禿疝) - 한습산기(寒濕疝氣)로 인하여 고환이 붓는데(睾丸腫脹) 특히

한쪽 고환이 종대 되어 밑으로 늘어지게(偏墜)되거나 혹은 돌 처럼 단단(堅

硬如石)하고 혹은 그 통증이 배꼽과 배에 이르는(痛引 臍腹), 불알이 크게

붓는(陰囊腫大) 증상을 다스린다.

⑥ 천태오약산 (天台烏葯散)

≒ 천태오약(天台烏葯)12, 목향(木香)6, 소회향(小茴香)6, 고량강(高良

薑)9, 청피(靑皮)6, 빈낭(檳榔)9, 천련자(川楝子)12, 파두(巴 豆)70립

(粒).

效能 : 행기소간(行氣疏肝), 산한지통(散寒止痛)

主治 : 한응기체(寒凝氣滯)로 인한 소장산기(小腸疝氣), 소복인공고환통(少腹

引控睾丸痛), 편추종창(偏墜腫脹)을 다스린다.

⑦ 남간전 (暖肝煎)

≒ 당귀(當歸)9, 구기자(枸杞子)9, 소회향(小茴香)6, 육계(肉桂)6, 오약(烏 葯)6,

침향(沉香, 혹 木香)3, 복령(茯苓)6.

效能 : 난간온신(暖肝溫腎), 행기지통(行氣止痛)

主治 : 간신음한(肝腎陰寒)으로 인한 소복동통(小腹疼痛)과 산기(疝氣) 등을 다스

린다.

⑧ 후박온중탕 (厚朴溫中湯)

≒ 후박(厚朴), 진피(陳皮) 各30, 복령(茯苓), 자감초(炙甘草), 초두구인(炒

豆蔲仁), 목향(木香) 各15, 건강(乾姜)2.

效能 : 온중행기(溫中行氣), 조습제만(燥濕除滿)

主治 : 비위(脾胃)가 한습(寒濕)으로 상(傷)한 탓에 완복창만(脘腹脹滿)하거나

통증(痛症)이 나고, 음식생각(飮食生覺)이 없으며, 사지권태(四肢倦怠)

를 다스린다.

2) 강기제(降氣劑)

⑴ 槪念 : 강기제(降氣劑)는 강기평천(降氣平喘)과 강역지구(降逆止嘔) 작용이 있는 방

제이다. 즉 기(氣)가 상역(上逆)하는 증상표현이 있는 병증을 치료하는 방제로

써 폐기상역(肺氣上逆)으로 인한 해천(咳喘)과 위기상역(衛氣上逆)으 로 인한

애역(呃逆, 딸꾹질), 구토(嘔吐), 애기(噯氣, 트림)등을 다스린다.

① 폐기상역(肺氣上逆)으로 인한 해천(咳喘)에는 항상 강기거담(降氣祛痰)하고

지해평천(止咳平喘)하는 약물을 쓰며,

② 위기상역(衛氣上逆)으로 인한 제증(諸症)에는 강역화위제(降逆和胃劑)를 상

용하도록 한다.

⑵ 常用葯

① 지해평천약(止咳平喘葯) : 소자(蘇子), 행인(杏仁), 침향(沉香).

② 강역화위약(降逆和胃葯) - 진충지구약(鎭冲止嘔葯) :

선복화(仙復花), 대자석(代赭石), 반하(半夏), 진피(陳皮), 정향(丁香), 시체(柹蔕)

⑶ 葯의 歸經

肝經 : 대자석(代赭石).

心經 : 대자석(代赭石).

脾經 : 침향(沉香), 선복화(仙復花), 반하(半夏), 진피(陳皮), 정향(丁香).

胃經 : 침향(沉香), 선복화(仙復花), 반하(半夏), 정향(丁香), 시체(柹蔕).

肺經 : 소자(蘇子), 행인(杏仁), 선복화(仙復花), 반하(半夏), 진피(陳皮).

大腸 : 소자(蘇子), 행인(杏仁), 선복화(仙復花).

腎經 : 침향(沉香), 정향(丁香).

⑷ 代表方

① 지해평천(止咳平喘) :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정천탕(定喘湯)

② 진충지구제(鎭冲止嘔劑) : 선복대자탕(旋復代赭湯),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 정

향시체산(丁香柿滯散).

소자각기탕 (蘇子降氣湯)

≒ 자소자(紫蘇子), 반하(半夏) 各9, 천당귀(川當歸)6, 자감초(炙甘草)6, 전

호(前胡), 강즙초후박(姜汁炒厚朴) 各6, 육계(肉桂)3.

效能 : 강기평천(降氣平喘), 거담지해(祛痰止咳)

主治 : 상초(上焦, 肺)가 실(實)하고 하초(下焦, 腎)가 허(虛)한(上實下虛)탓으로

인하여 가래와 침이 끓어 기도가 막히고(痰涎壅盛), 숨을 몰아 쉬며 기침

하며(喘咳短氣), 가슴과 횡격이 그득하고 괴로워 번민(胸膈滿悶)하거나

혹은 하리가 아프고 정강이가 약하며(腰疼脚弱), 팔 다리에 힘이 빠지고

나른해지면서 게을러지는(肢体倦怠)가 하면, 혹은 사지에 부종이 오고

(肢體浮腫), 혀와 태는 백활(舌苔白滑) 또는 희며 기름을 바른 듯이 끈적

(白膩)한 증상을 다스린다.

정천탕 (定喘湯)

≒ 초황백과분(炒黃白果粉)9, 마황(麻黃)9, 소자(蘇子)6, 감초(甘草)3, 관동화

(款冬花)9, 행인(杏仁)9, 상백피(桑白皮)9, 황금(黃芩)6, 반하(半夏)9.

效能 : 선폐강기(宣肺降氣), 거담평천(祛痰平喘)

主治 : 풍한의 사기가 침습하여 경락을 속박(風寒外束) 함으로 양기(陽氣)가 밖으로

소통(外達)되지 못해서 체내에 담열이 쌓이게(痰熱內蘊)됨으로 해서 가래가

많고 숨이 찬다(痰多氣急). 가래는 걸쭉하고 색은 누렇고(痰稠色黃), 천식으

로 기침소리가 으르렁 거리듯 요란하다(哮喘咳嗽), 설태는 누렇고 기름을 바

른 듯 끈적(舌苔黃膩)하며, 맥은 활삭(脈滑數)한 증상을 다스린다.

선복대자탕 (旋復代赭湯)

≒ 선복화(仙復花)9, 인삼(人參)6, 생강(生姜)10, 대자석(代赭石)9, 자감초

(炙甘草)6, 반하(半夏)9, 대조(大棗)4~12매(枚).

效能 : 강역화담(降逆化痰), 익기화위(益氣和胃)

主治 : 위기가 허약(胃氣虛弱)하면, 진액이 탁한 담이 되어 안을 어지럽게(痰濁

內阻)하고, 심하에 단단한 물체가 있어 가슴이 답답하게 결리고(心下痞

硬), 드림(噯氣)이 멎지 않는 것을 다스린다.

귤피죽여탕 (橘皮竹茹湯)

≒ 귤피(橘皮)12, 죽여(竹茹)12, 대조(大棗)5~30매(枚), 생강(生姜)9, 감초

(甘草)6, 인삼(人參)3.

效能 : 강역지애(降逆止呃), 익기청열(益氣淸熱)

主治 : 위가 허(胃虛)하고, 열(熱)이 있으며, 위기가 상역하고 하강하지 않음(氣

逆不降)으로 해서 딸꾹질(呃逆)이 나거나 마른 구역질(乾嘔)을 하는 증

상을 다스린다.

정향시체탕 (丁香柿滯湯)

≒ 정향(丁香)6, 시체(柹蔕)9, 인삼(人參)3, 생강(生姜)6.

效能 : 온중익기(溫中益氣), 강역지애(降逆止呃)

主治 : 위가 차갑고 기가 허함(胃氣虛寒)으로 인한 딸꾹질(呃逆)이 오래되지

않은 초기에 가슴이 답답하게 결리며(胸痞), 맥이 지(脈遲)한 증상을 다

스린다.

註 1) 산기(疝氣)

⑴ 산(疝) : ① 일반적으로 체강(體腔) 내용물이 밖으로 돌출되어 나오는 병증을 가

리킨다. 대부분 기통(氣痛)의 증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산기(疝氣), 소

장기(小腸氣), 소장기통(小腸氣痛) 혹은 반장기(盤腸氣)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복벽(腹壁), 복고부(腹股部)에서 돌출되어 나오거나 복강

(腹腔)으로부터 아래 음낭(陰囊)으로 들어간 장산(腸疝) 등이다.

② 생식기(生殖器), 고환(睾丸), 음낭(陰囊)의 부분병증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남녀 외생식기(外生殖器)가 곪아 고름이 흐르고, 뇨도(尿 道)로

더러운 정액 혼탁물이 흘러나오며, 고환(睾丸) 혹은 음낭(陰 囊)이 종

대(腫大)되고 아픈 등 병증으로 어떤 경우는 복부증상을 겸 하여 나타

난다.

③ 복부(腹部)의 심(甚)한 동통(疼痛)을 가리키는데 대소변이 통(通)하지

않는 증후가 겸하여 나타난다. 예를 들면 【素問․長刺節論】에 병(病)이

아랫배에 있고 배가 아파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데 이를 “산(疝), 헤레

니아”라 한다 하였고, 【素問․骨空論】애서는 “독맥(督脈)에 병(病)이 있

어. . . 아랫배(小腹)로부터 위로 심장(心臟)을 향하여 치밀어 오르며 아

프고, 전후음(前後陰)이 막혀 대소변이 굳은 것 을 가리켜 충산(冲疝)

이라 한다고 하였다.

⑵ 칠산(七疝) : 고서에 산기(疝氣)를 7 가지로 나눈 총칭이다.

① 【諸病源候論】에 궐산(厥疝), 징산(癥疝), 한산(寒疝), 기산(氣疝), 반산(盤疝), 부

산(胕疝), 랑산(狼疝)을 가리킨다.

② 【儒門事親】에 한산(寒疝), 수산(水疝), 근산(筋疝), 혈산(血疝), 기산(氣疝), 호산

(狐疝), 퇴산(㿗疝)을 가리키며

③ 【醫宗必讀】에 충산(冲疝), 호산(狐疝), 퇴산(㿗疝), 궐산(厥疝), 가산(痂疝), 궤산

(潰疝), 궤륭산(潰癃疝)을 가리킨다.

⑶ 호산(狐疝) : 호산풍(狐疝風)이라고도 한다. 소장(小腸)이 음낭(陰囊)으로 빠져 들

어가는 것으로 반듯하게 눕거나 혹은 손으로 밀어 넣으면 종물 이 된

소장이 뱃속으로 들어가는데 일어서면 소장이 다시 음낭으로 내려

온다. 이를 마치 여우가 굴속을 수시로 출입하는 형상과 닮았다하여

호산(狐疝)이라 하는 것으로 복고구 헤레니아(腹股泃疝)과 비숫하

다.

⑷ 한산(寒疝)

① 【金匱要略】에서는 일종의 급성복통으로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하거나, 산 후혈

허(産后血虛)에 풍한외사(風寒外邪)를 재감수(再感受)한 것이

뱃속에 응결(凝結)되어 생긴다. 배꼽주위가 극심하게 아프고 식은 땀이 나며 사지

가 서늘하고, 맥이 침긴(沉緊)하며 심하면 온몸이 춥고 손발이 저리는 증상이 나

타난다. 혈허(血虛) 환자는 배가 아픈 것이 양 옆구리에까지 뻗치고, 아랫 배(小腹)

가 몹시 아픈 것이다.

② 한사(寒邪)가 궐음경(厥陰經)에 침범한 통증을 가리킨다. 음낭이 차고 아프 며 붓

고 딴딴하며 통증이 고환(睾丸)까지 뻗치며 음경(陰莖)이 발기(勃起)되지 않으며,

따뜻한 것을 좋아하고 추운 것을 싫어하며 몸이 차고, 사지가 서 늘한 등 증상이 나

타난다.

⑸ 수산(水疝) : 음낭(陰囊)이 붓고 아프며, 음낭에서 수시로 땀이 나거나 혹은 음 낭이 부

어서 마치 수정(고환초막수종 등 증과 유사)과 같거나 혹 은 음낭이 건조

(乾燥)하며 가려우면서 누런 물이 흐르거나 혹은 아랫배(小腹)를 만지면 물소리가 나

는데(유문사친) 이런 경우는 대부분 신(腎)이 허(虛)한데다 풍한(風寒)을 재감수(再感

受)하여 습(濕)이 음낭으로 흘러들어가 발생한 병증이 다.

⑹ 제산(臍疝) : 제돌(臍突)이라고도 한다. 이는 대부분 유아(幼兒)에게서 나타나는 병증

으로, 주요증상은 배꼽내에 덩어리가 도드라져 나온것이 있고 피부가 관택이 난다.

⑺ 퇴산(㿗疝)

① 고환(睾丸)이 종대(腫大)되고 딴딴하며, 아래로 쳐지고, 아프거나 혹은 저리 고 아

프며, 가려운 것을 모른다.

② 【素問․脈解篇】부녀자(婦女子)의 아랫배가 부은 병증을 가리킨다.

⑻ 궤산(潰疝)

① 음낭(陰囊)이 부으면서 아프건자 혹은 딴딴하고 저려온다.

② 남녀의 생식기가 붓고, 터져 고름이나는 병증이다.

③ 족양명근병(足陽明筋病)으로서 그 속에 농혈(膿血)이 들어 있다.

【醫宗必讀】에서는 초씨【초원방․諸病源候論】의 부산(胕疝), 자화(子和)

【장자화․儒門事親】의 혈산(血疝)을 가리킨다. 하였다.

⑼ 기산(氣疝) : 주요증상은 발작할 때 음낭이 한 쪽으로 치우치고 붓고 아프며, 위로 허

리(腎兪穴)로 뻗치고, 화(성)을 몹시 내거나 혹은 과로할 때마다 발작하며, 기(氣)가 안

정되면 점차 완화된다.

⑽ 혈산(血疝)

① 음낭부위에 어혈이 생기고 붓고 아프데 마치 송곳으로 찌르는 듯하고, 아픈 곳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이를 어혈산(瘀血疝)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평

상시에 어혈(瘀血)이 있는데다가 지나치게 피로하거나 혹은 한사 (寒邪)를 감수(感

受)하여 유발하게 된다.

② 아랫배로부터 외생식기(外生殖器)까지 이르는 부위에 옹종(癰腫)을 가리킨 다.【儒

門事親】에는 “그 모양이 오이와 같은 것이 아랫배의 양옆(少腹, 腹 股泃), 횡골(橫

骨) 양쪽 복판에 있는데 이것을 변옹(便癰)이라 한다. . . 기혈 (氣血)이 넘쳐나 음낭

에 스며들어가 머물러 있으면서 없어지지 않고 옹종으 로 맺혀있으면 고름이 적고

피가 많다.” 라고 하였다.

⑾ 근산(筋疝) : 음경이 아프고 급속히 줄어들거나 혹은 가렵거나 혹은 곪아터져 고름이

흐르거나 혹은 양위(陽痿)가 겸하여 생기고 또 백색점액이 소변과 같이

배출되는 병증을 말한다. 이는 대체로 간경(肝經)에 습열(濕熱)이 있거나

성생활(性生活)이 과도한데서 생긴다.

⑿ 부산(胕疝) : 배꼽아래 딴딴한 종괴가 있는 병증이다.

⒀ 반산(盤疝) : 배꼽주위가 몹시 아픈 병증을 가리킨다.

⒁ 징산(癥疝) : 뱃속에 기(氣)가 갑자기 창만(脹滿)하고, 위장(胃腸)이 팽창되어 마치 팔

뚝처럼 륭기(隆起)되고 위완부(胃脘部)가 아픈 병증이다.

⒂ 궐산(厥疝)

① 궐기(厥氣)가 상역하는 산증을 가리킨다. 배꼽주위가 몹시 아프고, 옆구리가 아프

며, 메스껍고 냉침을 토하고, 손발이 서늘하며, 맥(脈)이 대(代)하고 허 (虛)한데 이

는 대부분 한기(寒氣)가 뱃속에 쌓인 것이 위로 치밀고 오라오는 병증이다.

② 【濟生方】에서는 “궐산(厥疝)은 심통(心痛, 胃脘部痛症)인데 발이 차고, 식후 (食後)

에 토(吐)한다.”라고 하였다.

⒃ 산가(疝痂) :【素問․옥기진장론】편에 “가산(痂疝)이라고도 한다. 아랫배가 열 (熱)이 나

면서 아프고, 뇨도(尿道)에서 백색점액이 흘러나오는 병 증을 가리킨다.

⒄ 궤륭산(潰癃疝) : 남자에 복강내(腹腔內) 화농성염증의 종괴(腫塊)를 가리킨다. 이른

바【왕긍당․증치준승】에서는 “뱃속에 큰 농혈포가 있는 데 이는 장위

(腸胃) 밖에있다.”라고 하였다. 흔히 소변불통(小 便不通)의 증후를 겸

하여 나타난다.

⒅ 심산(心疝) : 【소문․맥요정미론】등을 보면 한사(寒邪)가 심경(心經)을 침범하 여 생기

는 급성통증(急性痛證)이다. 아랫배에 덩어리 모양의 종괴 (腫塊)가 도드

라져 나오고 기(氣)가 위로 가슴을 치밀기 때문에 심(心)이 갑자 기 아프고

맥(脈)이 현(弦)하며 급한 증상을 나타낸다.

⒆ 폐산(肺疝) : 사기(邪氣)가 폐경을 침범하여 폐기(肺氣)가 화(化)하지 못하고 수 도(水

道)가 순통(順通)하지 못하여 방광에 열이 울체(鬱滯)되어서 생기는 산병

(疝病)이다. 아랙배와 고환이 붓고 아프며 소변이 통하지 않는 등 증상이

나타 난다.


註 2) 매핵기(梅核氣) : 목구멍(咽中)에 매실의 씨(梅核)와 같은 것이 막혀 있는 감이 있는

병증(病症)으로써 간울(肝鬱), 기체(氣滯)로 인하여 담응(痰凝)이

목구멍 부위(咽部)에 맺혀서 생기는 증상이다.

5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方劑 21. 옹양제(癰瘍劑)

21. 옹양제(癰瘍劑) ⑴ 개념(槪念) 등창, 종기, 부스럼 같이 피부가 헐은 옹저창양(癰疽瘡瘍)을 치료하기 위해 쓰이는 방제 를 옹양제(癰瘍劑)라고 한다. 이런 종류의 방제는 주로 환부의 독을 해소하고 부은 것을 내리게 하는 해독소종(解毒消腫)과 안으로 곪은 농을 제거하는 탁리배농(託裏排膿) 및 새살이 돋아나고 상처가 아물게 하는 생기렴창(生肌斂瘡)의 작

方劑 20. 용토제 (湧吐劑)

20. 용토제 (湧吐劑) ⑴ 槪念 : 대체로 담연(痰涎), 숙식(宿食), 독물(毒物) 등을 용토(湧吐)하게 하는 작용을 가진 약제로 구성해서 담궐(痰厥), 식적(食積) 및 독물(毒物)을 오식(誤食)한 것 등을 치 료하는 방제를 통칭 용토제(湧吐劑)라 부르는 것이며 팔법(八法)중 토법(吐法)에 속한 다. 용토제의 작용은 주로 인후(咽喉)와 흉격(胸膈)에 정축

方劑 19. 구충제 (驅虫劑)

19. 구충제 (驅虫劑) ⑴ 槪念 대체로 구충약물(驅虫葯物)을 위주로 방이 구성되어 인체의 기생충병(寄生蟲病)을 치료 하는데 쓰이는 방제(方劑)를 가리켜서 구충제(驅虫劑)라고한다. 인체의 기생충병에는 종류가 상당히 많고 치법(治法) 또한 각기 다르다. 본제(本劑)는 소 화도(消化道)의 회충(蛔虫)과 요충(蟯虫), 조충(條虫 : 寸虫), 구충(鉤虫)등의 기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