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方劑 1. 해표제(解表劑)

Aktualisiert: 16. Aug. 2019


1. 해표제(解表劑)

해표약(解表葯)을 위주로 구성되어 발한(發汗), 해기(解肌), 투진(透疹) 등의 작용으로 표증

(表證)을 해제(解除)할 수 있는 방제이며 팔법(八法)중에 한법(汗法)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외

감육음(外感六淫 - 風, 寒, 暑, 濕, 燥, 火)에 의한 사기(邪氣)의 침습(侵襲)을 받았을 때 그 초기

에 인체는 오한(惡寒), 발열(發熱), 두통(頭痛), 신동(身疼), 설태는 희거나 혹은 누렇고(舌苔白

或黃), 맥은 약간만 눌러도 짚이고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지만 속이 비지 않은(脈浮) 등의 표

증(表證)이 나타난다. 이럴 때는 모두 해표제(解表劑)로 치료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전신증상

(全身症狀)이 마진(麻疹), 창양(瘡瘍), 수종(水腫), 학질(虐疾), 이질(痢疾) 등의 초기증상(初起

症狀)에서도 일어나기 때문에 역시 치료가 가능하다.그러나 외사(外邪)의 육음(六淫)에는 한

열(寒熱)의 차이가 있고, 인체에는 허실(虛實)의 구별이 있다. 그러므로 해표제(解表劑)에는

신온해표(辛溫解表)와 신량해표(辛凉解表) 그리고 부정해표(扶正解表)의 3 종류로 나뉜다.

주의를 요하는 점은 해표제(解表劑)는 약성(葯性)이 맵고, 기(氣)를 흩어서 퍼지게 하고, 가

볍게 위로 상승시키는 신산경양(辛散輕揚)의 약이어서 오래 달이면 약성(葯性)이 모산(耗散)

되거 그 약의 고유한 작용이 약해진다. 동시에 일반적으로 해표제(解表劑)를 복용(服用)한 후

에는 풍한(風寒)을 피하는 것이 좋고, 옷을 더 입음으로써 한출(汗出)을 돕도록 해야 한다. 그

래서 체표(体表)로 미한(微汗)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몸에서 땀이 나지 않거나

땀이 흠뻑 나는 것은 모두가 좋지 않다. 한출(汗出)을 제어(制御)하지 못하면 병사(病邪)가 풀

리지 않으며, 한출(汗出)이 너무 많으면 쉽게 기진(氣津)이 모상(耗傷)되고 심할 때는 망음망

양(亡陰亡陽)의 변화로까지 이르게 된다. 임증에서 사용되는 해표제(解表劑)는 반드시 외사

(外邪)의 표증(表證)에 쓰여 지지 않으면 안 된다. 만약 표사(表邪)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면

또 리증(裏證)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먼저 해표(解表)를 살펴본 다음에 처리하거나 표리쌍

해(表里双解)의 방제(方劑)를 쓰도록 한다. 만약 병사(病邪)가 이미 리(里)로 들어가서 마진

(痲疹)이되고 창양(瘡瘍)이 이미 궤(潰)하여지고, 허증(虛證)의 수종(水腫)과 토사(吐瀉)로 실

수(失水) 등이 되었다면 모두 해표제(解表劑)를 써서는 안 된다.


1) 신온해표(辛溫解表)

⑴ 槪念 : 성미(性味)가 대체로 신온(辛溫)하여 풍한(風寒)을 발산(發散)하는 것이 그의 주

요작용이므로 오한(惡寒)이 중하고, 발열(發熱), 무한(无汗), 두통(頭痛), 신통(身痛) 설태는 희고 얇으며(舌苔薄白) 맥은 가볍게 눌러도 짚이며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나 속이 비지 않았으며 맥이 팽팽히 긴장하여 마치 꼬인 줄을 누르는 것 같은 등(脈浮緊等) 풍한표실증(風寒表實證)에 적용된다. 신온해표약(辛溫解表葯)은 대부분 강한 발한작용(發汗作用) 이 있어 체허자(体虛者)는 신중히 사용(愼用) 해야 한다.

⑵ 常用葯 : 마황(麻黃)(溫), 계지(桂枝)(溫), 형개(荊芥)(微溫), 방풍(防風)(微溫), 자소엽(紫

蘇葉)(溫)(附葯 紫蘇梗), 향유(香薷)(微溫), 강활(羌活)(溫), 백지(白芷)(溫), 세

신(細辛)(溫), 고본(藁本)(溫), 생강(生姜)(微溫)(生姜皮, 生姜汁), 총백(葱白)

(溫), 창이자(蒼耳子)(溫), 신이(辛夷)(溫), 호채(胡菜)(溫), 정유(檉柳)(微溫).

⑶ 葯의 歸經 肝經 : 형개(荊芥), 방풍(防風), 고본(藁本)

心經 : 계지(桂枝), 세신(細辛), 정유(檉柳)

脾經 : 자소(紫蘇), 생강(生姜), 향유(香薷), 방풍(防風).

胃經 : 생강(生姜), 향유(香薷), 백지(白芷), 신이(辛夷), 총백(葱白), 호채(胡

菜),정유(檉柳)

肺經 : 마황(麻黃), 계지(桂枝), 자소(紫蘇), 생강(生姜), 향유(香薷),형개(荊

芥),백지(白芷), 세신(細辛), 창이자(蒼耳子), 신이(辛夷), 총백(葱白),

호채(胡菜), 정유(檉柳).

腎經 : 강활(羌活), 세신(細辛).

膀胱經 : 마황(麻黃), 계지(桂枝), 방풍(防風), 강활(羌活), 고본(藁本).

⑷ 대표적인 방제로는 마황탕(麻黃湯), 계지탕(桂枝湯), 소청용탕(小靑龍湯), 구미강활탕

(九味羌活湯) 등이다.

麻黃湯속에 계지(桂枝)를 합용하면 발한력(發汗力)이 비교적 강해지고 아울러 선폐평

천(宣肺平喘)도 잘 된다. 신온발한(辛溫發汗)의 중제(重劑)는 외감풍한(外

感風寒)으로 인한 오한(惡寒)과 발열(發熱)이 있으나 땀은 나지않고, 천해

(喘咳)가 있는 표실증(表實證)에 적용된다.

造成 ≒ 마황(麻黃)6, 계지(桂枝)4, 감초(甘草)3, 행인(杏仁)9.

效能 : 발한해표(發汗解表), 선폐평천(宣肺平喘).

主治 : 외감풍한(外感風寒)으로 오한(惡寒)과 발열(發熱)이 있고, 두통(頭痛)과 신

동(身疼)이 있으며, 무한이천(无汗而喘)에 설태(舌苔)는 박백(薄白)하고 맥

이 가볍게 눌러도 짚이고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지만 속이 비지 않고 팽팽

하게 긴장한 것이 마치 꼬인 줄을 누르는 듯(浮緊)한 것을 다스린다.


桂枝湯에는 계지(桂枝)와 작약(芍葯)을 합용하여 발한해표(發汗解表)하는 힘은 마황탕

(麻黃湯)보다는 못하지만 영기(營氣)와 위기(衛氣)를 조화하는 효능이 있

으므로 외감풍한(外感風寒)으로 인한 발열(發熱)과 땀을 흘리며, 바람을 두

려워하는 유한오풍(有汗惡風)의 표허증(表虛證)에 적용된다.

造成 ≒ 계지(桂枝)9, 작약(芍葯)9, 감초(甘草)6, 생강(生姜)9, 대조(大棗)3枚.

效能 : 해기발표(解肌發表) 조화영위(調和營衛)

主治 : 외감풍한(外感風寒)으로 인한 두통(頭痛)과 발열(發熱)이 있고, 땀을 흘리며

바람을 두려워하는 한출오풍(汗出惡風)을 하며, 숨을 쉴 때 콧소리를 내고,

헛구역질을 하며, 설태(舌苔)는 희고, 목이 마르지 않으며, 맥은 가볍게 눌러

도 짚이고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지만 속이 비지 않고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4번 뛰는 느린 맥이거나 혹은 약간 눌러도 짚이고 속이 비지는 않았으나 약

한(脈浮緩或浮弱) 증상을 다스린다.


小靑龍湯은 발한해표(發汗解表)함으로 풍한(風寒)을 제거하고 폐기(肺氣)를 선통(宣通)

하게 한다. 또한 수음(水飮)을 온(溫)하게 함으로써 한음(寒飮)을 물리치고,

해천(咳喘)을 다스린다. 그래서 원래부터 수음(水飮)이 정체(停滯)되어 있는

데다 풍한(風寒)의 침습(侵襲)으로 기침하며 숨을 몰아 쉬게 되고 가래가 많

은 해천담다(咳喘痰多)나 쉽게 낫지 않는 자에게 적용된다.

造成 ≒ 마황(麻黃)9, 작약(芍葯)9, 세신(細辛)3, 건강(乾姜)3, 감초(甘草)6, 계지(桂

枝)6, 반하(半夏)9, 오미자(五味子)3.

效能 : 해표청음(解表淸飮), 지해평천(止咳平喘)

主治 : 풍한객표(風寒客表) 수음내정(水飮內停)으로 오한(惡寒)과 발열(發熱)이 있으

나 무한(无汗)하며, 기침하며 호흡을 몰아쉬며, 묽은 가래가 많고 쉬게 뱉으며

혹은 담음(痰飮), 해천(咳喘)으로 평와(平臥)할 수 없거나 혹은 몸이 무겁고 아

픈 신체동중(身体疼重)에 두면(頭面)과 사지부종(四肢浮腫)이 일고 설태백활

(舌苔白滑), 脈은 가볍게 눌러도 짚이고 힘주어 누르면 약해지나 속이 비지 않

은(浮) 맥의 증상을 다스린다.


九味羌活湯은 辛溫發汗과 아울러 裏熱을 풀어주므로 外感風寒에 濕이 석이고 惡寒과 發

熱이 있으나, 땀은 나지 않고 전신이 쑤시고 아픈(无汗身痛) 증상(證狀)에

겸하여 입안이 쓰고, 약간 목마른(口苦微渴) 증상(證狀)에 적용된다.

造成 ≒ 羌活5 防風5 蒼朮5 細辛1 川芎3 白芷3 生地3 黃芩3 甘草3.

效能 : 發汗祛濕 兼淸裏熱

主治 : 外感風寒濕邪로 인한 惡寒과 發熱이 있으나 肌表无汗하며, 머리와 목덜미

가 뻣뻣하게 굳고 아픈 頭項强痛과 四肢와 몸 전체가 저리고 아픈 肢體痠

楚疼痛에 입은 쓰고(口苦), 목마른 증상(渴症)을 다스린다.


加味香蘇散은 辛溫發汗(신온발한)의 緩劑(완제)로서 四季節(사계절)의 感冒(감모)와 惡

寒發熱(오한발열)이 甚(심)하지 않은 无汗(무한)의 表證(표증)에 적용된다.

造成 ≒ 紫蘇葉(자소엽), 香附(향부), 陣皮(진피), 甘草(감초), 荊芥(형개), 防風(방풍),

蔓荊子(만형자), 大川芎(대천궁), 秦艽(진교), 生姜(생강).

效能 : 祛風散寒(거풍산한), 發汗解肌(발한해기).

主治 : 四時感冒(사시감모)로 인하 頭痛(두통)과 목덜미가 뻣뻣하고(項强), 코가 막

히고 콧물을 흘리는 鼻塞流涕(비색류체), 身体(신체)는 疼痛(동통)이 있고,

發熱(발열)하며 惡寒(오한) 또는 惡風(오풍)하고 无汗(무한)에 舌苔(설태)는

薄白(박백)하고 脈은 浮(맥부)하다.


2) 신양해표 (辛凉解表)

⑴ 槪念 : 性味가 대체로 辛凉하여 風熱을 發散시키는 것을 主要로 하는데 그의 發散作用

은 辛溫解表葯보다 比較的 緩和하다. 辛凉解表葯은 外感風熱로 인한 發熱 微惡寒

咽乾 口渴 舌苔薄黃 脈浮數 等 證에 適用된다.

⑵ 常用葯 : 柴胡(微寒), 薄荷(凉), 葛根(凉), 菊花(微寒), 牛蒡子(微寒), 桑葉(寒), 升麻(微寒),

蔓荊子(平), 蟬退(寒), 淡豆豉(凉), 木賊(平), 浮萍(寒).

⑶ 歸經 - 肝經 : 薄荷(박하), 蟬退(선퇴), 桑葉(상엽), 菊花(국화), 柴胡(시호), 木賊(목적)

膽經 : 柴胡(시호)

脾經 : 升麻(승마), 葛根(갈근)

胃經 : 牛蒡子(우방자), 升麻(승마), 葛根(갈근), 淡豆豉(담두시).

肺經 : 薄荷(박하), 牛蒡子(우방자), 蟬退(선퇴), 桑葉(상엽), 菊花(국화), 升麻(승마),

淡豆豉(담두시), 木賊(목적)

大腸 : 升麻(승마)

⑷ 代表的인 方劑는 桑菊飮, 銀翹散, 麻杏石甘湯 等이다.

① 상국음 (桑菊飮) - 解表力(해표력)은 적으나 肺(폐)를 잘 소통시키므로 風熱襲肺 (풍열

습폐), 咳而微發熱者(해이미발열자)에게 적용된다.

造成 ≒ 桑葉7.5, 菊花3, 杏仁6, 連翹5, 薄荷2.5, 桔梗6, 甘草2.5, 葦根6.

效能 : 疏風淸熱 宣肺止咳

主治 : 風溫初期로서 다만 기침을 하며, 身熱이 甚하지 않고, 口微渴을 治療

한다.

② 은교산 (銀翹散) - 解表力이 强하고 淸熱하고 解毒하므로 溫熱病의 初起와 熱이 甚하

고, 寒은 가벼운 咳嗽咽痛, 口渴 등 證에 적용된다.

造成 ≒ 連翹9, 銀花9, 桔梗6, 薄荷6, 竹葉4, 生甘草5, 荊芥穗5, 豆豉5, 牛蒡子

9.

效能 : 辛凉透表 淸熱解毒

主治 : 溫病初期로서 發熱无汗이거나 혹은 有汗不暢 微惡風寒 頭痛口渴 咳

嗽 咽痛 舌尖紅 苔薄白 혹은 薄黃 하고 脈이 浮數한 등이다.

③ 마행석감탕 (麻杏石甘湯) - 辛凉重劑로서 肺熱을 淸泄하는 效能이 顯著하다. 肺의 熱

壅이란 肺의 熱閉로서 身熱喘咳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發熱의 輕重과 汗의 有无를 참작하여 麻黃과 石膏의

用量을 정한다.

造成 ≒ 麻黃5, 杏仁9, 甘草6, 石膏18.

效能 : 辛凉宣泄 淸肺平喘.

主治 : 外感風邪로 인한 身熱不解, 咳逆氣急鼻痛, 口渴 有汗 또는 无汗 舌

苔薄白 혹은 黃하며 脈은 滑脈과 散한 證狀을 다스린다.

④ 시갈해기탕 (柴葛解肌湯)은 辛凉解肌에 裏熱을 兼淸케 하므로 風寒이 점차 熱로 化하

여, 처음으로 陽明經이 침해되었거나 三陽合病者 등에 적

용된다.

造成 : ㉠ 상한육서 (傷寒六書)

≒ 柴胡6, 乾葛9, 甘草3, 黃芩6, 羌活3, 白芷3, 芍葯6, 桔梗3, 生姜三

片, 大棗二枚, 石膏5.

㉡ 의학심오 (醫學心悟)

≒ 柴胡6, 葛根9, 甘草3, 芍葯6, 黃芩6, 知母5, 生地黃9, 丹皮3, 貝母6.

效能 : 解肌淸熱

主治 : ㉠ 상한육서 (傷寒六書) :

風寒感冒(풍한감모), 鬱(울)과 化熱(화열)로서 惡寒(오한)이 점차 輕(경)해지

고, 身熱(신열)이 增盛(증성)하며, 无汗頭痛(무한두통)에, 눈이 아프고 코가

건조해지는 眼眶痛(안광통) 目疼鼻乾(목동비건)에, 마음이 焦躁(초조)하고

잠을 이루지 못하는 心煩不眠(심번불면)에 脈(맥)은 浮微洪(부미홍)한 證狀

을 治療한다.

㉡ 의학심오(醫學心悟) :

春溫夏熱(춘온하열) 三陽合病(삼양합병) - 頭痛(두통), 發熱(발열), 目疼(목

동), 鼻燥咽乾(비조인건), 耳聾(이농), 不惡寒(불오한) 口渴(구갈) 등 證狀(증

상)을 다스린다.

⑤ 총시길경탕 (葱豉桔梗湯) :

解肌淸裏(해기청리)케 하므로 風溫(풍온)의 初期(초기)로서 肺氣失宣(폐

기실선)하고, 身熱(신열)과 微惡風寒(미오풍한), 咽痛口渴(인통구갈)이

비교적 甚(삼)한 자에게 적용된다.

造成 ≒ 鮮葱白(선총백)3~5枚, 苦桔梗(고길경)5, 焦山梔子(초산치자)6, 淡豆豉

(담두시)9, 蘇薄荷(소박하)4, 靑連翹(천연교)6, 生甘草(생감초)2, 鮮淡竹葉

(선담죽엽)3.

效能 : 疏風解表(소풍해표), 淸肺泄熱(청폐설열).

主治 : 風溫(풍온)의 初期(초기)로서 頭痛身熱(두통신열), 微風惡寒(미풍오한), 咳

嗽(해수), 咽痛(인통), 口渴(구갈), 舌尖紅(설첨홍) 苔薄白(태박백) 脈浮數

(맥부삭)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

⑥ 승마갈근탕 (升麻葛根湯) :

升陽解肌(승양해기)와 透疹(투진)케 하므로 麻疹(마진)이 돋어 나오지 않

고, 身熱无汗(신열무한)한 (자)者에게 적용된다.

造成 ≒ 升麻(승마)3, 乾渴(건갈)3, 芍葯(작약)6, 炙甘草(자감초)3.

效能 : 解肌透疹(해기투진)

主治 : 麻疹初起(마진초기) 未發疹(미발진) 또는 發疹不透(발진불투), 身熱頭痛

(신열두통) 등의 證狀을 다스린다.

※ 透疹(투진)이란 疹毒(진독)을 透泄(투설)하고, 迅速(신속)히 發疹(발진)시

켜서 풀어주는 治法(치법)이다.

일반적으로 發疹(발진)이 수반되는 病(병)으로 發疹(발진)되지 않거나, 불

충분할 때는 辛凉透表(신량투표)의 葯(약)으로 신속히 發疹(발진)시키면

發證(발증)이 생기지 않는다.

⑦ 죽엽유방탕죽엽 (竹葉柳蒡湯) :

透疹解毒(투진해독)과 肺胃(폐위)를 淸泄(청설)하므로 麻疹(마진)의

초기로서 麻疹(마진)이 돋지 않거나 肺胃(폐위)의 熱(열)이 심한 증

상에 專用(전용)된다.

造成 ≒ 西河柳(서하유)6, 荊芥穗(형개수)4.5, 乾葛(건갈)4.5, 蟬蛻(선탈)3, 薄

荷(박하)3, 炒牛蒡子(초우방자)4.5, 知母(지모)3, 玄參(현삼)6, 甘草

(감초)3, 麥門冬(맥문동)9, 淡竹葉(담죽엽)1.5.

效能 : 透疹解表(투진해표), 淸泄肺胃(청설폐위).

主治 : 痧疹透發(사진투발)의 不出(불출), 喘嗽(천수), 煩悶躁亂(번민조란),

咽喉腫痛(인후종통)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 辛凉解表葯을 위주로 한 方劑構成은 薄荷, 牛蒡子, 桑葉, 菊花, 葛根

等이다.


3) 扶正解表

⑴ 槪念 : 평소(平素)에 신체(身体)가 허약(虛弱)한 사람이 외사(外邪)의 침습(侵襲)을 받은 표증(表證)에 적용(適用)된다. 이런 때에는 정기(正氣)가 허약(虛弱)한 것을 회복시키는 보익(補益)하는 양약(陽葯)과 해표약(解表葯)을 배합(配合)한 방제(方劑)를 사용(使用)해서 신체(身体)를 보(補)하면서 표증(表證)도 함께 풀어주도록 하는 것이다.

⑵ 代表的 方劑는 敗毒散, 再造散, 葱白七味飮, 加減葳蕤湯 이다

① 폐독산 (敗毒散)은 益氣解表(익기해표)하므로 體虛(체허)와 風寒濕邪(풍한습사)를

받은 表證(표장)에 적용된다. 또한 流行性感冒(유행성감모)의 表

寒證者(표한증자)에게도 역시 쓸 수가 있다.

造成 ≒ 柴胡(시호), 前胡(전호), 川芎(천궁), 枳殼(지각), 羌活(강활), 獨活(덕활), 茯苓

(복령), 桔梗(길경), 人蔘(인삼) 各量 3.

效能 : 發汗解表(발한해표), 散風祛濕(산풍거습)

主治 : 感冒風寒濕邪(감모 풍한습사)로 인한 몸에 熱(열)이 甚(심)한 편이나 추은 것

을 싫어하는 憎寒壯熱(증한장열)에 머리와 목덜미 부위가 뻣뻣하고 아픈 頭

項强痛(두항강통)과 사지와 전신이 저리고 아픈 肢體痠痛(지체산통)에 땀은

나지 않고, 코가 막혀 숨소리가큰 鼻塞聲重(비색성중)에 기침하고 가래를 뱉

는 咳嗽有痰(해수유담)과 가슴과 옆구리가 답답하고 체한 것처럼 그득한 胸

膈痞滿(흉민비만)에 舌苔(설태)는 白膩(백니)하고 脈(맥)은 浮濡(부유)하거나

浮數(부삭)하고 세게 누르면 无力(무력)한 脈(맥)을 다스린다.

② 재조산 (再造散)은 助陽益氣(조양익기)하고 辛溫發汗(신온발한)하므로 陽氣虛弱(양

기허약)의 表寒證(표한증)과 땀이 나지 않아 풀어지지 않은 자에

게 적용된다.

造成 ≒ 黃芪(황기)6, 人蔘(인삼)3, 桂枝(계지)3, 甘草(감초)1.5, 熟附子(숙부자)3, 細

辛(세신)2, 羌活(강활), 防風(방풍), 川芎(천궁), 焙生姜(배생강) 各3.

效能 : 助陽益氣(조양익기), 發汗解表(발한해표)

主治 : 陽氣虛弱으로 感冒風寒 - 頭痛, 身熱, 惡寒이 있고, 熱은 甚하지 않으나 추위

를 몹시 타는 熱輕寒重으로 땀은 나지 않고 四肢가 찬 无汗肢冷이며, 陽虛하

고 乏力하므로 눕기를 좋아하는 倦怠嗜臥하고, 面色이 蒼白하다. 말수가 적

은 것은 물론이며 말소리가 안으로 스며들 듯 言語低微하며, 舌淡苔白하고

脈沉无力 혹은 浮大无力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

③ 총백칠미음 (葱白七味飮)은 養血解表하므로 血虛와 風寒을 받은 表寒證者에게 적

용된다.

造成 ≒ 葱白(총백)9, 葛根(갈근)9, 豆豉(두시)6, 生姜(생강)6, 麥冬(맥동)9, 乾地

(건지)9.

效能 : 養血解表(양혈해표)

主治 : 병을 앓고 난 후에 陰과 血이 모두 不足한 陰血虧虛(음혈휴허)에 調攝(조

섭) 마저 좋지 못한 중에 外邪(외사)의 침습을 받았거나, 또는 失血(실혈,

吐血, 便血, 咳血, 衄血)이 된 후에 다시 風寒感冒(풍한감모)에 걸려 頭痛

(두통)과 身熱(신열)이 있으며 微寒无汗(미한무한)의 證狀(증상)을 다스

린다.

④ 가감위유탕 (加减葳蕤湯)은 養陰解表(양음해표)하므로 陰虛(음허)한 者와 風熱(풍

열)을 받은 表熱證(표열증)에 適用(적용)된다.

造成 ≒ 生葳蕤(생위유)9, 生葱白(생총백)6(2枚), 桔梗(길경)5, 東白薇(동백미)3,

豆豉(두시)9, 蘇薄荷(소박하)5, 炙甘草(자감초)1.5, 紅棗(홍조)2枚.

效能 : 滋陰淸熱(자음청열), 發汗解表(발한해표)

主治 : 陰虛하고, 外邪를 받은 몸으로 頭痛과 身熱이 있고, 微惡風寒에 无汗

또는 有汗 하지만 땀이 많이 나지 않으며, 舌赤하고 脈數하며, 기침하며

마음이 焦躁한 咳嗽心煩에, 口渴과 咽乾한 證狀을 다스린다.

15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方劑 21. 옹양제(癰瘍劑)

21. 옹양제(癰瘍劑) ⑴ 개념(槪念) 등창, 종기, 부스럼 같이 피부가 헐은 옹저창양(癰疽瘡瘍)을 치료하기 위해 쓰이는 방제 를 옹양제(癰瘍劑)라고 한다. 이런 종류의 방제는 주로 환부의 독을 해소하고 부은 것을 내리게 하는 해독소종(解毒消腫)과 안으로 곪은 농을 제거하는 탁리배농(託裏排膿) 및 새살이 돋아나고 상처가 아물게 하는 생기렴창(生肌斂瘡)의 작

方劑 20. 용토제 (湧吐劑)

20. 용토제 (湧吐劑) ⑴ 槪念 : 대체로 담연(痰涎), 숙식(宿食), 독물(毒物) 등을 용토(湧吐)하게 하는 작용을 가진 약제로 구성해서 담궐(痰厥), 식적(食積) 및 독물(毒物)을 오식(誤食)한 것 등을 치 료하는 방제를 통칭 용토제(湧吐劑)라 부르는 것이며 팔법(八法)중 토법(吐法)에 속한 다. 용토제의 작용은 주로 인후(咽喉)와 흉격(胸膈)에 정축

方劑 19. 구충제 (驅虫劑)

19. 구충제 (驅虫劑) ⑴ 槪念 대체로 구충약물(驅虫葯物)을 위주로 방이 구성되어 인체의 기생충병(寄生蟲病)을 치료 하는데 쓰이는 방제(方劑)를 가리켜서 구충제(驅虫劑)라고한다. 인체의 기생충병에는 종류가 상당히 많고 치법(治法) 또한 각기 다르다. 본제(本劑)는 소 화도(消化道)의 회충(蛔虫)과 요충(蟯虫), 조충(條虫 : 寸虫), 구충(鉤虫)등의 기생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