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uche
진단17 / 2.3 문진(問診) 2.3.5 현재증상 I
2.3.5 현재증상(現在症狀) 2.3.5.1 한열문진(寒熱問診) 2.3.5.2 한(汗)의 문진(問診) 2.3.5.3 두신(頭身)의 문진(問診) 2.3.5 현재증상(現在症狀) 동의학은 현재증상에 대한 문진(問診)을 매우 중시(重視)하여 왔다....
서선영
23. Dez. 201814 Min. Lesezeit
183 Ansichten
진단16 / 2.3 문진(問診)
2.3 문진(問診) 2.3.1 일반정황(一般情况)의 문진(問診) 2.3.2 생활사(生活史) 2.3.3 가족병사(家族病史)와 기왕병사(旣往病史) 2.3.4 기병문진(起病問診) 2.3 문진(問診) 문진(問診)은 동의학(東醫學)...
서선영
23. Dez. 20183 Min. Lesezeit
63 Ansichten
진단15 / 2.2 문진(聞診)
2.2 문진(聞診) 2.2.1 성음(聲音)을 청진(聽診) 2.2.2 냄새를 맡는다(嗅氣味). 2.2.2.1 병체(病體)의 기미(氣味) 2.2.2.2 병실(病室)의 기미(氣味) 2.2.2.3 문진소결(聞診小結) 2.2...
서선영
23. Dez. 201812 Min. Lesezeit
98 Ansichten
진단14 / 2.1.8.5 설질과 설태의 종합진찰
2.1.8 설(舌)의 망진(望診) 2.1.8.5 설질(舌質)과 설태(舌苔)의 종합진찰(綜合診察) 2.1.9 망진소결(望診小結) 2.1.8.5 설질(舌質)과 설태(舌苔)의 종합진찰(綜合診察) 질병(疾病)은 복잡한 발전과정을 가지고...
서선영
23. Dez. 201810 Min. Lesezeit
113 Ansichten
진단13 / 2.1.8.4 설진(舌診)의 내용
2.1.8 설(舌)의 망진(望診) 2.1.8.4 설진(舌診)의 내용 2.1.8.4 설진(舌診)의 내용 설진의 내용은 주요하게 설질(舌質)과 설태(舌苔)를 관찰하는 2개의 방면으로 나눈다. 설질(舌質)을 설체(舌体)라고도 부르는데...
서선영
23. Dez. 201819 Min. Lesezeit
821 Ansichten
진단12 / 2.1.8 설(舌)의 망진(望診)
2.1.8 설(舌)의 망진(望診) 2.1.8.1 설진(舌診)의 임상의의(臨床意義 2.1.8.2 설(舌)과 장부(臟腑)와의 관계 및 설진(舌診) 원리 2.1.8.3 설진(舌診)의 방법 및 주의사항 2.1.8 설(舌)의 망진(望診)...
서선영
23. Dez. 20188 Min. Lesezeit
143 Ansichten
진단11 / 2.1.7 배설물과 분비물의 망진
2.1.7 배설물(排泄物)과 분비물(分泌物)의 망진(望診) 2.1.7.1 담연체타(痰涎涕唾) 2.1.7.2 구토물(嘔吐物) 2.1.7 배설물(排泄物)과 분비물(分泌物)의 망진(望診) 배설물은 인체가 체외로 배출(排出)한 대사(代謝)의...
서선영
22. Dez. 20184 Min. Lesezeit
59 Ansichten
진단10 / 2.1.6 락맥(絡脈)의 망진(望診)
2.1.6.1 소아식지락맥(小兒食指絡脈)의 망진(望診) 2.1.6.2 어제락맥(魚際絡脈) 2.1.6.2 어제락맥(魚際絡脈) 2.1.6.3 지갑형색(指甲形色) 2.1.6 락맥(絡脈)의 망진(望診) 2.1.6.1 소아식지락맥(小兒食指絡脈)의...
서선영
22. Dez. 20184 Min. Lesezeit
83 Ansichten

진단 9 / 2.1.5 피부(皮膚)의 망진(望診)
2.1.5 피부(皮膚)의 망진(望診) 2.1.5 피부(皮膚)의 망진(望診) 2.1.5.2 윤고(潤枯) 2.1.5.3 종창(腫脹) 2.1.5.4 두창(痘瘡) 2.1.5.5 반진(斑疹) 2.1.5.6 백배(白㾦)와 수포(水泡) 2.1.5.7 옹,...
서선영
22. Dez. 20188 Min. Lesezeit
112 Ansichten
진단 8 / 2.1.4 두경과 발, 오관의 망진
2.1.4 두경(頭頸)과 발(髮), 오관(五官)의 망진(望診) ⑴ 망두면(望頭面) 경항(頸項) 두발(頭髮) ⑵ 망목(望目) ⑶ 망이(望耳) ⑷ 망비(望鼻) ⑸ 망구순(望口脣) ⑹ 망치은(望齒齦) ⑺ 망인후(望咽喉) ⑻ 망하규(望下竅) 2.1.4...
서선영
22. Dez. 201821 Min. Lesezeit
134 Ansichten
진단 7 / 2.1.3 형태(形態)의 망진(望診)
⑴ 망형태(望形態) ⑵ 망자태(望姿態) 2.1.3 형태(形態)의 망진(望診) 망형태(望形態)란 병자의 형체(形体)와 자태(姿態)를 관찰하는 진단방법이다. 음양오행 학설(陰陽五行學說)과 장상경락학설(臟象經絡學說)에 의하면 인체내의 오장(五臟)은 오...
서선영
22. Dez. 20186 Min. Lesezeit
78 Ansichten

진단 6 / 2.1.2 면색(面色)의 망진(望診)
⑴ 면부색진원리(面部色診原理) 및 임상의의(臨床意義) ⑵ 면부(面部)와 장부(臟腑)의 상관부위(相關部位) ⑶ 망색십법(望色十法) ⑷ 상색(常色)과 병색(病色) ⑸ 색(色), 맥(脈), 증합참(症合參) 2.1.2 면색(面色)의 망진(望診)...
서선영
21. Dez. 20187 Min. Lesezeit
260 Ansichten
진단 5 / 2.1.1 신(神)의 망진(望診)
⑴ 신(神)의 개념(槪念) ⑵ 득신(得神), 실신(失神)과 가신(假神) ⑶ 신기부족(神氣不足)과 정신이상(精神異常 2.1.1 신(神)의 망진(望診) ⑴ 신(神)의 개념(槪念) 신은 인체생명활동의 총칭이다. 그의 개념은 광의(廣義)와 협의(狹義)...
서선영
21. Dez. 20185 Min. Lesezeit
167 Ansichten
진단 4 / 2. 사진(四診) 2.1. 망진(望診)
2. 사진(四診) 사진은 질병(疾病)을 진찰(診察)할 때 사용하는 망(望), 문(聞), 문(問), 절(切) 등 4가지 기본방법(基本方法)을 가리킨다. 의사가 시각(視覺)으로 환자(患者)의 전신(全身)과 국부(局部)의 신색(神色)과 형태(形態)의...
서선영
21. Dez. 20182 Min. Lesezeit
105 Ansichten
진단 3 / 1.2. 동의 진단학의 범위와 원칙
1.2. 동의 진단학의 범위와 원칙 1.2.1 내외심찰(內外審察) 1.2.2 변증구인(辨證求因) 1.2.3 사진합참(四診合參) 1.3 동의진단학(東醫診斷學)의 주요내용(主要內容) 1.4. 학습요구(學習要求)와 방법(方法) 1.2. 동의 진단학의...
서선영
21. Dez. 20188 Min. Lesezeit
113 Ansichten
진단 2 / 서론 1.1 동의 진단학 발전간사 및 주요내용
緖論(서론) 東醫診斷學(동의진단학)은 整体(정체)로부터 출발하여 辨證(변증)의 이론과 방법으로 辨證(변증)을 식별하고, 병정을 미루어 판단함으로서 질병의 예방과 치료의 근거를 제공한다. 이는 곳 임상 여러 학과의 기초이다. 1.1 동의 진단학...
서선영
21. Dez. 201812 Min. Lesezeit
174 Ansichten
진단 1 / 동의 진단학 목록
東醫 診斷學(동의 진단학) 目錄(목록) 동의진단학(東醫診斷學) 요점(要点) 1. 서론(緖論) 1.1 동의 진단학 발전간사 및 주요내용 1.2 동의 진단학의 범위와 원칙 1.2.1 내외심찰(內外審察) 1.2.2 변증구인(辨證求因) 1.2.3...
서선영
21. Dez. 20189 Min. Lesezeit
46 Ansichte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