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203 협심증(狹心症=眞心痛, 心絞痛)

Aktualisiert: 9. Apr. 2022


협심증 (狹心症=眞心痛) : 심교통(心絞痛)

心劇痛(심극통)

證狀 : 心痛(심통)이 잔등까지 미치며 등어리 통증이 심장까지 미친다(心痛徹背(심통

철배), 背痛徹心). 혹운 가슴에 刺痛(자통)이 고정되어 있고 가슴이 답답하며 숨

이 가쁘고 心悸(심계), 自汗(자한)이 있으며 심한 사람은 喘息(천식)으로 반듯하

게 눕지 못하고 얼굴색은 蒼白(창백)하며, 四肢厥冷(사지궐냉)하고 혀는 紫黯(자

암)하며 脈沉細(맥침세)하다.

治則 : 行氣通陽(행기통양), 活血止痛(활혈지통).

- 任脈(임맥), 手厥陰經穴(수궐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膻中(전중), 內關(내관), 心兪(심수), 足三里(족삼리).

方義 : ① 본증은 주로 氣滯血瘀(기체혈어), 혹은 胸陽痹阻(흉양비조)로 발생한다.

② 氣會(기회)인 膻中穴(전중혈)을 취하여 調氣行瘀(조기행어)하고

③ 手厥陰(수궐음)과 陰維脈(음유맥)의 교회혈인 內關(내관)과 배합하면 理氣活

血(리기활혈)하고

④ 心兪(심수)와 합하면 寧心安神(녕심안신)하고

⑤ 足三里(족삼리)와 합하면 調氣通陽(조기통양)한다.

이상의 혈을 배합하면 通絡止痛(통락지통)의 작용을 한다.

만약 : ① 胸部刺痛(흉부자통): 加 膈兪(격수) 厥陰兪(궐음수).-行瘀止痛(행어지통)

② 面色蒼白(면색창백) 四肢厥冷(사지궐냉) : 關元(관원), 氣海(기해).- 溫經補氣

(온경보기).

治法 : 호침으로 사법을 사용한다.- 中醫-

1. 參照文(참조문)

1) 心痛(심통) 2) 冠心病(관심병) 3) 심혈어조 (心血瘀阻) 4) 심흉병 (心胸病)

5) 흉부동통 (胸部疼痛) 6) 흉비 (胸痹) 7) 흉통 (胸痛)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협심증(狹心症-眞心痛 angina pectoris)

症狀 : 손톱이 모두 퍼런빛을 띠면 단지 한나절밖에 살수 없다. 아침에 발작하면 저녁

에 죽고, 저녁에 발작하면 아침에 죽는 치료하기 어려운 병이다.

심장은 온몸을 주관하는 군주와 같은 장기이기 때문에 그 병이 위중하면 곧 생

명을 잃게 된다.

1)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少海(소해,合),神門(신문,輸,原),少府(소부,滎),少冲(소충,井).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 天泉(천천), 郄門(극문,郄),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

會穴,通陰兪脈), 勞宮(노궁,滎), 中冲(중충,井).

手少陽三焦經 : 支泃(지구,經).

任脈 : 建里(건리), 巨闕(거궐,心의 募穴), 鳩尾(구미,絡), 中庭(중정).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陰交(음교), 漏谷(루곡).

手厥陰心包經 : 內關(내관), 間使(간사), 足三里(족삼리).

任脈 : 巨闕(거궐), 心兪(심수), 郄門(극문), 通里(통리).

2) 大陵(대능), 內關(내관), 神門(신문), 郄門(극문), 心兪(심수), 巨闕(거궐).

4. 辨證取穴(변증취혈)

1) 【東醫寶鑑】에 “헛구역이 멎지 않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맥이 끊어진 데는 間使穴에

30장의 뜸을 뜬다. 이것들은 다 죽어 가는 사람을 살려내는 방법이다.”라고 했다.

2) 大敦 : 가슴의 痛證(통증), 마음의 고통을 내려주며, 卒倒(졸도), 癎疾(간질) 등에도

효과가 있는 經穴(경혈)이다.

3) 內關 :【東醫寶鑑】에는“手厥陰心包絡(新 手厥陰膈經)에 病이 생겼는데 實하면 가슴

이 아프다. 이때에는 內關穴(내관혈)에 針(침)을 놓는다.”고 했다.

現代針灸學

흉골하부 내지는 심장부에 일어나는 동통발작을 주 증상으로 하는 증후군을 Angina

pectoris라 하며 그 원인으로는 심장근육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에 기질

적인 병변을 일으키거나 혹은 기능적인 병변(주로 경련)으로 관상동맥의 혈관내강이

좁아져서 臟筋(심장근) 사이로 가는 혈액이 충분히 통과되지 못함으로써 심장근의

영양 및 산소의 공급부족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동맥경화증이나 매독과 같은 기질적 질환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을 진성협심증 이라고

도 하며 경련과 같은 기능적인 병변에 의하여 일어나는 협심증을 가성협심증 또는 신

경성협심증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양자의 구별은 실제에 있어서 극히 곤란하며 때로

는 이 양자가 합병하여 발작되는 수도 있다. 발작의 정도에 따라 소협심증과 대협심증

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유인에 따라서 운동협심증과 안정협심증으로 분류

되기도 한다.

운동협심증이란 글자 그대로 운동, 흥분, 음식에 의하여 유발되며 안정에 의하여 소실

되는 것으로 소협심증 이라고 한다.

안정협심증이란 관상동맥의 부전이 고도로 심화되면 체위변화, 밤에 잠을 잘 때에 꿈

을 꾸는 경우에 발작이 일어나는 등이 이에 속한다.

대발작을 일으키는 원인은 관상동맥의 주간 또는 분지가 돌연히 폐쇄되는 경우로 폐쇄

된 혈관영역에 국한성 괴사가 발생한 상태를 급성심근경쇄증이라 한다.

證狀 : 심장부에 압박감이 일어나거나 왼편 어깨 또는 왼편 팔에 이상감이 오고 가벼운

불안감이나 전신탈력감 등의 전구증상이 협심증 발작에 선행하거나, 아무런 전

구증상 없이 갑자기 심장부 혹은 흉골 중앙부나 흉골 하부에 격통이 일어나는데

이 동통의 양상은 끈으로 가슴을 잡아매고 당기는 것 같은가 하면 예리한 칼로

가슴을 후벼 파내는 듯 금방이라도 숨이 끊어지는 뜻한 고통을 받는다. 그 부위

는 심장에 국한하지 않고 왼편 어깨, 왼편 팔꿈치, 왼편 손에까지 파급되는 수가

있으며 발작의 지속은 1~2분에서 20~30분 드물게는 수 시간에 이르는 것도

있다. 발작 중에는 안면이 창백해지고 심계항진, 호흡촉박 등을 수반한다. 발작

이 수 시간에서 수 일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일단 심근경색증을 의심해야 한다.

가성협심증(신경성협심증)의 경우에는 비록 자각증상은 진성협심증과 흡사한

심장부 동통을 나타내지만 심장의 병변이나 심전도에 이상을 발견 할 수가 없

다. 요인으로는 피로, 흥분, 정신적 타격 등을 들 수가 있으며 발작은 수분에서

수 시간 계속되지만 쇼크 증상을 수반하는 일은 없다.

治療 : 針灸療法(침구료법)은 가성협심증에만 적응할 뿐 진성협심증이나 심근경쇄증에

는 단지 대증요법이나 예방법으로서 적응될 뿐이다.

발작시 처치로서는 안정, 요양이 필요하며, 운동협심증의 경우는 안정만으로 진

정하지만 안정협심증에서는 혈관확장제, 진통제, 진정제가 필요한 것으로 서의

학의 협력이 필요하다.

治法 : 부정맥(不定脈 Arhythmia)에 준한다.

3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Comentarios


Los comentarios se han desactivado.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