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 (咳嗽 Coughing) - 해수기단 (咳嗽氣短) - 해천 (咳喘).,
해혈 (咳血)
해수 (咳嗽 Coughing) : 기침 담천 (痰喘) ☞ 咳嗽(해수), 喘息(천식)
咳嗽(해수)는 肺疾患(폐질환)의 주요한 증상의 하나이다. 咳(해)는 肺氣(폐기)가 上 逆
(상역)할 때 나는 소리를 가르키고 嗽(수)는 가래(痰)를 뱉는 것을 이르는 말이 다.
그러므로 소리내어 기침하며 가래를 뱉는 것을 咳嗽(해수)라 하고, 소리내어 기침하
며 가래가 없는 것을 咳逆(해역)이라 한다.
咳嗽(해수)는 急(급), 慢性(만성)으로 나누는데 急性(급성)은 주로 外感(외감)이고 慢
性(만성)은 주로 內傷(내상)이다.
外感咳嗽(외감해수)를 제 때에 치료 못하면 慢性(만성) 內傷咳嗽(내상해수)로 전변 되
고, 내상해소가 外邪(외사)에 感受(감수)되면 또 급성으로 발작된다. 만성해수가 오래
되거나 혹은 환자가 年老(연노)하거나 체질이 허약한 자는 흔히 咳喘(해천)으로 변한
다. 急慢性氣管支炎(급만성기관지염), 氣管支擴張(기관지확장), 上呼吸道感染(상호흡
도 감염)은 모두 本證(본증)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할 수 있다.
病因病機(병인병기)
外感咳嗽(외감해수)는 대부분 인체가 차거나 더운(冷熱) 기후변화에 따라 체표의 위
기(衛外)의 공능이 강하지 못한 경우에 風寒(풍한), 風熱(풍열)
의 邪氣(사기)가 그런 虛(허)한 틈을 타서 肺衛(폐위)를 침습하게 되어 폐기의 선발과
숙강 기능이 손상됨으로 폐기가 불선(肺氣不宣)하고 숙강이 실상(淸肅失常)하여 기침
(해수)을 하게 된다.
內傷咳嗽(내상해수)는 대부분 해수가 반복적으로 발작하게 되면 肺氣(폐기)가 상하고
肺虛(폐허)가 脾臟(비장)에 미쳐 脾虛(비허)로 발전하여 濕(습)
이 생기고 습이 盛(성) 하면 痰(담)이 생기게 되는데 이 같은 濕痰(습담)이 위로 肺(폐)
를 적시어 肺氣(폐기)가 不降(불강) 하게 되고 上逆(상역)함으로 기침을 한다. 혹은 정
신자극(스트레스)으로 肝氣(간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간의 소설기능이 손상되고
따라서 조달 기능을 실상(肝失條達)하게 되며, 간기를 울체시키면 열로(氣鬱化火) 변
화되고 이 같은 肝火(간화)가 위로 肺(폐)를 뜨겁게 가열하게 되면 津液(진액)은 痰(담)
으로 되고 肺氣(폐기)의 肅降機能(숙강기능)을 저애시킴으로 기침(해수)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外感咳嗽(외감해수)
⑴ 風寒證 : 힘 있게 기침하며 목이 가렵고 흰색의 가래가 묽고 량이 적거나 (稀薄)
혹은 가래(痰)에 거품이 있으며, 頭痛(두통), 몸에 열이 나는데 땀은 나
지 않으며(發熱无汗), 코가 막히고 콧물을 흘리며(鼻塞流體), 관절이 시
큰거리는 통증이 있고(關節酸痛), 설태는 희고 엷으며(舌苔薄白), 맥은
부삭(脈浮數)하거나 혹은 부긴(浮緊)하다.
原則 : 폐기를 선발하고 表邪(표사)를 해제하며(宣肺解表), 가래를 제거하고
기침을 진압(鎭咳化痰)한다.
- 手太陰(수태음), 陽明經穴(양명경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列缺(열결), 合谷(합곡), 肺兪(폐수), 外關(외관)
方義 - ① 列缺(열결) + 肺兪(폐수) : 폐기를 선발시켜 통하게 하고
② 合谷(합곡) + 外關(외관) : 땀을 내어 체표에 邪氣(사기)를 해제한다.
加减 - ① 頭痛(두통) : 加 風池(풍지), 上星(상성) - 散風止痛(산풍지통)
② 四肢痛(사지통) : 加 崑崙(곤륜), 溫溜(온유) - 舒筋止痛(서근지통).
♧ 方葯 : 三坳湯(삼요탕)
≒ 麻黃(마황), 杏仁(행인), 甘草(감초). : 止咳作用(지해작용)
⑵ 風熱證 : 기침을 몹시 자주하고(咳嗽頻剋), 숨소리가 거칠고(氣阻), 가래가 상쾌
하게 나오지 않고(各痰不爽), 빽빽한 누런 가래를 뱉고(痰黃利稠), 口渴
(구갈), 코와 목구멍이 건조하며(鼻燥咽乾), 頭痛(두통), 몸에는 열이 나
고(身熱), 바람을 싫어하고 땀을 흘리며(惡風汗出), 설태는 누렇고 엷으
며(舌苔薄黃), 맥상은 부삭(脈象浮數)하다.
原則 : 막힌 풍열을 흩어 통하게(疏散風熱)하고, 폐기를 맑게 하고 담을 제거
한다(淸肺化痰). 手太陰(수태음), 陽明(양명), 督脈穴(독맥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尺澤(척택), 肺兪(폐수), 曲池(곡지), 大椎(대추).
方義 - ① 尺澤(척택) + 肺兪(폐수) : 淸肺化痰(청폐화담), 鎭咳(진해).
② 大椎(대추) : 解表退熱(해표퇴열), 鎭咳化痰(진해화담)
③ 大椎(대추) + 曲池(곡지) : 疏風淸熱(소풍청열).
加减 - ① 咽喉痛(인후통) : 少商(소상) 點刺出血(점자출혈) - 泄熱解毒.
② 땀이 나지 않을 때(无汗出) : 加 合谷(합곡) -發汗(발한)
③ 땀이 많이 나고(多汗) 몸에 열이 내리지 않으면 :
加 合谷(합곡), 復溜(복류) - 滋陰淸熱(자음청열).
♧ 1)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
≒ 麻黃(마황), 石膏(석고), 杏仁(행인), 甘草(감초).
2) 淸燥救肺湯(청조구폐탕)
≒ 桑葉(상엽), 杏仁(행인), 貝母(패모), 麥冬(맥동), 沙蔘(사
삼), 石膏(석고). - 滋陰淸肺(자음청폐)
3) 二母散(이모산)
≒ 知母(지모), 貝母(패모). - 淸肺瀉熱(청폐사열) 滋陰潤肺(자
음윤폐) - 治肺熱咳嗽(치폐열해수), 陰虛咳嗽(음허해수).
2) 內傷咳嗽(내상해수)
⑴ 痰濕犯肺(담습범폐)
證狀 : 기침소리가 무겁고, 가래량이 많고 끈끈하며 빽빽하고(痰多粘稠), 색은
희거나 암회색이고, 가슴이 답답하고(胸悶), 식사량이 적고 피곤해하며
(食少疲困), 설태는 희고 미끈미끈(舌苔白膩)하며, 맥은 유(脈濡)하거나
혹은 활맥(滑脈)이다. 原則 : 비를 튼튼히 하고 습을 제거하며(健脾化濕),
담을 제거하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化痰止咳). 手足太陰(수족태음), 陽明
經穴(양명경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太淵(태연), 太白(태백), 肺兪(폐수), 脾兪(비수), 豊隆(풍륭).
方義 : ① 原穴(원혈)은 臟(장)의 眞氣(진기, 元氣)가 輸注(수주)되는 곳이 므로 폐
의 원혈 太淵(태연)과 비의 원혈 太白穴(태백혈)에다 肺兪(폐수), 脾兪
(비수)를 배합하면 健脾燥濕(건비조습) 理肺降氣(리폐강기)의 작용을
한다.
② 비는 담의 원천이고(生痰之源), 폐는 담을 저장하는 곳이기 때문에 비
와 폐를 동시에 취하면 標本同治(표본동치)가 된다.
③ 豊隆(풍륭) : 足陽明(족양명)의 絡穴(락혈)인데 中焦(중초) 脾胃(비위의
氣(기)를 조절, 운행하여 氣行津布(기행진포)하고, 痰濕得
化(담습득화)하여 폐장을 편안하게 안정시킨다.
加减 - ① 해수에 천식을 겸한 환자(咳嗽兼喘者) :
加 定喘穴(정천혈) - 止咳定喘(지해정천)하고
② 가슴이 답답하고 위완부가 체한 듯 결리는 환자(胸脘痞悶者) :
加 足三里(족삼리), 內關(내관) - 寬胸理氣(관흉리기)
♧ 方葯 : 肺寒咳嗽(폐한해수) - 小靑龍湯(소청용탕)
⑵ 肝火灼肺(간화작폐)
證狀 : 폐기가 상역하여 기침(氣逆咳嗽)을 하게 되고, 기침을 할 때는 옆구리가
아프며(咳引脇痛), 가래는 량이 적고 끈끈하며(痰少而粘), 얼굴과 눈의 색
이 붉고(面紅目赤), 목구멍이 마르고(咽乾), 입이쓰며(口苦), 혀끝이 붉고
(舌尖紅赤), 설태는 색이 누렇고 엷으며 진액이 적다(舌苔薄黃少津)., 맥
은 현삭(脈弦數)하다.
原則 : 平肝降火(평간강화), 淸肺化痰(청폐화담)
- 手太陰(수태음), 足厥陰經(족궐음경)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尺澤(척택), 肺兪(폐수), 太冲(태충), 陽陵泉(양능천).
方義 - ① 尺澤(척택) + 肺兪(폐수) : 淸肺化痰(청폐화담).
② 太冲(태충) + 陽陵泉(양능천) : 肝膽(간담)의 火(화)를 淸寫(청사) 하여
肺熱(폐열)을 피면한다.
加减 - ① 목이 마르고 가려우면(口乾咽痒) : 加 照海(조해).- 淸咽(청인)
② 기침할 때 咯血(각혈)하면 : 加 孔最(공최).- 鎭咳止血(진해지혈)
《고전》에 “无火不生痰(무화불생담), 无痰不咳嗽(무담불해수), 痰火旣淸(담화기청),
咳嗽可平(해수가평)”라 하였다. “熱(열)이 없으면 痰(담)이 생기지 않으며,
痰(담)이 없으면 기침을 하지 않는다. 痰(담)과 火(화)가 사라지면 기침은 평
정을 찾는다.”는 말이다.
한편 백병의 원인이 된다는 담의 病理機傳(병리기전)은 水生濕(수생습), 濕
生痰(습생담), 痰生熱(담생열), 熱生風(열생풍)이 된다. -中醫-
기침(咳嗽 Husten)
主穴 : 中腑(중부), 尺澤(척택), 列缺(열결), 太淵(태연), 膻中(전중).
哮喘 : 天突(천돌), 定喘(정천), 風門(풍문), 大椎(대추), 合谷(합곡), 足三里(족
삼리)
濕痰 : 豊隆(풍륭).
1. 參照文(참조문)
1) 附錄 7. 咳嗽(기침)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中腑(중부,交會,募), 云門(운문), 天府(천부), 俠白(협백), 尺澤(척택,合), 孔
最(공최,郄), 列缺(열결,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任脈), 經渠(경거), 太淵
(태연,輸,原,脈會), 魚際(어제,滎), 少商(소상,井).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原), 手五里(수오리), 扶突(부돌).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絡-太陰經,).
足太陰脾經 : 天溪(천계).
手少陰心經 : 通里(통리,絡-太陽經),
足太陽膀胱經 : 大杼(대저), 肺兪(폐수), 厥陰兪(궐음수), 膈兪(격수), 魄戶(백호), 膏肓
(고황), 神堂(신당), 譩譆(의희).
足少陰腎經 : 步廊(보랑), 神封(신봉), 靈墟(령허), 神藏(신장), 彧中(욱중), 輸府(수부).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 天泉(천천).
手少陽三焦經 : 天井(천정).
足少陽膽經 : 淵腋(연액), 浮白(부백).
任脈 : 膻中(전중), 玉堂(옥당), 紫宮(자궁), 華盖(화개), 璇璣(선기), 天突, 廉泉(렴천).
督脈 : 神道(신도), 靈台(령대).
寄穴 項背腰部 : 百勞(백로), 定喘(정천), 崇骨(숭골).
腰背部 : 華佗夾脊(화타협척).
上肢部 : 四縫(사봉).
2) 處方 : 列缺, 太淵, 尺澤, 肺兪, 天突.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遠道選穴 : 尺澤(척택).
2) 本經選穴 : 肺經(폐경) - 列缺(열결), 尺澤(척택), 太淵(태연).
3) 辨證選穴
① 宣肺祛風(선폐거풍) : 列缺(열결), 風池(풍지).
② 止嗽化痰(지수화담) : 尺澤(척택, 合), 豊隆(풍륭).
③ 風門(풍문), 肺兪(폐수). - 通宣理肺(통선리폐)
4) 本經配穴法 : 中府(중부), 尺澤(척택), 太淵(태연).
5) 手太陰肺經 : ① 俠白(협백), 孔最(공최), 尺澤(척택).
② 尺澤(척택), 肺兪(폐수), 厥陰兪(궐음수), 支泃(지구).
③ 經渠(경거), 行間(행간).
④ 魚際(어제), 列缺(열결), 少澤(소택).
足陽明胃經 : ① 庫房(고방), 少澤(소택), 心兪(심수).
② 屋翳(옥예), 大椎(대추), 肺兪(폐수), 膻中(전중), 璇璣(선기), 尺澤
③ 乳根(유근), 兪府(수부).
足太陽膀胱經 : ① 風門, 天柱, 肺兪(폐수), 中府(중부), 孔最(공최), 外關(외관).
② 백호(魄戶), 폐수(肺兪), 중부(中府), 전중(膻中), 척택(尺澤).
足少陰腎經 : ① 太溪(태계), 復溜(복류), 列缺(열결), 合谷(합곡).
② 彧中(욱중), 肺兪(폐수), 膏肓(고황), 膻中(전중).
任脈 : ① 膻中(전중), 肺兪(폐수), 天突(천돌), 尺澤(척택), 列缺(열결).
② 紫宮(자궁), 肺兪(폐수), 風門(풍문), 天突(천돌).
③ 華盖(화개), 尺澤(척택), 肺兪(폐수).
④ 天突(천돌), 尺澤(척택), 膻中(전중).
督脈 : 身柱(신주), 風門(풍문), 膻中(전중), 列缺(열결).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久病咳 : ① 天柱(천주), 少商(소상).- 針灸大成(침구대성)
② 肺兪(폐수), 天突(천돌).- 百症賦(백증부)
2) 咳嗽痰多(해수담다) : 豊隆(풍륭), 天突(천돌), 風門(풍문), 中脘(중완), 尺澤(척택), 足三
里(족삼리). 太淵(태연).
3) 咳嗽痰少(해수담소), 咽乾(인건) : 魚際(어제).- 針灸大成
4) 風痰(풍담) : 手太陰肺經 - 太淵(태연), 列缺(열결).- 玉龍歌
5) 虛勞咳嗽(허로해수) :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 關元(관원), 豊隆(풍륭).-玉龍歌
6) 風濕性心臟病(풍습성심장병)에 의한 咳嗽(해수)
任脈 : 膻中(전중), 兪府(수부), 膻中(전중), 中府(중부).
7) 기침과 함께 肺氣(폐기)가 치밀어 오르는 證候(증후)가 멎지 않는 證狀(증상)
處方 : ⑴ 大椎(대추)에서 第五脊椎(제오척추)마디 위까지 나이 수만큼 뜸뜬다.
⑵ 期門穴(기문혈)에 灸三壯(구삼장)하면 곧 멎는다.
⑶ 乳頭直下(유두직하) 一橫指間隔(일횡지간격, 一寸) 肋間(늑간)의 陷凹部(함
요부)에 灸三壯(구삼장) 뜬다.
男子(남자)는 左側(좌측)에 女子(여자)는 右側(우측)에 뜸을 뜨며 뜸 기운이
筋肉(근육)에 이르면 中止(중지)한다.- 許任-
8) 기침을 하면서 숨을 헐떡거리고 물을 마시는 症狀(증상).
處方 : 太淵(태연), 神門(신문), 支溝(지구), 中渚(중저), 合谷穴(합곡혈). - 許任-
9) 針灸大成
⑴ 기침과 찬 가래(寒痰)이 나올 때
處方 : 先刺 - 后谿穴(후계혈),
后刺 - 列缺(열결), 湧泉(용천), 申脈(신맥), 肺兪(폐수), 天突(천돌), 絲竹空穴
(사죽공혈)을 치료.- 西江月
⑵ 感氣(감기)로 인한 咳嗽(해수), 가슴이 그득하게 부은 것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膻中(전중), 風門(풍문), 合谷(합곡), 風府穴(풍부혈).- 西江月
⑶ 기침과 찬 가래(寒痰)가 나오는 것과, 가슴과 황격막이 막혀서 아프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肺兪(폐수), 膻中(전중), 三里穴(삼리혈)에 針刺한다.- 西江月
⑷ 오랜 기침이 낫지 않고, 가래에 피가 석여 나온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風門(풍문), 太淵(태연), 膻中穴(전중혈)에 針刺한다.- 西江月
⑸ 咳嗽(해수) 有聲(유성)
處方 : 肺兪穴(폐수혈) 刺針(자침), 天突穴(천돌혈) 迎法(영법)
⑹ 咳嗽(해수) 寒痰(한담)
處方 : 列缺穴(열결혈) - 痛玄指要賦
⑺ 急激咳嗽(급격해수) 腰背痛(요배통)
處方 : 身柱穴(신주혈)에 灸法(구법) - 玉龍歌
⑻ 咳嗽痰多(해수담다)
處方 : 灸(구) 肺兪(폐수), 筋縮穴(근축혈) - 勝玉歌
⑼ 기침
處方 : 灸(구) 肺兪(폐수), 風門穴(풍문혈) - 行針指要歌
5. 刺咳論(자해론)
⑴ 證狀(증상)
① 肺咳(폐해) : 咳嗽(해수) 氣短有聲(기단유성) 甚則痰中帶血(심칙담중대혈)
② 肝咳(간해) : 咳嗽(해수), 兩側脇下脹痛(양측협하창통), 甚則運動不利(심칙운동불
이)
③ 脾咳(비해) : 咳嗽(해수), 右側脇下痛(우측 협하통), 陰部墜徹肩背(음부추철 견배)
甚則運動不利(심칙 운동불리) 動則咳極甚(동칙해극심)
④ 腎咳(신해) : 咳嗽(해수), 咳則腰脊墜痛(해칙 요척추통), 甚則咳時多涎(심칙해시다
연)
⑤ 脾咳不愈(비해불유) 轉移胃咳(전이위해) : 咳則(해칙) 嘔吐(구토), 吐蛔虫(토회충)
⑥ 肝咳不愈(간해불유) 轉移膽咳(전이담해) : 咳則(해칙) 吐膽汁(토담즙).
⑦ 肺咳不愈(폐해불유) 轉移大腸咳(전이대장해) : 咳則便頻(해칙변빈)
⑧ 心咳不愈(심해불유) 轉移小腸咳(전이소장해) : 咳則脫盡(해칙탈진) 氣虛 (기허)
⑨ 腎咳不愈(신해불유) 轉移膀胱咳(전이방광해) : 咳則失尿或尿頻(해칙실뇨혹뇨빈)
⑩ 日久不愈(일구불유) 轉移三焦咳(전이삼초해) : 咳則腹部脹滿(해칙 복부창만) 不思
飮食(불사음식).
⑪ 諸咳入胃會(제해입위회) 轉移肺(전이폐) : 多涕涎(다체연), 面浮(면부) 氣逆喘息
(기역천식)
⑵ 處方(처방)
① 五臟咳(오장해) : 各臟(각장)에 해당하는 兪穴(수혈) - 肝兪(간수), 心兪(심수), 脾兪
(비수), 肺兪(폐수), 腎兪(신수).
② 六腑咳(육부해) : 六腑經絡(육부경락)의 合穴(합혈)
- 陽陵泉(양능천). 小海(소해), 天井(천정), 足三里(족삼리), 曲池(곡지),委中(위중).
③ 咳引起浮腫(해인기부종) : 해당경락의 經穴(경혈)
- 膽(담)의 陽輔(양보), 小腸(소장)의 陽谷(양곡), 三焦(삼초)의 支溝(지구),
胃(위)의 解谿(해계), 大腸(대장)의 陽谿(양계), 膀胱(방광)의 崑崙(곤륜).
針灸大成
6. 五行針(오행침) - 舍岩道人針灸要訣
1) 熱痰咳(열담해)
見證 : 濕(습)이 心(심)에 在(재)한것이니 咳(해)하면 가슴이 아프고(咳嗽胸痛), 목에서
객객 소리가 나며 목구멍이 깔깔하고 심하면 咽腫喉痹(인종후비, 咽喉炎)를 겸
한다. - 桔梗湯(길경탕) 증.
處方 : 天突(천돌) 斜,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2) 肝風咳(간풍해)
見證 : 濕(습)이 肝(간)에 在(재)(濕在肝)한 것이니 咳(해)하면 양옆구리가 아파서(咳嗽
兩脇痛) 轉側(전측)이 不能(불능)한 증을 訴(소)한다. - 十棗湯(십조탕) 證
處方 : 膝關(슬관) 曲泉(곡천) 橫, 大敦(대돈) 湧泉(용천) 補, 太白(태백) 太冲(태충) 瀉.
※ 柳泰佑 - "膝關(슬관) 曲泉(곡천) 橫(횡)이라 한 것은 肝經(간경)의 合穴(합혈)에
刺戟(자극)만 주라는 표시이다." 라고 토를 달았다.
3) 肺氣咳(폐기해)
見證 : 습이 폐에 재한(濕在肺) 것이니 해하면 숨이 가뿐(咳嗽氣短)소리가 나며 심하
면 기침하며 피를 뱉는(甚則咳血) 증을 訴(소)한다. - 麻黃湯證(마황탕증)
處方 : 天突(천돌) 斜, 陰谷(음곡) 經渠(경거) 補, 尺澤(척택) 陰陵泉(음능천) 瀉.
柳泰佑 - 理論(이론) 대로라면 太白(태백) 太淵(태연) 瀉, 大敦(대돈) 少商(소상)
補(보)하는 것이 마땅하다.
4) 腎寒喘(신한천)
見證 : 습이 신에 재한(濕在腎) 것이니 咳(해)하면 요배가 서로 당기며 아프고(咳嗽腰
背墜痛) 심하면 해연이 많은(甚則多咳涎) 증이다. - 麻黃附子細辛湯證
處方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有聲(유성)을 嗽(수)라 하고, 有痰(유담)을 欶(수)라 하나니 欬嗽(해수)는 즉 氣
管呼吸(기관호흡)의 不順(불순)한 현상으로서 肺部(폐부)에 風, 寒, 火, 痰(풍,
한,화,담)의 激甚(격심)한 刺激(자격)이 있으면 喉中(후중)에서 發聲(발성) 되는 것이나
其實(기실)인즉 外感(외감), 內傷(내상)의 兩大端(양대단)에 不外(불외)한 것이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痰(담)은 脾(비)의 虛動(허동)으로, 咳(해)는 胃(위)의 熱靜(열정)으
로써 生起(생기)며 濕(습)이 心(심)에 在(재)한 것이 熱痰(열담)이고, 濕(습)이 肝(간)에 托
(탁)한 것이 風解(풍해)이며, 濕(습)이 肺(폐)에 居(거)한 것이 氣海(기해)이고, 濕(습)이 腎
(신)에 留(류)한 것이 寒喘(한천)이라 하여 敍上(서상)의 四大咳嗽治法(사대해수치법)을
究明(구명)하였다.
舍岩經驗例
1) 한 男子(남자)가 年六十餘(연육십여)에 外腎(외신)이 恒時(항시) 빳빳하여 每夜(매야)
에 應色(응색)하기 六七度(육칠도)이나 매한가지여서 밤낮으로 成寢
(성침)이 不能(불능)하며 兩足(양족)이 痿躄(위벽)하고 손도 또한 不利(불이)한지라
心腎虛(심신허)의 相關(상관)이 아닌가하여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보), 太白(태
백), 太谿(태계) 瀉(사)하기 數度(수도)에 病己(병기)하였다.
咳嗽(해수)라는 것은 원래 心肝腎(심간신)에 脾土(비토)가 寄(기)하여 作崇(작숭)하는
것이다. 그러나 혹 瘀血(어혈)이 있는 者(자)는 어혈을 治(치)하고 혹 勞瘵(노채)를 治
(치)하되 元方(원방)에 祭色分治(제색분치)하면 効驗(효험)이 있더라.
2) 한 男子(남자)가 年五十(연오십)에 때로 답답한 기운이 있으며 혹은 冷物(냉물)을 좋
아하므로 처음에는 心證(심증)인가 疑心(의심)했으나 効驗(효험)이
없더니 中年(중년)에 많은 傷處(상처)가 있던 것을 알고 瘀血治法(어혈치법)을 施(시)
한 결과 完差(완차)하였다.
해수기단 (咳嗽氣短)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商陽(상양), 扶突(부돌).
足陽明胃經 : 氣戶(기호), 庫房(고방), 屋翳(옥예), 𥊹窗(응창), 乳根(유근), 足三里
(족삼리), 豊隆(풍륭).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 周榮(주영).
手太陽小腸經 : 肩中兪(견중유).
足太陽膀胱經 : 肺兪(폐수), 腎兪(신수), 魄戶(백호), 膏肓(고황), 神堂(신당), 譩譆
(의희),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 任脈 : 鳩尾(구미), 膻中(전중), 紫宮(자궁), 華盖(화개), 璇
璣(선기), 天突. 督脈 : 至陽(지양), 身柱(신주), 大椎(대추).
2) 水突(수돌).
3) 俠白(협백), 孔最(공최), 尺澤(척택).
4) 少商(소상), 大陵(대능).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氣短咳嗽 : 缺盆(결분), 肺兪(폐수).
2) 手太陰肺經 : 少商(소상), 勞宮(노궁).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天突(천돌)
足陽明胃經 : ① 庫房(고방), 屋翳(옥예), 膏肓(고황).
②人迎(인영), 氣舍(기사), 庫房(고방), 屋翳(옥예), 水突(수돌).
足太陰脾經 : 天溪(천계), 天府(천부).
足少陰腎經 : ① 神藏(신장), 風門(풍문), 肺兪(폐수), 尺澤(척택).
② 兪府(수부), 風門(풍문), 肺兪(폐수), 膏肓(고황), 膻中(전중).
任脈 : ① 巨闕(거궐), 中脘(중완), 天突(천돌).
② 膻中(전중), 肺兪(폐수), 天突(천돌), 尺澤(척택), 列缺(열결).
③ 子宮(자궁), 肺兪(폐수), 風門(풍문), 天突(천돌).
해천 (咳喘)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天突(천돌), 太溪(태계).
3. 辨病取穴(변병취혈) 針灸大成
1) 기관지 천식으로 숨이 차거나 가래가 성해서 막힐 때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豊隆(풍륭), 兪府(수부), 膻中(전중), 三里穴(삼리혈)에 針刺한다.
2) 기관지 천식으로 가슴과 횡격막이 갑자기 아프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彧中(욱중), 天突(천돌), 肺兪(폐수), 三里穴(삼리혈)에 針刺한다.
3) 喘息(천식)으로 가슴에 氣(기)가 그득하며 肺(폐)가 팽팽하여 누울 수가 없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兪府(수부), 風門(풍문), 太淵(태연), 中府(중부), 三里(삼리), 膻中穴(전중
혈)에 針刺한다.- 西江月 -
現代針灸學
후두(喉頭) 기관(氣管) 기관지(氣管支) 등의 기도점막(氣道粘膜)이 자극을 받으면 반사적으로
기침이 일어난다. 분비물이나 유해물(咯痰)을 배출하기 위하여 일어날때도 있다. Coughing
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감기(感氣), 인두염(咽頭炎 phryngitis), laryngitis, tonsillitis,
bronchial asthma acute and chronic bronchitis, 폐기종(肺氣腫 pulmobary emphysema),
pulmonary tuberculosis, 흉막염(胸膜炎 pleurisy),후두결핵(喉頭結核 laryngeal tuberculo-
sis), 백일해(百日咳 whooping-cough) 등이 있다.
기도점막의 자극 외에도 미주신경이 분포하고 있는 영역의 자극도 해수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드물기는 하지만 stomach, liver, spleen, uterus 등의 자극에도 일어난다.
治療 : 주치경 및 취혈과 치법은 기관지염과 감기에 준한다.
이침(耳針)
耳穴 : 肺(폐), 氣管(기관).
해혈 (咳血)
1. 參照文(참조문)
1) 각혈 (咯血)
2) 타혈 (唾血)
3) 폐염 (肺炎)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孔最(공최), 魚際(어제).
項背腰部 : 百勞(백로).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陰肺經 : 列缺(열결), 后溪(후계).
2) 處方 : ① 勞宮(노궁), 尺澤(척택).
② 肺兪(폐수), 太淵(태연).
③ 郄門(극문), 太谿(태계).
4. 辨證取穴(변증취혈) 中醫針灸學
咳血(해혈)
⑴ 肝火犯肺(간화범폐)
證狀 : 기침이 나며 가래(痰)에 피가 섞이는 咯血(각혈)을 하는데 혈색은 鮮紅(선홍) 혹
은 紫暗色(자암색)이고 가슴, 옆구리가 당기며 아프고 煩躁(번조)하며 성(怒)을
잘 내며, 소변이 붉고, 입이 쓰고(苦), 맥은 弦數(현삭)하다.
治則 : 泄肝淸肺(설간청폐), 和絡止血(화락지혈).
- 手太陰(수태음), 手足厥陰經穴(수족궐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魚際(어제), 勞宮(노궁), 行間(행간), 肺兪(폐수).
方義 : ① 魚際(어제), 肺兪(폐수). - 肺熱(폐열)을 瀉(사)하여 止血(지혈)하고
② 行間(행간).- 肝火(간화)를 瀉(사)하여 逆氣(역기)를 눌러 혈을 所藏(소장)시킴
③ 勞宮(노궁).- 血熱(혈열)을 제거하여 妄行(망행)을 정지시킨다.
이상의 4穴(혈)을 배합하면 泄肝淸肺(설간청폐), 和絡止血(화락지혈)의 목적을
달성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20~30분간 留針(류침)하며 하루에 1번씩 침자 한다.
⑵ 陰虛火旺(음허화왕)
證狀 : 기침이 나며 가래(痰)는 적고 가래에 피가 섞이는데 색은 鮮紅色(선홍 색)이고,
潮熱(조열), 盜汗(도한), 口乾咽燥(구건인조)하며, 양쪽 뺨이 붉고 신체가 여위며
舌紅苔少(설홍태소)하고, 맥은 가늘고 빠르다(脈細數).
治則 : 益陰養肺(익음양폐), 淸熱止血(청열지혈).
- 手太陰(수태음), 足少陰經穴(족소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尺澤(척택), 魚際(어제), 孔最(공최), 百勞(백노), 然谷(연곡).
方義 : ① 尺澤(척택)을 補(보)하고, 魚際(어제)를 瀉(사)하면 益肺陰(익폐음), 淸肺熱(청
폐열)하므로 止血(지혈)시키고
② 肺經(폐경)의 郄穴(극혈) 孔最(공최)와 經外寄穴(경외기혈) 百勞(백노)는 益肺
止血(익폐지혈)하며,
③ 然谷(연곡)은 腎經(신경)의 滎穴(형혈)로서 益陰淸熱(익음청열)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주로 보법을 사용하며 때로는 보사를 겸한다.
Comments